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926A -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 Google Patents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2926A KR20170052926A KR1020150155060A KR20150155060A KR20170052926A KR 20170052926 A KR20170052926 A KR 20170052926A KR 1020150155060 A KR1020150155060 A KR 1020150155060A KR 20150155060 A KR20150155060 A KR 20150155060A KR 20170052926 A KR20170052926 A KR 20170052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pins
- unit
- panel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 측정장치와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 다수의 핀을 관통설치하고 핀들을 전진시켜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서 위치고정하고 그 외주로 커버를 씌워서 신체에 정확하게 밀착되면서 자세를 지지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형 측정장치와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에 관통설치된 다수의 핀들을 일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액츄에이터 등의 이송수단으로 전진시키고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여, 용이하고 신속, 정확하게 체형을 측정함과 아울러, 체형 측정이 완료된 위치의 핀의 위치정보를 기록하고 전송하여 언제 어디서든 해당 체형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형측정장치와, 상기 체형측정 후 상기 핀을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하여 그 외주로 충진재와 커버를 씌워서 신체에 정확하게 밀착되면서 자세를 지지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중증의 뇌성마비, 척수마비 등 스스로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람들이 앉아서 생활을 하는 경우, 신체의 변형 및 악화를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체형 맞춤형 좌판과 등판을 구비한 휠체어, 의자 등 신체 지지 및 자세 교정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학생, 직장인 등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 등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신체에 무리가 오고, 체형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최적의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체형 맞춤형 의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하루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 반드시 요구되며,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수면의 경우,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최근에는 수면자세를 최적화하기 위한 각종 베개, 침구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체형 맞춤형 장치 혹은 도구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체형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체형측정을 위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3410호에서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조절막대를 신체에 접촉시켜 체형을 측정하고, 조절막대를 압착구로 서로 밀착시켜 위치 고정하며 조절막대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서 센서가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가 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형 측정장치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조절막대를 신체와 닿을때까지 전진시키거나, 측정대상이 조절막대를 밀어서 체형을 측정하여야 하였으므로, 전자의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 측정대상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므로 정확한 체형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절막대는 서로 단부가 접하도록 구성되어 체형측정을 위한 전후진 과정에서 상기 조절막대간 마찰에의하여 조절막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조절막대의 이동에 많은 힘이 소요되므로, 체형측정과정이 용이하지 않으며,특히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람의 경우 몸으로 상기 조절막대를 밀어야한다면 상기 조절막대를 이동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다른 사람이 도와주어야 하는 등 체형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조절막대의 위치는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서 판단되나 통공들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통공과 통공사이에 간격이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측정된 위치에 통공간의 간격만큼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체형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의자, 휠체어 등을 체형 맞춤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체형과 일치할 때까지 계속해서 재료를 가공하여 교정하여야 하였으나, 이러한 교정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는 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체형을 짐작하여 깍은 후 사용자를 착석시켜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몸에 정확히 맞는 등판과 좌판을 제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2964호에서 핀스크린의 핀을 전진시켜 신체에 밀착시킨 후 해당 핀의 위치를 고정하고 패널 후방으로 돌출된 핀을 절단하여 취형하는 장치를 제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체형을 측정하고 신체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체형 측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핀을 패널에 관통설치하고, 상기 핀을 모터,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서 한번에 모두 이송시키거나, 다수개의 핀을 그룹화하여 각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핀을 이송시키고,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서, 체형측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면서 정확한 체형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핀의 최종 이동위치를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해당 체형 측정정보에 따른 신체 지지구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맞춤형 신체 지지구 제조를 위하여 원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핀을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각 핀의 종단에 각도조절가능한 패드를 설치함으로서, 핀의 위치와 패드의 각도를 통해서 적은수의 핀만으로도 정확한 체형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체형 측정 후 핀을 신체와 접하는 이동위치에서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핀이 설치된 패널을 이송수단과 분리함으로서, 신체 지지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핀을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하고, 상기 핀이 설치된 패널에 충진재와 외피를 포함한 커버를 설치함으로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는 신체와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신체감지부, 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감지부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사용하여 사용중에도 지속적으로 체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체형정보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전용 앱(app)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바른자세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패널, 상기 패널의 관통공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핀, 모터, 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핀의 후방에 별도로 구비되어 핀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핀에 설치되어 핀이 신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 상기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핀을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킨 후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서, 체형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형 측정장치에 있다.
상기에서 핀 혹은 이송수단에는 핀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핀의 이동위치를 기록하고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전송한다.
