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261B1 -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261B1
KR102232261B1 KR1020200085644A KR20200085644A KR102232261B1 KR 102232261 B1 KR102232261 B1 KR 102232261B1 KR 1020200085644 A KR1020200085644 A KR 1020200085644A KR 20200085644 A KR20200085644 A KR 20200085644A KR 102232261 B1 KR102232261 B1 KR 102232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fire
analysis unit
distributing board
therm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권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Priority to KR102020008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시설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열화상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촬영 카메라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영상비교분석부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상기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열화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비교분석부 또는 열화상 분석부에서 상기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은 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배전반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Switch board fire monitoring and extinguish system}
본 발명은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배전반 화재를 감시 또는 진화할 수 있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반이나 배전반, 분전반 등은 전력을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이를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설비로 배전하는 장치로 배전반의 내부에는 고압 개폐기, 계기용 변류기, 고압차단기, 변압기, 저압배전용 차단기, 마그네트 등의 전력기기와 전력계통 보호 및 감시를 위한 계전기 및 계기 등의 전기 부품 등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배전반은 내부의 고압 트랜스나 스위치 접점과 같은 고압 부품들에서의 발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매우 커 배전반 또는 기타 배전설비에는 화재사고를 감시하여 조기에 알리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배전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온도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온도 센서를 이용해 온도를 측정해 왔는데 온도테이프를 이용한 방법은 온도테이프를 부착한 국부적 부분만이 측정가능하여 배전반의 화재 감시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0024호: 배전반의 온도진단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은 배전시설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열화상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촬영 카메라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영상비교분석부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상기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열화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비교분석부 또는 열화상 분석부에서 상기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의 내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센싱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싱 분석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 설치된 소화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소화유닛을 작동시킨다.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콤프레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콤프레셔를 작동시켜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전반은 내부에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개방된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와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되는 기체에 따라 팽창되어 상기 도어와 본체 사이를 폐쇄하는 패킹튜브와, 상기 패킹튜브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주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패킹튜브가 팽창되도록 상기 패킹튜브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부재를 작동시킨다.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된 상기 배전반의 설치면에 대향되는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에, 상기 설치면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전시설이 인입되되, 상기 설치면에 접촉시 상기 설치면에 의해 폐쇄되는 밀폐공간이 마련된 소화커버와, 상기 소화커버를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으로부터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배전시설이 인입된 상태로 상기 밀폐공간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소화커버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은 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배전반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의 배전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의 배전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의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의 소화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100)은 배전시설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열화상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110)와, 상기 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촬영 카메라(120)와, 상기 배전반의 내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센서부(130)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영상비교분석부(140)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에서 제공되는 상기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열화상 분석부(150)와, 상기 감지센서부(13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센싱 분석부(160)와, 상기 영상비교분석부(140), 열화상 분석부(150) 또는 센싱 분석부(160)에서 상기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171)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172)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17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개방된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전시설은 차단기 또는 전력기기 등이 적용된다. 본체는 전면이 개방되며, 후측 내측면에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열화상 카메라(110)는 배전반의 본체 내부 천장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즉, 배전시설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촬영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획득한 열화상 영상정보를 열화상 분석부(150)에 제공한다.
촬영 카메라(120)는 본체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에 마련된 배전시설을 촬영한다. 촬영 카메라(120)는 촬영된 본체 내부의 실시간 영상을 영상비교분석부(140)에 제공한다.
감지센서부(130)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131)와,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32)를 구비한다.
연기감지센서(131)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가스 또는 연기를 감지한다. 상기 연기감지센서(131)는 감지대상에 설치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 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불꽃감지센서(132)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한다. 상기 불꽃감지센서(132)는 화재 발생시 열복사로 방출되는 빛을 센서로 인식하고 식별하는 것으로서, 적외선식 불꽃감지방식, 자외선식 불꽃감지방식 또는 복합식 불꽃감지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센서(131) 및 불꽃감지센서(132)는 감지 정보를 센싱 분석부(160)에 제공한다.
영상비교분석부(140)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한다.
상기 신경망 모델은 관리자 또는 제작자로부터 기입력된 다수의 학습데이터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기법에 따라 처리하여 구축된다. 여기서, 학습데이터는 정상상태의 배전반 내부의 영상 및 화재가 발생된 배전반 내부의 영상 등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신경망 모델은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가 적용될 수 있다. 영상비교분석부(140)는 촬영 카메라(120)에서 제공되는 배전반 내부의 실시간 영상을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여 배전반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별한다.
