KR102371503B1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1503B1 KR102371503B1 KR1020210083073A KR20210083073A KR102371503B1 KR 102371503 B1 KR102371503 B1 KR 102371503B1 KR 1020210083073 A KR1020210083073 A KR 1020210083073A KR 20210083073 A KR20210083073 A KR 20210083073A KR 102371503 B1 KR102371503 B1 KR 102371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mote management
- work site
- information
- management terminal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GLDOVTGHNKAZLK-UHFFFAOYSA-N oc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GLDOVTGHNKAZL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IXOCGRPBILEGOX-UHFFFAOYSA-N 3-[3-(dodecanoylamino)propyl-dimethylazaniumyl]-2-hydroxypropane-1-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NCCC[N+](C)(C)CC(O)CS([O-])(=O)=O IXOCGRPBILEGO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329 dioctyl sodium sulphosucci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YHAIUSTWZPMYGG-UHFFFAOYSA-L disodium;2,2-dioctyl-3-sulfobutanedioate Chemical compound [Na+].[Na+].CCCCCCCCC(C([O-])=O)(C(C([O-])=O)S(O)(=O)=O)CCCCCCCC YHAIUSTWZPMYG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DOUZKKFHVEKRI-UHFFFAOYSA-N 3-bromo-n-[(prop-2-enoylamino)methyl]propanamide Chemical compound BrCCC(=O)NCNC(=O)C=C CDOUZKKFHVEK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4 anti-foa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WZZKOKVBUJMES-UHFFFAOYSA-N (+-)-Isoprenaline Chemical compound CC(C)NCC(O)C1=CC=C(O)C(O)=C1 JWZZKOKVBUJM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NIAPMSPPWPWGF-GSVOUGTGSA-N (R)-(-)-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H](O)CO DNIAPMSPPWPWGF-GSVOUGTG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6 high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5 high-speed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5—Mixtures of a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11D1/655—Mixtures of sulfonated products with alkylolamides of 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H04N5/225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작업 현장 영역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 현장 영역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전달하는 지시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 관리 단말을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진행 상황, 비상 상황 발생 여부, 작업 진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통해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 관리 단말을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진행 상황, 비상 상황 발생 여부, 작업 진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통해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 관리 단말을 작업 현장에 구비하여, 작업에 대한 총괄 관리자로 하여금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 현장에 대한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작업 현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공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안전 관리, 시공 현황 관리 등을 위해서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장 상황은, 현장의 공정 순서 관리, 공정 진행률에 대한 모니터링, 현장 작업자와 총괄 관리자 사이의 소통을 통한 피드백 등을 포함한다.
더불어 이러한 현장 상황이라 함은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뿐 아니라, 시공 환경 상의 온도, 습도, 연기, 유해물질 농도 등 다양한 환경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전에는 이러한 현장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에 있어, 총괄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현장 작업자와 피드백을 주고받았으나, 이는 복수의 시공 현장을 한 명의 총괄 관리자가 관리하는 경우 모든 현장에 방문하여 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괄 관리자가 현장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장 작업자와 영상통화 등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통해 작업 현장에 대한 파악 및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총괄 관리자가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 및 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 10-2203809호에 ‘이동형 통합 현장 모니터링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통신 장비가 없이도, 센서의 설치만으로 현장의 상황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합 현장 모니터링 관리 장치는, 기설정된 데이터 송수신 반경을 가짐으로써, 기설정된 반경 내부의 외부 센서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수단;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에 센싱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 수단; 및 센싱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및 원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송출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 모듈;을 포함하되, 근거리 통신 수단, 원거리 통신 수단 및 데이터 가공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이동 시마다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부의 외부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하나의 케이스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하여, 센서를 통한 감지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센서를 단순히 일체화한 관리 단말의 구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테리어 작업 현장을 카메라로 실시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 처리함으로써,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상황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필요할 경우 총괄 관리자로 하여금 현장에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하고 진보한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기기를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작업 현장을 촬영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를 가능케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총괄 관리자 및 현장 작업자 간의 양방향 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현장에 배치된 기기로 하여금 현장 작업자에 대한 관리 기능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작업 현장에 배치되는 기기를 자동 주행 및 이동 조작이 가능한 로봇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작업 현장 영역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 현장 영역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전달하는 지시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원격 관리 단말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상기 작업자로부터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받는 요청사항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작업자 별로 차등 부여된 인증코드를 저장하는 인증코드DB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 처리에 따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작업 참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단말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스피커를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바퀴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원격 관리 단말에 대한 2차원 방향에 대한 이동조작정보를 입력받는 이동조작부 및, 상기 이동조작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은,
1)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 관리 단말을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진행 상황, 비상 상황 발생 여부, 작업 진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통해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2) 원격 관리 단말을 매개로 현장에 있는 작업자가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으로 현장을 관리하고 있는 총괄 관리자와 현장 작업자 사이의 양방향 소통을 가능케 하며,
3) 작업자 별로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원격 관리 단말을 통해 인증코드의 입력을 가능케 함으로써, 원격 관리 단말을 통한 작업자의 출퇴근 관리 뿐 아니라 총괄 관리자로 하여금 원격으로 작업자의 근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4) 바퀴를 구비하는 원격 관리 단말이 현장 작업자 또는 총괄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인테리어 현장 내부를 이동하며 현장 전반에 대한 촬영 및 관리를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중앙관제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 분석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원격 관리 단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세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중앙관제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 분석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원격 관리 단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세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1), 원격 관리 단말(2), 중앙관제서버(3)를 포함한다.
