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760B1 - 방석형 기구 - Google Patents

방석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760B1
KR102542760B1 KR1020210061792A KR20210061792A KR102542760B1 KR 102542760 B1 KR102542760 B1 KR 102542760B1 KR 1020210061792 A KR1020210061792 A KR 1020210061792A KR 20210061792 A KR20210061792 A KR 20210061792A KR 102542760 B1 KR102542760 B1 KR 10254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ushion
length
rear e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364A (ko
Inventor
김종승
Original Assignee
김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승 filed Critical 김종승
Priority to KR102021006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7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따라 모양이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사용자의 둔부를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올림으로써 사용자의 허리가 과후만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방석형 기구{CUSHION TYPE APPLIANCE}
본 발명은 방석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의자, 쇼파, 바닥 등 사람이 앉을 수 있는 곳에 배치하여 사람이 본 발명 위에 앉으면서 자세 교정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석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에서 앉아 생활하는 것은 거의 필수가 되었다. 특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하루 8시간씩 앉아서 생활하고 있으며, 장시간 착석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나쁜 자세로 앉아 있기 쉽고 그에 따라 골반 전방 경사, 후방 경사 등의 신체 불균형을 가지고 살고 있다. 몸의 자세 불균형은 허리에 무리를 주며 현대인의 80% 이상은 허리 통증을 한 번 이상 느껴본 적이 있으며, 허리디스크 질환은 과거 노인들에게서 발병율이 높았으나 현재는 20대 내지 40대 등의 젊은 층에서 발병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 활동을 활발히 하는 젊은 층에서 허리디스크 질환과 허리 통증 발생이 늘어남에 따라, 시중에는 의자에 올려 쓰는 방식의 허리 보조 기구들이 많이 팔리고 있으며,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허리를 신전시킬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허리디스크로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에게 허리를 구부정하게 구부리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앉거나 앞으로 숙일 때 허리뼈가 뒤로 밀려나와 둥글게 구부려지는 자세는 허리디스크를 뒤쪽으로 더 밀어낼 수 있어 반드시 피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사람이 앉은 자세에서 허리를 구부릴 수 없도록 오히려 허리 앞쪽으로 가압시켜 '척추를 신전'시키는 선행기술문헌과 같은 제품이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허리디스크 환자들에게 허리를 과도하게 신전시키는 것은 오히려 허리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허리 스트레칭을 목적으로 맥킨지 허리 신전을 시키는 것은 허리 건강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맥킨지 허리 신전은 허리 신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게 아니라 잠깐 신전시키는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신전 상태에 아닌 중립 상태를 유지해야 허리에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게 된다. 특히 허리 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앉은 자세에서 허리 과신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면 척추 분절이 눌리게 되어 허리 디스크의 악화를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허리를 과신전시키는 제품들은 허리 디스크 환자에게는 오히려 독이다.
또한, 허리 상태가 과후만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허리 건강을 망치는 원인 중 하나이다. 통상적인 쇼파와 같이 의자 중에는 의자 베이스의 뒤쪽이 푹 꺼지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의자의 경우 엉덩이가 푹 꺼져 다리 높이보다 밑으로 내려가게 됨으로써 허리가 구부러지는 과후만 상태가 되며, 이런 자세는 특히 허리 디스크 환자에게는 치명적이다.
따라서 현대인의 척추 건강을 위해서는 허리가 과신전 상태, 과후면 상태가 아닌 중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KR 10-1750887 B1 KR 30-1068111 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람의 둔부를 자연스럽게 올려 허리가 다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허리가 과후만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며 허리를 뒤쪽에서 의도적으로 가압하지 않으면서 허리가 중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석형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따라 모양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길이가 변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상기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상향으로의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 배치된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사영역 및 상기 경사영역의 후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후단까지의 영역인 후단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경사영역은, 상기 돌출부를 위에서 볼 때 상기 경사영역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영역의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너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폭방향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후단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가압하는 제1 안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한 쌍의 등 위치 가이드부 및 상기 등 위치 가이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 또는 둔부를 가압하는 제2 안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사용자의 둔부를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올림으로써 사용자의 허리가 과후만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둔부가 다리의 높이보다 높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허리를 의도적으로 신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꼬리뼈 부분을 위로 밀어냄으로써 허리의 과후만을 방지하여 허리의 중립 상태를 유지하게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석형 기구는 특히 허리 디스크 환자의 허리의 중립 상태 유지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의 사용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의 측면도;
도 2b 및 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의 사용시 변형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측면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정면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사용시 변형도;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의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안마부의 배치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 배치도;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안마부 배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석형 기구(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의 사용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는,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후단에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00)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00)는,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따라 모양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는 베이스부(100)와 돌출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석형 기구(1)는 의자의 의자 베이스(C1)에 놓여져 쓰일 수 있도록 기구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밑면에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구조 프레임이 놓이고 그 위에 쿠션부(400)가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400)는 베이스부(1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골반 위치가 다리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400)는 일정 높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400)는 이하에서 언급될 돌출부(200)의 위로도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둔부 전체에 쿠션감을 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베이스부(100)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00)는 사용자의 꼬리뼈 쪽으로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부(100)의 후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도 2a를 보면 돌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후단 쪽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보면, 돌출부(200)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따라 모양이 변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사용자의 둔부가 너무 딱딱한 돌출부(200)에 의해 지지될 경우 사용자의 꼬리뼈에 지나치게 많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감 및 허리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출부(200)가 사용자의 둔부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모양이 변형되어 돌출부(200))의 형상이 둔부의 모양대로 형상이 변형되어, 체형이 다른 사용자가 앉더라도 사용자의 둔부의 꼬리뼈 부근을 적절하게 위로 올려줘 사용자의 허리가 