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03B1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0303B1 KR102370303B1 KR1020207022728A KR20207022728A KR102370303B1 KR 102370303 B1 KR102370303 B1 KR 102370303B1 KR 1020207022728 A KR1020207022728 A KR 1020207022728A KR 20207022728 A KR20207022728 A KR 20207022728A KR 102370303 B1 KR102370303 B1 KR 102370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ic film
- film composition
- composition
- mold
- footwea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82 thermal 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7 bo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42 quality metric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6—Footwear with soles moulded on to uppers or welded on to uppers without adhesive
- A43B9/18—Footwear with soles moulded on to uppers or welded on to uppers without adhesive moul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comprising means, e.g. hooks, for holding, fixing or centering shoe parts on the l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29C33/1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using magnet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14—Porous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0—Producing footwear having preformed soles or heels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feeding or injecting plastics material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6—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29C33/1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밑창이 직접 부착되는 갑피를 구비한다. 밑창은 밑창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필름을 구비하며, 필름의 가장자리가 측벽과 갑피의 연결부의 이전에 위치한다.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은 주형 공동의 위에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필름을 주형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은 가열된 다음 진공 하에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다. 필름은 주형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라이너가 형성된 주형 공동 내로 발포체 조성물이 주입된다. 발포체 조성물이 팽창함에 따라, 발포체 조성물이 주형 공동에 위치한 갑피와 상호 작용하여 기계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밑창이 갑피에 직접 부착되도록 하는 기계적 맞물림을 허용한다. 이후, 필름이 밑창 측벽으로부터 트리밍 처리된다.
Description
직접 부착형 밑창을 구비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밑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갑피 및 밑창은 각각 형성된 후에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공정은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설정 및 정렬 단계를 포함하며, 구성 요소는 이후 접착제와 같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접합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밑창과 직접 부착되는 갑피를 구비한 신발류 물품이 고려된다. 밑창은 밑창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필름을 구비하며, 필름의 가장자리가 측벽과 갑피의 연결부의 이전에 위치한다.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은 주형 공동의 위에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필름을 주형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은 가열된 다음 진공 하에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다. 필름은 주형 공동의 라이너(liner)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라이너가 형성된 주형 공동 내로 발포체 조성물이 주입된다. 발포체 조성물이 팽창함에 따라, 발포체 조성물이 주형 공동에 위치한 갑피와 상호 작용하여 기계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밑창이 갑피에 직접 부착되도록 하는 기계적 맞물림을 허용한다. 이후, 필름이 필름 가장자리에서 밑창 측벽으로부터 트리밍 처리된다.
본 요약은 이하에 제공되는 방법 및 시스템의 범위를 완벽히 상세하게 밝히면서 그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내부에 겉창이 위치한 도 5의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1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7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1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2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9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2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3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11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3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4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a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13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4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자기 링의 대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을 가열하는 히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필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골성형된 갑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6의 주형에 위치한 도 17의 골성형된 갑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을 위해 주입되는 폐쇄 구성의 도 18의 갑피 및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의 일부가 트리밍 처리될 도 19에서 생성된 신발류 물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트리밍 작업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갑피에 직접 바닥을 형성하기 전에 주형 공동 내로 삽입물을 삽입하기 위한 대안의 선택적인 공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및
도 2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내부에 겉창이 위치한 도 5의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1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7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1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2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9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2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3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11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3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4 대안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a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도 13의 주형에 고정된 필름의 제 4 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후, 자기 링의 대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을 가열하는 히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필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골성형된 갑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6의 주형에 위치한 도 17의 골성형된 갑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을 위해 주입되는 폐쇄 구성의 도 18의 갑피 및 주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필름의 일부가 트리밍 처리될 도 19에서 생성된 신발류 물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트리밍 작업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갑피에 직접 바닥을 형성하기 전에 주형 공동 내로 삽입물을 삽입하기 위한 대안의 선택적인 공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및
도 2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은 신발류(예를 들어, 신발, 미끄럼 방지용 신발, 샌들, 슬리퍼, 및 부츠)가 형성되도록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다양한 공정을 포함한다. 제조 시간, 제조 비용, 및 잠재적 결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단계의 제거 또는 통합이 요구된다. 운동화와 같은 통상적인 신발의 제조는 신발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는 신발 부분인 신발류 갑피("갑피(upper)")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갑피는, 일반적으로 밑창으로 지칭되는, 신발류 바닥 유닛과 연결된다. 밑창은 겉창, 중창, 및/또는 안창과 같은 구성 요소 및/또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밑창의 제조와 관련하여 임의의 조합의 재료/구성 요소가 형성 및 제조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신발 제조 기술은 형성된 갑피와 형성된 밑창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단계는 갑피와 밑창의 연결될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갑피와 밑창을 위치시켜 이들 구성 요소를 신발류 물품으로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갑피와 밑창을 연결하는 단계로 인해 시간, 비용, 및 결함 가능성을 추가하는 제조 공정이 도입된다. 예를 들어, 접착제가 연결될 영역을 초과하여(예를 들어, 갑피의 바이트라인(biteline)을 초과하여) 연장되는 경우, 접착제가 보일 수도 있어 신발의 미적 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밑창과 갑피가 연결 동안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아 결함이 있는 신발을 유발할 수도 있다. 추가로, 연결 공정으로 인해 완성품의 성능 및 감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재료가 신발류에 도입된다. 또한, 접착제 또는 접합 재료는 신발의 계획 및 생산을 위한 재료 비용 및 추가적인 제조 재고가 추가되도록 한다.
그 결과, 직접적인 바닥 형성(또는 직접 부착이라고도 함)의 개념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목적에 맞는 직접적인 바닥 형성은 갑피가 존재하는 상태로 밑창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발포 중간창)를 형성함으로써 밑창이 갑피와 연결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PU")이 주형 공동 내로 주입되는 성형 작업이 수행되며, 갑피의 발바닥 부분(예를 들어, 발 부분 아래)이 주형 공동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발포 공정 동안 팽창함에 따라, 중합체성 조성물이 갑피의 발바닥 영역과 상호 작용하여 중합체성 발포 조성물과 갑피 재료 사이의 적어도 기계적 맞물림을 형성한다.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경화됨에 따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과 갑피 사이의 물리적 맞물림에 의해 신발류 물품으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접합 강도로 이들 두 개의 구성 요소를 함께 결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된다.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을 통해 재료 및/또는 제조 방법의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태에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경화됨에 따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과 갑피가 직접 접합되어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갑피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밑창이 성형됨에 따라, 밑창과 갑피의 정렬, 크기, 및 끼워 맞춤이 보다 잘 보장된다.
그러나, 신발류 물품의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은, 통상적인 제조 공정과 비교하여, 신발류를 형성하기 위한 처리 단계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밑창이 갑피와 연결될 때까지는 완전히 형성된 것이 아니므로, 갑피의 존재 하에서 밑창의 개량 및 처리가 이루어진다. 직접 부착형 밑창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주형과 같은 공구가 밑창에 공구 자국을 생성할 수도 있다. 공구 자국은 밑창의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의도하지 않은 특징이다. 공구 자국은 공구 처리 부분의 교차점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내측 링이 외측 링과 교차하여 공구 처리 부분의 접합부에 라인 또는 다른 특징을 초래한다). 공구 자국을 줄이거나 공구 자국의 존재 자체를 방지하기 위해 공구 자국이 버핑(buffing), 절단, 연마, 및 기타 작업을 통해 해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직접 바닥 형성 방식의 제조에서는, 밑창의 개량 단계가 갑피의 존재 하에 수행되므로, 갑피가 손상 또는 다른 결함 발생 기회에 노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의도하지 않게 공구에 의해 유발되는 특징을 제한하며, 순차적인 제조 공정의 맞춤화를 허용하며, 재료를 줄이며, 제조 공정을 배제시키는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을 통해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100)이 도시되어 있다. 신발류 물품(100)에는, 내측면(106; medial side), 외측면(108; lateral side), 발가락 단부(110), 뒤꿈치 단부(112), 그리고 내측면(106), 외측면(108), 발가락 단부(110), 및 뒤꿈치 단부(11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바닥 영역(114)을 포함하는, 갑피(102)가 형성되어 있다. 신발류 물품은 또한, 내측면(116); 외측면(118); 발가락 단부(120); 뒤꿈치 단부(122); 내측면(116), 외측면(118), 발가락 단부(120), 및 뒤꿈치 단부(12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 대면 표면(123)과, 이 갑피 대면 표면(123)과는 반대쪽의 지면 대면 표면(124)과, 내측면(116)을 따라 지면 대면 표면(124)과 갑피 대면 표면(123)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측벽(126; medial sidewall)과, 외측면(118)을 따라 지면 대면 표면(124)과 갑피 대면 표면(123)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측벽(128; lateral sidewall)을 구비한 밑창(104)을 포함한다. 밑창(104)은 갑피 대면 표면(123)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갑피의 발바닥 영역(114)과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포함한다. 밑창은 또한,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에서 지면 대면 표면(124)으로부터 갑피(102)를 향해 내측 측벽(12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에서 지면 대면 표면(124)으로부터 갑피(102)를 향해 외측 측벽(128)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 구성된다. 내측 측벽(126)의 갑피 대면 표면(123)과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의 사이의 적어도 1 mm가 내측 노출 부분(135)을 형성하며, 외측 측벽(128)의 갑피 대면 표면(123)과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의 적어도 1 mm가 외측 노출 부분(137)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또한, 겉창(138)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제공될 바와 같이, 밑창(104)은 밑창(104)을 형성하는 공정 동안 갑피(102)에 직접 부착되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로 형성된다. 밑창(104)은 또한, 측벽(들)의 부분들을 따라 밑창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포함한다. 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착색, 질감, 및 그래픽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상이한 시각적 특성 및 다른 마감재를 신발류 물품(100)에 제공하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가수 분해 및 자외선의 영향으로부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제조 공구(예를 들어, 도 3의 주형(200))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사이의 라이너로서의 역할을 함에 따라 공구에 의해 형성되는 의도하지 않은 공구 자국 특징을 감소시킨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의해 형성되는 라이너는 공구 처리 부분들 사이의 전이부에 효과적이다. 라이너가 없을 경우에는 이러한 전이부에 이후 가공을 통해 제거되어야 하는 공구 자국 특징이 생성된다.