작업자(1)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자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작업에 대한 지시를 받거나, 혹은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는 총괄 관리자에게 요청사항이나 작업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호 피드백을 하는 주체이다. 이러한 작업자(1)는 인테리어 작업을 위한 목공, 도배, 전기 배선 등을 수행하는 자일 수 있다.
원격 관리 단말(2)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이 가능하게끔 배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은 카메라(20) 및 스피커(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데, 이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이동 가능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형으로 세워둘 수 있는 형상을 갖거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5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와 유사한 형상, 또는 키오스크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만약 도 2(a)의 형태와 같은 일반적인 cctv 형상으로서 원격 관리 단말(2)이 구성되는 경우, 원격 관리 단말(2)은 현장 작업자(1)에 의해 탈착되어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도 2(b)와 같은 형태로 원격 관리 단말(2)이 구성되는 경우 원격 관리 단말(2)을 밀거나 들어 옮김으로써 이동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바퀴(51)를 매개로 이동이 가능한 원격 관리 단말(2)의 구성에서는, 바퀴(51)가 충분한 두께를 가진 타이어로 이루어져 바닥에 이물질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바퀴(51)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원격 관리 단말(2)은 형상에 제한이 없는 하우징(10)에 카메라(20) 및 스피커(30)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중앙관제서버(3)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 그리고 단말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원격 관리 단말(2)이 천장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바닥에 스탠드형으로 세워지는 구성에서는, 카메라(20)는 원격 관리 단말(2)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카메라(20)가 원격 관리 단말(2)의 상부 일 측에서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카메라(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현장 영역(40)을 넓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화각의 변경을 가능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중앙관제서버(3)와 통신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중앙관제서버(3)에 송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중앙관제서버(3) 관리자로부터 별도의 작업 지시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이를 스피커(30) 등을 매개로 하여 작업 현장에서 인테리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1)에게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더불어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작업 현장 내에서도 원격 관리 단말(2)이 배치된 영역을 작업 현장 영역(40)이라 칭한다. 따라서 원격 관리 단말(2)은 구비된 카메라(20)를 매개로, 작업 현장 영역(40)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중앙관제서버(3)는 원격 관리 단말(2)로부터 촬영되어 수신된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을 분석 처리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업 현장 관리를 위한 관리메시지를 생성하여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1)에게 원격 관리 단말(2)을 매개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원격 관리 단말(2)에 대한 제어 주체일 수 있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원격 관리 단말(2)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3)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4)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포스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중앙관제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인테리어 작업 현장 분석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3)는 영상 분석 모듈(100)과 지시 전달 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분석 모듈(100)은 통신을 매개로 원격 관리 단말(2)로부터 작업 현장 영역(40)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분석 처리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분석정보라 함은 작업의 진행 정도나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예시를 들자면, 만약 인테리어 작업 과정에서 도배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 원격 관리 단말(2)의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작업 현장 영역(40)은 벽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벽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 내에서 색상을 검출해내어 색상의 차이에 따라 도배가 수행된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회색의 콘크리트에 흰색 페인트가 발라지는 경우라면,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작업 현장 영역(40)을 촬영한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 흰색이 이루는 영역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색상 차이를 감지하여, 도배가 완료되어 색상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도배 작업 진행률, 또는 도배 작업 완성 여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철거가 진행되는 경우, 철거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구조물이나 벽체가 사라지고 빈 공간만이 남아야 되므로, 작업 현장 영역(40)을 촬영한 영상 내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점차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인식하여 객체가 완전히 사라지면 철거가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철거 완료 여부를 분석정보로써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의 비상상황 발생, 예를 