과후만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돌출부(2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돌출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상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길이가 변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상기 돌출부(200)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가변수단(2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00)는 복수의 길이가변수단(2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출부(200)의 형상이 사용자의 둔부의 모양에 따라 변경되도록, 복수의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변하면서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변수단(201)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길이가변수단(201)는 베이스부(100)에서 상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길이가변수단(201)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길이가변수단(201)은 길이가 늘었다 줄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201)은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짧아지면, 위로 향하는 길이가변수단(201)의 반발력이 강해서 사용자의 둔부가 더 이상 밑으로 내려가지 앉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길이가변수단(201)은 사용자의 둔부가 지나치기 밑으로 내려가 과후만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20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은, 상기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01a) 및 상기 지지부(201a)에 상향으로의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구조체(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201)은 지지부(201a)와 탄성구조체(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1a)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을 지지하며, 지지부(201a)에 가해지는 하중을 밑으로 전달한다. 탄성구조체(201b)는 지지부(201a) 밑에 배치되어 지지부(201a)에 상향으로의 반발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탄성구조체(201b)의 반발력이 강해져 위로 향하는 반발력이 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은, 상기 돌출부(200)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석형 기구(1)의 목적은 사용자의 둔부가 과후만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둔부의 꼬리뼈 부근이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길이가변수단(201)은 베이스부(100)의 후단에 배치될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하게 설계되어 사용자의 꼬리뼈 부근이 사용자의 사타구니 쪽보다 상향으로 강한 반발력이 제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길이가변수단(201)의 탄성구조체(201b)일수록 탄성계수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돌출부(200)는, 상기 돌출부(200)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200)의 전단에 배치된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0)의 일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사영역(210) 및 상기 경사영역(210)의 후단에서 상기 돌출부(200)의 후단까지의 영역인 후단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돌출부(200)에서 상기 경사영역(210)은, 상기 돌출부(200)를 위에서 볼 때 상기 경사영역(2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영역(210)의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 너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돌출부(200)는, 상기 돌출부(200)를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돌출부(200)의 상기 폭방향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b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00)는 경사영역(210)과 후단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돌출부(200)의 앞쪽은 경사영역(210)으로 형성되고, 돌출부(200)의 뒤쪽은 후단영역(2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영역(210)은 베이스부(100)의 전단에서 후단영역(220) 전단으로 갈수록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증가하여, 경사영역(210)을 위로 덮는 쿠션부(400)가 자연스럽게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영역(210)은 사용자의 둔부의 뒤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하여 척추 과후만을 방지한다. 후단영역(220)의 길이가변수단(201)은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꼬리뼈 부근까지 방석형 기구(1)가 경사져 있으면 앉아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 후단영역(220)의 길이가변수단(201)은 베이스부(100)의 후단에 가까워질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하게 형성되어, 꼬리뼈 부분이 둔부의 다른 부분보다 밑으로 내려가지 앉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00)의 경사영역(210)은 베이스부(100)의 폭방향 너비가 경사영역(2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또한 베이스부(100)의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변수단(201)의 길이가 감소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앉았을 때 엉덩이 양쪽 부분이 더 눌리고, 둔부의 중심은 덜 눌리기 때문에, 둔부의 중심을 상향으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방석형 기구(1)의 폭의 중심이 주변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의 둔부의 뒤로 갈수록 엉덩이의 모양에 따라 둔부의 중심이 가압되지 않는 폭은 증가하기 때문에 경사영역(210)의 폭이 베이스부(100) 후방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영역(210)의 모양은 사용자의 허리 특성에 따라 얼마든지 그 모양이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의 제 안마부(221)의 위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후단영역(22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가압하는 제1 안마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00)의 후단영역(220)은 제1 안마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 환자는 둔부와 골반 부근에 염증이 쌓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육의 뭉침 현상을 해소하여 통증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제1 안마부(221)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쪽 엉덩이의 밑에서 근육을 가압하여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후측 프레임에 결합되어 둔부를 앞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안마부(221)는 둔부를 단순히 지압하는 형태를 띌 수 있지만, 전동식으로 둔부에 일정한 자극을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3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에서, 상기 등받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지지부(310), 상기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310)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부(310)와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한 쌍의 등 위치 가이드부(320) 및 상기 등 위치 가이드부(320)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 또는 둔부를 가압하는 제2 안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며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는 등받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300)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역할을 하며, 의자 등받이(C2)에 기대어 사용될 수 있다. 등받이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등받이부(300)는 지지부(310), 등 위치 가이드부(320) 및 제2 안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판 형태의 프레임과 쿠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를 보면 위치 가이드부(320)는 사용자의 등이 양쪽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위치가이드부(320)는 사용자의 등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등받이부(300)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b를 보면, 등 위치 가이드부(320) 내측에는 제2 안마부(3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안마부(330)는 사용자의 등 또는 둔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근육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안마부(330)는 제1 안마부(221)와 마찬가지로 둔부를 단순히 지압하는 형태를 띌 수 있지만, 전동식으로 둔부에 일정한 자극을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201)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석형 기구(1)의 길이가변수단(201)의 지지부(201a)는 베이스부(100)의 뒤로 갈수록 경사가 증가하는 형태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둔부의 뒤로 갈수록 높이가 올라가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꼬리뼈를 자연스럽게 위로 밀어내도록 베이스부(100)의 뒤로 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형태의 곡면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수단(201)의 탄성구조체(201b)는, 지지부(201a)가 밑으로 내려올수록 위로 가해지는 반발력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단은 스프링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1 : 의자 베이스
C2 : 의자 등받이
1 : 방석형 기구
100 : 베이스부
200 : 돌출부
201 : 길이가변수단
201a : 지지부
201b : 탄성구조체
210 : 경사영역
220 : 후단영역
221 : 제1 안마부
300 : 등받이부
310 : 지지부
320 : 등 위치 가이드부
330 : 제2 안마부
400 : 쿠션부