또한, 상기 핀은 패널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그선단에는 각도 조절가능한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의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감지부가 더 구비되어, 핀의 위치와 패드의 각도로 체형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다수의 핀 모두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다수의 핀을 동시에 임의의 방향으로 한번에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전체 핀을 임의의 방향으로 소정수만큼 그룹화하고 구동수단을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각 그룹에 속한 핀들을 위치이동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수단은 패널과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체형 측정 후, 핀을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패널로부터 분리한 후 패널외주로 충진재와 커버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체형 맞춤형 신체 지지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패널, 상기 패널의 관통공으로 각각 설치되어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되고 선단에 패드가 설치된 핀, 상기 패널과 핀의 외부로 설치되는 충진재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체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패드는 각도조절가능하도록 핀과 결합되어 인체의 굴곡에 따라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체 지지구는 핀에 설치되어 신체와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신체 감지부, 상기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 받아 기록하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체형정보획득이 가능하고, 바른자세 유지여부를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해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신체 지지구는 의자, 휠체어, 자동차시트, 유모차 등의 등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체형측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체형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정확한 체형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형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들을 그대로 신체 지지구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신체지지구 제조에 시간이 대폭 감소될 뿐 아니라 사용자 체형에 딱 맞는 신체 지지구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중 불편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필요에 따라 핀의 위치를 조정하여 교정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 지지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재료를 깎아내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자동으로 체형에 맞게 제조할 수있게 되므로 비전문가도 체형 맞춤이 가능하게 되며, 체형이 변화되더라고 핀의 위치만 조절하면 되므로 별도의 신체 지지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하나의 지지구를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감도 대폭 감소되는효과가 있다.
아울러, 핀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체형정보가 데이터로 기록되고, 해당 체형정보 데이터를 필요한 경우 원격지의 다수 생산공장으로 전송하면, 위치에 상관없이 동시에 다양한제품을 사용자 체형에 맞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체형 맞춤형 신체 지지구 제조를 위하여 원격지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시간과 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체형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체형 측정장치에서 핀과 패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관통공 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형 맞춤된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체형 측정장치에서 핀과 패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관통공 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형 맞춤된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체형 측정장치
본 발명의 체형 측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10)이 천공된 패널(20), 상기 패널(20)의 관통공(10)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다수의 핀(30), 상기 핀(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미도시), 상기 핀(3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90), 상기 핀(30)에 설치되어 핀(30)이 신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미도시), 상기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핀(30)이 신체와 접하는 위치의 위치정보를 위치감지부로부터 획득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20)은 체형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감지하고자 하는 신체 부분의 치수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20)에 형성되는 관통공(1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좌우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의 굴곡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는데, 도 6 내지도 8에서는 허리부분(22)은 좌우로 관통공(10)이 조밀하게 천공되고, 어깨부분(24)은 좌우로는 관통공(10)이 허리부분(22)에 비하여 넓게 천공되나 상하로는 허리부분(22)에 비하여 좁게 천공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0)은 체형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통공의 간격을 최대한 조밀하게 형성하여 핀의 설치시 핀스크린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핀(30) 즉 관통공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핀(30)의 선단에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6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패드(60)는 각도조절 불가능하도록 설치될수도 있으나, 각도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동된 핀(30)의 위치와 조절된 패드(60)의 각도를 통해서 정확한 체형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드(6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경우 조정된 각도가 별도의 각도 고정수단(80)을 통해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패드(60)의 각도 고정여부에 상관없이 조정된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각도 고정수단(80)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60)와 핀(30)의 결합 예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핀(30)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 패드(6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트 또는 힌지로 바로 결합되고, 상기 핀(3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패드(60)가 핀(30)과 함께 회전하지 않으면서 핀(30)의 종단에 위치하도록 커플링수단(70)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커플링 수단의 예로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와 접촉되는 방향의 핀(30) 종단에는 캡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개구부측 외주에 단턱(72a)이 형성된 슬라이드 너트(72)와,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패드와 결합되는 패드 결합 너트(74)및, 외주면에 패드 결합 너트(74)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주로는 상기 슬라이드 너트(72)가 공회전하도록 삽입되며 일측 종단에 상기 단턱(72a)과 맞물리는 걸림턱(76a)이 형성된 결합케이스(7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핀(30)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드 너트(72)가 결합케이스(76)내부에서 공회전함으로서 패드(60)가 핀(3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핀(3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만 가변된다.