들어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을 분석 처리하여 화재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와 같이 화재나 연기 등이 영상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이를 분석정보로써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과도하게 분진이 발생되어 영상 내에 희뿌연 분진이 감지되는 경우, 이 역시 환기 등의 필요성이 있으므로 분진에 대한 감지 여부를 분석정보로써 생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는 영상 촬영 자체가 현장의 관리를 위한 경우, 분석정보는 영상에 작업자(1)들이 촬영되는지를 분석 처리하여 작업자(1)의 작업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혹은 영상 내에 촬영된 작업자(1)의 수를 카운트하여 작업자(1)의 현장 출근 여부를 분석정보로써 생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현장 영역(40)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는 분석정보의 경우 상술한 예시와 같이 작업 진행률이나 작업 완료 여부, 현장 작업자(1)의 작업 진행 여부 또는 작업 참여 여부, 나아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비상상황 발생 파악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분석정보는 작업 현장에 대한 사진을 포함함으로써, 영상이 촬영된 날짜별로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캡쳐하여 날짜별 작업 진행 상황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일자별 작업 현장에 대한 사진이 분석정보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파악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분석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정보의 생성 방법이나 분석되는 정보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지시 전달 모듈(200)은, 영상 분석 모듈(100)을 통해 생성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작업 현장 영역(40)에 위치한 작업자(1)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관리메시지는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스피커(30)를 매개로 하여 사운드의 형태로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1)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분석정보의 내용에 따라 중앙관제서버(3) 상에 저장된 관리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혹은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는 총괄 관리자가 분석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를 작업자(1)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만약 중앙관제서버(3)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관리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때 관리메시지의 예시는 ‘도배 완료가 확인 되었습니다.’‘철거 완료가 확인 되었습니다.’‘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대피 바랍니다.’‘분진이 발생하였습니다. 환기 바랍니다.’‘전 작업자에 대한 출근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등 다양한 상황에 맞는 관리메시지가 사운드의 형태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고, 분석정보의 내용에 따라 대응되는 관리메시지를 작업자(1)에게 전달하게 된다.
더불어 관리메시지는 바람직하게 원격 관리 단말(2)의 스피커(30)를 매개로 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1)에게 제공될 수도 있으나, 혹은 작업자(1)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관리메시지를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관리메시지가 사운드 뿐 아니라 텍스트의 형태로 함께 저장되어야 하며, 중앙관제서버(3) 상에는 작업자(1)의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분석정보 생성 시 작업자(1)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관리메시지를 SMS 형태로 발송하여 관리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바람직하게는 인테리어에 대한 총괄 관리자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분석정보를 확인하고, 시스템 상에 텍스트 또는 사운드의 형태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관리메시지로서 직접 입력하게 한 뒤, 해당 내용을 작업자(1)에게 전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때 관리메시지는 원격 관리 단말(2)의 스피커(3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1)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전송 처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총괄 관리자로 하여금 현장에 대한 원격 실시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영상 분석을 통해 현장의 작업 진행 상황이나 작업자(1)의 출근 여부, 작업 진행 여부, 나아가 비상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총괄 관리자가 해당 분석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대응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분석정보가 생성될 시 중앙관제서버(3) 상에서 관리메시지를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1)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1)에게 작업 진행에 관련한 지시 또는 현장의 비상상황 발생 시 관련 알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원격 관리 단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수한 원격 관리 단말(2)은 천장에 구비되는 CCTV의 형상일 수도 있으나 바닥에 거치되는, 일종의 키오스크와 비슷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의 경우 하우징(10)의 상단에 카메라(20)가 구비되어 작업 현장 영역(40)을 넓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일 측에 스피커(30)가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4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40)를 매개로 관리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은 하우징(10)의 하부 일 측에 바퀴(51)를 포함하는 구동부(50)를 포함하여 바퀴(51)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키오스크 형태의 로봇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원격 관리 단말(2)이 시스템 관리자나 현장 작업자(1)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거나, 혹은 로봇 청소기와 같이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작업 현장 내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원격 