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46B1 -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546B1
KR102282546B1 KR1020190098186A KR20190098186A KR102282546B1 KR 102282546 B1 KR102282546 B1 KR 102282546B1 KR 1020190098186 A KR1020190098186 A KR 1020190098186A KR 20190098186 A KR20190098186 A KR 20190098186A KR 102282546 B1 KR102282546 B1 KR 10228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ell
emergency
bell alarm
alarm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625A (ko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주)뉴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콤시스 filed Critical (주)뉴콤시스
Priority to KR102019009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비상벨 버튼 작동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복수의 비상벨 경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앙통제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공서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시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에 신속하게 신고하여 효과적인 범죄 예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통신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EMERGENCY BELL CONTROL SYSTEM BASED IN NETWORK}
본 발명은 비상벨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력, 응급 상황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하여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에 신속하게 신고 및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범죄 예방 및 효율적인 통신비 절감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죄 예방 시스템은 폭력, 응급 상황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신고 및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보안이 취약한 지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보안이 취약한 지역에 각각 설치된 카메라들,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관제장치로 구성된다.
각각의 카메라는 보안이 취약한 지역에서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카메라 관제장치로 송신하고, 사용자는 카메라 관제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을 모니터링(Monitoring)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인지 및 판단한다. 카메라 기반의 범죄 예방 시스템은 사용자의 비상 상황 발생 인지 능력에 따라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에 소모되는 시간이 가변적으로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카메라 기반의 범죄 예방 시스템의 카메라 관제장치가 각각의 카메라에서 송신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영상 인식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된 영상 내의 객체들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각 객체간의 관계와 미리 저장된 상황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리 정해진 상황 데이터와 검출된 각 객체간의 관계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카메라 관제장치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관제장치가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송신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비상 상황을 판별하므로 카메라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없다.
한편, 최근 학교 폭력의 방지 대책이 사회적인 문제이다. 종래 카메라 기반의 범죄 예방 시스템은 카메라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학원 폭력, 응급 상황 등의 비상 상황을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능동적으로 사전에 비상 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5569호(2010.11.19.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력, 응급 상황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하여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받아 볼 수 있어 효과적인 범죄 예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비상벨 경보장치가 원거리의 중앙통제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여러 개의 비상벨 경보장치가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보다 통신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비상벨 버튼 작동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복수의 비상벨 경보장치; 각 비상벨 경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앙통제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공서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비상벨 버튼 작동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복수의 비상벨 경보장치; 각 비상벨 경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앙통제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공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한 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공서 단말기 또는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양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자,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3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비상벨 경보장치는, 외부의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비상 스위치 버튼의 작동에 따라 비상 키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상벨 스위치모듈;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로부터 생성된 비상 키 입력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비상벨 수신모듈; 상기 네트워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로부터 생성된 비상 키 입력신호의 출력여부에 따라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송신하는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 및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비상벨 제어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은,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음성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 음성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오디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획득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은, 상기 음성획득모듈로부터 변환 및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되도록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음성획득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경광등을 점등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경고방송 정보데이터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비상경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벨 제어모듈은,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비상 경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경광등의 점등 및 경고방송을 위한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경고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서버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서버 관리자가 정확하게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신호를 비롯하여 송/수신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비상벨 경보신호 및 송/수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한 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은, 미리 설치된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되거나,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의 발신정보를 별도의 메시지 전송장치로 전달하여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장치;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공서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장치;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서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장치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 받아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와 함께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무선 통신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공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데이터에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상기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의 발신정보가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공서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비상벨 경보장치는, 기 설정된 자가진단 점검시점마다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자체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 제어신호에 따라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공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공서 단말기는,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장치장애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서버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 및 장애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의 발신정보를 별도의 메시지 전송장치로 전달하여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기 설정된 장애진단 점검시점마다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을 위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 상기 생성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비상벨 경보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장애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롯하여 장애 발생정보를 포함한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공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공서 단말기는,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장치장애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서버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 