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096B1 -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096B1
KR101993096B1 KR1020180109989A KR20180109989A KR101993096B1 KR 101993096 B1 KR101993096 B1 KR 101993096B1 KR 1020180109989 A KR1020180109989 A KR 1020180109989A KR 20180109989 A KR20180109989 A KR 20180109989A KR 101993096 B1 KR101993096 B1 KR 10199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ule
text
information data
stor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택순
노정민
김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0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17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using directory or table look-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06K9/0077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5/920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f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과,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로부터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과,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 및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과,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재생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문자열로 변환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으로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빠르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DATA MANAGEMENT APPARATUS OF DIGITAL VIDEO RECORDER}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빠르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igital Video Recoder, DVR)란 감시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캡쳐 보드에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를 고화질의 디지털신호로 하드디스크(HD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관공서, 금융기관, 백화점, 대형할인매장, 빌딩관리업체, 아파트, 병원, 교도소, 공공식당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효율적인 범죄 예방 및 사업관리가 가능한 보안 시스템이다.
즉,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는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 및 저장매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를 저장하던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VCR)를 대체하여 개발된 영상 저장 장치 중 하나이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는 비디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과 같은 저장매체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정보를 저장하며, 따라서 녹화를 여러 번 반복하더라도 화질이 떨어지지 않고,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편리하며, 또한 편집 및 전송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는 최근에 그 기능이 다양화되어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1대의 모니터에 분할하여 감시할 수 있는 멀티플렉서 기능, 녹화 데이터의 순간 검색 기능, 데이터 백업 기능, 모뎀, LAN, xDSL 등을 통한 실시간 화면 감시 기능 및 음향 감지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기능 저가의 제품이 등장하여 그 사용이 일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4828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빠르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로부터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 및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재생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문자열로 변환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와 연관된 영상의 채널 번호, 시간 및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 순으로 인덱스(index)화 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해석하여 텍스트 정보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라 저장할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에 시간과 채널 정보를 추가하여 이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 범위와 함께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른 텍스트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테이블(Table)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삭제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텍스트 응용 영역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과 같거나 이전의 텍스트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 및 상기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채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의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 및 상기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 및 실내의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화재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 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 및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환경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 또는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센서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부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는, 입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을 통해 수집된 환경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의 환경 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 경고메시지를 사용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음성출력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빠르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의 응용 범위가 영상 위주의 보안 시장에서 주차관제, 환자관리, 물류관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검색 및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검색 및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크게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200),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350), 제어모듈(400), 및 전원공급모듈(4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 화재 감지모듈(700), 카메라 구동모듈(750),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 데이터 통신모듈(900), 음성 출력모듈(950), 디스플레이 모듈(95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예컨대, 주차장, 병원, 학교, 운동장, 건물,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어모듈(4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은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장소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CCTV 등)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 및/또는 백 엔드 칩은 후술하는 제어모듈(4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에는 통상의 인터폰 등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홈-패드(Home-Pad)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도록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Mic) 및/또는 스피커(Speaker) 등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은 제어모듈(4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20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로부터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모듈(955),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모듈(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과 제어모듈(400) 간의 연결은 예컨대, RS232C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이나 TCP/IP 네트워크 등을 사용하여 연결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은 통상적으로 키보드(keyboard) 또는 리모콘(Remote Control)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예컨대, 터치 패드, 마우스(Mouse) 등)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은 제어모듈(4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3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 및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또는 시간 순으로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재생 요청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955),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문자열로 변환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모듈(955),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와 연관된 영상의 채널 번호(예컨대, 특정 카메라의 채널 번호 등), 시간 및/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예컨대, 고유 번호, 번호판, 이벤트 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순으로 인덱스(index)화 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해석하여 텍스트 정보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라 저장할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에 시간과 채널 정보를 추가하여 이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또는 시간 범위와 함께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른 텍스트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테이블(Table) 형태로 디스플레이 모듈(955),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 및 선택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채널 번호 및/또는 시간을 참조하여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검색 및 선택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955),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의 영상삭제 요청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텍스트 응용 영역정보를 참조하여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과 같거나 그 이전의 텍스트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900)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또는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900)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에 저장된 객채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또는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900)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또는 시간 순으로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화재 감지모듈(700)로부터 출력된 화재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 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카메라 구동모듈(75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및/또는 축소되도록 카메라 구동모듈(7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환경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또는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900) 