관리 단말(2)에 디스플레이(40)가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해당 디스플레이(4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되는 경우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1)가 원격 관리 단말(2)을 매개로 하여 시스템 관리자, 즉 인테리어에 대한 총괄 관리자에게 작업 현장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3)는 요청사항 입력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요청사항 입력 모듈(300)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즉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매개로 하여 작업자(1)로부터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 상에 키보드를 구성하여 텍스트의 형태로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이 입력된 현장요청메시지는 중앙관제서버(3)의 서버 관리자, 즉 인테리어에 대한 총괄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현장 작업자(1)의 요청사항을 총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작업 현장에서 인테리어 작업에 필요한 자재가 부족한 경우, 현장요청메시지로써 자재 발주를 위한 요청정보가 입력될 수 있어 작업자(1)가 실시간으로 필요한 자재에 대한 발주를 요청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위치한 현장 작업자(1)와 시스템 관리자, 즉 총괄 관리자 사이의 상호 피드백을 가능케 함으로써, 실시간 소통을 기반으로 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관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20)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1)의 근태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3)는 작업 관리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 관리 모듈(400)은 바람직하게 인증코드DB(410) 및 인증 수행부(420)를 포함한다.
인증코드DB(410)는 작업자(1) 별로 차등 부여되는 인증코드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인증코드는 바람직하게 작업자(1)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코드는 각각의 작업자(1) 별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인증코드는 숫자의 조합이나 문자의 조합, 또는 문자+숫자의 조합이거나 특수문자가 더해진 형태일 수 있으며, 혹은 이와 같이 숫자, 문자,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의 식별코드가 QR코드 형태로 변환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증코드는 본 발명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테리어 업체에 있어 해당 업체에 의해 현장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1)마다 각각 생성되며, 이와 같은 작업자(1)별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가 인증코드DB(410)에 저장된다.
인증 수행부(420)는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20)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증코드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인증코드와 연동 처리된 작업자(1)에 대한 작업 참여 인증, 즉 출근 및 퇴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인증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작업자(1)가 본인의 인증코드를 기억한 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키보드 등을 통해 인증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것이며, 혹은 카메라(20)를 통해 인증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경우에는 QR코드 형태로 생성되는 인증코드를 작업자(1)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인증코드를 원격 관리 단말(2)의 카메라(20)에 스캐닝하여 카메라(20)를 통해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1)에 의해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인증 수행부(420)는 해당 인증코드와 연동된 작업자(1)에 대한 출근 및 퇴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작업에 참여하였음을 의미하는 작업 참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구비된 원격 관리 단말(2)을 매개로 하여 인테리어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1)에 대한 근태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총괄 관리자가 개별 작업자(1)의 출근 및 퇴근을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근태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원격 관리 단말(2)은 하우징(10)에 카메라(20) 및 스피커(30)가 포함된 상태에서, 바퀴(51)를 포함하는 구동부(50)가 하우징(10)의 저면에 위치하여 구동부(50)를 매개로 원격 관리 단말(2)을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원격 관리 단말(2)은 단순히 바퀴(5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율 주행이 가능하거나 혹은 조작에 의한 주행이 가능한 로봇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로봇과 유사한 원격 관리 단말(2)으로 구성되는 경우, 원격 관리 단말(2)은 충전을 위한 별도의 스테이션이나 충전용 독을 구비하여 스테이션 또는 충전용 독과 도킹되었을 때 충전이 되며, 작업 현장 영역(40)에 대한 영상 생성을 위해 구동부(50)가 바퀴(51)를 2차원 방향(x-y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키오스크 형태의 로봇 또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 구성을 참조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와 같이 원격 관리 단말(2)이 바퀴(51)를 포함하는 구동부(50)를 매개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인 경우, 중앙관제서버(3) 상에서 해당 원격 관리 단말(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3)는 단말 이동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이동 모듈(500)은 이동 조작부(510)와 단말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이동 조작부(510)는 원격 관리 단말(2)에 대한 2차원 방향의 이동조작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이동조작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는 시스템 관리자, 즉 총괄 관리자이거나 현장 작업자(1)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동조작정보는 2차원 방향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며, 즉 상/하/좌/우(x-y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총괄 관리자는 서버 관리용 컴퓨터에 연동된 키보드 등을 통해 2차원 방향으로 