및 장애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의 발신정보를 별도의 메시지 전송장치로 전달하여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양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자,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3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에 따르면, 폭력, 응급 상황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하여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받아 볼 수 있어 효과적인 범죄 예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비상벨 경보장치가 원거리의 중앙통제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여러 개의 비상벨 경보장치가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보다 통신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비상벨 경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공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비상벨 경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공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은, 크게 복수의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 중앙통제서버(200), 및 관공서 단말기(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은 서버 관리자 단말(4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특정 장소(예컨대, 공용 화장실, 공원, 전봇대 등)에 설치되어 비상벨 버튼 작동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기 설정된 자가진단 점검시점마다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자체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 제어신호에 따라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장애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롯하여 장애 발생정보를 포함한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비상벨 스위치모듈(110), 비상벨 수신모듈(120),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 비상벨 제어모듈(140), 및 비상벨 전원공급모듈(1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음성출력모듈(160), 음성획득모듈(170), 비상경고모듈(1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상벨 스위치모듈(11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터치 및/또는 압력에 의한 비상 스위치 버튼(예컨대, 누름 스위치,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입력모듈(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의 작동에 따라 비상 키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비상벨 제어모듈(14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벨 수신모듈(12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벨 스위치모듈(110)로부터 생성된 비상 키 입력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비상벨 제어모듈(1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과 연결됨과 아울러 네트워크(1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벨 스위치모듈(110)로부터 생성된 비상 키 입력신호의 출력여부에 따라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은 소정의 저전력 무선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WMN)를 구축하여 무선으로 통신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유선의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예컨대,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적외선(IR)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비상벨 제어모듈(140)은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비상벨 수신모듈(120)로부터 전달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 전송되도록 비상벨 스위치모듈(110), 비상벨 수신모듈(120) 및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에 기 설정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장치의 이름, 장치의 비밀번호, 장치의 일련번호, 장치의 종류, 장치의 제조회사,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치의 모델 및 장치의 버전, 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벨 제어모듈(140)은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를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 및 음성출력모듈(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상벨 제어모듈(140)은 음성획득모듈(170)로부터 변환 및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 및 네트워크(10)를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되도록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 및 음성획득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상벨 제어모듈(140)은 비상벨 수신모듈(120)로부터 전달된 비상 경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경광등의 점등 및 경고방송을 위한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비상경고모듈(18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상벨 전원공급모듈(150)은 전술한 각 모듈들 즉, 비상벨 스위치모듈(110), 비상벨 수신모듈(120),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 비상벨 제어모듈(140), 음성출력모듈(160), 음성획득모듈(170), 및/또는 비상경고모듈(18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벨 전원공급모듈(15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비상벨 제어모듈(1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되고, 비상벨 제어모듈(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모듈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음성출력모듈(16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 및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130)을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출력모듈(160)은 통상의 스피커(Speaker)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증폭회로를 비롯한 연결 잭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음성획득모듈(17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 음성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오디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획득모듈(170)은 통상의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마이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경고모듈(180)은 비상벨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된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경광등(light bar)을 점등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경고방송 정보데이터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상경고모듈(180)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광등은 예컨대, 백열등, 할로겐 등, 형광등, 나트륨등, 수은등, 방전등,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과 같이 다양한 등이 적용 가능하며, 상기 LED 램프는 고휘도를 낼 수 있으며, 예컨대, 플랫 타입과 사이드 뷰 타입을 사용하여 반사각의 범위를 360ㅀ까지 확장시켜 어느 각도에서도 밝은 휘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LED 램프의 발광 방식은 정전압 또는 정전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램프는 백색(White), 녹색(Green) 및 황색(Amber)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LED 램프의 색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통제서버(200)는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와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10)는 예컨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인트라넷(Intranet),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인터넷(Internet), 또는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등과 같은 정보 통신망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Internet)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가 중앙통제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네트워크(10)가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10)는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와 중앙통제서버(2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 즉, 관공서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서버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하거나,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서버 관리자가 정확하게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신호를 비롯하여 송/수신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비상벨 경보신호 및 송/수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한 후,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무선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서버 관리자 단말(400)이 중앙통제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유/무선 통신망(2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20)은 서버 관리자 단말(400)과 중앙통제서버(2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서버 관리자 단말(400)은 미리 설치된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가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되거나,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240)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의 발신정보를 별도의 메시지 전송장치(270)로 전달하여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관공서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서버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 및 장애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240)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의 발신정보를 별도의 메시지 전송장치(270)로 전달하여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기 설정된 장애진단 점검시점마다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을 위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저장장치(240)에 미리 저장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 