열화상 분석부(15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서 제공되는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본체 내부의 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본체 내부의 온도 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고온영역을 산출한다. 여기서, 열화상 분석부(150)는 산출된 고온영역의 면적이 기설정된 기준 면적 이상일 경우, 해당 배전반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센싱 분석부(160)는 연기감지센서(131) 및 불꽃감지센서(13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배전반의 화재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센싱 분석부(160)는 연기감지센서(131)에서 연기가 감지되거나 불꽃감지센서(132)에서 배전반 내부에 불꽃이 감지될 경우,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제어모듈(170)은 영상비교분석부(140), 열화상 분석부(150) 또는 센싱 분석부(160)로부터 판별 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제어모듈(170)은 영상비교분석부(140), 열화상 분석부(150) 또는 센싱 분석부(160)에서 배전반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화재 알림 정보를 관리서버(171)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172)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모듈(17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관리서버(171)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172)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100)은 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배전반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200)은 상기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10)에 설치된 소화유닛(2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소화유닛(21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소화용 가스가 충진된 소화탱크와, 상기 소화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탱크에 충진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탱크 및 배출부재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모듈(170)에 의해 작동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배전반(10)에 화재가 발생시, 제어모듈(170)은 소화유닛(210)의 배출부재를 작동시켜 소화용 가스를 배전반(10) 내부로 분사시키므로 배전반(10) 내에 발생된 화재를 소화시킨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소화유닛(2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유닛(210)은 상기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10)에 설치되는 배출관(211)과, 상기 배출관(211)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콤프레셔(212)와, 상기 도어(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12)와 본체(11)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가 상기 배전반(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되는 기체에 따라 팽창되어 상기 도어(12)와 본체(11) 사이를 폐쇄하는 패킹튜브(213)와, 상기 패킹튜브(213)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주입부재(214)를 구비한다.
배출관(211)은 본체(11)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1)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211)의 단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콤프레셔(212)는 배출관(211)에 설치되어 배전반(10)의 본체(11) 내부를 배출관(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콤프레셔(212)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송풍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킹튜브(213)는 본체(11)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도어(12)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도어(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궤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상기 패킹튜브(213)는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마련되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부재(214)는 주입관을 통해 상기 패킹튜브(213)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 위해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충진된 주입탱크(215)와, 상기 주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70)은 상기 배전반(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소화유닛(210)을 작동시킨다. 즉, 제어모듈(170)은 영상비교분석부(140), 열화상 분석부(150) 또는 센싱 분석부(160)에서 배전반(10)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패킹튜브(213)가 팽창되게 상기 패킹튜브(213)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주입관이 개방되게 개폐밸브(216)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170)은 배전반(10)에 화재 발생시, 상기 배전반(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콤프레셔(212)를 작동시켜 상기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배전반(10)에 화재가 발생시, 제어모듈(170)은 패킹튜브(213)를 팽창시켜 외기가 본체(1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11) 내부의 산소를 배전반(10)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배전반(10) 내의 산소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화재가 소화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화유닛(2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유닛(220)은 상기 배전시설(13)이 설치된 상기 배전반(10)의 설치면(16)에 대향되는 상기 배전반(10)의 내측면에, 상기 설치면(16)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전시설(13)이 인입되되, 상기 설치면(16)에 접촉시 상기 설치면(16)에 의해 폐쇄되는 밀폐공간(223)이 마련된 소화커버(221)와, 상기 소화커버(221)를 상기 배전반(10)의 내측면으로부터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222)를 구비한다.