및 통신망(10)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801 내지 805)로부터 측정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센서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을 통해 수집된 환경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의 환경 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6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801 내지 805)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 경고메시지를 사용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음성출력 모듈(950)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95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801 내지 805)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900) 및 통신망(10)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1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데이터 통신모듈(9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데이터 통신모듈(9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제어모듈(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제어모듈(4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제어모듈(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에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제어모듈(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제어모듈(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모듈(400)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및/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제어모듈(4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에 저장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네트워크 관리서버(6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데이터 통신모듈(9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e)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모듈(9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 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방위,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a)는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c)는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데이터 관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데이터 관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 관리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데이터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 관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모듈(450)은 전술한 각 모듈들 즉,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150),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200),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250),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300),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350), 제어모듈(400),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 화재 감지모듈(700), 카메라 구동모듈(750),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 데이터 통신모듈(900), 음성출력 모듈(950),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955)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로(Battery)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모듈(45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어모듈(4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은 객체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감지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는 예컨대, 초음파 센서(미도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의 송수신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머물고 있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는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발생한 후,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돌아온 시간을 가지고 거리를 측정한다. 대략적인 전파 속도는 대략 공기 중에서 약 340m/s 이기 때문에 이 성질을 가지고 객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초음파 센서 이외에 예컨대, 열화상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적외선 패시브 방식(Passive Infrared Ray)의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인체가 센서의 감지 영역에 들어왔을 때 센서에 입사하는 적외선 양은 인체 표면과 배경과의 온도차에 상당한 양만큼 변화하고 적외선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500)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은 제어모듈(4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55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제어모듈(4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은 상기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예컨대, 광 센서부, 압력 센서부 등)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600)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은 제어모듈(4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65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모듈(70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신호를 제어모듈(4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구동모듈(7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100)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및/또는 줌(Zoom) 동작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제어모듈(4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부(801)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부(802)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3)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4)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부(805)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801 내지 8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센서부(801)는 공기 중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측정센서부(801)는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도 측정센서부(802)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보통 수분에 의한 감습 물질의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습도 측정센서부(802)는 크게 저항형 습도센서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 및 모바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의료기기,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자동 냉난방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는 습도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한다. 이 저항형 습도센서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도 반도체 기판에 원칩(one chip) 형태로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 대비 가격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저항형 습도센서에 비하여 신뢰성이 우수하면서도 센서 특성이 선형적이고 온도의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감습막에 흡착되는 물 분자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로서, 수분이 흡수되면 유전율이 변하는 폴리이미드(polyimide)나 세라믹(ceramic) 등의 감습 물질을 유전체로 하는 캐패시터(Capacitor)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즉, 습도를 감지하는 감습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감습층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면서 유전율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이다.
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3)는 입경 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예컨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4)는 입경 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예컨대,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라돈 측정센서부(805)는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예컨대, 이온화 챔버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알파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표면 장벽형(Surface barrier type), 고순도형 반도체 검출기(pure Ge),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섬광)검출기, 고체접합계수기(solid state junction counter)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온화 챔버(pulsed ionization chamber)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 상자 내부 중앙에 탐침 형태의 전극을 설치하고 금속 원통과 내부 탐침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이온화 챔버의 내부에서 알파 붕괴가 발생하여 알파입자가 방출되면 공기와의 충돌로 알파입자는 소멸되지만 이온 전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중앙 탐침을 통하여 흡수하여 신호를 증폭하면 알파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자체가 금속 원통과 탐침으로 구성되어 매우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고 빛과 무관하므로 통기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면 장벽형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반도체의 표면은 표면준위나 산화피막 등 때문에 p-n 접합과 같은 공핍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부근이 전하이동의 장애물로 되어있다. 실용적인 것으로는 n형 si의 표면에 금을 100㎛/㎠정도로 증착시켜 이것을 한쪽 전극으로 하고 이면에 방사선을 입사시킨다. 여기서, 공핍층의 두께는 약 50~500㎛로 여러 가지가 있고 표면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작기 때문에 주로 알파 방사선으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검출에 사용되며 에너지 분해능이 좋다.
상기 고순도 반도체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pure Ge검출기라고도 부른다. 불순물 농도나 결함이 매우 작은 고순도의 Ge결정체이며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매우 높고, 높은 바이어스 전압도 걸 수 있다. Ge(Li)와 다른 점은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고 측정할 때만 액체질소로 냉각시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하기에 편하고 에너지 분해능도 Ge(Li)에 비하여 손색이 없으므로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신틸레이션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전 입자가 어떤 물질에 부딪히면 발광하는 현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유화아연(ZnS) 또는 NaI 도막의 알파 방사선에 의한 발광은 특히 강하고 암실에서는 확대경으로 검출 및 계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발광을 신텔레이션(scintillation, 섬광)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신틸레이터라 한다. 그리고, 신틸레이터에 광전자 증배관을 결합한 것을 신틸레이션 검출기라 부르지만 특히 펄스출력으로서 계수에 사용하는 방법을 신틸레이션 계수관이라 한다.
한편, 출력을 직류적으로 읽는 방법을 취한 것은 주로 선량측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신틸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틸레이션 선량계라 하고, 신틸레이터에는 고체, 액체, 기체 어느 것이나 쓰이고 있으며 액체를 사용하고 있으면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장치라 한다.
