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91B1 -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91B1
KR102368691B1 KR1020200051327A KR20200051327A KR102368691B1 KR 102368691 B1 KR102368691 B1 KR 102368691B1 KR 1020200051327 A KR1020200051327 A KR 1020200051327A KR 20200051327 A KR20200051327 A KR 20200051327A KR 102368691 B1 KR102368691 B1 KR 10236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ser
chair
seating unit
sen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875A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2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자본체;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이용자 신체의 일부를 받쳐주면서 다리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착석부;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이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 신체의 일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재; 및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이용자의 신체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선별적으로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Chair with Partial Pressure Control}
본 발명은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서 착석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부분적인 제어가 가능한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 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 생활 중의 상 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한다.
따라서, 의자의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편안히 착석할 수 있도록 돕거나,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는 크게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것과 좌판에 주안점으로 둔 것 그리고 이들의 복합형태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근자들어서는 주로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널리 사용되는 일명 '하이팩(hipac)' 의자는 착석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등 부위로부터 골반부에 이르는 신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등받이와 앉음판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 부위 및 골반부 전체가 의자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등받이 및 앉음판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니도록 설계되어 있어, 착석 상태에서 등을 기댔을 때 등받이가 약간 휘어짐으로써 인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부를 좌우양편의 분할 편으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체로 이루어진 등받이가 변형되는 구조의 의자도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하이팩 의자나 좌우 분할 편으로 이루어진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주로 등받이부의 구조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밀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의자 에 장시간 앉아있거나, 의자에 않아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등받이에 등을 비스듬히 기대고, 엉덩이부를 의자 앉음판의 전방에 위치시키는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자세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척추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척추 디스크 등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자세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리부와, 좌판과 다리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의자본체,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 앞 부분에 놓여지는 제1위치와 사용자의 등 뒤에 놓이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의자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를 의자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자세 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의자의 좌판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와 사용자의 등부위가 등받이에 올바르게 밀착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부위를 등받이에 올바르게 밀착시키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멜로디나 경보메세지 등의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착석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의자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의자의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시킴으로써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10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용자의 신체에 선별적으로 가압하는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용자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자본체;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이용자 신체의 일부를 받쳐주면서 다리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착석부;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이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 신체의 일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재; 및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이용자의 신체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선별적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압센서로서 상기 착석부 상부 중앙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이용자 신체의 부위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상기 착석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압력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들은 상기 매트리스 내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상기 실린더 구동기에 의해 별도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감지부재를 통해서 이용자가 가하는 신체 부위별 압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압력제어부재에 제공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감지부재의 면압센서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압력제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선별적으로 압력을 가감하면서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압력제어유부재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압력제어부재의 부분 상세도이며, 도 3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본체(100), 착석부(110), 등받이부(120), 압력감지부재(130), 압력제어부재(140) 및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자본체(100)는 이용자가 앉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착석부(110)는 의자본체(100)의 일부분을 이루며 이용자 신체의 일부를 받쳐주면서 다리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석부(110)는 의자본체(100)에서 이용자의 둔부나 허벅지를 받쳐주면서 다리부에 연결되어 의자(1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의자본체(100)의 일부분을 이루며 착석부(110)와 연결되고 이용자의 상체를 받쳐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20)는 이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쳐주면서 보호하며, 리클라이닝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고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기능은 수동이나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모두 조작이 가능하다.
압력감지부재(130)는 착석부(11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신체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압센서(30)로서 착석부(110) 상부 중앙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이용자 신체의 부위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50)에 제공할 수 있다.
면압센서(30) 또는 면압 분포 센서는 검출면에 눌려진 피측정물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을 가압력의 분포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조면(粗面)의 표면형상을 데이터화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면압분포 센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하여 이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한 쪽 단자측에 연결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의 대향면측에는 도전막을 갖는 가요성 필름을 전극측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극과 마주 보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도전막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며, 가요성 필름에 예를 들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구비한 피측정물이 눌려지면 이 가요성 필름은 피측정물의 요철에 따라 휜다. 이렇게 휜 부분의 도전막과 반도체 기판의 전극이 접촉함으로써 그 부분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매트릭스를 차례로 기동하여 판독하게 되어 있다.
압력제어부재(140)는 착석부(11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140)는 이용자의 신체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선별적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압력제어부재(140)는 유압실린더(142) 및 실린더 구동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42)는 착석부(110)의 내부에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압력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의 신체를 받쳐줄 수 있다.
실린더 구동기(144)는 각각의 유압실린더(142)에 연결되어 각각의 유압실린더(142)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142)들은 착석부(110) 내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유압실린더(142)에 연결된 실린더 구동기(144)에 의해 별도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잭은 홀더 지지부재의 분리된 사이에 구비되어 홀더 지지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유압잭은 홀더 지지부재의 상하로 분리된 레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레그부를 연결하면서 레그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유압잭 구동기는 유압잭에 연결되어 유압잭의 구동을 위해 유압잭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유압잭 구동기는 유압잭에 유압을 제공하여 유압잭의 길이를 늘이거나 유압을 배출하여 유압잭의 길이를 줄이면서 레그부를 신축 이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압잭의 예로는 공기압실린더(pneumatic cylinder), 유압실린더(hydraulic cylinder)방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공기압실린더란 압축공기실린더라고도 불리우며, 압축공기가 갖는 에너지를 기계적인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컨트롤러(150)는 의자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압력감지부재(130) 및 압력제어부재(140)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감지부재(130) 및 압력제어부재(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압력감지부재(130)를 통해서 이용자가 가하는 신체 부위별 압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압력제어부재(140)에 제공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신체의 일부분인 둔부나 허벅지가 착석부(110)의 특정된 지역을 집중적으로 가압할 경우 해당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압력감지부재(130)를 통해서 해당 부위의 면압센서(30)가 눌려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유압실린더(142)을 움직이는 실린더 구동기(144)의 작동을 제어하여 가압을 줄임으로써 압력을 수용하여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10)는, 디스플레이, 타이머, 면상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타이머, 면상발열체 등은 각각 의자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15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작동의 제어가 가능한데, 디스플레이는 면압센서(30)에 가해지는 압력 등의 표시와 유압실린더(142)가 가하는 압력의 수치에 대한 표시 및 전체적으로 면압센서(30)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포 등을 영상 등으로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다. 타이머는 각각의 압력제어부재(140)가 가하는 압력의 시간을 개별적으로 다르거나 또는 동일하게 설정하여 작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착석부(110)의 일부분에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이용자에게 열원을 제공할 수 도 있으며 이 또한 타이머와 연결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감지부재(130)의 면압센서(30)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압력제어부재(1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선별적으로 압력을 가감하면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력감지부재(130)와 압력제어부재(140)는 등받이부(120)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전술한 착석부(110)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등받이부(120)에 적용되는 압력갑지부재(130)와 압력제어부재(140)에 대한 설명은 착석부(1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는 바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의자
30 : 면압센서
50 : 다리부
100 : 의자본체
110 : 착석부
120 : 등받이부
130 : 압력감지부재
140 : 압력제어부재
142 : 유압실린더
144 : 실린더 구동기
150 : 컨트롤러