내측 노출 부분(135) 및 외측 노출 부분(137)과 같은 노출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양태에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노출 영역은 신발류 물품(100)의 외부 표면 상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필름 가장자리에서, 예를 들어,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 및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에서 종결됨으로써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종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노출 영역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대해 트리밍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이하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됨). 필름 가장자리와 갑피의 사이의 적어도 1 mm의 노출 영역이 없으면, 절단 공구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로부터 과다한 양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로 올바르게 접근하여 깨끗하게 절단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노출 영역은 신발류 물품의 설계 유연성을 위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갑피(102)의 사이에 노출 영역을 마련함에 따라 재료, 질감, 색상, 반사율, 그래픽 등과 같은 시각적 특성에 차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영역을 포함시킨 결과, 신발류를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노출 영역은 전체 신발류 물품의 주위에서 연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내측 및 외측과 같은 일부 부분을 따라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노출 부분이 일정한 밴드(band) 두께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노출 부분이 가변 밴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은 임의의 중합체성 조성물일 수도 있다. 발포체는 기체 공극과 같은 공극 및 중합체성 조성물의 개방형 셀(cell) 또는 폐쇄형 셀 구조를 갖는 기포성(cellular) 구조체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우레탄("PU") 조성물이다. PU는 경화 공정 동안 화학적으로 발포되거나 기계적으로 발포되어 중합체성 발포 조성물을 초래할 수도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착색제 및 다른 첨가제와 같은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PU 조성물이 구체적으로 열거되긴 하지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저밀도 폴리에틸렌, 니트릴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실리콘 등과 같은 다른 중합체성 조성물이 고려된다. 그러나,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의 경화 위상 동안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사이의 접합 친화력에 의해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충분한 접합 친화력을 갖는 재료의 예시적인 조합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로서의 PU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임의의 중합체성 조성물일 수도 있다. 필름은 약 50 미크론 내지 약 600 미크론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중합체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얇은 층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하 논의되는 바와 같이, 주형 공동에 삽입되기 전에(또는 그 이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약 100 미크론 내지 약 400 미크론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범위 내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신발류 물품의 외부 표면으로서 작용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하며, 제조 동안 주형 공동의 라이너로서 형성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가지며, 불규칙한 공구 처리 부분을 가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두껍다. 불규칙한 공구 처리 부분을 가리지 않으면, 예를 들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에 의도하지 않은 공구 자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두께 범위가 고려되며, 두께 범위는 선택되는 중합체성 조성물에 따라 변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TPU 조성물이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100 미크론 내지 300 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TPU 조성물이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진공 하에 주형 공동에서 라이너로서 형성될 수 있는 비다공성 필름이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다양한 시각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시각적 특성에는 재료, 광택, 착색, 반사율, 질감, 그래픽 표현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연속적인 제조 공정 동안 하나의 신발에서 다음 신발로 변경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생산 운전 동안, 제조 메커니즘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갖는 신발이 공통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다. 대신에, 제조 공정 동안 상이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편리성과 유연성으로 인해, 맞춤형 제조 옵션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원래의 장비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발은 제 1 시각적 특성을 갖는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생산 중단 없이 생산될 후속 신발은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갖는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갑피(102)는 동물계 섬유(예를 들어, 양모, 모발, 실크), 식물계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와 같은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102)는 발바닥 영역(114)에서 하나 이상의 섬유를 갖는 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발바닥 영역(114)의 섬유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상호 작용할 수도 있으며 기계적으로 접합될 수도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갑피(102)는 직접적인 바닥 형성용으로 처리 가능한 표면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실,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편물, 직조물, 편조물, 부직포 등의 직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적어도 발바닥 영역(114)의 갑피(102)는 아직 경화되지 않은 중합체성 조성물(예를 들어, 다공성 구조체의 주위로 및/또는 다공성 구조체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유사 특성의 중합체성 조성물)이 직물을 형성하는 섬유상 요소의 일부를 침투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단 캡슐화되면, 중합체성 조성물은 캡슐화된 섬유상 요소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갑피(102)와 기계적 접합부를 형성하는 고체 또는 보다 탄성의 상태로 경화된다(예를 들어, 발포 중합체성 조성물로서 경화된다). 또한, 중합체성 조성물이 발포된 중합체성 조성물 상태로 경화됨에 따라 화학적 접합부가 중합체성 조성물 및 갑피에 의해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발바닥 영역(11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PU 및/또는 TPU 조성물을 갖는 갑피(예를 들어, 적어도 발바닥 영역(114)에 TPU 및/또는 PU 실이 일체로 편직되어 있는 편물 갑피) 및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같은 화학적 결합에 대한 친화력을 갖는 조성물이 PU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화학적 접합부가 고려된다. 이러한 예에서, 갑피 및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다양한 조성물의 기계적 맞물림 및/또는 화학적 맞물림을 통해 직접적인 바닥 접합부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사이에 화학적 접합부가 형성되어 두 개의 조성물을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박리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화학적 접합 친화력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이 고려된다. 충분한 박리 저항성을 갖는 재료 조성물의 예시적인 조합은 PU 조성물로서의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및 TPU 조성물로서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포함한다. 다른 조성물이 고려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0)이 운동화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유형의 신발류 물품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양태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하, 밑창(104) 및 상이한 위치에서의 밑창(104)의 조성물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구체적으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지면 대면 표면(124)으로부터 갑피(102)를 향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도 1 내지 도 3에 제공된 특정 구성의 경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지면 대면 표면(124)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내측 측벽(126) 및 외측 측벽(128)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단 없이 형성되면서 지면 대면 표면의 외부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필름 재료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필름 가장자리(예를 들어,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 및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로부터 아래쪽으로 밑창(104)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일부 양태에서, 겉창(138)이 밑창(104)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지면 접촉 영역에서 신발류 물품(10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위쪽(superior)" "아래쪽(inferior)", "가까운(proximal)", "먼(distal)", "내측(medial)", "외측(lateral)" 등과 같은 해부학적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가 제자리 및 서 있는 자세에서의 통상적인 사용자 착용 구성의 신발류 물품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아래쪽 방향은 통상적인 지면 접촉 표면을 향해 연장되며, 위쪽 방향은 착용 구성에서 착용자에게 더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측 노출 부분(135) 및 외측 노출 부분(137)과 같은 밑창(104)의 노출 영역은 밑창(104)과 상호 작용하는 갑피(102)와 필름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1 mm의 밴드이다. 서두에 제공된 바와 같이, 노출 영역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갑피(102)의 간섭이 감소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트리밍 작업의 용이성, 갑피(102), 노출 영역,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 사이의 시각적 특성 변화에 따른 설계 유연성과 같은 이점이 제공된다. 노출 영역은 갑피(102)와 임의의 길이의 필름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양태에서, 노출 영역의 길이는 적어도 1 mm이다. 추가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길이는 1 mm 이상 10 mm 미만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노출 영역의 길이는 약 2 mm 내지 약 4 mm이다. 갑피와 필름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공된 바와 같은 노출 영역의 길이 범위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의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의 충분한 차폐율(coverage) 및 보호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트리밍 작업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영역을 제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갑피(102), 밑창(104), 및 겉창(138)이 도시되어 있다. 밑창(104)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 형성된다. 밑창(10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내측에서 외측까지 나타낸 단면도를 보면, 지면 대면 표면(124)에서의 제 1 거리(144)가 갑피 대면 표면(123)에서의 제 2 거리(146)보다 길다. 제 1 거리(144) 및 제 2 거리(146)는 내측면(116)으로부터 외측면(118)까지 측정된 거리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이너가 없는 구성에 비해 주형 공동으로부터의 밑창(104)의 더 용이한 해제를 위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에 대해 라이너로서 작용한 결과,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밑창(104)의 지면 대면 표면(124)을 형성하도록 발밑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로서 발포될 중합체성 조성물이 주형 공동에 수용되기 전에, 주형 공동용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발밑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제공된 양태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주형 공동을 통해 그리고 특정 예에서는, 지면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주형 공동의 바닥 판을 통해 인가출되는 진공 압력을 사용하여 라이너로서 형성된다. 진공 하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주형 공동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는 압력차(예를 들어, 주형 공동과 필름의 사이에 진공 하에 생성되는 더 낮은 압력과 대기압 하의 필름의 반대쪽 표면 상의 비교적 높은 압력의 차이)를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주형 공동 위에서 연장되며 주형 공동 내로 아래로 끌어당겨지는 연속적인 필름이다. 따라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측벽으로부터 지면 대면 표면(124)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은 지면 대면 표면(124) 및 측벽 상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부터 갑피(102)와의 기계적 맞물림 위치에 있는 갑피 대면 표면(123)까지 연속적인 발포체 조성물로서 연장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하나 이상의 삽입물(insert)이 밑창(104) 내에 캡슐화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삽입되기 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라이너로서 갖는 주형 공동에 삽입물(예를 들어, 에어백, 안정화 요소, 지지 요소, 발포체 요소)이 위치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주형에 갑피(102)가 위치되기 전에, 주형 공동의 내부에 삽입물이 위치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갑피(102)가 주형에 위치될 때 삽입물을 주형 공동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삽입물이 발바닥 영역(114)과 같은 갑피(102) 상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삽입물의 초기 위치 설정과 관계 없이, 이러한 캡슐화된 삽입물은 밑창(104)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밑창(104)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되며, 밑창(104)의 특정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적 특성(예를 들어, 충격 감쇠, 탄성, 지지)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발류 물품(100)은 외측면(108), 내측면(106), 및 발바닥 영역(114)을 포함하는 갑피(102)를 보여준다. 발바닥 영역(114)에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갑피(102)와 기계적으로 맞물린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면도에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의 적어도 일부가 기계적 접합부를 형성하는 발바닥 영역(114)을 형성하는 재료 내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이 일부 양태에서 고려된다. 밑창(104)은 외측 노출 부분(137) 및 내측 노출 부분(135)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출 부분은 갑피(102)와 각각의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 및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필름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계속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내측 측벽(126) 및 외측 측벽(128)과 같은 측벽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지면 대면 표면(124)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진공 압력에 의해 주형 공동 내로 라이너로서 끌어당겨질 수 있는 연속적이며 비교적 비다공성인 재료이다. 겉창(138)은 지면 대면 표면(124)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면 대면 표면(124)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거리(144)가 제공된다. 갑피 대면 표면(123)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2 거리(146)가 제공된다. 