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821B1 -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821B1
KR101815821B1 KR1020170137551A KR20170137551A KR101815821B1 KR 101815821 B1 KR101815821 B1 KR 101815821B1 KR 1020170137551 A KR1020170137551 A KR 1020170137551A KR 20170137551 A KR20170137551 A KR 20170137551A KR 101815821 B1 KR101815821 B1 KR 101815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connection
communication
iot device
connec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덕
최원종
Original Assignee
(주)경인씨엔에스
김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씨엔에스, 김창덕 filed Critical (주)경인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3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대상 구역이나 특정 사물에 설치되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와, 복수개의 통신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며, 그 판단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네트워크 감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복수개의 통신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에 대해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ING NETWORK COMMUNICATION POWER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NETWORK MONITOR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라 칭함)은 기존의 유선 통신기반 인터넷 및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인터넷으로서,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이 결합되어 사람과 사물 또는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다.
한편, 통신 기술의 변환에 따라 초기 유선 통신 시대에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사물간의 연결을 통해서만 데이터 교환이 발생함으로써 매개체로서 사람의 개입이 요구되었으나, 점차적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로 통신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나아가 사물 간의 자율적 통신도 가능한 사물통신(M2M)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IoT 기술로의 진화에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예컨대, CCTV 시스템 또는 통신 네트워크 관련장비 등)이 IoT 디바이스로 변환되고 있으며, IoT 디바이스가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은 각 IoT 디바이스 단에서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구동 이외에도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외부의 통신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채널을 타고 전송되는 신호의 노이즈나 통신채널 상의 문제 또는 해당 IoT 디바이스의 오작동으로 인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해당 IoT 디바이스가 항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네트워크 통신 끊김 사고가 불편을 주거나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항시 확인해야하고 네트워크 연결 접속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에는 이를 빠르게 복구 처리해야 한다.
이때,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장애가 나면 관리자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어느 포인트에서 어떻게 안되는지를 찾아내는 일이다. 하지만 보통의 관리자들에게는 어느 포인트의 장애인지 찾아내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가장 손쉽고 정확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통신장비의 재부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리자가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항시 확인하고, 장애가 발생 시 네트워크 통신장치의 전원을 일일이 온/오프(ON/OFF)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항시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 연결 상의 문제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자동 복구관리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자동 복구관리 시스템은 테스트를 하고자하는 대상 호스트(Host)로 핑(ping)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핑(ping)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의 운영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핑(ping) 신호는 해당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인터넷 통신선, 통신사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핑(ping)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의 자동 복구 관리 시스템은 일괄된 핑(ping) 신호의 기준값으로 통신 네트워크 연결상의 문제를 체크하고 해결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자동 복구시키는 속도가 느리고, 통신 네트워크가 자동 복구되더라도 그 연결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황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자주 짧은 시간으로 통신 네트워크 연결 접속 끊김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종래 기술과 같이 매번 재부팅을 하게 되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핑(ping) 신호를 체크하고 관리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포인트가 한 개소가 아니고 여러 개일 경우에 멀티 코드 타입의 각 전원제어기 같이 다수의 장비를 동시에 관리하는 것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자동 복구 관리 시스템에서는 통신 문제로 동시에 전체 통신채널의 전원을 리셋(Reset)함으로써, 비정상적인 통신채널이외의 정상적인 다른 통신채널도 전원이 리셋(Reset)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698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통신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에 대해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 상황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자주 짧은 시간으로 통신 네트워크 연결 접속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매번 재부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여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연결 상의 문제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해결하고, 보다 안정적인 통신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시대상 구역이나 특정 사물에 설치되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및 복수개의 통신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며, 그 판단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네트워크 감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복수개의 통신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에 대해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균등하게 분배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이후에 적어도 1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이후에 적어도 1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가 복수 회로 설정될 경우,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상기 설정된 복수 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또는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서로 다르게 설정 및 변경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연결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연결횟수보다 클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결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연결이 기 설정된 기준 연속횟수만큼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속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해당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감시시간동안 기 설정된 기준 리셋횟수 이상일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라도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감시시간, 상기 기준 리셋횟수,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의 통신채널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각 IoT 디바이스의 로그(log) 상황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거나 별도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지연시간까지 체크되지 않을 경우, 외부로부터 해킹되었거나 비정상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판단하여 해당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외부접근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네트워크의 외부접근 경보메시지가 통보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지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의 통신채널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특정 경보를 알리는 특정 경보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생성된 특정 경보데이터에 따라 해당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고, 상기 생성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경보해제를 위한 디바이스의 동작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별도의 스케줄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IoT 디바이스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관련장비,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조명 센서, 조도 센서, 가전기기, 또는 도어락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개의 통신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에 대해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 상황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자주 짧은 시간으로 통신 네트워크 연결 접속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매번 재부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여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연결 상의 문제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해결하고, 보다 안정적인 통신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을 이용한 네트워크(Network)(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는 감시대상 구역이나 특정 사물 등에 설치되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 통신기반 인터넷 및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인터넷으로서,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이 결합되어 사람과 사물 또는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다.