이동조작정보를 입력하거나, 혹은 조이스틱 등을 통해 이동조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현장 작업자(1)에 의해 이동조작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이동조작정보가 입력되거나, 혹은 원격 관리 단말(2)과 블루투스를 매개로 연결된 작업자(1)의 스마트폰에 원격 관리 단말(2) 제어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이동조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 제어부(520)는 이동 조작부(510)에 의한 이동조작정보 입력에 따라, 실제로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원격 관리 단말(2)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바퀴(51)를 상/하/좌/우(x-y방향)으로, 이동조작정보와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원격 관리 단말(2)을 직접 들거나 밀어 옮기지 않더라도 단순한 방향 조작을 통하여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구동부(50)의 조작을 제어함으로써 원격 관리 단말(2)을 인테리어 작업 현장 내에서 쉽고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는 현장에 구비된 다양한 물품이나 구조물에 대한 치수 측정이 필요한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줄자를 가지고 측정을 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20)를 통해 구조물이나 물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물품 또는 구조물의 치수를 측정하게끔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3)는 치수 측정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수 측정 모듈(600)은 측정 요청부(610), 치수 측정부(620), 치수 제공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요청부(610)는 작업자(1)로부터 측정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측정요청정보의 입력을 위해는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측정요청정보의 입력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치수 측정부(620)는 측정요청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측정물, 즉 구조물이나 물품에 대한 치수를 측정하여 치수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치수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므로, 이는 공지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치수 측정 기능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측정의 비교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치수정보가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물품을 카메라(20)에 인식하여 치수를 비교 가능하게 한 뒤, 측정물을 기준물품과 비교 처리함으로써 치수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혹은 측정물 내의 임의의 점을 측정 마커로 포인팅하고, 측정물 외부의 일 측을 기준좌표로 설정하여 기준 마커를 생성한 뒤, 측정 마커와 기준 마커 사이의 거리를 프로브를 통해 측정하여 기준 거리로써 저장하고, 측정물 내의 다른 점을 추가 마커로 포인팅한 뒤 측정 마커 및 추가 마커 사이의 거리를 프로브를 통해 측정된 기준 마커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사이즈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이와 같이 프로브를 통한 사이즈 측정 구성에서는, 현장 작업자(1)가 원격 관리 단말(2)과 연동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도록 하여 프로브를 통해 측정물의 임의의 점에 대한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원격 관리 단말(2)에 별도의 센서나 레이저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치수를 측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치수 측정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치수 제공부(630)는 측정물에 대한 치수정보를 작업자(1)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치수 측정부(620)에 대해 측정물에 대한 치수를 측정하여 생성된 치수정보를 작업자(1)에게 제공하여 작업 현장에서 치수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치수정보는 시스템 관리자, 즉 총괄 관리자에게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치수 측정 모듈(60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비치된 다양한 측정물에 대해 별도의 장비 없이도 치수 측정을 가능케 함은 물론이며, 시스템 관리자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실시간으로 치수 측정을 지시하고 그에 따라 치수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어 작업 관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치수 측정부(620)는, 실제로 치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치수의 비교 처리를 통한 가상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물에 대해 치수정보를 3 내지 5회 반복 측정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치수정보가 반복 측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치수 측정 모듈(600)은 표준치수 산출부(640)를 포함하여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표준화된 표준치수를 산출해낼 수 있으며, 치수 제공부(630)는 측정물에 대해 생성된 표준치수를 작업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준치수 산출부(640)는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를 기반으로 표준치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때 표준치수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의 평균을 기반으로 하는 값이되,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표준치수는 치수정보의 최대값인 최대치수정보, 그리고 치수정보의 최소값인 최소치수정보, 나아가 치수정보의 평균값인 평균치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의 값을 표준화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평균값과 비교 처리한 값을 곱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여기서 수학식 1의 앞부분은 최대치수정보, 최소치수정보, 평균치수정보의 조화평균을 기반으로 하는 값인데, 이때 조화평균을 산출하는 이유는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를 요약하여 표준화한 표준치수를 산출함에 있어, 다른 평균값 산출 방식에 비하여 우수하고 대표치로서의 오차를 피할 수 있게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뒷부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평균값과 비교 처리한 값을 곱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댓값과 최솟값, 그리고 평균값 사이의 비교 처리를 한 번 더 수행하여 추가적인 표준화를 가능케 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수 측정 모듈(600)을 통해 특정한 측정물에 대한 5회 측정을 수행했다 하였을 때, 측정된 값이 각각 10.021, 9.992, 10.001, 10.012, 9,984라면,