상기 생성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관공서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서버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 및 장애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양자가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자,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3자가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통제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네트워크 통신장치(210), 무선 통신장치(220), 디스플레이 장치(230), 저장장치(240), 중앙제어장치(250), 및 전원공급장치(2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200)는 메시지 전송장치(2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통신장치(210)는 중앙제어장치(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25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장치(220)는 중앙제어장치(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250)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관공서 단말기(300)(또는 서버 관리자 단말(40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30)는 중앙제어장치(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250)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서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30)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240)는 중앙제어장치(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250)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 및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 등 비상벨 경보장치와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장치(240)는 중앙제어장치(250)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데이터에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장치(24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중앙통제서버(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네트워크(10) 및 네트워크 통신장치(210)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 받아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25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240)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와 함께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 통신장치(220) 및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관공서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통신장치(210) 및 무선 통신장치(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250)는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250)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저장장치(240)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의 발신정보가 메시지 전송장치(27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260)는 전술한 각 장치들 즉, 네트워크 통신장치(210), 무선 통신장치(220), 디스플레이 장치(230), 저장장치(240), 중앙제어장치(250), 및/또는 메시지 전송장치(27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26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중앙제어장치(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장치(240)에 저장되고, 중앙제어장치(2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시지 전송장치(270)는 중앙제어장치(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관공서 단말기(300)는 중앙통제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공서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걱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 이미지 상에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관공서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공서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해 중앙통제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100-1 내지 100-N)의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장치장애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공서 단말기(300)(또는 서버 관리자 단말(400))는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중앙통제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공서 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310), A/V(Audio/Video) 입력모듈(320), 사용자 입력모듈(330), 센싱모듈(340), 출력모듈(350), 저장모듈(360), 인터페이스 모듈(370), 단말 제어모듈(380) 및 전원모듈(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관공서 단말기(3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관공서 단말기(3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310)은 관공서 단말기(300)와 중앙통제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310)은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 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 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관공서 단말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315)은 관공서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관공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3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3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3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321)와 마이크부(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3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3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330)은 관공서 단말기(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350)의 디스플레이부(351)를 통해 표시되는 비상벨 통제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340)은 관공서 단말기(300)의 개폐 상태, 관공서 단말기(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관공서 단말기(300)의 방위, 관공서 단말기(3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관공서 단말기(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관공서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3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3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3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출력부(352), 알람부(353) 및 햅틱부(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관공서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관공서 단말기(3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3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3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353)는 관공서 단말기(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관공서 단말기(3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3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3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3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360)은 단말 제어모듈(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3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360)은 비상벨 관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비상벨 관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상벨 관리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3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70)은 관공서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관공서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관공서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380)은 통상적으로 관공서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380)은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비상벨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비상벨 관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380)은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비상벨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3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352), 알람부(353), 햅틱부(3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380)은 배터리부(3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3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3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390)은 단말 제어모듈(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3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3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3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3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관공서 단말기(300)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비상벨 경보장치,
200 : 중앙통제서버,
300 : 관공서 단말기,
400 : 서버 관리자 단말

Claims (23)

  1.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비상벨 버튼 작동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복수의 비상벨 경보장치;
    각 비상벨 경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중앙통제서버; 및
    상기 중앙통제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공서 단말기를 포함하되,
