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91B1 -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91B1
KR102368191B1 KR1020210075783A KR20210075783A KR102368191B1 KR 102368191 B1 KR102368191 B1 KR 102368191B1 KR 1020210075783 A KR1020210075783 A KR 1020210075783A KR 20210075783 A KR20210075783 A KR 20210075783A KR 102368191 B1 KR102368191 B1 KR 10236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ame detection
event
flam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석
이광철
민용기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게이트
Priority to KR102021007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10Machine learning using kernel methods, e.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CCTV 카메라모듈과, CCTV 카메라모듈에 내장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불꽃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불꽃감지모듈과, 불꽃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불꽃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으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생성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에 따라 화재예측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연기감지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화염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화염감지 이벤트가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오알람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알람 및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CCTV CAMERA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T}
본 발명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t, AI)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시를 위해서는 구조물의 천정 등에 설치된 화염 센서나 연기 센서 혹은 온도 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기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화재 감지기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반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화재 감지기에서 열이나 온도 등에 의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화재 감지기는 이 감지신호를 수신반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반은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표시함과 동시에 화재 경보를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화재 감지기(예컨대, 화염 센서, 연기 센서 및 온도 센서 등)는 화재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오보 발생(예컨대, 비화재보 발생)은 화재 감시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떨어뜨리며, 화재 감시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 저하는 치명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화재 감지기(예컨대, 화염 센서, 연기 센서 및 온도 센서 등)의 오동작으로 인해 그 신뢰성이 떨어진 경우,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 감지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상기 감지 신호가 실제 화재로 인해 발생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신하기 어렵다. 따라서, 화재 감지 신호 발생 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분명히 하기 위해 현장에 직접 가서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발생 시마다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서 화재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실제 화재의 발생으로 인해 화재 감지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전에는 화재 경보의 발생을 회피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중대한 안전사고의 발생 및 화재의 초기 진화 실패 등으로 인한 익명, 재산상의 손실을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불꽃 센서(예컨대, 적외선 또는 자외선 센서 등), 온도센서, 연기센서 등의 화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격지에서 도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대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외부에서 화재감지 센서에 대한 별도의 감도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실제 화재 발생 시 온도나 연기 등의 초기 설정에 대한 값으로 감지 결과를 판단하여 관제실에 그 정보를 전달하거나 설치 현장에 경고음 등을 발생하여 화재 경보를 알리고 있어 시시각각 환경이 변화하는 야외나 실험실 등과 같은 설치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오류 발생 및 감도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영상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고 화재경보기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인력출동 및 화재의 발생원인 파악이나 화재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 상황에 대해 현장 출동 외에 적절하게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일반적인 화재에는 기본적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분말 소화기나 물 등을 이용하여 진압할 수 있지만, 특수한 화학물에 의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소화기 및 화재 진압 방법이 상이하다. 이를 위해서라도 화재 이전 상황을 알 수 있으면 발화점 및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한 계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29190호(2011.04.1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꽃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CCTV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분석하여 연기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와 연기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오알람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알람 및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CCTV 카메라모듈; 상기 CCTV 카메라모듈에 내장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불꽃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불꽃감지모듈; 및 상기 불꽃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불꽃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으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에 따라 화재예측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연기감지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화염감지 이벤트가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꽃감지모듈에는, 물리적 파장과 강도의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꽃감지모듈은, 제1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1 불꽃감지센서 및 제2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2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꽃감지모듈의 제1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1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불꽃감지모듈의 제2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2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불꽃발생알람이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에 따라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파장대역은 서로 다른 범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 2 기준 강도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되,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작게 설정되거나,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기 설정된 화재발생레벨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레벨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화재발생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발생 이벤트 생성을 위한 화재발생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관리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별도의 화재관련 DB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화재관련 DB에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상기 화재관련 DB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화재관련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에 적용된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가 별도의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레벨 또는 센서감도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불꽃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상기 불꽃감지모듈에 구비된 각 불꽃감지센서의 불꽃감지레벨 또는 감도를 비롯하여 기준 불꽃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화염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을 비롯하여 기준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CTV 카메라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각 화재관련 이벤트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불꽃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CCTV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분석하여 연기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와 연기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오알람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알람 및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모듈에 물리적 파장과 강도의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오알람을 줄이면서 불꽃의 발생을 보다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 및/또는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 및/또는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는, 크게 CCTV 카메라모듈(100), 불꽃감지모듈(200), 제어모듈(300), 및 전원공급모듈(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CTV 카메라모듈(100)은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및/또는 실외의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CCTV 카메라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 소자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CCTV 카메라는 상기 광학부의 렌즈(Lens)를 통해 모아진 빛을 상기 CCD 소자에 투사시켜, 하나의 정지화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CCD 소자는 빛의 세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잠시 동안 그 값을 유지하게 되며, 이 전기 신호는 CCTV 카메라 내부의 영상신호 변환회로에 의해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외부단자를 통해 제어모듈(300)로 보내진다.