따라서 본 발명의 치수 측정 모듈(600)은, 반복 측정된 치수정보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하고 표준화된 표준치수를 제공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세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원격 관리 단말(2)의 경우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배치되기 때문에 원격 관리 단말(2)의 핵심 구성이라 할 수 있는 카메라(20)가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서 발생한 분진 등에 의해 쉽게 더럽혀질 수 있는 문제성이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20), 그중에서도 카메라 렌즈가 더럽혀질 경우 작업 현장 영역(40)에 대한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져 현장에 대한 실시간 관찰 및 관리 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20)에 대한 자가 세정 구성을 더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단말(2)은 세정 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세정 어셈블리(60)는 바람직하게 챔버(61), 노즐(62), 그리고 펌프를 포함하여 세정수를 카메라(20)에 분사함으로써 카메라(20)에 대한 자가 세정을 가능케 한다.
챔버(61)는 바람직하게 원격 관리 단말(2)의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세정수에 대한 보관 용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챔버(61)와 노즐(62)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62)의 경우 카메라(20) 인근의 일 측에 구비되어 카메라 렌즈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세정 어셈블리(60)에 구비된 펌프를 통하여 세정수가 연결관을 통해 노즐(62)로 이동되어 노즐(62)을 매개로 분사된다. 따라서 세정 어셈블리(60)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디스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세정 어셈블리(60)가 포함되는 경우,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검출됨에 따라 세정 어셈블리(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영상 분석 모듈(100)은 영상으로부터 이물질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분진 등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식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0) 일 측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 촬영된 영상 내에서도 특정 이물질이 움직이지 않고 계속 촬영되게 되므로 원격 관리 단말(2)의 이동 시에도 꾸준히 촬영되는 노이즈와 같은 객체가 촬영된다면, 이를 이물질정보로써 검출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나아가 중앙관제서버(3)는 세정 제어 모듈(700)을 포함하여, 영상 분석 모듈(100)에 의해 이물질정보가 검출됨에 따라 세정 어셈블리(60)의 동작, 그 중에서도 펌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세정수를 카메라(20)에 분사하게끔 하여 자가 세정 기능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이물질이 검출됨에 따라, 중앙관제서버(3)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세정 어셈블리(60)의 펌프를 작동시켜 세정 어셈블리(60)를 매개로 세정수가 원격 관리 단말(2)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에 분사되도록 하여 분진이나 이물질이 발생할 여지가 많은 인테리어 현장에 있어서 카메라(20)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세정수는 가장 간단하게는 물일 수도 있으나, 세정수의 세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을 포함하는 세정제 0.5 내지 10 중량부와, 에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65 내지 9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25 중량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베이스는 휘발성 물질인 에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세정과 소독, 그리고 휘발성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정제수를 용매로써 포함한다.
나아가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이 첨가되는데, 이는 인체에 무해한 코코넛 계열의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세정능력의 증대를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정수의 구성을 통해 세정능력을 높이면서도 분사된 세정수가 자체적으로 휘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여 깨끗한 카메라(2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술한 세정제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정제는 바람직하게 제 1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세정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첫 번째로 에탄올 50 내지 70 중량부, 옥타데실알코올(octadecyl alcohol) 10 내지 30 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10 내지 30 중량부를 60 내지 70℃에서 혼합 처리하여 제 1 세정용액을 제조한다.
옥타데실알코올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일종으로써 유화안정제 및 계면활성제, 유화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된다.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코코넛 계열의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세정능력의 증대를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옥타데실알코올과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혼합된다. 이 경우 옥타데실알코올의 원활한 용해를 위해 60 내지 70℃ 범위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12) 제 2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 1 세정용액 60 내지 80 중량부, 디옥틸소듐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 내지 10 중량부, 올리브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레시틴 0.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세정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제 1 세정용액에 첨가되는 디옥틸소듐설포석시네이트는 인체에 안전한 계면활성제로서, 상술한 옥타데실알코올과 같은 지방 성분을 용해하며 세정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첨가된다.