Claims (11)

  1.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한 쌍의 등 위치 가이드부; 및
    상기 등 위치 가이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 또는 둔부를 가압하는 제2 안마부;를 포함하는, 방석형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의 하중에 따라 모양이 변형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길이가 변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상기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하는, 방석형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해지도록 형성되는, 방석형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상향으로의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석형 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 배치된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사영역 및 상기 경사영역의 후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후단까지의 영역인 후단영역으로 구분되는, 방석형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경사영역은,
    상기 돌출부를 위에서 볼 때 상기 경사영역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영역의 상기 돌출부의 폭방향 너비가 증가하는, 방석형 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돌출부의 상기 폭방향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가변수단의 길이가 감소하는, 방석형 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단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가압하는 제1 안마부를 포함하는, 방석형 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향으로의 반발력이 강하게 형성되는, 방석형 기구.
KR1020210061792A 2021-05-13 2021-05-13 방석형 기구 KR10254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2A KR102542760B1 (ko) 2021-05-13 2021-05-13 방석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2A KR102542760B1 (ko) 2021-05-13 2021-05-13 방석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64A KR20220154364A (ko) 2022-11-22
KR102542760B1 true KR102542760B1 (ko) 2023-06-12

Family

ID=8423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792A KR102542760B1 (ko) 2021-05-13 2021-05-13 방석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48Y1 (ko) * 2007-06-01 2012-09-28 웨이텍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둔부 마사지기
JP5265817B1 (ja) 2012-06-29 2013-08-14 株式会社 アルファ商事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履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696A (ja) * 1997-11-27 1999-06-15 Kokichi Ishida 座布団
KR20050088904A (ko) * 2004-03-02 2005-09-07 권주환 사람의 체형에 따라 자동 조절되는 쿠션장치
KR101750887B1 (ko)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KR102064499B1 (ko) * 2018-10-05 2020-01-09 강민구 인체구조를 고려한 아치형 좌석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48Y1 (ko) * 2007-06-01 2012-09-28 웨이텍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둔부 마사지기
JP5265817B1 (ja) 2012-06-29 2013-08-14 株式会社 アルファ商事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履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558532호(2010.04.1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64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6217121B1 (en) Therapeutic cushioning device
JP2022191458A (ja) 機能式椅子
KR20110117193A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668584B2 (en) Meditation support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US10172464B2 (en) Chair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Reinecke et al. Continuous passive lumbar motion in seating
KR102542760B1 (ko) 방석형 기구
KR102023461B1 (ko)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180120928A (ko) 요추 만곡 유지기구
US5876098A (en) HI-CHI meditation chair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KR101149259B1 (ko) 균형 조절 운동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2134924B1 (ko) 척추 맞춤형 의자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US5181764A (en) Chair and seat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WO2016023128A1 (en) Chair
JP4686678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および同クッションを備える車椅子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WO2013045481A1 (en) Ergonomic therapeutic sea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