내측 측벽(126) 및 외측 측벽(128)이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즉, 지면 대면 표면(124)으로부터 갑피 대면 표면(123)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각도로 형성됨에 따라 제 1 거리(144)가 제 2 거리(146)보다 길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트리밍 처리 하기 이전의 신발류 물품(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갑피(102),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 및 겉창(138)이 도시되어 있다. 밑창(104)은, 이러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 구성된다. 겉창(138)이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겉창은 일부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선택적이다. 일부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지면 접촉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필름과 일체화된 또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이용한 성형 작업 동안 필름으로서 형성된 견인(traction) 요소(예를 들어, 러그(lug), 트레드(tread))를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트리밍 작업 후,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 및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와 같은, 필름 가장자리를 형성할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트리밍 처리 부분(133)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겉창은 복수의 겉창 구멍(14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겉창 구멍(140)은 바닥 판으로부터 주형 공동으로 진공을 전달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 내로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질 수도 있는 도관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겉창(138)은 겉창(138)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 내로 균일하면서도 완전하게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신발류 물품(100)을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특정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에 제공되어 있긴 하지만, 이것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이다. 대신에, 임의의 크기, 형상, 구성, 및 스타일이 이들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및 특징과 관련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갑피(102) 및/또는 밑창(104)은 임의의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겉창(138)은 다양한 양태에서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삽입물이 직접적인 바닥 형성 신발류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삽입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삽입물이 겉창과 필름 층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삽입물이 필름 층과 발포체 재료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삽입물이 발포체 재료와 갑피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삽입물이 다양한 위치 및 상대적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양말 라이너, 안창, 또는 신발류 물품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다른 구성 요소와 같은 추가의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립을 돕기 위해 신발류 물품(100)의 임의의 구성 요소와 관련하여 프라이머(primer),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보충제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시된 주형(200)을 구비한 예시적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주형(200)은 내부 링(204)(이하, "내부 링 주형"이라고도 함), 외부 링(206)(이하, "외부 링 주형"이라고도 함), 및 바닥 판(208)으로 구성된다. 내부 링 및 외부 링과 같은 특정 구성이 도면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대안의 공구 및 구성이 대신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시스템은 또한, 진공 공급원(230)을 포함한다. 진공 공급원(230)은 부압의 상대적인 주변 조건과 같은 진공을 발생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진공 공급원(230)은 팬(fan), 임펠러(impeller), 코안다(coanda), 벤투리(venturi)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공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진공 공급원(230)은, 예를 들어, 튜브를 통해 바닥 판(208)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진공 공급원과 바닥 판(208)의 사이의 작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바닥주형 공동용 성형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 판 상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바닥 판 진공 포트(222)에서 바닥 판(208)을 통해 진공이 인가될 수 있다. 바닥 판 진공 포트(222)는 주형 공동(202)을 통해 진공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며 주형 공동(202)의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선택적 구성에서, 그리고 이하 도 11 및 도 1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공급원(230)(또는 별도의 진공 공급원)은, 필름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지기 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주형(20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진공 공급원(230)은 내부 링 진공 포트(224)에서 진공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링(204)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의 시스템은 또한, 열 공급원(228)을 포함한다. 열 공급원(228)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진공에 의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돕기 위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열하는 데 효과적이다. 열 공급원(228)은 복사 방식의 열 공급원과 같은 임의의 열 공급원일 수도 있다. 열 공급원(228)은 전기 저항 요소, 적외선(예를 들어, 근적외선 및/또는 원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공급원(228)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온도를 주변 온도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열 에너지를 갖는 섬광(flash)을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인가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조성물의 온도는 주변 온도보다 높지만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까지 상승된다. 온도 증가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주형 공동(202)에 맞춰 형태가 순응될 수 있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끌어당겨지면서 더 용이하게 형태가 맞춰짐에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주름 및 다른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표면의 특징부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열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주형 공동(202)을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진공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 공동(202) 내로 진공 하에 끌어당기는 동안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 및 기술이 고려된다.
도 4의 시스템에는 또한 로봇 암(236)이 도시되어 있다. 로봇 암(236)은 임의의 운반 메커니즘(예를 들어, 다축 로봇, X-Y 평면 이동 갠트리(gantry))을 나타낸다. 로봇 암은 도 4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공구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조작하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로봇 암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필름 공급원(238)으로부터 주형(200) 상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위치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로봇 암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고정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이동시킨 후,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지도록 주형(200)에 위치시키기 위한 집게발, 진공 픽업(pickup) 공구, 접착 공구, 후크,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개작될 수도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로봇 암(236)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열하기 위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열 공급원(228)을 위치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또는 그 변형)은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을 위해 갑피(102)를 주형(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필름 공급원(238)은 다양한 특성을 갖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같은 필름의 재고품일 수도 있다. 다양한 특성에는 색상, 질감, 반사율 등과 같은 다양한 시각적 특성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필름 공급원(238)은 또한, 상이한 물리적 속성을 갖는 필름의 재고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물리적 속성에는 상이한 조성물, 상이한 두께, 상이한 크기가 있다. 예를 들어, 필름 공급원(238)은 제조되는 신발류의 크기 또는 스타일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료 공급원(234)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의 공급원이다. 재료 공급원(234)은 주입기(232)에 의해 주형 공동(202) 내로 주입됨에 따라 혼합되어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조성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재료 공급원(234)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형성하는 상이한 요소용의 별도의 공급원과 같은 복수의 공급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비전 시스템(256)이 도 4의 시스템과 함께 제공된다. 비전 시스템(256)은 주형 및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이미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예를 들어, 동영상)를 촬영하는 데 효과적이다. 비전 시스템(256)은 공구에 대해 상대적인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 상대적인 구성 요소의 배치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전 시스템(256)은 로봇 암(236)에 의해 수행되는 픽-앤-플레이스(pick and place) 작업을 돕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또한, 비전 시스템(256)은 공구를 확인하며 따라서 적절한 공정 및/또는 공정의 구성 요소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추가로, 비전 시스템(256)은 품질 메트릭스(metrics)를 평가하며 판정 결과로서 공정 파라미터 또는 공정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주형(200)을 참조하면, 주형 공동(202)에는 다양한 공동 표면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제 1 주형 표면(210)이 바닥 판(208)의 상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주형 표면(212)이 성형 표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부 링(204)의 내측 측벽(214) 및 외부 링(206)의 내측 측벽(216)이 제 2 주형 표면(2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이한 공구 구성에서는, 제 2 주형 표면이 공구의 측벽을 형성하는 공구 부분으로 형성된다. 외측 상에서는, 내부 링(204)의 외측 측벽(218) 및 외부 링(206)의 외측 측벽(220)이 주형(200)의 측벽 성형 표면을 형성한다. 내부 링(204)은 상부 표면(226)으로 구성된다. 상부 표면(226)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주형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지지하는 표면이다. 상부 표면(22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내부 링 진공 포트(224)의 위치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양태에서, 내부 링 상부 표면(226)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기기 전에 압축 끼워맞춤을 통해 주형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고정하기 위해, 내부 링 상부 표면(226)에 형성된 립(lip) 주위에 압축 링(246)을 위치시키기 위한 표면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링 상부 표면(226)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름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 고정부용의 고정 위치를 제공한다.
제조될 신발류 물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바닥 판(208)을 아래쪽 방향 및 위쪽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바닥 판 액추에이터(258)가 제공된다. 바닥 판 액추에이터(258)는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등의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다. 바닥 판 액추에이터(258)는 수행되는 공정, 제조되는 물품, 및/또는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바닥 판을 상이한 수직 방향 위치에 위치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중합체성 조성물이 상이한 체적 변화를 초래하는 상이한 발포 반응을 나타내므로, 갑피(102)의 위치에 대한 바닥 판(208)의 상이한 높이가 바람직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상이한 높이가 바닥 판 액추에이터(258)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추가로, 바닥 판(208)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주입하기 전에 제 1 높이에 위치한 다음,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주입된 후 갑피(200)에 더 가까운 제 2 높이로 상승되는 것이 고려된다. 주입 후의 바닥 판(208)의 이러한 변화는 주형을 통해 재료를 공급하는 주입 경로를 청소하며 및/또는 갑피(102)가, 예를 들어, 주입 흐름과 간섭하는 일 없이 재료를 다양한 주입 압력으로 주형 공동의 길이에 걸쳐 주입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일 수 있다.
도 4의 시스템은 또한, 내측 링 액추에이터(260) 및 외측 링 액추에이터(262)와 같은 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내측 링 액추에이터(260) 및 외측 링 액추에이터(262)는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또는 이와 유사한 액추에이터와 같은 임의의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다. 링 액추에이터는 제조 공정 동안 각각의 주형 링 부분을 위치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링 액추에이터(260) 및 외측 링 액추에이터(262)는 갑피(102)의 주위에 각각의 외부 링을 고정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내측 링 액추에이터(260) 및 외측 링 액추에이터(262)가 주형의 각각의 외부 링을 이동시켜 주형 공동에 골성형된 갑피(102)의 발바닥 부분이 봉입된다. 주입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발포 동안 팽창함에 따라, 내측 링 액추에이터(260) 및 외측 링 액추에이터(262)가 외부 링을 갑피(102)와 접촉하도록 이동시킨 이후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주형 공동 내에 봉입되기 때문에, 주형(200)에 의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갑피(102)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순(net) 크기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내부 링(204) 및 선택적으로 외부 링(206)을 포함하는 주형(200)이 고려된다. 또한,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가 고려된다. 필름 고정부는 핀, 압축 링, 자기 링 또는 플레이트, 및/또는 진공 포트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링(204)이 외부 링(206)과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주형(20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되는 경우, 외부 링(206)은 내부 링(204)과 활주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외측 측벽(220) 및 내측 측벽(216)을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켜 갑피를 고정시키며 또한 신발류 측벽의 노출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 링(206)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성형 표면이 제공되며, 외부 링이 고정되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의 주입을 위해 골성형된 갑피의 주위에 시일(seal)이 형성된다. 외부 링(206)이 생략된 양태에서는, 외부 링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주형 공동 내에 위치한 갑피의 주위를 폐쇄할 수 있는 분할 내부 링과 같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골성형된 갑피의 주위를 여전히 고정 및 밀봉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다양한 필름 고정부가 이하 도 7 내지 도 14b에 상세하게 논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다음 주형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할 수 있도록 주형 공동의 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데 다양한 필름 고정 구성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필름 고정부를 포함하는 요소의 위치 변화가 고려된다.