그리고, 상기한 커플링 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각도 감지부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접촉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30)을 이송수단(90)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핀(3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수단(90)측으로 결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2)에는 전진 및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수단(90)을 구성하는 실린더로드나 푸셔 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4)은 사용자에 의하여 렌치 등을 통해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렌치홈과 같이 각진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널(20)의 외주로는 외피와 쿠션등을 포함하는 커버(50)가 더 설치되어 사용자(피측정자)의 체형측정시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30) 또는 패드(60), 또는 커버(50)의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핀(30)의 이동시 신체 접근여부를 판단하여 신체와 접하거나 근접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신체 감지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신체감지부는 근거리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등 공지의 센서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장치에는 핀(3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감지부는 핀, 패널 또는 이송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감지부는 핀과 관통공의 내주면에 한쌍의 접촉센서(가변저항센서 등)를 설치하여 감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90)은 핀(30)의 후방에 별도로 구비되어 구동모터(M) 또는 실린더를 포함한 구동수단(92)과, 상기 핀(30)과 직접 결합되어 구동수단(92)의 동력으로 핀(30)을 전후진시키는 작동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구동수단과 작동구를 결합한 형태의 액츄에이터가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송수단으로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90)은 프레임(96)에 위치고정되거나 프레임(96)을 통해서 이동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수단(90)이 모든 핀(30)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한번에 모든 핀(30)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수단(90)은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레임(96)에 위치고정되고, 상기 이송수단(90)이 모든 핀(30)과 일대일 대응되지 않고 그룹화된 몇개의 핀(30)에만 대응되는 경우, 즉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수단(90)이 한번에 한열씩의 핀들만을 이동시키고 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이송수단(90)은 프레임(96)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96)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 혹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등과 회전벨트, 풀리 등이 더 요구되며 이러한 이송수단(90)을 이동시키는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구성이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96)은 패널(20)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으나,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경우 체형정보 측정 후 핀(30)을 고정수단(40)으로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96)을 패널(20)로부터 분리하여, 패널(20)의 외주에 커버를 설치하면 신체 지지구로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20)과 이송수단(90)의 프레임(96)은 착탈수단(98)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 착탈수단(98)은 관통공과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고정수단(40) 역시 핀과 결합되는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착탈수단(98)과 고정숟나(40)은 이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94)는 구동수단(92)이 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인 경우에는 로드가 작동구(94) 역할을 하게되고, 구동수단(92)이 모터인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축에 결합된 커플러(94a), 상기 커플러(94a)에 결합되고 외주에 나사홈이 형성된 회전봉(94b), 상기 회전봉(94b)에 나사결합되어 핀(30)을 이동시키는 푸셔(9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체형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부의 동작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가 패널(2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 예를 들면 상기 패널(20)을 의자의 등판에 설치한 경우 사용자가 의자에 앉게 되면, 상기 이송수단(90)이 구동되어 핀(30)을 전진시키고, 이 과정에서 신체 감지부로부터 신체감지에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송수단(9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형측정장치에 구비된 각도감지부, 위치감지부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기록하고, 외부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 즉 동시에 다양한 공장에서 동일 사용자용 각종 제품을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체형측정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에는 자체 메모리 및 원격전송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어부를 별도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체형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기록하고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향후 신체 감지부, 위치감지부 또는 각도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바른자세 유지여부를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해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최초 착석시 인체의 체형정보와, 본 발명의 신체지지구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한 후의 체형정보를 비교하여 출력해주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2. 체형 맞춤형 신체 지지구
본 발명에 따른 체형맞춤형 신체 지지구는, 상기 신체 지지구의 체형 맞춤 장치에서 이송수단(90)을 제거하고, 상기 핀(30)의 위치를 위치고정수단(40)으로 고정하여 패널(20)과 핀(30)의 외주로 충진재와 커버(5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신체 지지구는 휠체어, 의자, 쇼파, 자동차시트, 유모차 등의 등판으로 사용되거나, 인체가 밀착되어 사용되는 가구, 기구 등 어떠한 것에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20)은 의자 또는 휠체어 등 사용하고자 하는 등판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20)에 형성되는 관통공(10)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좌우로 배열되거나, 신체에 맞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핀(30) 또는 패드(60)는 신체와 접촉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넓이를 조절하여 핀 또는 패드사이의 간격이 좁도록 (5cm이내)하여 별도의 쿠션이 없더라도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종단에 쿠션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널과 핀 및 패드의 외주면에는 쿠션재와 같은 충진재와 외피를 포함한 커버가 씌워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핀 또는 패드에는 인체와 접촉을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신체 감지부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측정정보를 전송하여, 바른자세 유지여부를 감시할 수 있게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는 체형정보수집 및 자세교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바른자세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즉 바른자세일경우 신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여 그와 오차범위내에서 차이가 있을 경우 사용자게에 바른자세가 유지되지 않았음을 경고하여 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상기 신체 지지구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지지구의 핀은 사용중에도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자 체형의 교정여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프로그램에는 사용자의 최초 착석시 인체의 체형정보와, 본 발명의 지지구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한 후의 체형정보를 신체 감지부를 통해서 측정하여 동시에 출력해주는 기능도 포함된다.
