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339B1 - 얼음저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39B1
KR102366339B1 KR1020170040645A KR20170040645A KR102366339B1 KR 102366339 B1 KR102366339 B1 KR 102366339B1 KR 1020170040645 A KR1020170040645 A KR 1020170040645A KR 20170040645 A KR20170040645 A KR 20170040645A KR 102366339 B1 KR102366339 B1 KR 10236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ce
connection
driv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829A (ko
Inventor
김철호
문현석
이권재
최인두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65G65/463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얼음저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장착공간과 얼음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상기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며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저장공간에서 회전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저장고{ICE STORAGE}
본 발명은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것으로, 얼음저장고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예컨대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얼음저장고로 이동하여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얼음저장고에는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얼음토출구가 형성된다.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은 얼음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는 이송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은 이송부재의 저장공간에서의 회전에 의해서 얼음토출구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부재에 의해서 얼음토출구로 이송된 얼음은 얼음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 이러한 구성의 얼음저장고에서는 이송부재가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서 얼음저장공간의 저장공간을 세척하지 못하거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이송부재의 세척도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에 의해서, 얼음저장고의 위생성이 저하되었으며, 사용자에게 오염된 얼음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송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하더라도 이송부재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이송부재를 다시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 제대로 구비되지 않아서 이송부재가 작동되지 못하거나, 고장이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9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얼음저장고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얼음저장고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얼음저장고에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얼음저장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얼음저장고에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장착공간과 얼음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상기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며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저장공간에서 회전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상기 저장부재가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저장부재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의 형상은 상기 저장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얼음토출구 측이 높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얼음토출구 반대측의 상기 저장고본체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고본체는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얼음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고본체는 상기 본체부재와 토출구형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결공간형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재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저장부재에 연결되는 제1회전연결보조부재, 상기 제1회전연결보조부재에 연결되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연결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는 상기 회전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제1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제1이동가이드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부재관통구멍 사이의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부분에 걸리며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1부재멈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저장부재에 구비되는 회전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축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축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연결부에 포함되는 회전연결부재가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연결홈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끼움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축부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어 연결보조부재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포함되는 구동연결부에 포함된 구동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형성된 구동걸림턱에 걸리는 구동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이송부재에 포함되는 제2연결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포함되는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연결부재, 상기 구동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연결보조부재 및, 상기 구동연결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구동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구동돌기가 걸리는 구동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연결부재에는 상기 구동축이 끼워져서 연결되는 축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는 상기 구동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며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연결관통구멍과 연통되는 제2이동가이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연결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구멍에 형성된 부재멈춤턱에 걸리는 제2부재멈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구멍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얼음저장고에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얼음저장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얼음저장고에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저장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회전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도어부와 이와 관련된 저장고본체의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0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에서 저장고본체와 저장부재 및 이송부재가 연결되고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1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저장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회전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도어부와 이와 관련된 저장고본체의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10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에서 저장고본체와 저장부재 및 이송부재가 연결되고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의 일실시예는 저장고본체(200), 저장부재(300), 이송부재(400) 및, 회전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장착공간(211)과 얼음토출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211)에는 후술하고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공간(211)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부재(300)가 장착공간(211)에 구비되고, 장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부재(300)가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재(3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착공간(21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부재(3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착공간(211)의 형상은 저장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장착공간(2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부재(3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얼음토출구(221)로부터는, 이송부재(400)에 의해서 얼음토출구(221)로 이송된, 저장부재(300)에 형성된 후술할 저장공간(310)에 저장된 얼음(도시되지 않음)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얼음토출구(221)는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과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에는 저장공간(310)과 연결되는 저장연통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본체(2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구(221)에 연통되고 저장연통구멍(311)과 연결되는 본체연통구멍(2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연통구멍(213)은 저장고본체(200)에 형성되는 후술할 연결공간(231)에 의해서 얼음토출구(221)에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음토출구(221)와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이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토출구(221)와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이 연통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제빙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공간(212)은 도1과 도2 및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211)에 이웃하게 저장고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구획벽(PT)이 구비되어, 저장고본체(200)에 형성된 공간을 나누어서 장착공간(211)과 제빙공간(212)을 형성함으로써, 장착공간(211)과 제빙공간(212)이 서로 이웃하도록 저장고본체(200)에 장착공간(211)과 제빙공간(2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고본체(200)에 장착공간(211)과 제빙공간(212)을 형성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빙공간(212)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으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빙공간(212)에 