특정 구성 요소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임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임의의 개수의 열거된 구성 요소가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 4의 구성 요소는 사실상 예시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외부 링(206), 내부 링(204), 및 바닥 판(208)이 노출된 주형(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주형(200)은, 아래의 도면에서 사실상 예시적으로 순차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접적인 바닥 처리 공정을 위해 준비된 구성을 갖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내부 링(204)의 내부에서 바닥 판(208) 상에 배치된 겉창(138)을 갖는 주형(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겉창 구멍(140)은 바닥 판 진공 포트(222)와 정렬되어, 진공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도달하여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도관을 허용한다.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제가 겉창(138)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사이의 접합을 돕도록 겉창(138)에 도포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접합제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겉창(138)에 진공 정되는 라이너로 성형되기 전에, 이 단계에서 도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공 고정은 겉창(138)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접합을 도울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져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구성에서는, 복수의 주형 고정부(250)가, 도 8의 단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필름 구멍(248)을 통해 연장된다. 주형 고정부(250)에 의한 이러한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짐에 주형(200)에 앵커(anchor) 고정된다. 이러한 앵커 고정 없이, 앵커 구성의 유형에 관계 없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의 상부 표면을 초과하여 잡아 당겨져 진공 시일이 파손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잡아 당기는 진공의 효용성을 무효화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진공에 의해 끌어당겨져 라이너를 형성한 후의 도 7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상부 표면(226)으로부터 내측 측벽(218)을 따라 바닥 판(208) 상의 겉창(138)을 가로질러 내측 측벽(214)까지 그리고 내측면 상의 내부 링 상부 표면(226)까지 연장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필름 구멍(248)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필름 구멍은 복수의 필름 구멍(248)의 사이의 미리 정해진 거리에 기초하여 주형 공동을 가로질러 일정한 장력을 보장한다. 대안으로서, 필름 구멍(248)이 주형 고정부(250)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형 고정부(250)는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을 가로질러 연장함에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초래하는 장력의 양이 재료, 크기, 스타일 등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고정 시에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필름 구멍(248) 중 일부가 미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멍은 그 개개의 주형 고정부(250)와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주형 고정부(250)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근접하게(예를 들어, 접촉하여, 가까이에) 위치하며 주형 공동의 외부(252)에 있는 주형(200)의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핀, 후크, 또는 임의의 다른 돌출부일 수도 있다. 주형 고정부(250)는 주형(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초기 공구 생성이 수행된 후에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형 고정부(250)로서 기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핀이 주형(2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내부 링(204) 및 외부 링(206)의 상호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내측 측벽(214)과 같은 내측 링 측벽으로부터 상부 표면(226)으로 돌아감에 따라, 이어서, 내측 측벽(216)의 외부 링(206)에 의해 밑창 측벽 성형 표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측벽(216)이 밑창(104) 상에 내측 노출 부분(135)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외측 측벽(220)은 밑창(104)의 외측 노출 부분(137)을 형성한다. 내부 링(204)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의해 형성된 라이너를 지지하는 주형 표면을 획정하며, 외부 링이 노출 부분의 주형 표면을 획정함으로써, 예시적인 양태에서, 필름 가장자리가 갑피(200)로부터 멀리 있는 측벽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링 측벽 표면의 치수가 밑창(104) 측벽 상의 노출 부분의 폭을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노출 부분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외부 링 측벽의 크기가 증가될 수도 있다. 반대로, 노출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외부 링 측벽의 크기가 감소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압축을 사용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에 고정되는 단순화된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 링(246)은 상부 표면(226)의 도시된 립과 같은 둘레 요소의 주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압축 링(246)은 강, 알루미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양태에서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가열을 고려하기 때문에, 압축 링(246)은 200℃를 초과하는 온도의 열적 사이클을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압축 링(246)은 200℃ 이상의 온도에 대한 내성을 가져야할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열적 사이클에 의해 압축 링(246)이 열화되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압축 링(246)은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적절한 위치에 포획 및 유지하면서 상부 표면(226)을 둘러싸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 사이클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축 링(246)의 적절한 크기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일관성 있는 고정이 보장된다.
압축 링(246)이 제공된 양태에서 둘레 주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고정부는 주형 공동의 주위에서 균일하다. 고정부에서의 균일성 결여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라이너로서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주름 또는 다른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고정되기 전에 의도한 양의 장력 또는 처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량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압축 링(246)의 배치 전에 주형 공동 내로 연장될 수도 있다. 고정되기 전에 주형 공동 내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양이 과다하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신장량이 제한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의 라이너로서 끌어당겨진 후의 도 9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 링(246)은 상부 표면(226)에서 내부 링(204) 사이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압축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측벽, 예를 들어, 외측 측벽(218)으로부터 상부 표면(226)으로 전이됨에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부터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이 형성된다.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결합되지 않으며 이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밍 처리될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부분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주형 공동의 위에서의 추가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고정 옵션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져 라이너를 형성하기 전에 진공 압력이 주형 공동(202)의 외부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인가된다. 일련의 구멍이 진공 포트(224)로서 내부 링을 통하여 연장된다. 진공 구멍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상부 표면(226)에 고정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진공 도관이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의 라이너로서 끌어당겨진 후의 도 1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의 위에 위치되며, 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상부 표면(226)에서 진공에 의해 고정력을 생성하는 진공 포트(224)를 통해 진공이 인가되는 것이 고려된다. 일단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진공 포트(224)에 의해 주형(200)에 고정되면, 바닥 판 진공 포트(222)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 공동 내로 신장시켜 잡아 당겨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진공을 인가할 수도 있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동안,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진공 포트(224)로부터의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상부 표면에 고정된다.
진공 포트는 주형 공동 둘레 주위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포트로서 위치할 수도 있다. 진공 포트(224)는 각각 1 mm, 2 mm, 3 mm, 4 mm, 5 mm, 6 mm, 7 mm, 8 mm, 9 mm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진공 포트(224)의 크기, 진공 압력의 양, 재료 특성, 및 주형 공동 크기에 따라, 진공 포트의 위치 및 간격이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진공 포트(224)는 더 긴 측벽 표면을 갖는 주형 공동의 영역에서 서로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더 긴 측벽에서의 잡아 당김의 경우 신장이 더 길게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더 강력한 고정부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발가락 영역에서보다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갑피 대면 표면까지 더 두꺼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을 갖는 뒤꿈치 영역에서, 뒤꿈치 영역 근처의 주형 공동의 둘레는, 예를 들어, 발가락 영역의 둘레에서보다 더 높은 밀도로 진공 포트(224)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진공 포트(224)를 통해 발생된 가변 진공 고정력을 고려했다. 또한 이하 도 13 및 도 14에 제공된 자기 고정 기술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가변 진공 고정력은 주형 공동 내로 라이너로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끌어당겨지는 동안 내부 링(204)을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의도적인 미끄러짐을 허용함으로써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의도하지 않은 신장이 제한되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 포트는 상이한 작업 공정에서 인가되는 진공 압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가열됨에 따라, 제 1 고정력이 진공 포트(224)에 의해 발생된다. 주형 공동 내로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진공 하의 끌어당김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고정력이 진공 포트(224)에 의해 발생된다. 제 2 고정력은 내부 링(204)을 따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미끄러짐을 허용하기 위해 제 1 고정력보다 작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시각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과도한 신장을 또한 방지하면서 주형 공동의 라이너의 형성을 허용한다. 영향을 받는 시각적 특성의 예에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 상의 그래픽 또는 텍스트 요소의 왜곡 또는 다른 변형이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는 과도한 신장에 의해 약화되거나 그 외 다른 방식으로 감소되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 상의 차원을 갖는 질감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양태는 의도하지 않은 시각적 특성 효과를 제한하기 위해 주형에 대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의 의도적인 미끄러짐을 허용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자기 링(251)과 내부 링(204)의 사이의 자기 인력을 사용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에 고정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제 4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자기 인력은 자기 링(251)에 포함된 자석(253), 내부 링(204)에 포함된 자석(255)(이하, 도 14a에 도시됨), 자화 자기 링(251), 및/또는 자화 내부 링(204)과 같은 임의의 자기력의 조합을 통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자기 인력은 전기 입력에 응답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 재료 및/또는 전자기 시스템일 수도 있다.
자기 링(251)은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링(251)은 주형 공동(202)을 획정하는 내부 링(204)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덮는 데 효과적인 링형 구조체이다. 예를 들어, 자기 링은 내부 둘레(예를 들어, 중앙 구멍)로부터 외부 둘레까지의 5 mm, 10 mm, 15 mm, 20 mm, 25 mm 이상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폭이 클수록, 상이한 크기의 주형 및 상이한 스타일의 주형용으로 자기 링(251)이 보다 보편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범용 자기 링(251)은 효율을 증가시키며 공구 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기 링(251)의 개수 변화가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양태에서, 자기 링(251)은, 예를 들어, 주형 공동(202)의 위의 중앙 영역에서 공기가 자기 링(25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져 라이너를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구멍은 압력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상부 표면 상의 대기압과 동일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이 바닥 판(208)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자기 링(251)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로질러 압력차가 형성될 수 있다.