10 : 관통공 20 : 패널
30 : 핀 40 : 위치 고정수단
50 : 커버 60 : 패드
90 : 이송수단
30 : 핀 40 : 위치 고정수단
50 : 커버 60 : 패드
90 : 이송수단
Claims (8)
- 다수의 관통공(10)이 천공된 패널(20),
상기 패널(20)의 관통공(10)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다수의 핀(30),
상기 핀(3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90),
상기 핀(30)에 설치되어 핀(30)이 신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미도시),
상기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측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 측정장치에는 핀(30)이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의 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는 기록 또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측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은 프레임(20)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그선단에는 각도 조절가능한 패드(60)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의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핀의 위치와 패드의 각도로 체형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측정 장치.
-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이송수단(90)은 다수의 핀 모두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다수의 핀을 동시에 임의의 방향으로 한번에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전체 핀을 임의의 방향으로 소정수만큼 그룹화하여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각 그룹에 속한 핀들을 위치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측정 장치.
-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관통공으로 각각 설치되어 신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되고 선단에 패드가 설치된 핀,
상기 프레임과 핀의 외부로 설치되는 충진재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 제 5항에 있어서, 패드는 각도조절가능하도록 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지지구는 핀에 설치되어 신체와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신체 감지부, 상기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송 받아 기록하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체형정보가 기록되고, 신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바른자세 유지여부를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060A KR20170052926A (ko) | 2015-11-05 | 2015-11-05 |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060A KR20170052926A (ko) | 2015-11-05 | 2015-11-05 |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2926A true KR20170052926A (ko) | 2017-05-15 |
Family
ID=5873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5060A KR20170052926A (ko) | 2015-11-05 | 2015-11-05 |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292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31217A (ja) * | 2017-08-23 | 2020-11-05 | ケーエ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ゴルフディボットチェック装置 |
KR20210132875A (ko) * | 2020-04-28 | 2021-11-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
-
2015
- 2015-11-05 KR KR1020150155060A patent/KR20170052926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31217A (ja) * | 2017-08-23 | 2020-11-05 | ケーエ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ゴルフディボットチェック装置 |
KR20210132875A (ko) * | 2020-04-28 | 2021-11-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5624B2 (en) | Full body robotic massage systems and methods body stretching | |
RU2701890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подгонки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од пассажира или водителя | |
US9905106B2 (en) | Ergonomics awareness chairs, systems, and methods | |
JP5154613B2 (ja) | ヘッドレスト装置、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 | |
KR101547653B1 (ko) | 압력 분포도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 교정 시스템 | |
US11730400B2 (en) |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multi-sensor fusion | |
US20170355282A1 (en) | Seat position detection for seat assemblies | |
KR20170052926A (ko) | 체형 측정장치와 체형 맞춤형 신체지지구 | |
KR20190013198A (ko) | 자세 교정 기능을 갖춘 의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 |
WO2022083441A1 (en) | Reactive pillow and the method of fabrication | |
WO2015107151A1 (de) | Ergonomiesystem für ein verstellbares bettensystem | |
KR20150134065A (ko) | 베개 높이 조절 장치 | |
KR101611190B1 (ko) | 자세 교정용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장치 | |
KR102033166B1 (ko) | 스마트 체어 | |
AT507736B1 (de) |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körperhaltung | |
KR20160004001A (ko) | 실시간 척추 교정 지능형 시트 | |
KR101904098B1 (ko) | 기계적 압력 반응을 이용한 등의 곡면 측정 장치 및 방법 | |
JP2018197091A (ja) | シートポジション調整システム | |
CN109674455B (zh) | 诊脉装置及诊脉调位机构 | |
WO2014188434A1 (en) | Registering apparatus | |
KR101626451B1 (ko) | 머리 압력 측정 장치 | |
JP2019194062A (ja) | Ecu装置、車両シート及び着座者の下肢の長さ推定システム | |
KR101024037B1 (ko) | 거짓말 탐지용 의자 | |
KR101232964B1 (ko) | 인체용 취형 장치 | |
CN211584040U (zh) | 一种婴儿髋关节检查辅助台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