이러한 CCTV 카메라모듈(10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즉, CCTV 카메라모듈(100)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MIPI CSI-2 또는 sub LVDS 기술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MIPI CSI-2 또는 sub LVDS 기술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CCTV 카메라모듈(100)은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통상의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 또는 2차원 영상을 검출하는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카메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PC 카메라의 일종으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 카메라,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추후에 개발될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체촬상소자(CCD) 카메라는 광학부와 고체촬상소자(CCD)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고체촬상소자(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와, USB 호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앤드포인트(Endpoint)들이 구성되며, 그들 중 하나는 스냅 샷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화상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는 입력 화상을 디지탈 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앤드포인트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USB 표준 사양에 맞게 변환시켜 상기 USB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USB 호스트는 전달된 디지탈 데이터를 자신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화상 통신을 위해 상대방 USB 호스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불꽃감지모듈(200)은 CCTV 카메라모듈(100)에 내장되어 있으며, 실내 및/또는 실외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감지센서(예컨대,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 등)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불꽃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불꽃감지모듈(200)에는 물리적 파장과 강도의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예컨대,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 등)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불꽃감지모듈(200)은 제1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1 불꽃감지센서(210) 및 제2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2 불꽃감지센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파장대역은 서로 다른 범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3.5㎛ 내지 4.1㎛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4.3㎛ 내지 4.6㎛ 범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4.3㎛ 내지 4.6㎛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3.5㎛ 내지 4.1㎛ 범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는 불꽃이 유발하는 파장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는 화재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방식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에 방출되는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장을 가지는데,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되며, 불꽃감지모듈(200)은 이러한 광학적 반응 특성을 이용하여 해상도 높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예컨대,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 등)로 광원을 인식하여 화재의 오알람을 줄이면서 불꽃의 발생을 보다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불꽃감지모듈(200)은 물리적 파장과 강도의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예컨대,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 등)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서,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sensing)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온도 감지센서, 자외선 감지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열화상 감지센서, CO 감지센서, CO2 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CCTV 카메라모듈(100), 불꽃감지모듈(200), 전원공급모듈(400), 및/또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불꽃감지모듈(200)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intensity)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불꽃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CCTV 카메라모듈(100)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으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에 따라 화재예측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연기감지 이벤트를 생성 및/또는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모듈(300)에 적용된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은 예컨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등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불꽃감지모듈(200)의 제1 불꽃감지센서(210)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intensity)값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1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불꽃감지모듈(200)의 제2 불꽃감지센서(220)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2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 2 기준 강도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작게 설정되거나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강도값은 불꽃의 발생을 판정할 수 있는 임계 강도값으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최적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제1 및 제2 불꽃발생알람이 동시에 생성될 경우,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로부터 각각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에 따라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기 설정된 화재발생레벨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레벨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등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화재발생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발생 이벤트 생성을 위한 화재발생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 이벤트와 함께 CCTV 카메라모듈(100)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가 별도의 외부 기기(미도시)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기기는 예컨대, 영상 녹화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신호전송부, 신호분리부, 영상처리부, 오디오처리부, 종합제어부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분리부는 상기 신호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불꽃감지신호 및 센서 정보로 분리한 후, 분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는 상기 오디오처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분리된 불꽃감지신호와 센서 정보는 상기 종합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다수의 CCTV 카메라 장치를 통해서 촬영되는 합성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는 다수의 합성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분할 기능 등을 통해서 상기 모니터를 통해 다수의 화재감지 현장의 영상을 해당 현장에서 감지되는 불꽃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영상과 화재발생레벨과 함께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보정부와, 상기 영상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다수의 영상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 또는 경보기를 통해 알람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보정부와, 상기 오디오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 또는 경보기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제어부는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불꽃감지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신호전송부를 통해 별도의 화재감지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신호전송부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신호와 센서감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전송부와 케이블을 통해 CCTV 카메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종합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불꽃감지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화재감지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화재감지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신호 