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251B1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1251B1 KR102371251B1 KR1020170093837A KR20170093837A KR102371251B1 KR 102371251 B1 KR102371251 B1 KR 102371251B1 KR 1020170093837 A KR1020170093837 A KR 1020170093837A KR 20170093837 A KR20170093837 A KR 20170093837A KR 102371251 B1 KR102371251 B1 KR 102371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rsion beam
- pipe
- fixed
- trailing arm
- out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2—Gears rack and pin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는 선단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 및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션 빔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빔은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 측에 체결되는 아우터 파이프, 일단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 단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현가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션빔의 비틀림 강성을 운행조건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가변시켜서, 운행조건에 따라서 운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 CTBA) 방식의 현가장치는 단순한 부품 구조를 가지며, 생산 단가가 낮고, 중량이 가벼워서 경차 및 소형 차량의 현가장치로 사용되어 왔다.
현가장치에 있어, 토션 빔에 부가되는 비틀림 강성은 현가장치를 채용한 차량의 특성(주행 안정성, 승차감 등)을 좌우할 수 있다.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이 높아지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고, 승차감을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이 낮아지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지만, 승차감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이나 짐의 중량에 따라서 토션 빔의 비틀림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현가장치에서 기인하는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는 선단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 및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션 빔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빔은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 측에 체결되는 아우터 파이프, 일단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 단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토션 빔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트레일링 암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의 양단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 단에 각각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링 암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을 상기 트레일링 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의 일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부에서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타측 외주면에는 고정 베벨기어가 고정되는 고정 샤프트, 및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회전 베벨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회전 베벨기어가 장착된 제1 회전 샤프트, 상기 피니언 기어가 장착된 제2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샤프트로 전달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에 고정되는 부시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는 상기 부시 파이프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부시 파이프와 상기 고정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시 파이프가 상기 고정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는 각 선단이 차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 및 각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에 체결되고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션 빔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빔은 각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 측에 각각 배치되는 아우터 파이프, 양단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각 내측 단에 삽입되고, 이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의 일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에 고정되는 부시 파이프의 중심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고정 베벨기어가 고정되는 고정 샤프트, 및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회전 베벨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승객이나 짐에 의해서 차체의 하중이 증가하면, 토션 빔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증가하여,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어 전복 사고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차체의 하중이 감소하면, 토션 빔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감소하여,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현가장치는 부시(130), 고정 샤프트(205), 트레일링 암(110), 장착 브라켓(120), 및 토션 빔(100)을 포함하고, 상기 부시(130)는 부시 파이프(132), 고정 샤프트(205), 및 베어링(134)를 포함한다.
차량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토션 빔(100)이 구비되고, 상기 토션 빔(100)의 양단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트레일링 암(110)이 고정된다.
상기 트레일링 암(110)의 선단부는 부시(130)를 통해서 차체(미도시)에 연결되고, 후단부에는 장착 브라켓(120)이 배치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120)의 상면에는 서스펜션 스프링(미도시)의 하단이 체결되고, 상기 트레일리암(110)의 일측 외면에는 휠너클이 체결되는 체결면(122)이 형성된다.
상기 부시 파이프(132)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중심부에 고정 샤프트(205)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 샤프트(205)의 양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205)와 상기 부시 파이프(132)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134)이 개재된다.
휠의 안쪽면이 장착되는 상기 체결면(122)을 통해서 상기 트레일링 암(110)에 상하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면, 상기 트레일링 암(110)이 상기 부시(130)를 통해서 상하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토션 빔(100)은 한쪽 트레일링 암(110)에서 발생되는 비틀림 강성을 다른 쪽 트레일링 암(110)으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다. 도 2 및 3의 내용에서, 종래기술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고, 주로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현가장치는 주요 구성요소들로써 부시(130), 부시 파이프(132), 베어링(134), 트레일링 암(110), 장착 브라켓(120), 토션 빔(100), 및 체결면(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현가장치는 고정 샤프트(205), 고정 베벨기어(200), 회전 베벨기어(210), 회전 샤프트(215), 커플러(220), 피니언 기어(245), 랙기어(240), 아우터 파이프(232), 이너 파이프(234), 제1 스플라인(250), 제2 스플라인(252), 및 고정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샤프트(205)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차체에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205)의 일측에는 고정 베벨기어(200)가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 샤프트(215)는 상기 고정 샤프트(205)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215)의 선단부에는 회전 베벨기어(210)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 베벨기어(210)는 상기 고정 베벨기어(200)에 기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시 파이프(132)의 내측에 상기 고정 베벨기어(200)와 상기 회전 베벨기어(21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은 상기 부시 파이프(13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 베벨기어(200)와 상기 회전 베벨기어(210)가 배치된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베어링(134)이 적어도 한쪽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 샤프트(205)와 상기 부시 파이프(132)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215)는 상기 트레일링 암(110)에 베어링 부재(도면부호 미표시)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215)의 후단부에는 피니언 기어(245)가 결합된다.