자기 링(251)은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압축 링(246)과 유사하게, 자기 링(251)은 강, 다른 철 금속, 알루미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른 중합체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양태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가열을 고려하기 때문에, 자기 링(251)은 200℃를 초과하는 온도의 열적 사이클을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자기 인력 구성에 따라, 자기 링(251)은 철 재료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철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다른 자기 에너지 공급원이 내부 링(204)과 통합되면, 자기 링(251)이 내부 링(204)의 내부의 자기 에너지 공급원으로 끌어당겨지는 수동적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자기 링(251)이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다른 자기 에너지 공급원과 같은 자기 에너지 공급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기 에너지 공급원 및 위치에 관계 없이, 자기 링(251)과 링(204) 사이의 자기 인력을 이용하여, 주형 공동(202)의 둘레 주위에서 자기 링(251)과 링(204)의 사이에서 압축력이 발생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석(253)이 자기 링(251)의 원주 주위에 그리고 외부 둘레와 중앙 구멍의 사이의 자기 링의 폭 내부에 위치한다. 각각의 자석은 주형에 대한 다양한 위치 설정 및 표준화된 인력을 허용할 수도 있도록 자기 링(251)의 내부에서 공통의 극성 배향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자석(253)의 극성 배향이 밑에 있는 주형에 대한 자기 링(251)의 자가 정렬 특성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복수의 자석(253)과 같은 자석이 자기 링(251)의 내부에 통합되면, 임의의 개수의 자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 6개, 8개, 10개, 12개, 14개, 또는 임의의 개수의 자석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자기 링(251)에서의 자석의 위치 설정에 있어서 균일한 간격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자석(253) 사이의 균일한 간격은 둘레 주위에 균일한 압축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압축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신장되기 더 쉬운 바와 같은 특정 위치에서 더 큰 자기 압축력을 달성하기 위해 자석(253)의 불규칙적인 위치 설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에서, 자석이 자기 링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또한 고려된다. 자기 링이 철 금속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자기 에너지 공급원(예를 들어,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이 주형 자체에 있을 수도 있으며, 철 금속을 함유한 자기 링에 대한 자기 견인을 통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14a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3의 자기 링(251)을 사용한 필름 고정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양태와 유사하게,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적어도 링(204) 및 바닥 판(208)에 의해 형성된 주형 공동 내로의 진공 하의 끌어당김 동안 고정된다. 링(204)의 상부 표면(226)에서 자기 링(251)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압축한다. 압축력이 자기 인력을 통해 발생된다. 자기 인력은 링(204)의 대향하는 자석(255) 및 자기 링(251)의 자석(253)의 인력의 극성의 결과로서 발생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204) 및 자기 링(251) 중 하나 이상이 자기 에너지 공급원으로 끌어당겨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204) 및/또는 자기 링(251)은 대향하는 자기 에너지 공급원에 끌어당겨지는 철 재료(또는 다른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석(255)은 주형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예에서, 자석(255)은 상부 표면(226)에 통합된다. 자석(255)의 위치 설정은 자기 링(251)의 자석(253)의 위치 설정과 정렬될 수도 있다. 자석(255)과 자석(253)의 이러한 조화 및 정렬은 자석(255)과 자석(253)의 사이의 자기 에너지 전위의 효율적인 사용을 허용한다.
도 11 및 도 12의 진공 압력 고정 기술과 유사하게, 도 13 내지 도 15의 자기 고정 기술이 가변적인 고정으로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자기 압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기 공급원을 통해 발생되는 경우, 전자기 공급원에 의해 발생된 힘은 공정 동안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기 링(251)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열하기 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가열 공정 동안 자기 링(251)과 주형의 사이에서 제 1 압축이 발생된다. 진공 배출 공정 동안, 자기 링(251)과 주형의 사이에서 제 2 압축이 발생될 수도 있다. 제 1 압축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진공 배출 동안 신장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자기 링(251)과 주형의 사이에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 압축보다 클 수도 있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인가되는 압축력의 타이밍 및/또는 위치 설정을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불규칙적인 또는 과다한 신장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시각적 인상을 왜곡시키도록 표면 상에 그래픽 또는 다른 요소(텍스트)가 보이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있다. 다른 예로서, 차원을 갖는 질감이 마련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있다. 차원을 갖는 질감이 마련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과도한 신장은 차원을 갖는 질감을 감소시키며 왜곡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태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힘과 같은 발생된 자기력의 조정을 통해 자기 링(251)과 주형 사이의 압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예에서, 압축 조정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제한적인 신장 및 의도적인 미끄러짐을 허용한다.
자기 링(251) 기술의 예시적인 사용은 주형 공동(202)의 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자기 링(251)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위에 그리고 주형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자기 링(251)과 주형의 사이의 자기 인력에 의해, 주형과 자기 링(251)의 사이에서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압축이 초래되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지기 위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고정된다.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공동(202) 내로 끌어당겨진 후, 자기 링(251)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이어서, 갑피가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을 위해 주형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자기 링(251)의 대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b의 자기 링(251)은 강과 같은 철 금속으로 구성된다. 자기 링은 강제 시트와 같은 재료로부터 절단될 수도 있다. 자기 링은 제 1 양태에서는 1 mm 내지 4 mm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제 2 양태에서는 2 mm 내지 3 mm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철 자석 링은 링(204)과 같은 주형에서 더 많은 자기 에너지 공급원(예를 들어, 영구 자석, 전자석)으로 끌어당겨진다. 자기 에너지 공급원은 링(204)의 상부 표면에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기 링(251)이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자기 링(251)은 적어도 내부 링(204)의 상부 표면에서 주형 공동의 외부로 연장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외부 둘레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내부 링(204)의 크기 및 형상은 링(204)의 상부 표면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압축하기에 충분하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열하는 열 공급원(228)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4에 제공된 방법에 의해 주형에 고정한 후 그리고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기기 위해 진공을 인가하기 전에, 열 공급원(228)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가열할 수도 있다. 일단 가열되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진공 배출에 의해 주형 공동을 통해 신장되기 쉽다. 또한, 열 공급원(228)에 의한 가열의 결과로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주형 표면에 보다 맞춰질 수도 있어 주형 표면으로부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에 의해 포획되어 밑창(104)으로 성형되는 보다 높은 분해능의 세부 구조를 초래할 수도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주형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진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도시되어 있다. 필름 구멍(248)이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임의의 고정 기술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기술은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된다. 바닥 판을 통해 진공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아래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내측 필름 가장자리(134) 및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가 노출되어,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을 생성하기 위해 트리밍 작업이 수행될 위치를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주형 표면 사이의 허용 가능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진공이 유지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라이너로서 아래로 끌어당기도록 진공을 인가하기 시작할 때보다 낮은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진공의 인가가 중단될 수도 있다. 추가로, 진공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의 주입과 같은 후속 공정 단계를 통해 유지될 수도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일반적으로 골성형(lasting)이라고 지칭되는 단계에서 갑피(102)를 신발골(last)(240)에 적용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골(240)은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 후에 갑피(102)가 탄성적인 밑창과 맞물려짐에 따른 결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갑피(102)에 정의된 형상을 제공하는 공구이다. 본 예에서는 발바닥 영역(114)이 두드러지게 예시되어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발바닥 영역(114)은 이후의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 동안 밑창과의 맞물림 표면을 형성한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주형(200)에 대해 위치된 골성형된 갑피(102)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링(206)은 도 4에 제공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분리된다. 슬릿이 형성된 외부 링의 구성에 의하면,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의 수행을 위해 발바닥 영역을 주형 공동에 노출시키도록 의도한 바와 같이 주형(200) 내에 갑피(102)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골성형된 갑피(102)에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폐쇄 구성의 외부 링(206)이 도시되어 있다. 폐쇄 구성에 있는 상태에서, 외부 링(206)은 골성형된 갑피를 압축하여, 직접 바닥을 형성하게 될 밑창과 갑피(102)의 전이부에 시일을 형성한다. 발포되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되는 조성물을 주형 공동 내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기(232)가 주형에 위치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주입기(232)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주입한 후,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통과하여 주형 공동에 도달하는 채널을 가리도록 바닥 판이 상승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가림 작동은 주형 공동을 밀봉하여 주형(200) 및 고정된 갑피(102)에 의해 획정되는 주형 공동의 내부에 팽창하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포함되어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이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접촉한 상태로 주형 공동 내에서 경화됨에 따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기계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9의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 후의 신발류 물품(100)의 지면 접촉 표면이 도시되어 있다. 트리밍 처리되기 이전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겉창(138)의 겉창 구멍(140)을 통해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의 트리밍 작업이 도시되어 있다. 절단 공구(242)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을 절단하여 밑창으로부터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절단 공구(242)는 나이프, 열선, 레이저 등과 같은 임의의 절단 공구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절단 공구는 물품이 절단 부분을 지나쳐 이동함에 따라 트리밍 처리될 표면에 대해 배치되어 재료를 절단하는 진동 커터이다. 트리밍 처리된 부분(133)이 제거됨에 따라, 예시적인 양태에서, 절단 위치에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와 같은 필름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의 아래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이 밑창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외측 필름 가장자리(136)의 위에서 위쪽 방향으로는 외측 노출 부분(137)이 있다.
트리밍 작업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의 사이에 선명하고 명확한 전이부를 생성한다. 따라서, 재료 사이의 정확한 전이부를 제공하기 위한 페인팅 또는 인쇄 작업이 필요 없어진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갑피(102)에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삽입물(142)을 삽입하는 대안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을 주입하기 전에 주형 공동 내에 라이너로서 형성되며, 삽입물(142)이 주형 공동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는 밑창의 충격 감쇠 및 기능을 돕는 에어백이 제공되긴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위에 제공된 바와 같이, 삽입물이 다양한 재료 및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삽입물은 발의 아치, 볼 영역, 및 조합 영역과 같은 주형 공동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인 바닥 형성 공정 동안 포함될 주형 공동 내로 임의의 조합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개수의 삽입물이 삽입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삽입물(142)이 주형에 갑피(102)를 위치시키기 전에 주형 공동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대안으로서, 삽입물(142)이 갑피(102)를 구비한 주형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갑피(102)가 주형에 위치될 때 삽입물(142)이 또한 주형에 위치되도록 삽입물(142)이 갑피(102)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양태에서는, 일부 삽입물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을 주입하기 전에 주형 공동 내에 배치되는 경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의 주입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에어백 또는 발포체 성분과 같은 일부 삽입물은 주입된 발포체 조성물 상에 부유할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의 고화 전에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양태에서는, 삽입물(142)을 삽입하기 전에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을 라이닝이 형성된 주형 공동 내로 주입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삽입은 갑피(102)의 위치 설정과 통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개입 단계일 수도 있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2300)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2302)에서, 도 1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132)과 같은 필름이 도 4의 주형 공동(202)과 같은 주형 공동의 위에 위치된다. 필름의 위치 설정은 인간 조작자 또는 로봇 암과 같은 자동화 기계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설정은 단순히 배치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주형 공동을 가로질러 필름에 미리 정의된 장력 또는 처짐을 제공하는 정렬일 수도 있다. 도 7,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필름을 배치하는 예가 제공되어 있다.