Claims (5)

  1. 이용자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자본체;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이용자 신체의 일부를 받쳐주면서 다리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착석부;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이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 신체의 일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
    상기 착석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재; 및
    상기 의자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부재 및 압력 제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이용자의 신체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선별적으로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압센서로서 상기 착석부 상부 중앙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이용자 신체의 부위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상기 압력제어부재는,
    상기 착석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압력감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압력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들은 상기 착석부 내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상기 실린더 구동기에 의해 별도로 작동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감지부재를 통해서 이용자가 가하는 신체 부위별 압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압력제어부재에 제공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1327A 2020-04-28 2020-04-28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KR10236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27A KR102368691B1 (ko) 2020-04-28 2020-04-28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27A KR102368691B1 (ko) 2020-04-28 2020-04-28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75A KR20210132875A (ko) 2021-11-05
KR102368691B1 true KR102368691B1 (ko) 2022-02-28

Family

ID=7850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27A KR102368691B1 (ko) 2020-04-28 2020-04-28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941A (ko) * 2009-11-06 2011-05-13 이동인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KR200471106Y1 (ko) 2012-05-29 2014-02-06 박기태 자세교정의자
KR20170052926A (ko) * 2015-11-05 2017-05-15 이욱진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75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54B2 (en) Functional chair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CA2743455C (en) Pivotable seat
KR100970602B1 (ko) 작동부를 갖는 의자 시트
TWM328828U (en) Health bed capable of adjusting curve of human spine
CN109619903A (zh) 一种应力感应自调节床垫
JP2018519114A (ja) 調節可能な横臥及び着座面を有する個人用休息ユニットを備えた機構、並びに休息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
KR102368691B1 (ko)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EP4215086A1 (en) Back following support device, long-time sitting prevention control method and office chair
JP200213656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207270145U (zh) 一种智能健康椅
KR20090124050A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20170016063A (ko) 의자 설치용 허리보호대
JP4889877B2 (ja) 椅子
CN203262722U (zh) 一种分段式气囊椅
TWI748907B (zh) 衡壓承載裝置
KR20200070048A (ko) 자세교정 자세
KR102070935B1 (ko) 다기능 의자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22764B1 (ko) 의자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KR20200017894A (ko) 척추 맞춤형 의자
JP2020005932A (ja) 椅子用クッション装置
KR102542760B1 (ko) 방석형 기구
CN212117613U (zh) 一种平衡椅
KR20200128787A (ko)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