더불어 올리브오일 및 레시틴의 첨가 시 올리브오일을 통한 보습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올리브오일 및 레시틴의 혼합물이 천연 소포제의 역할을 함으로써 세정제에서 과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올리브오일 및 레시틴 첨가에 의한 소포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제 2 세정용액 제조 시 고속 교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3) 세정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세정용액 80 내지 95 중량부에, 편백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정제를 완성하게 된다. 기능성 첨가제는 본 발명의 세정제에 대한 보존성을 높임과 동시에 항균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첨가되는데,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는 기본적으로 편백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백수는 천연 항균 및 탈취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이며,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하여 상쾌한 향취를 제공함과 동시에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을 제공하는 천연 물질이다. 따라서 편백수를 통한 특유의 상쾌한 향취 제공 및 항균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제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디옥틸소듐설포석시네이트와 같은 인체 무해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세정 어셈블리(60)에 의한 분사 시 일부가 공기 중에 분사되더라도 인체에 안전하며, 높은 세정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옥타데실알코올 및 올리브오일, 레시틴 첨가로 인해 용액이 고르게 유화되어 있으면서도 거품이 과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포성 역시 향상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작업자 2 : 원격 관리 단말
3 : 중앙관제서버 10 : 하우징
20 : 카메라 30 : 스피커
40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50 : 구동부
51 : 바퀴 60 : 세정 어셈블리
61 : 챔버 62 : 노즐
100 : 영상 분석 모듈 200 : 지시 전달 모듈
300 : 요청사항 입력 모듈 400 : 작업 관리 모듈
410 : 인증코드DB 420 : 인증 수행부
500 : 단말 이동 모듈 600 : 치수 측정 모듈
610 : 측정 요청부 620 : 치수 측정부
630 : 치수 제공부 640 : 표준치수 산출부
700 : 세정 제어 모듈
3 : 중앙관제서버 10 : 하우징
20 : 카메라 30 : 스피커
40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50 : 구동부
51 : 바퀴 60 : 세정 어셈블리
61 : 챔버 62 : 노즐
100 : 영상 분석 모듈 200 : 지시 전달 모듈
300 : 요청사항 입력 모듈 400 : 작업 관리 모듈
410 : 인증코드DB 420 : 인증 수행부
500 : 단말 이동 모듈 600 : 치수 측정 모듈
610 : 측정 요청부 620 : 치수 측정부
630 : 치수 제공부 640 : 표준치수 산출부
700 : 세정 제어 모듈
Claims (10)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세정수를 보관하는 챔버와 상기 세정수를 카메라에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세정수를 노즐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정 어셈블리와, 작업 현장 영역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및 스피커와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단말;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영상으로부터 이물질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 현장 영역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관리메시지를 전달하는 지시 전달 모듈 및, 상기 이물질정보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세정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정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는,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을 포함하는 세정제 0.5 내지 10 중량부와, 에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65 내지 9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는,
에탄올 50 내지 70 중량부, 옥타데실알코올(octadecyl alcohol) 10 내지 30 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10 내지 30 중량부를 60 내지 70℃에서 혼합 처리하여 제 1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세정용액 60 내지 80 중량부, 디옥틸소듐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 내지 10 중량부, 올리브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레시틴 0.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세정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세정용액 80 내지 95 중량부와, 편백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정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단말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상기 작업자로부터 현장요청메시지를 입력받는 요청사항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작업자 별로 차등 부여된 인증코드를 저장하는 인증코드DB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 처리에 따라 상기 작업자에 대한 작업 참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단말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스피커를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바퀴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원격 관리 단말에 대한 2차원 방향의 이동조작정보를 입력받는 이동 조작부 및, 상기 이동조작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작업자로부터 측정요청정보를 입력받는 측정 요청부 및,