한편, 통신 기술의 변환에 따라 초기 유선 통신 시대에는 PC와 같은 사물간의 연결을 통해서만 데이터 교환이 발생함으로써 매개체로서 사람의 개입이 요구되었으나, 점차적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로 통신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나아가 사물 간의 자율적 통신도 가능한 사물 통신(M2M: Machine to Machine)으로 발전하였다.
즉, IoT(사물인터넷)이란,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 세계(Virtual World)의 다양한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시설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 컴퓨팅 기기들이 사물에 연결되어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지능통신을 할 수 있는 사물 통신(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을 하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이러한 IoT(사물인터넷)으로의 진화에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이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로 변환되고 있으며, IoT(사물인터넷)이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는 예컨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관련장비(예컨대, CCTV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통신모뎀(Modem),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허브(Hub) 등),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조명 센서, 조도 센서, 가전기기, 또는 도어락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는 배터리 전력으로 장기간(예컨대,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초 저전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을 보전하기 위해, 로컬 통신채널은 블루투스 저에너지(LE)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을 이용한 네트워크(20)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2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가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네트워크(20)가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2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와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check)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판단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Reset Mode)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복수개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예컨대, 10-1)에 대해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예컨대, 10-2 내지 10-N)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Test Standby Mode)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 문제로 동시에 전체 통신채널(10-1 내지 10-N)의 전원을 모두 리셋(Reset)을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예컨대, 통신선, 통신사 등)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일 예로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1분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에 10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를 체크하는데, 1분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균등하게 나누어서 10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20)의 상황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자주 짧은 시간(time)으로 네트워크(20)의 연결 접속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매번 재부팅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네트워크(20)가 불안정한 것을 인정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 즉,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여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균등하게 분배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다른 예로 임의의 시간 즉,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이후에 적어도 1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임의의 시간 즉, 60초 후에 한 번에 10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20)의 상황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하여 자주 짧은 시간(time)으로 네트워크(20)의 연결 접속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매번 재부팅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네트워크(20)가 불안정한 것을 인정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 즉,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여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전술한 다른 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가 복수 회로 설정될 경우,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상기 설정된 복수 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예컨대, 통신선, 통신사 등)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또는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속도값)(예컨대, Time<1000ms)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예컨대,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속도가 1000ms 이하일 경우), 네트워크(20)의 연결이 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속도값)(예컨대, Time<1000ms)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예컨대,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속도가 1000ms 이상일 경우), 네트워크(20)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의 리셋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속도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서로 다르게 설정 및 변경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속도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20)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20)의 비정상적인 연결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연결횟수보다 클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의 리셋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결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속도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20)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20)의 비정상적인 연결이 기 설정된 기준 연속횟수만큼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의 리셋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속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해당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감시시간(예컨대, 24시간)동안 기 설정된 기준 리셋횟수 이상일 경우, 네트워크(20)의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라도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의 리셋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예컨대, 2분 등)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기준 감시시간, 상기 기준 리셋횟수,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별도의 스케줄모드(Schedule Mode)에 따라 기 설정된 날짜별 및/또는 시간별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로그(log) 상황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거나 별도의 관리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Server)(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지연시간까지 체크되지 않을 경우, 외부로부터 해킹(hacking)되었거나 비정상적인 트래픽(traffic)의 증가로 판단하여 해당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외부접근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400)로 네트워크의 외부접근 경보메시지가 통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기준 지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통신채널(10-1 내지 10-N)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의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특정 경보를 알리는 특정 경보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감시장치(200)는 상기 생성된 특정 경보데이터에 따라 해당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경보해제를 위한 디바이스(Device)(예컨대, 팬이나 히터 등)의 동작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함체의 문 열림이 있을 경우 일정시간 경보를 알리고 전원을 차단하거나 온도 및/또는 습도에 따라 팬(Pan)이나 히터(Heater) 등의 동작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함체의 문이 열리면 자석 센서가 감지하여 관리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400)에 경보 또는 팝업(Pop-up)으로 알려주며, 충격이나 일정 수의 센서 등의 물넘침 정도를 파악하여 관리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400)에 경보 또는 팝업으로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경보해제 제어신호는 각 센서 즉, 각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에서 나오는 센싱 데이터(예컨대, 온도나 습도 값)에 따라 해당 IoT 디바이스(100-1 내지 100-N)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경보해제를 위한 디바이스(Device)(예컨대, 팬이나 히터 등)의 동작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3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310), A/V(Audio/Video) 입력모듈(320), 사용자 입력모듈(330), 센싱모듈(340), 출력모듈(350), 저장모듈(360), 인터페이스 모듈(370), 단말 제어모듈(380) 및 전원모듈(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관리자 단말(3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관리자 단말(3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310)은 관리자 단말(300)과 네트워크 감시장치(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310)은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 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 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관리자 단말(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315)은 관리자 단말(3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3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3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감시장치(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3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321)와 마이크부(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3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3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330)은 관리자 단말(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350)의 디스플레이부(351)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감시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340)은 관리자 단말(300)의 개폐 상태, 관리자 단말(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관리자 단말(300)의 방위, 관리자 단말(3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관리자 단말(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관리자 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3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3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3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출력부(352), 알람부(353) 및 햅틱부(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관리자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관리자 단말(3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3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3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353)는 