상기 토션 빔(100)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와 상기 이너 파이프(234)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외측 단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245)와 결합되는 랙기어(240)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외측 단부는 상기 고정부재(260)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260)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를 상기 트레일링 암(1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60)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일단부는 서로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길이방향으로 왕복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60)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제1 스플라인(250)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타단부에는 상기 이너 파이프(234)가 삽입되는 삽입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234)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는 서로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이너 파이프(234)를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길이방향으로 왕복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에 삽입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제2 스플라인(25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 파이프(234)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에서 인출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와 이너 파이프(234) 사이에는 돌기와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와 스토퍼의 결합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샤프트(215)는 제1 회전 샤프트(215a)와 제2 회전 샤프트(215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215a)와 상기 제2 회전 샤프트(215b)는 플랙시블 커플러(220)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플랙시블 커플러(220)는 상기 제1,2회전 샤프트(215a, 215b) 사이의 진동소음을 차단하여 회전력을 부드럽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승객이나 짐에 의해서 차체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트레일링 암(110)은 선단부의 부시 파이프(132)를 기준으로 후단이 상승한다. 그래서, 상기 고정 베벨기어(200)에 의해서 상기 회전 베벨기어(210)가 회전한다.
상기 회전 베벨기어(210)에 의해서 상기 회전 샤프트(21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45)가 상기 랙기어(240)를 우측(차체의 내측)으로 밀어내서 상기 토션 빔(100)의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우측(차체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외측 단부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내측 단부 안으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토션 빔(100) 전체 길이에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점유하는 길이비율이 증가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234)가 점유하는 길이비율이 감소하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비틀림 강성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토션 빔(100)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차체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토션 빔(100)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증가되어,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어 전복 사고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차체의 하중이 감소하면, 상기 트레일링 암(110)의 후단이 상기 부시 파이프(13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하강한다. 그래서, 상기 회전 샤프트(215)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45)가 상기 랙기어(240)를 좌측(차체 외측)으로 당겨서 상기 토션 빔(100)의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좌측(차체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외측 단부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내측 단부에서 인출된다.
즉, 상기 토션 빔(100) 전체 길이에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가 점유하는 길이비율이 감소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234)가 점유하는 길이비율이 증가하다. 따라서,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비틀림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토션 빔(100)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차체의 하중이 감소하면, 상기 토션 빔(100)의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가 감소되어,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비틀림 강성은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비틀림 강성보다 크게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구조에서 두께가 동일한 조건에서, 외경이 크면, 비틀림 강도는 증가하고, 외경이 작으면, 비틀림 강도는 감소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일링 암(110)은 휠에 대응하여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도 상기 트레일링 암(110)에 대응하여,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 사이에 상기 이너 파이프(234)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외측 단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내측 단부에 삽입되고, 서로 스플라인 결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도가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도보다 큰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사양에 따라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도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도는 작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Ⅳ-Ⅳ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 파이프(234)의 외주면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내주면은 서로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는 상기 이너 파이프(234)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비틀림 강성은 스플라인을 통해서 상기 이너 파이프(234)로 전달된다.