및 센서감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종합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 기기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통해 CCTV 카메라 장치에게도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레벨 및/또는 센서감도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불꽃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불꽃감지모듈(200)에 구비된 각 불꽃감지센서(210 및 220)의 불꽃감지레벨 및/또는 감도를 비롯하여 기준 불꽃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염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을 비롯하여 기준 연기감지레벨 및/또는 화염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CCTV 카메라모듈(100)에 구비된 CCTV 카메라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CCTV 카메라모듈(100)에 구비된 CCTV 카메라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및/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CCTV 카메라모듈(100)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각 화재관련 이벤트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CCTV 카메라모듈(100)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등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제어모듈(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을 통해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제어모듈(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모듈(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저장되고, 제어모듈(3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모듈(400)은 전술한 각 모듈들 즉, CCTV 카메라모듈(100), 불꽃감지모듈(200), 제어모듈(300), 및/또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 또는 380V 등)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모듈(40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은 제어모듈(3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300)의 제어에 따라 CCTV 카메라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은 제어모듈(3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데이터 저장모듈(50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별도의 케이블 또는 통신망(10)을 통해 제어모듈(3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이 제어모듈(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과 제어모듈(3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모듈(300)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관리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모듈(300)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또는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별도의 화재관련 DB(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의 화재관련 DB(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는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화재관련 DB(미도시)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클라이언트 단말(8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의 화재관련 DB(미도시)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또는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제어모듈(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610), A/V(Audio/Video) 입력모듈(620), 사용자 입력모듈(630), 센싱모듈(640), 출력모듈(650), 저장모듈(660), 인터페이스 모듈(670), 단말 제어모듈(680) 및 전원모듈(6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61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과 제어모듈(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610)은 방송 수신 모듈(611), 이동 통신 모듈(612), 무선 인터넷 모듈(613), 근거리 통신 모듈(614) 및 위치 정보 모듈(6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6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6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6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615)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6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621)와 마이크부(6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6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6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630)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모듈(64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개폐 상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방위,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6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6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6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651), 음향출력부(652), 알람부(653) 및 햅틱부(6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1)는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6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6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653)는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6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6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6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660)은 단말 제어모듈(6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모듈(6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6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670)은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6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680)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680)은 저장모듈(660)에 저장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실행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등록 정보 등을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모듈(610)을 통해 제어모듈(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680)은 배터리부(6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6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6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690)은 단말 제어모듈(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6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6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6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6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6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단말(600) 및/또는 서버(700), 클라이언트 단말(8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CCTV 카메라모듈,
200 : 불꽃감지모듈,
300 : 제어모듈,
400 : 전원공급모듈,
500 : 영상데이터 저장모듈,
600 : 외부의 단말,
700 : 외부의 서버,
8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19)

  1.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CCTV 카메라모듈;
    상기 CCTV 카메라모듈에 내장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불꽃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불꽃감지모듈;
    상기 CCTV 카메라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데이터 저장모듈; 및