블록(2304)에서, 필름이 주형 공동의 위에 고정된다. 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이 본 명세서에서 위에 적어도 도 7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블록(2306)에서, 열 에너지가 필름에 인가된다. 열 에너지는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인 고온으로 필름을 가열하는 데 효과적인 적외선 에너지 형태일 수도 있다. 상승 온도는 주형 공동 내로의 끌어당김 공정 동안 필름의 충분한 신장을 허용한다.
블록(2308)에서, 주형 공동을 통해 진공이 인가되어 필름에 의해 주형 공동의 라이너가 형성된다. 블록(2304)에서 필름이 고정되었기 때문에, 진공에 의해 필름의 대향 측면 상의 압력차로부터 필름의 변형이 야기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필름이 주형 공동 내로 끌어당겨져 주형 표면에 맞춰 형태가 순응될 수 있게 된다.
블록(2310)에서, 도 1의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130)과 같은 재료 조성물이 라이너가 형성된 주형 공동 내로 주입된다. 주형 공동이 밀폐된 환경이므로, 재료가 팽창하여 주형 표면에 형성된다. 주형 표면에 형성되는 외에, 블록(23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재료가 주형 공동에 위치한 갑피 재료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혼합된다. 재료를 주입하기 전에 갑피가 주형 공동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블록(2310) 및 블록(2312)의 순서는 다양한 양태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작동 순서, 발포체 재료, 및 갑피의 혼합 및 상호 작용에 관계 없이, 결과적으로, 갑피와 이제 생성된 밑창의 사이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일부 양태에서는, 이러한 접합이 갑피를 밑창과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시키는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이 된다. 대신에, 밑창 자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밑창과 갑피의 연결이 초래된다.
블록(2314)에서, 선행 블록에서 형성된 신발류 물품이 주형 공동으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을 주형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주형이 분할되거나 그외 다른 방식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블록(2316)에서, 노출 부분(필름으로 덮이지 않은 발포 재료의 일부)이 필름과 밑창 측벽 상의 갑피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필름이 밑창으로부터 트리밍 처리된다. 이 노출 부분은 적어도 1 mm일 수도 있다. 노출 부분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1 mm 내지 10 mm의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노출 부분이 약 2 mm 내지 6 mm의 범위일 수도 있다. 여하튼, 노출 부분은 갑피의 간섭 없이 트리밍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노출 영역은 측벽(들)을 따라 본 명세서에서 위에 논의된 기능적 이점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으면서 측벽을 따라 미학적으로 차별화된 요소를 제공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은 맞춤형 제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연속 제조 공정에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상이한 신발류 물품이 생산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 1 신발류 물품은 제 1 시각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바로 후속적으로 제조되는 신발류 물품은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다른 파라미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대안의 필름을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대안의 필름은 상이한 색상, 질감, 그래픽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바로 후속적으로 제조되는 신발류 물품에서와 상이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제 1 신발류 물품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착색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주입 시에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것은 연결될 갑피와 밑창 모두의 재고를 유지하는 통상적인 신발 제조와는 상이하다. 고려된 직접적인 바닥 형성 작업에 의해, 밑창이 연결 시에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밑창은 상이한 밑창의 재고를 유지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맞춤화될 수도 있는 시각적 특성 외에도, 밑창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삽입물을 포함함으로써 맞춤화된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과 같은 필름이 주형 및 다른 공구에 의해 형성된 공구 자국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상호 교체 가능한 주형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주형 표면으로부터 교체 가능한 구성 요소 표면으로의 전이부의 결과로서, 교체 가능한 주형 부분이 성형품에 공구 자국을 초래하여, 전이부에 선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방법에서는, 필름이 주형 표면과 교체 가능한 구성 요소 표면 사이의 표면 전이부를 정상화시킴으로써 잠재적인 공구 자국을 해결한다. 이러한 정상화 처리에 의해, 교체 가능한 부분이 일반 주형에서 교체되어 형성된 밑창을 맞춤화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구성 요소는 로고, 그래픽, 질감 등을 생성하는 양각부(예를 들어, 성형품의 포지티브 공간) 또는 음각부(예를 들어, 성형품의 네거티브 공간)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조 라인은 필름, 발포체, 주형 내의 교체 가능한 구성 요소, 및/또는 유사물의 선택을 통해 상이한 신발류 물품을 생산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항이다.
1. 내측면, 외측면, 발가락 단부, 뒤꿈치 단부,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기 외측면, 상기 발가락 단부, 및 상기 뒤꿈치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바닥 영역을 포함하는 갑피와, 내측면; 외측면; 발가락 단부; 뒤꿈치 단부; 상기 내측면, 상기 외측면, 상기 발가락 단부, 및 상기 뒤꿈치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 대면 표면과, 이 갑피 대면 표면과는 반대쪽의 지면 대면 표면과, 상기 내측면을 따라 지면 대면 표면과 갑피 대면 표면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측벽과, 상기 외측면을 따라 지면 대면 표면과 갑피 대면 표면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측벽을 포함하는 밑창을 포함하며, 상기 밑창은 갑피 대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갑피의 발바닥 영역과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및 내측 필름 가장자리에서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갑피를 향해 내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외측 필름 가장자리에서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갑피를 향해 외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포함하며, 내측 측벽의 갑피 대면 표면과 내측 필름 가장자리의 사이에 적어도 1 mm가 있으며, 외측 측벽의 갑피 대면 표면과 외측 필름 가장자리의 사이에 적어도 1mm가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과 결합되는 겉창을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이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 상의 필름 조성물과 결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과 상기 필름 조성물이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은 겉창을 관통하여 지면 대면 표면 상의 필름 조성물로 연장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삽입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측벽이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의 사이에서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갑피 대면 표면을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 내측 측벽이 외측 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에서의 내측 측벽과 외측 측벽 사이의 제 1 거리가 상기 갑피 대면 표면에서의 내측 측벽과 외측 측벽 사이의 제 2 거리보다 긴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지면 대면 표면 상에서 내측 측벽과 외측 측벽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내측 필름 가장자리와 갑피 대면 표면의 사이에 내측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외측 필름 가장자리와 갑피 대면 표면의 사이에 외측 측벽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적어도 내측 측벽 상의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과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신발류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표면 및 신발류 밑창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표면을 구비한 주형의 주형 공동 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주형 공동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형 공동 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성형 표면 및 제 2 성형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둘러싸인 주형 공동을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의 라이너로서의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구비한 주형 공동 내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로서 발포되는 재료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신발류 갑피를 주형 공동에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신발류 갑피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신발류 갑피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인 단계;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측벽으로부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트리밍 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갑피로부터 적어도 1 mm 떨어진 측벽 상에서의 필름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로봇 암을 이용하여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하여, 중합체성 필름 위치를 이동시키고, 그리고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주형 공동의 위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위에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주형과 링의 사이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멍을 주형의 일부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구멍이 고정되는 상기 주형의 일부는 핀 또는 후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주형에 고정시키기 위해 주형 공동 외부에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진공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기 전에, 제거 가능한 성형 요소를 주형 공동의 측벽에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공동은 측벽이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신발류 밑창의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22. 신발류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표면 및 신발류 밑창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표면을 구비한 주형의 주형 공동 위에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형 공동 위에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켜 주형 공동을 둘러싸는 단계; 상기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1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성형 표면 및 제 2 성형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둘러싸인 주형 공동을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제 1 신발류 갑피를 주형 공동에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제 1 신발류 갑피는 주입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제 1 신발류 갑피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제 1 신발류 갑피로 구성되는 제 1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인 단계;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제 1 신발류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 주형 공동의 위에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제 1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과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갖는 것인 단계; 상기 주형 공동 위에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켜 주형 공동을 둘러싸는 단계; 상기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2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성형 표면 및 제 2 성형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둘러싸인 주형 공동을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제 2 신발류 갑피를 주형 공동에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제 2 신발류 갑피는 주입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제 2 신발류 갑피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제 2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제 2 신발류 갑피로 구성되는 제 2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제 2 신발류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반 주형으로 복수의 상이한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23. 내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내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을 갖는 내부 링 주형; 외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외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을 갖는 외부 링 주형; 및 내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과 내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의 사이에 위치한 바닥 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외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은 조합하여 신발류 물품 주형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 및 외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은 조합하여 신발류 물품 주형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내부 링 주형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내부 링 주형의 내 측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내부 링 주형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내부 링 주형의 발가락 단부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내부 링 주형의 뒤꿈치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내부 링 주형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내부 링 주형의 상부 표면에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내부 링 주형의 내측면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내부 링 주형의 외측면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내부 링 주형의 발가락 단부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내부 링 주형의 뒤꿈치 단부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은 바닥 판을 통해 바닥 판 상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진공 포트로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 주형의 상부 표면에 진공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있는 진공 포트가 진공 공급원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닥 판을 통해 연장되는 진공 포트가 진공 공급원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있는 진공 포트가 바닥 판을 통해 연장되는 진공 포트와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3.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내부 링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자석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영구 자석인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압축 링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 주형은 상부 표면에 립(lip)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 링은 립의 주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38. 제 23 항에 있어서, 자기 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링 및 내부 링 주형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링은 제 1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링 주형은 제 2 자석을 포함하며,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은 자기 링을 내부 링 주형으로 자기력으로 끌어당기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내부의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은 바닥 판으로부터 내부 링 주형 상부 표면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수렴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2. 제 23 항에 있어서, 외부 링의 제 1 절반부에 결합된 제 1 액추에이터 및 외부 링의 제 2 절반부에 결합된 제 2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43.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을 갖는 주형;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 및 내측 측벽 성형 표면과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의 사이에 위치한 바닥 판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주형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주형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주형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주형의 발가락 단부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핀은 주형의 뒤꿈치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주형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주형의 상부 표면에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주형의 내측면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주형의 외측면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주형의 발가락 단부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진공 포트는 주형의 뒤꿈치 단부에서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은 바닥 판을 통해 바닥 판 상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진공 포트로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부 표면에 진공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있는 진공 포트가 진공 공급원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닥 판을 통해 연장되는 진공 포트가 진공 공급원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있는 진공 포트가 바닥 판을 통해 연장되는 진공 포트와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2.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주형의 상부 표면에 자석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영구 자석인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고정부는 압축 링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상부 표면에 립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 링은 립의 주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7. 제 43 항에 있어서, 자기 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주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링 및 주형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링은 제 1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주형은 제 2 자석을 포함하며,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은 자기 링을 주형으로 자기력으로 끌어당기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60.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측벽 성형 표면 및 외측 측벽 성형 표면은 바닥 판으로부터 주형 상부 표면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수렴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주형.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도시된 다양한 구성 요소의 다수의 상이한 구성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대안의 실시예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개선을 구현하기 위한 대안의 수단을 개발할 수도 있다.