상기 측정요청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측정물에 대한 치수를 측정하여 치수정보를 생성하는 치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물에 대한 치수정보를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치수 제공부를 포함하는 치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073A KR102371503B1 (ko) | 2021-06-25 | 2021-06-25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073A KR102371503B1 (ko) | 2021-06-25 | 2021-06-25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1503B1 true KR102371503B1 (ko) | 2022-03-07 |
Family
ID=8081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073A KR102371503B1 (ko) | 2021-06-25 | 2021-06-25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1503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629B1 (ko) * | 2007-02-27 | 2008-01-23 | 강병일 | 옥외 광고물 관리 시스템 |
KR20150125204A (ko) * | 2014-04-30 | 2015-11-09 | 윤상기 | 카메라 모듈용 기판의 세정장치 |
KR20160061875A (ko) * | 2014-11-24 | 2016-06-0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KR101971007B1 (ko) * | 2018-06-22 | 2019-04-22 | (주)디티에스 | 이동식 공사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KR20200121500A (ko) * | 2019-04-16 | 2020-10-26 | 이유진 | 무인카메라의 세척수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카메라 세척 시스템 |
KR20200134351A (ko) * | 2019-05-20 | 2020-12-0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설현장 무인관리시스템 및 무인관리방법 |
KR102186597B1 (ko) * | 2020-02-25 | 2020-12-03 | 비전플레이스 주식회사 | 타겟 크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95174B1 (ko) * | 2020-06-08 | 2020-12-28 | 주식회사 휴랜 |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3073A patent/KR1023715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629B1 (ko) * | 2007-02-27 | 2008-01-23 | 강병일 | 옥외 광고물 관리 시스템 |
KR20150125204A (ko) * | 2014-04-30 | 2015-11-09 | 윤상기 | 카메라 모듈용 기판의 세정장치 |
KR20160061875A (ko) * | 2014-11-24 | 2016-06-0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KR101971007B1 (ko) * | 2018-06-22 | 2019-04-22 | (주)디티에스 | 이동식 공사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KR20200121500A (ko) * | 2019-04-16 | 2020-10-26 | 이유진 | 무인카메라의 세척수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카메라 세척 시스템 |
KR20200134351A (ko) * | 2019-05-20 | 2020-12-0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설현장 무인관리시스템 및 무인관리방법 |
KR102186597B1 (ko) * | 2020-02-25 | 2020-12-03 | 비전플레이스 주식회사 | 타겟 크기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95174B1 (ko) * | 2020-06-08 | 2020-12-28 | 주식회사 휴랜 |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96147B2 (ja) | 検査処理システム、検査処理方法及び検査処理プログラム | |
KR101749663B1 (ko) | 미세먼지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장 미세먼지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방법 | |
JP6939195B2 (ja) | 検査処理システム、検査処理方法及び検査処理プログラム | |
US202401533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placement | |
US12027060B2 (en) | Data generation device, method of generating data, and remote manipulation system | |
DE102016105858A1 (de) | Mobiles dreidimensionales Messinstrument | |
CN112124455B (zh) | 无人搬运车仿真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CN115779113B (zh) | 一种终末消杀机器人和终末消杀系统 | |
US20230064071A1 (en) | System for 3d surveying by an autonomous robotic vehicle using lidar-slam and an estimated point distribution map for path planning | |
CN109405804A (zh) | 作业辅助方法及系统 | |
US10712902B2 (en) |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onveyor system and method | |
CN115213032B (zh) | 一种仿生象喷涂机器人及喷涂控制方法 | |
KR102371503B1 (ko) |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 |
Tellaeche et al. | Human robot interaction in industrial robotics. Examples from research centers to industry | |
JP2022515716A (ja) | 施工計画を表示するための投影装置 | |
CN112469538A (zh) | 数据生成装置及方法、数据生成程序、以及远程操作系统 | |
Tikanmäki et al. | The remote operation and environment reconstruction of outdoor mobile robots using virtual reality | |
WO2020131687A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efining virtual boundaries for a robotic device | |
JP2011251395A (ja) | ロボット教示システム | |
KR20180096077A (ko) | 건물 외벽 보수 장치 | |
WO2023275893A1 (en) | An autonomous modular robot to perform wall finishing | |
CN112835301B (zh) | 管理系统、管理方法、程序及自主移动装置 | |
CN115721756A (zh) | 基于空间体积和物表面积测算的消杀机器人终末消杀方法 | |
JP7408991B2 (ja) | 移動物システム、移動物、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 |
KR20220137335A (ko) | 도장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