관리자 단말(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3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3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3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360)은 단말 제어모듈(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3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감시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360)은 네트워크 감시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네트워크 감시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감시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3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70)은 관리자 단말(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관리자 단말(3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관리자 단말(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380)은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380)은 저장모듈(360)에 저장된 네트워크 감시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감시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 감시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네트워크 감시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380)은 상기 네트워크 감시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감시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3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352), 알람부(353), 햅틱부(3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380)은 배터리부(3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3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3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390)은 단말 제어모듈(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3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3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3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3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3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IoT 디바이스,
200 : 네트워크 감시장치,
300 : 관리자 단말,
400 : 서버

Claims (19)

  1. 감시대상 구역이나 특정 사물에 설치되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및
    복수개의 통신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며, 그 판단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모드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네트워크 감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복수개의 통신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채널에 대해 리셋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나머지 통신채널들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까지 대기하는 테스트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균등하게 분배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이후에 적어도 1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이후에 적어도 1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각 IoT 디바이스의 기 설정된 통신채널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가 복수 회로 설정될 경우,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을 상기 설정된 복수 회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6.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시간,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지연시간, 또는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7.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8.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서로 다르게 설정 및 변경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0.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연결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연결횟수보다 클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결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1.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의 수행동안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연결이 기 설정된 기준 연속횟수만큼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의 기준값 및 상기 기준 연속횟수를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2.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해당 전원을 오프/온(OFF/ON)하는 리셋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감시시간동안 기 설정된 기준 리셋횟수 이상일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긴 경우라도 해당 네트워크 감시장치의 리셋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감시시간, 상기 기준 리셋횟수,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3.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의 통신채널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각 IoT 디바이스의 로그(log) 상황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거나 별도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4.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수행횟수마다 상기 체크된 네트워크 연결확인 응답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지연시간까지 체크되지 않을 경우, 외부로부터 해킹되었거나 비정상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판단하여 해당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의 비정상적인 외부접근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네트워크의 외부접근 경보메시지가 통보되도록 제어하며,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지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5.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IoT 디바이스의 통신채널을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특정 경보를 알리는 특정 경보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상기 생성된 특정 경보데이터에 따라 해당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보해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 주변에 별도로 설치된 경보해제를 위한 디바이스의 동작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7.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별도의 스케줄모드에 따라 기 설정된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8.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관련장비,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조명 센서, 조도 센서, 가전기기, 또는 도어락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감시장치는, 각 IoT 디바이스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채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170137551A 2017-10-23 2017-10-23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815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51A KR101815821B1 (ko) 2017-10-23 2017-10-23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51A KR101815821B1 (ko) 2017-10-23 2017-10-23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821B1 true KR101815821B1 (ko) 2018-01-05

Family

ID=6100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551A KR101815821B1 (ko) 2017-10-23 2017-10-23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8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944B1 (ko) 2018-01-31 2018-05-24 (주)베스트인포텍 지능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통신 시스템
WO2020145599A1 (ko) * 2019-01-07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39102B1 (ko) * 2020-11-17 2021-04-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 중계 시스템
WO2023219234A1 (ko) * 2022-05-13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0916A1 (en) 2014-05-08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ower saving mode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160046A1 (ko) 2016-03-14 2017-09-21 김창호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0916A1 (en) 2014-05-08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ower saving mode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160046A1 (ko) 2016-03-14 2017-09-21 김창호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944B1 (ko) 2018-01-31 2018-05-24 (주)베스트인포텍 지능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통신 시스템
WO2020145599A1 (ko) * 2019-01-07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39102B1 (ko) * 2020-11-17 2021-04-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 중계 시스템
WO2023219234A1 (ko) * 2022-05-13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70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815821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KR101842379B1 (ko) 지능형 전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작동 디바이스
EP29339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monitoring
KR10166828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 기반의 조명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7870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가전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87871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KR101876183B1 (ko)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RU2644410C2 (ru) Способ для напомин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напоминания
CN110352606A (zh) 一种连接网络的方法、移动终端、电子设备和图形用户界面
KR20210089867A (ko) IR 제어기기의 IoT 연동 시스템
EP3389332B1 (en) Commission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KR20180088937A (ko) 스마트 소켓 상의 전자 디바이스 유형의 식별 방법 및 장치
US107213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o implement power saving mode by stopp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KR10236819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연기 및 화재 감지가 가능한 cctv 카메라 장치
KR20170085479A (ko)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363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KR10187870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방범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70047055A (ko) 전원제어 시스템
US10079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000005B1 (ko)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US10181261B2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20190026113A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70083881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