특정한 특징 및 하위 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 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채용될 수도 있으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에 나열된 모든 단계가 설명된 특정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편의상, 도 1 내지 도 22에 제공된 특징부의 목록이 아래에 제공된다.
신발류 물품 - 100
갑피 - 102
갑피 내측면 - 106
갑피 외측면 - 108
갑피 발가락 단부 - 110
갑피 뒤꿈치 단부 - 112
갑피 발바닥 영역 - 114
밑창 - 104
밑창 내측면 - 116
갑피 외측면 - 118
밑창 발가락 단부 - 120
밑창 뒤꿈치 단부 - 122
갑피 대면 표면 - 123
지면 대면 표면 - 124
내측 측벽 - 126
외측 측벽 - 128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 130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 132
트리밍 처리된 부분 - 133
내측 필름 가장자리 - 134
내측 노출 부분 - 135
외측 필름 가장자리 - 136
외측 노출 부분 - 137
겉창 - 138
겉창 구멍 - 140
삽입물 - 142
제 1 거리 [지면 대면 표면에서] - 144
제 2 거리 [갑피 대면 표면에서] - 146
주형 - 200
주형 공동 - 202
내부 링 - 204
외부 링 - 206
바닥 판 - 208
제 1 성형 표면 - 210
제 2 성형 표면 - 212
내부 링의 내측 측벽 - 214
외부 링의 내측 측벽 - 216
내부 링의 외측 측벽 - 218
외부 링의 외측 측벽 - 220
바닥 판 진공 포트 - 222
내부 링 진공 포트 - 224
내부 링 상부 표면 - 226
열 공급원 - 228
진공 공급원 - 230
주입기 - 232
재료 공급원 - 234
로봇 암 - 236
필름 공급원 - 238
신발골 - 240
절단 공구 - 242
압축 링 - 246
필름 구멍 - 248
주형 고정부 - 250
자기 링 - 251
주형 공동 외부 - 252
링 자석 - 253
제거 가능한 성형 요소 - 254
주형 자석 - 255
비전 시스템 - 256
바닥 판 액추에이터 - 258
외부 링 내측 액추에이터 - 260
외부 링 외측 액추에이터 - 262
신발류 물품 - 100
갑피 - 102
갑피 내측면 - 106
갑피 외측면 - 108
갑피 발가락 단부 - 110
갑피 뒤꿈치 단부 - 112
갑피 발바닥 영역 - 114
밑창 - 104
밑창 내측면 - 116
갑피 외측면 - 118
밑창 발가락 단부 - 120
밑창 뒤꿈치 단부 - 122
갑피 대면 표면 - 123
지면 대면 표면 - 124
내측 측벽 - 126
외측 측벽 - 128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 130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 132
트리밍 처리된 부분 - 133
내측 필름 가장자리 - 134
내측 노출 부분 - 135
외측 필름 가장자리 - 136
외측 노출 부분 - 137
겉창 - 138
겉창 구멍 - 140
삽입물 - 142
제 1 거리 [지면 대면 표면에서] - 144
제 2 거리 [갑피 대면 표면에서] - 146
주형 - 200
주형 공동 - 202
내부 링 - 204
외부 링 - 206
바닥 판 - 208
제 1 성형 표면 - 210
제 2 성형 표면 - 212
내부 링의 내측 측벽 - 214
외부 링의 내측 측벽 - 216
내부 링의 외측 측벽 - 218
외부 링의 외측 측벽 - 220
바닥 판 진공 포트 - 222
내부 링 진공 포트 - 224
내부 링 상부 표면 - 226
열 공급원 - 228
진공 공급원 - 230
주입기 - 232
재료 공급원 - 234
로봇 암 - 236
필름 공급원 - 238
신발골 - 240
절단 공구 - 242
압축 링 - 246
필름 구멍 - 248
주형 고정부 - 250
자기 링 - 251
주형 공동 외부 - 252
링 자석 - 253
제거 가능한 성형 요소 - 254
주형 자석 - 255
비전 시스템 - 256
바닥 판 액추에이터 - 258
외부 링 내측 액추에이터 - 260
외부 링 외측 액추에이터 - 262
Claims (20)
- 갑피, 밑창 및 겉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갑피는, 내측면(medial side), 외측면(lateral side), 발가락 단부, 뒤꿈치 단부, 그리고 상기 내측면, 상기 외측면, 상기 발가락 단부, 및 상기 뒤꿈치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바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밑창은, 내측면; 외측면; 발가락 단부; 뒤꿈치 단부; 상기 내측면, 상기 외측면, 상기 발가락 단부, 및 상기 뒤꿈치 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 대면 표면; 상기 갑피 대면 표면과는 반대쪽의 지면 대면 표면;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기 지면 대면 표면과 상기 갑피 대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측벽(medial sidewall); 상기 외측면을 따라 상기 지면 대면 표면과 상기 갑피 대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측벽(lateral sidewall)을 포함하고,
상기 밑창은,
갑피 대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갑피의 발바닥 영역과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상기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을 형성하고, 내측 필름 가장자리에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갑피를 향해 내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외측 필름 가장자리에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갑피를 향해 외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측벽에서의 갑피 대면 표면과 상기 내측 필름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1 mm이며, 상기 외측 측벽에서의 갑피 대면 표면과 상기 외측 필름 가장자리의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1 mm이고,
상기 겉창은 상기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 상에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과 연결되고, 상기 겉창은 지면 접촉 영역에서 신발류 물품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과 상기 필름 조성물이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은 겉창을 관통하여 지면 대면 표면 상의 필름 조성물로 연장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삽입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측벽이 발가락 상기 단부와 상기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갑피 대면 표면을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 상기 내측 측벽이 상기 외측 측벽을 향해 경사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대면 표면에서의 내측 측벽과 외측 측벽 사이의 제 1 거리가 상기 갑피 대면 표면에서의 내측 측벽과 외측 측벽 사이의 제 2 거리보다 긴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상기 지면 대면 표면 상에서 상기 내측 측벽과 상기 외측 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상기 내측 필름 가장자리와 상기 갑피 대면 표면 사이에 상기 내측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상기 외측 필름 가장자리와 상기 갑피 대면 표면 사이에 상기 외측 측벽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적어도 내측 측벽 상의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과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 신발류 밑창의 지면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표면 및 신발류 밑창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표면을 구비한 주형의 주형 공동 위에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형 공동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형 공동 위에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이 상기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성형 표면 및 상기 제 2 성형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주형 공동을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주형 공동의 적어도 일부의 라이너로서의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구비한 상기 주형 공동 내로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로서 발포되는 재료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신발류 갑피를 상기 주형 공동에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신발류 갑피는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이 신발류 갑피와 기계적으로 맞물려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인 단계;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상기 신발류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트리밍 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상기 갑피로부터 적어도 1 mm 떨어진 상기 측벽 상에서의 필름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로봇 암을 이용하여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하여, 상기 중합체성 필름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상기 주형 공동의 위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 위에 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주형과 상기 링 사이에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멍을 주형의 일부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의 구멍이 고정되는 상기 주형의 일부는 핀 또는 후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상기 주형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주형 공동 외부에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에 진공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필름 조성물을 위치시키기 전에, 제거 가능한 성형 요소를 상기 주형 공동의 측벽에 삽입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7006714A KR102506567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628134P | 2018-02-08 | 2018-02-08 | |
US62/628,134 | 2018-02-08 | ||
PCT/US2019/017108 WO2019157218A1 (en) | 2018-02-08 | 2019-02-07 |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 fil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6714A Division KR102506567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912A KR20200105912A (ko) | 2020-09-09 |
KR102370303B1 true KR102370303B1 (ko) | 2022-03-04 |
Family
ID=655204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6714A KR102506567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KR1020207022728A KR102370303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KR1020237007281A KR102627396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6714A KR102506567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7281A KR102627396B1 (ko) | 2018-02-08 | 2019-02-07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4) | US10869524B2 (ko) |
EP (2) | EP4215077A1 (ko) |
KR (3) | KR102506567B1 (ko) |
CN (2) | CN114668222A (ko) |
TW (3) | TWI833592B (ko) |
WO (1) | WO20191572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2334B2 (en) | 2018-01-31 | 2022-09-27 | Nike, Inc. |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
US10149513B1 (en) | 2018-01-31 | 2018-12-11 | Nike, Inc. |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
TWI833592B (zh) | 2018-02-08 | 2024-02-21 |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 鞋物件模具 |
KR102005090B1 (ko) * | 2018-02-23 | 2019-07-29 | 서홍걸 | 신발용 쿠션재 및 그 제조금형 |
US11547176B2 (en) | 2018-05-30 | 2023-01-10 | Nike, Inc. |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sert |
US10524540B1 (en) | 2018-07-17 | 2020-01-07 | Nike, Inc. |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
US11026476B2 (en) | 2018-07-17 | 2021-06-08 | Nike, Inc. |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
US11324280B2 (en) * | 2018-10-24 | 2022-05-10 | Bivab Llc | Rotatable midsole ambulatory footwear apparatus |