상기 고체 접합계수기는 고체 역바이어스 p-n 접합반도체로서 공핍층(depletion layer)을 통과하는 알파입자로부터 이온 전하를 수집하도록 된 계수기로 소형, 이동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의 온도 측정센서부(801), 습도 측정센서부(802), 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3),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804), 및/또는 라돈 측정센서부(805) 등으로부터 각각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등의 환경 정보데이터들을 획득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의 변화(또는 기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압 측정센서부(806),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부(807) 등을 통해 기압, 위치 및 고도 등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800)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은 제어모듈(40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85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모듈(90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모듈(900)은 예컨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저전력 무선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예컨대,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IR)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음성출력 모듈(950)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음성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로서, 유선이나 데이터 통신모듈(900)을 통해 수신된 외부의 음성 데이터나 기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출력 모듈(950)은 통상의 스피커(Speaker)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증폭회로를 비롯한 연결 잭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955)은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4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955)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
150 :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200 :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
250 :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
300 :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
350 :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
400 : 제어모듈,
450 : 전원공급모듈,
500 :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
550 :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
600 :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
650 :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
700 : 화재 감지모듈,
750 : 카메라 구동모듈,
800 :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
850 :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
900 : 데이터 통신모듈,
950 : 음성출력 모듈,
955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30)

  1.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로부터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
    상기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
    실내의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
    상기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감지모듈;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 및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재생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문자열로 변환한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 정보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 및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부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부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및 일산화탄소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복수의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는, 입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로서,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복수의 초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 입력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텍스트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해석하여 텍스트 정보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라 저장할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검색 조건 필드정보들에 시간과 채널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 범위와 함께 기 설정된 텍스트 응용 영역에 따른 텍스트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텍스트 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테이블(Table)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텍스트 데이터 검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검색 및 선택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채널 번호 및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검색 및 선택된 텍스트 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삭제 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의 영상에 대응되는 텍스트 응용 영역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데이터 중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과 같거나 이전의 텍스트 정보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객체 움직임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채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도어락 개폐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채널 번호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화재 감지모듈로부터 출력된 화재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 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 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모듈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로부터 출력된 환경 데이터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환경 정보데이터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데이터의 환경 정보데이터들과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센서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을 통해 수집된 환경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의 환경 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데이터의 환경 정보데이터들이 기 설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 경고메시지를 사용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음성출력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며, 상기 환경 데이터 측정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데이터의 환경 정보데이터들을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별도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모듈 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 또는 텍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객체 움직임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체 움직임 패턴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락 개폐 저장모듈에 저장된 도어락 개폐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기 설치된 데이터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데이터의 환경 정보데이터들을 시간별,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모듈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라돈농도 데이터의 환경 정보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80109989A 2018-09-14 2018-09-14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KR10199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89A KR101993096B1 (ko) 2018-09-14 2018-09-14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89A KR101993096B1 (ko) 2018-09-14 2018-09-14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096B1 true KR101993096B1 (ko) 2019-06-26

Family

ID=6710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89A KR101993096B1 (ko) 2018-09-14 2018-09-14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57B1 (ko) * 2021-01-19 2021-06-01 (주)한컴인텔리전스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1678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웹게이트 얼굴인식 및 발열감지를 이용한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68191B1 (ko) * 2021-06-11 2022-02-28 주식회사 웹게이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5B1 (ko) 2002-08-14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백업 제어방법
KR20130129503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5B1 (ko) 2002-08-14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백업 제어방법
KR20130129503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78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웹게이트 얼굴인식 및 발열감지를 이용한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68181B1 (ko) * 2020-03-31 2022-02-28 주식회사 웹게이트 얼굴인식 및 발열감지를 이용한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58957B1 (ko) * 2021-01-19 2021-06-01 (주)한컴인텔리전스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8191B1 (ko) * 2021-06-11 2022-02-28 주식회사 웹게이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863B1 (ko)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장애관리와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
KR101989561B1 (ko)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993096B1 (ko)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US10176380B1 (en) Trainable versatile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of devices
KR102148638B1 (ko)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발열 감지 장치
KR101919367B1 (ko)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한 환경측정 관리 시스템
US20150161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of multiple cameras for video surveillance
KR10223952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64268B1 (ko)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보안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20140058996A (ko) 사용자 단말, 외부 장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182207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조명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56727B1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를 이용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101957673B1 (ko)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16041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WO2021085857A1 (ko) 라돈 측정기를 이용한 라돈 관리 시스템
KR102168920B1 (ko) Led 조명이 결합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286616B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전관방송용 오디오 앰프부 및 스피커 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KR102368181B1 (ko) 얼굴인식 및 발열감지를 이용한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84466B1 (ko) 위급상황 대비를 위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의 통합 패키징 시스템
KR102419591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KR102199090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02939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JP201715612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探知システム
KR10221825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348326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의료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