    각 비상벨 경보장치는, 기 설정된 자가진단 점검시점마다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자체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 제어신호에 따라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장치장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장애진단 점검시점마다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장 또는 통신오류 점검을 위한 특정의 장애진단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장애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장치장애 발생 시 자신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롯하여 장애 발생정보를 포함한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하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는, 외부의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한 비상 스위치 버튼의 작동에 따라 비상키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상벨 스위치모듈과,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로부터 생성된 비상키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비상벨 수신모듈과,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로부터 생성된 비상키 입력신호의 출력여부에 따라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송신하는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과,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과, 외부의 사용자 음성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오디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획득모듈과,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경광등을 점등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경고방송 정보데이터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비상경고모듈과,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고유 장치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통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비상벨 스위치모듈,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 및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음성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음성획득모듈로부터 변환 및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되도록 상기 비상벨 경보신호 통신모듈 및 상기 음성획득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비상벨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비상 경보신호를 기반으로 각 경광등의 점등 및 경고방송을 위한 특정의 비상경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경고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비상벨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 또는 비상벨 장애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공서 단말기 또는 기 설정된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 맵 또는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상에 맵핑하여 서버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신호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양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버 관리자,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사용자 및 관공서 관리자의 3자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이미지상에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서버 관리자가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신호, 장치장애 발생신호, 장애진단 응답신호 또는 송/수신 오디오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별로 비상벨 경보신호, 장치장애 발생신호, 장애진단 응답신호 또는 송/수신 오디오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치장애 발생신호 또는 장애진단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 발생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공서 단말기로 전송하며, 서버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 및 장애상황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는, 각 비상벨 경보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장치와, 상기 관공서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장치와,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서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 비상벨 경보장치로부터 비상벨 경보신호를 수신받아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와 함께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포함한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공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이미지상에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상기 서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이미지 데이터에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추출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고유 장치식별정보와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고유 장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상기 서버 관리자 단말의 발신정보가 상기 메시지 전송장치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 관리자 단말은, 미리 설치된 비상벨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기반으로 각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가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상에 맵핑되거나 미리 저장된 GIS 맵과 매칭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관공서 단말기는,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비상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감시대상 지도이미지상에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비상벨 경보장치의 장치장애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공서 관리자가 해당 장치장애상황 이벤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90098186A 2019-08-12 2019-08-12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KR10228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86A KR102282546B1 (ko) 2019-08-12 2019-08-12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86A KR102282546B1 (ko) 2019-08-12 2019-08-12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25A KR20210019625A (ko) 2021-02-23
KR102282546B1 true KR102282546B1 (ko) 2021-07-29

Family

ID=7468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86A KR102282546B1 (ko) 2019-08-12 2019-08-12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87B1 (ko) * 2020-02-05 2022-05-25 최옥선 정상동작 확인이 가능한 경보시스템
KR102400392B1 (ko) * 2021-04-01 2022-05-23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비상벨 유지보수 방법
KR102445738B1 (ko) * 2021-10-21 2022-09-21 주식회사 디앤샤인 작동 편의성과 식별력이 향상된 비상벨 장치
KR102488741B1 (ko) * 2022-01-04 2023-01-17 이승우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KR102468532B1 (ko) * 2022-05-16 2022-11-1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능동 음압 조절이 가능한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한 스마트 비상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62452B1 (ko) * 2023-09-22 2024-05-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2614695B1 (ko) * 2023-09-26 2023-12-14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스마트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69B1 (ko)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865788B1 (ko) * 2016-09-22 2018-06-08 동양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유무선 자동전환 비상화상통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25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54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US10051413B2 (en)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ublic safety incident
US10959291B2 (en) Wireless mesh network-based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KR101635429B1 (ko)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KR102170233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US10485055B2 (en)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function configuration switch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same
KR10236819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102164391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761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조명장치 및 전기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US2020027461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terminal
KR201600394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409824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CN111357315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272276B2 (en) Portable Bluetooth speaker device having complex functions
KR20210095472A (ko)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산업용 장비의 온도 및 전류 감시 방법
US20170366965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139541B1 (ko) 4g 이동통신 기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객체용 무선 방송 시스템
EP3082376B1 (en) Network device discovery method and network device discovery system
KR102286616B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전관방송용 오디오 앰프부 및 스피커 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KR102180428B1 (ko) 4g 이동통신 기반의 이동 객체용 무선 방송 장치
KR20180111100A (ko)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220100114A (ko) 보관 및 이동을 위해 차량에 적재된 배터리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98614A (ko) 배터리와 에너지 하베스팅이 내장된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비상벨 시스템
JP6777973B2 (ja) 発信情報活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