    상기 불꽃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불꽃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으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상일 경우,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레벨에 따라 화재예측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연기감지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레벨에 따라 화재감지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염감지 이벤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화염감지 이벤트가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불꽃감지모듈에는, 물리적 파장과 강도의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하되, 제1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1 불꽃감지센서 및 제2 파장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불꽃감지필터를 장착한 제2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불꽃감지모듈의 제1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1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하고, 상기 불꽃감지모듈의 제2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클 경우 불꽃발생으로 판단하여 제2 불꽃발생알람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불꽃발생알람이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불꽃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출력된 불꽃감지신호의 강도값에 따라 기 설정된 불꽃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기 설정된 화재발생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레벨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된 화재발생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발생 이벤트 생성을 위한 화재발생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를 비롯한 상기 생성된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생성된 화염감지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가 별도의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레벨 또는 센서감도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불꽃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상기 불꽃감지모듈에 구비된 각 불꽃감지센서의 불꽃감지레벨 또는 감도를 비롯하여 기준 불꽃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화염감지 이벤트 판정을 위한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을 비롯하여 기준 연기감지레벨 또는 화염감지레벨이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CCTV 카메라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CTV 카메라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가 동시에 생성될 경우, 상기 불꽃감지 이벤트와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또는 상기 화염감지 이벤트의 조합에 따라 화재발생 알람을 위한 기 설정된 화재발생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각 화재관련 이벤트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와 함께 상기 CCTV 카메라모듈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결합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모듈에 적용된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및 데이터처리 기계 학습방법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파장대역은 서로 다른 범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파장대역은 4.3㎛ 내지 5.0㎛ 범위 및 상기 제2 파장대역은 2.0㎛ 내지 4.2㎛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 2 기준 강도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되,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작게 설정되거나, 상기 제1 기준 강도값은 상기 제2 기준 강도값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관리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리 설치된 화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불꽃감지 이벤트, 연기감지 이벤트, 화염감지 이벤트, 및 화재발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이벤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별도의 화재관련 DB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상기 화재관련 DB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화재관련 DB에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의 화재관련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재감지 알람, 화재예측 알람, 및 화재발생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관련 알람을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화재관련영상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10075783A 2021-06-11 2021-06-11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10236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83A KR102368191B1 (ko) 2021-06-11 2021-06-11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83A KR102368191B1 (ko) 2021-06-11 2021-06-11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191B1 true KR102368191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83A KR102368191B1 (ko) 2021-06-11 2021-06-11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640B1 (ko) *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508615B1 (ko) * 2022-05-23 2023-03-10 테크나인 주식회사 저전력 이동통신 기반 무선 산불 감지 및 확산 알림 장치
KR20240059206A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라이브워크 화재 감지 ai 모델 성능 강화를 위한 ai 모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190B1 (ko) 2010-05-20 2011-04-12 이병호 화재 감지 및 이미지보정 카메라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74893A (ko) * 2013-12-24 2015-07-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감지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604571B1 (ko) * 2015-07-22 2016-03-22 유정무 자외선 센서를 구비한 3파장식 적외선 불꽃 감지기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3096B1 (ko) * 2018-09-14 2019-06-26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232261B1 (ko) * 2020-07-10 2021-03-25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190B1 (ko) 2010-05-20 2011-04-12 이병호 화재 감지 및 이미지보정 카메라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74893A (ko) * 2013-12-24 2015-07-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감지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604571B1 (ko) * 2015-07-22 2016-03-22 유정무 자외선 센서를 구비한 3파장식 적외선 불꽃 감지기
KR101762534B1 (ko) * 2016-02-23 2017-07-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3096B1 (ko) * 2018-09-14 2019-06-26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232261B1 (ko) * 2020-07-10 2021-03-25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615B1 (ko) * 2022-05-23 2023-03-10 테크나인 주식회사 저전력 이동통신 기반 무선 산불 감지 및 확산 알림 장치
KR102464640B1 (ko) *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240059206A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라이브워크 화재 감지 ai 모델 성능 강화를 위한 ai 모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19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10228254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KR101731995B1 (ko)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1849670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유지 관리 시스템
EP3023958A1 (en) House monitoring system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10043377B2 (en) Monitoring system
KR101658362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221437B1 (ko)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10651307A (zh) 远程防灾系统
JP2019527524A (ja) ネットワーク分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映像監視システム
KR101815821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857716B1 (ko) 망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640567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562870B1 (ko) CCTV 감시카메라 방범·방재 그룹핑 Wi-Fi Direct 서비스 제공 ARGOS 타워 및 ARGOS 시스템
JP6159576B2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92430B1 (ko)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40479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능동형 cctv 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16079891A1 (en) Monitoring system
KR20190059825A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
KR101772391B1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20150109624A (ko) 캐릭터형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9485B1 (ko)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1951A (ko) 디지털 트윈 및 인공지능 기반의 재난 대응 및 운영 시스템
KR102286616B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전관방송용 오디오 앰프부 및 스피커 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