도 5는 도 2의 Ⅴ-Ⅴ라인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60)의 내주면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외주면은 서로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는 상기 고정부재(260)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링 암(110)의 상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60)는 스플라인 결합구조를 통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로 비틀림 강성을 온전히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차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파이프(23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랙기어(240)가 차체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플라인(250)은 차체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랙기어의 위치와 상기 제1 스플라인의 위치는 관련된 구성요소와 함께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토션 빔 130: 부시
132: 부시 파이프 134: 베어링
205: 고정 샤프트 110: 트레일링 암
120: 장착 브라켓 122: 체결면
200: 고정 베벨기어 210: 회전 베벨기어
215a: 제1 회전 샤프트 215b: 제2 회전 샤프트
215: 회전 샤프트 220: 커플러
232: 아우터 파이프 234: 이너 파이프
245: 피니언 기어 240: 랙기어
250: 제1 스플라인 252: 제2 스플라인
260: 고정부재
132: 부시 파이프 134: 베어링
205: 고정 샤프트 110: 트레일링 암
120: 장착 브라켓 122: 체결면
200: 고정 베벨기어 210: 회전 베벨기어
215a: 제1 회전 샤프트 215b: 제2 회전 샤프트
215: 회전 샤프트 220: 커플러
232: 아우터 파이프 234: 이너 파이프
245: 피니언 기어 240: 랙기어
250: 제1 스플라인 252: 제2 스플라인
260: 고정부재
Claims (12)
- 선단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 및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의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토션 빔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빔은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 측에 체결되는 아우터 파이프;
일단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 단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토션 빔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트레일링 암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의 양단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 단에 각각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암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을 상기 트레일링 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스플라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의 일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부에서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타측 외주면에는 고정 베벨기어가 고정되는 고정 샤프트; 및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회전 베벨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회전 베벨기어가 장착된 제1 회전 샤프트;
상기 피니언 기어가 장착된 제2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로 전달하는 플랙시블 커플러를 포함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에 고정되는 부시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는 상기 부시 파이프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부시 파이프와 상기 고정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시 파이프가 상기 고정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를 더 포함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삭제
- 차체의 양측에 각 선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 및
각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에 체결되고, 상기 차체의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토션 빔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빔은
각 외측 단이 상기 트레일링 암 측에 각각 체결되는 아우터 파이프;
양단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각 내측 단에 삽입되고, 이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비틀림 강성보다 크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측 단의 일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 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키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암의 선단에 고정되는 부시 파이프의 중심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고정 베벨기어가 고정되는 고정 샤프트; 및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회전 베벨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트레일링 암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837A KR102371251B1 (ko) | 2017-07-25 | 2017-07-25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837A KR102371251B1 (ko) | 2017-07-25 | 2017-07-25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381A KR20190011381A (ko) | 2019-02-07 |
KR102371251B1 true KR102371251B1 (ko) | 2022-03-04 |
Family
ID=6536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837A KR102371251B1 (ko) | 2017-07-25 | 2017-07-25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125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6500A (ja) | 2004-07-21 | 2006-03-02 | Nissan Motor Co Ltd | 車輪懸架装置 |
JP2010115962A (ja) * | 2008-11-11 | 2010-05-27 | Jtekt Corp | 可変剛性スタビライザ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6905U (ja) * | 1992-10-22 | 1994-05-17 | 株式会社ヨロズ |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車両懸架装置 |
KR20040001664A (ko) * | 2002-06-28 | 2004-0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후륜현가장치의 가변형 토션바 |
KR101575375B1 (ko) * | 2010-11-10 | 2015-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사륜구동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
KR102224004B1 (ko) | 2015-12-02 | 2021-03-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지오메트리 가변 능동 현가장치 |
-
2017
- 2017-07-25 KR KR1020170093837A patent/KR1023712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6500A (ja) | 2004-07-21 | 2006-03-02 | Nissan Motor Co Ltd | 車輪懸架装置 |
JP2010115962A (ja) * | 2008-11-11 | 2010-05-27 | Jtekt Corp | 可変剛性スタビライザ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381A (ko) | 2019-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64153B2 (en) | Automotive rear suspension subassembly | |
US8616569B2 (en) | Arrangement of a stabilizer on a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 |
CN105073454B (zh) | 用于机动车的轮悬架 | |
CA2920158C (en) | Tilt steering apparatus | |
KR20070050371A (ko) | 인휠 드라이브 유닛의 서스펜션 장치 | |
US9132713B1 (en) | Suspension of vehicle | |
CN105873776B (zh) | 差速器组件和方法 | |
JP2015137076A (ja) | 車両用軸支部構造及び車両 | |
KR102371251B1 (ko)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
CN108974126A (zh) | 用于机动车辆的后桥的副车架 | |
US8136824B2 (en) | Suspension assemblies with bump steer control | |
KR20080013491A (ko) | 차량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위치 자동조절장치 | |
JP6035047B2 (ja) | 車両用ブッシュ構造及び車両 | |
CN105102246A (zh) | 用于将后桥耦连在机动车的车辆结构上的车桥导向轴承 | |
KR20230060000A (ko) | 독립 코너모듈 | |
JP2014015063A (ja) | 車両懸架装置 | |
JP6564782B2 (ja) | 改善した連結器を有する連結可能な自動車 | |
KR101955409B1 (ko) | 카트용 코너링 전복 방지 의자 시스템 | |
KR102681386B1 (ko) | 차량의 언더스티어 유도장치 | |
KR20070030526A (ko) |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 |
KR101219564B1 (ko) | 바퀴의 정렬을 변경할 수 있는 서스펜션 너클 | |
JP4665484B2 (ja) | 支持台の取付け構造 | |
JP2008189264A (ja) | デファレンシャル懸架構造 | |
KR102346462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JP6877937B2 (ja) | 車両の操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