구비되는 제빙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을 만들어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연결관통구멍(21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통구멍(214)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와 함께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 이송부재(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연결부재(4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에 형성되는 구동돌기(442)가 연결관통구멍(2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는 저장부재(300)에 형성되는 후술할 돌기관통구멍(315)을 관통하여 연결관통구멍(214)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관통구멍(214) 둘레의 저장고본체(200)의 부분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삽입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부재삽입부(215)에는 회전구동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구동연결부(510)에 포함되는 구동연결보조부재(51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고정돌기(216)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고정돌기(216)에는 저장부재(300)에 형성된 후술할 끼움고정구멍(312)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상태에서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토출구형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장착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제빙공간(212)과 본체연통구멍(213), 연결관통구멍(214) 및, 부재삽입부(215)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끼움고정돌기(216)도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형성부재(220)는 본체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구형성부재(220)가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토출구형성부재(220)에는 전술한 얼음토출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는 연결공간형성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공간형성부재(230)는 본체부재(210)와 토출구형성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공간형성부재(230)가 본체부재(210)와 토출구형성부재(2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연결공간형성부재(230)에 의해서 본체부재(210)와 토출구형성부재(220) 사이에 연결공간(2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재(210)의 본체연통구멍(213)과 토출구형성부재(220)의 얼음토출구(221) 사이에 연결공간(2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재(21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으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연결공간(231)을 통해 얼음토출구(221)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재(300)의 저장연통구멍(311)과 본체부재(210)의 본체연통구멍(213)을 통해 배출된 얼음이 연결공간(231)을 통해 얼음토출구(221)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공간형성부재(230)에는 드레인구(23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구(232)를 통해 연결공간(231)을 이동하는 얼음의 일부가 녹은 물이나 연결공간(231)에 유입된 얼음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착공간(211)과 얼음토출구(221)가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재(300)에는 저장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 저장공간(310)은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와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재(300)에는 저장공간(310)과 연결되는 저장연통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연통구멍(311)은 저장고본체(200)의 본체연통구멍(213)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고본체(200)의 본체연통구멍(213)은 전술한 연결공간형성부재(230)에 의해서 형성된 연결공간(231)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공간(310)이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와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공간(310)이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와 연통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상태에서 저장공간(310)에는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310)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공간(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예컨대 저장고본체(200)의 제빙공간(212)에 구비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공간(310)으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공간(310)으로 이동하여 저장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재(300)는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1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의 상부가 개방되고, 장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거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의 형상은 저장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에는 끼움고정구멍(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300)의 끼움고정구멍(312)에는 저장고본체(200)의 전술한 끼움고정돌기(216)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된 상태에서, 끼움고정구멍(312)에 저장고본체(200)의 끼움고정돌기(216)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끼움고정구멍(312)으로부터 저장고본체(200)의 끼움고정돌기(216)가 분리되면, 저장부재(300)를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저장부재(3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고정부재(313)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고정부재(313)는,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서,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과 제빙공간(212)을 나누도록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는 구획벽(PT)의 상단 일부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끼움고정부재(313)가 저장고본체(200)의 구획벽(PT)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저장부재(300)를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3과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에는 설치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314)는, 예컨대 저장연통구멍(311)이 형성된 저장부재(30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314)에는 설치구멍(314a)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구멍(314a)에는 후술할 회전연결부(320)에 포함되는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가 삽입되어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재(3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관통구멍(315)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300)의 돌기관통구멍(315)에는 이송부재(400)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재(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연결부재(440)에 형성되는 구동돌기(442)가 저장부재(300)의 돌기관통구멍(315)을 관통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310)은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 측이 높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기로부터 저장공간(310)으로 이동된 얼음은 상대적으로 낮은 얼음토출구(221) 반대측의 저장공간(310)의 부분으로 먼저 이동되어 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310)에 저장된 얼음은 이송부재(400)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재(400)에 의한 얼음의 이송이 멈춘다고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310)이 얼음토출구(221) 측이 높기 때문에, 이송되던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얼음토출구(221) 반대측의 저장공간(310)의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토출구(221) 주변의 저장공간(310)의 부분에는 얼음이 쌓여 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에 의한 저장공간(310)에서의 얼음토출구(221) 측으로의 얼음의 이송과, 얼음토출구(221)로부터의 얼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얼음토출구(221) 주변의 저장공간(310)의 부분에 얼음이 쌓여서 저장공간(310)에 얼음이 가득 차지 않은데도 가득 찬 것으로 감지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재(300)에는 회전연결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320)에는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회전연결부(320)에 연결되어 저장공간(310)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일측을 회전연결부(320)로부터 분리하여, 이송부재(400)를 저장부재(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320)는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 회전연결부재(323) 및, 제1탄성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는 저장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는 저장연통구멍(311)이 형성된 저장부재(3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연통구멍(311)이 형성된 저장부재(300)의 부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구멍(314a)이 형성된 설치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가 설치구멍(314a)에 삽입되어 볼트 등에 의해서 설치부(314)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가 저장부재(3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는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는 걸어맞춤으로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가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에는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의 개방된 일측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가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회전연결보조부재(321)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는 회전연결부재(323)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는 제1탄성부재(324)가 구비되어 회전연결부재(323)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에는 부재관통구멍(322b)이 형성될 수 있다. 부재관통구멍(322b)은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연결될 수 있다. 