US10874169B2 (en) * | 2019-02-28 | 2020-12-29 | Nike, Inc. | Footwear and sole structure assemblies with adhesive-free mechanical attachments between insoles and midsoles |
US11701845B2 (en) | 2019-09-17 | 2023-07-18 | Nike, Inc. | Method for forming a composite sole structure component |
US12082651B2 (en) * | 2019-09-20 | 2024-09-10 | R. G. Barry Corporation | Footwear article including cushion management system |
EP3928970A1 (en) * | 2020-06-26 | 2021-12-29 | Ecco Sko A/S | An article of footwear |
CN111789345B (zh) * | 2020-07-15 | 2021-08-13 | 衡阳丰泰鞋业有限公司 | 一种多层鞋垫加工用涂胶贴合装置 |
USD943943S1 (en) | 2020-07-24 | 2022-02-22 | New Balance Athletics, Inc. | Shoe upper |
EP4059371A1 (en) * | 2021-03-16 | 2022-09-21 | Puma Se |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ortion of an article of footwear from a mold |
US20230116987A1 (en) * | 2021-10-15 | 2023-04-20 | Nike, Inc. |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extured bladder |
WO2023148583A1 (en) * | 2022-02-02 | 2023-08-10 | Vms Vi&Vi Megastampi S.R.L. |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les for shoes |
IT202200009764A1 (it) * | 2022-05-11 | 2023-11-11 | Graziano Rogante | Procedimento di incollaggio di una tomaia a un fondo a gusci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00213A1 (en) | 2013-12-23 | 2017-01-05 | Diadora Sport S.R.L. | Sol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
US20170265565A1 (en) | 2016-03-15 | 2017-09-21 | Nike, Inc. |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000708A (en) * | 1962-03-28 | 1965-08-11 | George Ward Barwell Ltd | Shoe manufacture |
JPS51129340A (en) * | 1975-04-30 | 1976-11-10 | Tatsuo Fukuoka | Method of producing clogs |
FR2583269B1 (fr) | 1985-06-14 | 1988-04-22 | Agulhon Michel | Chaussures de securite et procedes de fabrication |
JPH01280401A (ja) * | 1988-05-02 | 1989-11-10 | Achilles Corp | イラスト入り靴底を有する靴の製造法 |
WO1990010528A1 (de) * | 1989-03-07 | 1990-09-20 | Klöckner Ferromatik Desma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uhen mit sohlen aus in mehreren schichten gespritztem kunststoff |
CS277270B6 (en) | 1990-11-26 | 1992-12-16 | Z Presneho Strojirenstvi Zlin | Vulcanised shoe sole mfr., incorporating soft elastic layer |
IT1254118B (it) | 1991-08-06 | 1995-09-08 | Pro Tec S R L | Stampo e metoco per la produzione di suole in materiale plastico iniettato, comprendenti una zona vuota visibile attraverso un materiale trasparente |
JPH0584769A (ja) * | 1991-09-25 | 1993-04-06 | Sekisui Chem Co Ltd |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
US5453230A (en) | 1993-12-02 | 1995-09-26 | Urethane Technologies, Inc. | Method for rotationally molding an article with a vulnerable insert |
TW286269B (ko) | 1994-11-28 | 1996-09-21 | Marion Frank Rudy | |
US6367172B2 (en) | 1999-07-02 | 2002-04-09 | Bbc International Ltd. | Flex sole |
US6676782B2 (en) | 2001-05-21 | 2004-01-13 | Cheng-Hsian Chi | Method for making a shoe having a foamed midsole enclosed in the shoe |
TW585750B (en) | 2001-11-08 | 2004-05-01 | Kuen-Jung Liou | Method for producing shoes with shortened forming time |
EP1480814B1 (en) * | 2002-03-04 | 2005-09-14 | Ecco Sko A/S | Method of moulding soles on shoe uppers, a shoe welt and a mou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JP2003266557A (ja) * | 2002-03-15 | 2003-09-24 | Achilles Corp | 射出成形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
EP1398140A1 (en) | 2002-09-13 | 2004-03-17 | Cheng-Hsian Chi | Method for forming an outsole with an insert on an article of footwear |
CN1237920C (zh) * | 2003-02-27 | 2006-01-25 | 纪正贤 | 可缩短热压成型时间的鞋子制法 |
US7096602B2 (en) | 2003-07-31 | 2006-08-29 | Wolverine World Wide, Inc. | Integrated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
DE102004001204A1 (de) | 2004-01-06 | 2005-09-08 | Basf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uhen |
ITPD20040014A1 (it) * | 2004-01-22 | 2004-04-22 | Geox Spa | Calzatura con suola e tomaia traspiranti ed impermeabili |
US8127468B2 (en) * | 2009-06-10 | 2012-03-06 | Wolverine World Wide, Inc. | Footwear construction |
US9491984B2 (en) | 2011-12-23 | 2016-11-15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
US9282785B2 (en) | 2013-03-15 | 2016-03-15 |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 Multi-density sole elem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
ITAN20130081A1 (it) * | 2013-05-02 | 2013-08-01 | Giuseppe Olivieri | Fondo bi-materiale per calzature con inserto in gommapiuma. |
CN203844072U (zh) * | 2014-01-15 | 2014-09-24 | 东莞市站胜模具有限公司 | 一种高精度的真空鞋底成型模具 |
TWM499789U (zh) * | 2015-01-23 | 2015-05-01 | Horng Shing Products Co Ltd | 鞋大底結構 |
EP3280285B1 (en) * | 2015-04-08 | 2019-09-18 | Nike Innovate C.V. |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impression of etched area of mold assembly and article having bladder element with impression |
DE102015116448B4 (de) * | 2015-06-10 | 2021-01-14 | "Klöckner Desma Schuhmaschinen GmbH" | Spritzgießverfahren zum Anspritzen einer Schuhbesohlung an einen Schuhschaft |
TWM512936U (zh) * | 2015-08-25 | 2015-12-01 | Yao-Kun Liu | 免膠合耐用鞋底結構 |
CN106965471A (zh) | 2015-12-17 | 2017-07-21 | 三晃股份有限公司 | 微波成型鞋及其制造方法 |
KR101808783B1 (ko) * | 2016-01-27 | 2017-12-14 | 주식회사 태영에코넷 | 밑창과 중창이 일체화된 신발창 제조방법 |
CN105666908A (zh) * | 2016-02-01 | 2016-06-15 | 孙维忠 | 一种鞋底吸膜成型方法 |
US10531705B2 (en) * | 2016-03-02 | 2020-01-14 | Nike, Inc. | Hydrogel tie layer |
JP3220628U (ja) * | 2016-03-15 | 2019-03-28 | ナイキ イノヴェイト シーヴィーNike Innovate C.V. | 履物 |
CN105639837A (zh) * | 2016-03-29 | 2016-06-08 | 丁荣誉 | 覆膜爆米花聚氨酯鞋材及其生产工艺 |
CN106108259A (zh) * | 2016-06-30 | 2016-11-16 | 中山杰伟鞋业有限公司 | 一种新型鞋底制作工艺 |
CN106942828A (zh) * | 2017-04-01 | 2017-07-14 | 广东站成研创科技有限公司 | 一体成型连帮吸膜注塑鞋及其制造方法 |
TWI833592B (zh) | 2018-02-08 | 2024-02-21 |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 鞋物件模具 |
US11547176B2 (en) | 2018-05-30 | 2023-01-10 | Nike, Inc. |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sert |
-
2019
- 2019-01-31 TW TW112108041A patent/TWI833592B/zh active
- 2019-01-31 TW TW110129954A patent/TWI798791B/zh active
- 2019-01-31 TW TW108103746A patent/TWI755582B/zh active
- 2019-02-07 EP EP23161995.8A patent/EP4215077A1/en active Pending
- 2019-02-07 CN CN202210315405.9A patent/CN114668222A/zh active Pending
- 2019-02-07 EP EP19707202.8A patent/EP3749132B1/en active Active
- 2019-02-07 KR KR1020227006714A patent/KR1025065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07 WO PCT/US2019/017108 patent/WO2019157218A1/en unknown
- 2019-02-07 CN CN201980012423.6A patent/CN111698924B/zh active Active
- 2019-02-07 KR KR1020207022728A patent/KR1023703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07 US US16/270,388 patent/US10869524B2/en active Active
- 2019-02-07 KR KR1020237007281A patent/KR1026273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1-13 US US17/097,947 patent/US11337488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8-13 US US17/402,253 patent/US11864623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11-27 US US18/520,141 patent/US2024009061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00213A1 (en) | 2013-12-23 | 2017-01-05 | Diadora Sport S.R.L. | Sol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
US20170265565A1 (en) | 2016-03-15 | 2017-09-21 | Nike, Inc. |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337488B2 (en) | 2022-05-24 |
CN111698924B (zh) | 2022-04-08 |
US20190239596A1 (en) | 2019-08-08 |
EP4215077A1 (en) | 2023-07-26 |
TWI755582B (zh) | 2022-02-21 |
KR102506567B1 (ko) | 2023-03-03 |
TWI798791B (zh) | 2023-04-11 |
KR20200105912A (ko) | 2020-09-09 |
TW202145924A (zh) | 2021-12-16 |
TWI833592B (zh) | 2024-02-21 |
KR102627396B1 (ko) | 2024-01-19 |
EP3749132A1 (en) | 2020-12-16 |
CN111698924A (zh) | 2020-09-22 |
TW201940096A (zh) | 2019-10-16 |
US10869524B2 (en) | 2020-12-22 |
US11864623B2 (en) | 2024-01-09 |
WO2019157218A1 (en) | 2019-08-15 |
KR20230037062A (ko) | 2023-03-15 |
US20240090617A1 (en) | 2024-03-21 |
EP3749132B1 (en) | 2023-03-29 |
TW202341889A (zh) | 2023-11-01 |
CN114668222A (zh) | 2022-06-28 |
KR20220029784A (ko) | 2022-03-08 |
US20210059352A1 (en) | 2021-03-04 |
US20220079286A1 (en) | 2022-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0303B1 (ko) | 필름을 갖는 바닥이 직접 부착된 신발류 물품 | |
KR101874767B1 (ko) | 물품 성형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72028B1 (ko) | 입체 성형용 바닥 전복형 골 | |
CN107006949A (zh) | 鞋底板组件和制造方法 | |
CN107529850B (zh) | 共模制方法 | |
US11400674B2 (en) | Sheet molding production method | |
CN111372484B (zh) | 制鞋用的共形膜、压力机及利用共形膜制造鞋制品的方法 | |
JP2007014443A (ja) | 靴、その靴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靴の製造装置 | |
JPH10217360A (ja) | 射出成形靴の製造方法 | |
JPH08294403A (ja) | 靴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