소화커버(221)는 배전시설(13)에 대향되는 도어(12)의 내측면에, 액츄에이터(222)에 의해 배전시설(13)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소화커버(221)는 배전시설(13)에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도어(12) 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밀폐공간(223)이 형성된다. 한편, 소화커버(221)는 배전반(10)의 설치면(16)에 접촉시, 해당 설치면(16)과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가장자리에 기밀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화커버(221)는 배전시설(13)에 발생된 화재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222)는 배전반(10)의 본체(11)에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소화커버(221)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2)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와 같은 유압 기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모듈(170)은 상기 배전반(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배전시설(13)이 인입된 상태로 상기 밀폐공간(223)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소화커버(221)가 상기 설치면(16)에 접촉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2)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모듈(170)은 영상비교분석부(140), 열화상 분석부(150) 또는 센싱 분석부(160)에서 배전반(10)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액츄에이터(222)를 작동시켜, 배전시설(13)이 인입된 상태로 밀폐공간(223)이 밀폐되도록 소화커버(221)를 설치면(16)에 밀착시킨다. 이때, 밀폐된 소화커버(221)의 밀폐공간(223) 내에 산소가 감소하여 배전시설(13)에 발생된 화재가 소화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110: 열화상 카메라
120: 촬영 카메라
130: 감지센서부
131: 연기감지센서
132: 불꽃감지센서
140: 영상비교분석부
150: 열화상 분석부
160: 센싱 분석부
170: 제어모듈
171: 관리서버
172: 단말기

Claims (7)

  1. 배전시설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열화상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촬영 카메라;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영상비교분석부;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상기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열화상 분석부;
    상기 영상비교분석부 또는 열화상 분석부에서 상기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 설치된 소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소화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배전반은
    내부에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 및
    개방된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콤프레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와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되는 기체에 따라 팽창되어 상기 도어와 본체 사이를 폐쇄하는 패킹튜브; 및
    상기 패킹튜브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주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콤프레셔를 작동시켜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패킹튜브가 팽창되도록 상기 패킹튜브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부재를 작동시키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센싱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싱 분석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하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배전시설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열화상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촬영 카메라;
    상기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기구축된 신경망 모델에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적용하여 해당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영상비교분석부;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상기 열화상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전반의 화재 발생을 판별하는 열화상 분석부;
    상기 영상비교분석부 또는 열화상 분석부에서 상기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재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전반에 설치된 소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소화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배전시설이 설치된 상기 배전반의 설치면에 대향되는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에, 상기 설치면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전시설이 인입되되, 상기 설치면에 접촉시 상기 설치면에 의해 폐쇄되는 밀폐공간이 마련된 소화커버; 및
    상기 소화커버를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으로부터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배전시설이 인입된 상태로 상기 밀폐공간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소화커버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KR1020200085644A 2020-07-10 2020-07-10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KR102232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44A KR102232261B1 (ko) 2020-07-10 2020-07-10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644A KR102232261B1 (ko) 2020-07-10 2020-07-10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261B1 true KR102232261B1 (ko) 2021-03-25

Family

ID=7522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44A KR102232261B1 (ko) 2020-07-10 2020-07-10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2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191B1 (ko) * 2021-06-11 2022-02-28 주식회사 웹게이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102519550B1 (ko) * 2022-08-26 2023-04-13 주식회사 주왕산업 화재 감시 및 자가 진단 시스템
KR20230057162A (ko) * 2021-10-21 2023-04-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96923B1 (ko) 2023-01-13 2023-11-01 경성산업 주식회사 화재와 과전류 감시 및 대응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671900B1 (ko) * 2023-02-28 2024-06-05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스마트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596A (ko) * 2006-06-16 2006-07-05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타입 변전실의 배전반 지지구조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70024B1 (ko) 2016-06-14 2018-07-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온도진단 장치
KR102073154B1 (ko) *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596A (ko) * 2006-06-16 2006-07-05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타입 변전실의 배전반 지지구조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70024B1 (ko) 2016-06-14 2018-07-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온도진단 장치
KR102073154B1 (ko) *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191B1 (ko) * 2021-06-11 2022-02-28 주식회사 웹게이트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20230057162A (ko) * 2021-10-21 2023-04-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648409B1 (ko) * 2021-10-21 2024-03-1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19550B1 (ko) * 2022-08-26 2023-04-13 주식회사 주왕산업 화재 감시 및 자가 진단 시스템
KR102596923B1 (ko) 2023-01-13 2023-11-01 경성산업 주식회사 화재와 과전류 감시 및 대응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671900B1 (ko) * 2023-02-28 2024-06-05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스마트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261B1 (ko) Ai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KR101880864B1 (ko)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KR100984679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KR102217555B1 (ko)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231280B1 (ko) 안전진단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068036B1 (ko) 감지센서를 통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보조배터리 충전 스테이션
KR101998279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 장치
KR101817940B1 (ko) 듀얼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7078475B (zh) 空气绝缘中压开关柜以及用于空气绝缘中压开关柜的探针系统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648853A (zh) 一种高压开关柜早期火灾模式识别与分级预警系统
CN113018728A (zh) 一种电缆隧道火灾分级研判消防系统
HU231510B1 (hu) Kompakt hűtő és tűzoltó rendszer
CN212282621U (zh) 防火电气控制柜
KR102508542B1 (ko) Ess용 통합배전반
KR102082148B1 (ko) 가스를 이용한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4418B1 (ko) 빅데이터에 기반해 작동되는 자동소화시스템
KR102543378B1 (ko) 아크, 핫스팟 화재 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2154339B1 (ko) 열차 방재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CN217162922U (zh) 一种高压开关柜火灾预警系统及高压开关柜
KR20210029922A (ko) 실시간 실험실 모니터링 시스템
CN109540398A (zh) 基于无线Mesh的SF6气体泄漏监测报警系统及方法
KR101810584B1 (ko)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1754891B1 (ko) 시각적 온도 감지 영역이 구비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