부재관통구멍(322b)은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연결되도록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재관통구멍(322b)의 내경은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부재관통구멍(322b)에는 회전연결부재(323)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부재관통구멍(322b)을 관통한 회전연결부재(323)의 부분에는 이송부재(400)의 일측, 예컨대 이송부재(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1연결부재(43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323)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연결부재(323)의 일부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전술한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323)에는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부재관통구멍(322b)을 관통한 회전연결부재(323)의 일부에 이송부재(400)의 일측, 예컨대 이송부재(400)의 제1연결부재(43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연결부재(323)에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연결되면, 이송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회전연결부재(323)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연결부재(323)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연결부재(323)로부터 이송부재(400)의 일측을 분리한 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로부터 이송부재(400)를 분리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323)의 외주에는 제1부재멈춤돌기(323a)가 형성될 수 있다. 부재멈춤돌기(323a)는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과 부재관통구멍(322b)의 사이의 회전연결부재(323)의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연결부재(323)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부재멈춤돌기(323a)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324)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회전연결부재(323)에 제1탄성부재(324)의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24)는 회전연결부재(323)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24)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탄성부재(324)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324)는 회전연결부재(323)의 제1부재멈춤돌기(323a)를 탄성지지하여 회전연결부재(323)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24)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연결부재(323)가,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1부재멈춤돌기(323a)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과 부재관통구멍(322b) 사이의 회전연결부재(323)의 부분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연결부재(323)에 연결되는 이송부재(400)가 회전하는 중에, 제1탄성부재(324)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이송부재(400)에 작용하여 회전연결부재(323)에 전달되면, 제1탄성부재(324)가 이를 완충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24)는, 예컨대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탄성부재(324)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 예컨대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의 제1이동가이드구멍(322a)에 구비되어 회전연결부재(323)를 탄성지지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저장부재(30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재(300)는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재(300)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면, 이송부재(400)의 저장부재(300)에의 연결이나 분리 또는 저장부재(300)의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의 연결이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재(3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부재(40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이송부재(400)는 저장부재(30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는 저장부재(300)에 일측이 연결되어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일측을 저장부재(300)로부터 분리하여, 이송부재(400)를 저장부재(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송부재(400)의 일측은, 예컨대 전술한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제2회전연결보조부재(322)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연결부재(32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재(4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430)를 포함하여, 제1연결부재(430)가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송부재(400)는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서의 이송부재(400)의 회전에 의해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 저장된 얼음이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재(4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410)와, 이송날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410)는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축부(410)의 일측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 예컨대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4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축부(410)의 타측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5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4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송날개부(420)는 축부(410)의 외주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구동부(500)에 의한 축부(410)의 회전에 의해서,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날개부(420)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로 이송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는 제1연결부재(430)와, 제2연결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30)는 축부(4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430)는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30)의 일측에는 삽입연결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가 삽입연결부(43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430)가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가 삽입연결부(431)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430)가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저장부재(300)에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재(430)가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연결부재(430)의 타측에는 끼움연결돌기(432)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연결돌기(432)는 축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연결홈(411)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430)가 축부(4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재(430)가 축부(4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440)는 축부(4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40)는 회전구동부(5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400)가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서, 제2연결부재(440)가 회전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가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연결부재(440)가 회전구동부(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40)의 일측에는 연결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40)의 연결돌기(441)는 축부(41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41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40)의 연결돌기(441)가 축부(410)의 연결홈(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보조부재(443)에 의해서 연결돌기(441)가 축부(41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440)가 축부(4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440)의 타측에는 구동돌기(44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결부재(440)의 타측에는 집게 형상으로 2개의 구동돌기(44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돌기(442)는 회전구동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구동연결부(510)에 포함된 구동연결부재(511)에 형성된 삽입홈(51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는 구동걸림턱(51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연결부재(511)에는 회전구동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구동모터(520)에 포함되는 구동축(52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회전하면, 구동연결부재(511)의 구동걸림턱(511b)에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의 회전에 따라 제2연결부재(440)가 연결된 축부(41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의 타측이 회전구동부(500)에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440)가 회전구동부(5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회전구동부(500)는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구동부(500)는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 반대측의 저장고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구동부(500)의 저장고본체(2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고본체(200)의 어떠한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500)에는 저장부재(300)를 관통하는 이송부재(400)의 타측, 예컨대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의 일측은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송부재(400)의 타측은 저장부재(300)를 관통한 상태에서, 도12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서 이송부재(400)의 타측이 회전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일측은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송부재(400)의 타측은 저장부재(3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이송부재(400)의 타측이 회전구동부(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500)는 이송부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구동부(5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연결부(510)와, 구동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연결부(510)는 이송부재(400)의 타측, 예컨대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510)는 구동연결부재(511), 구동연결보조부재(512) 및, 제2탄성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연결부재(511)는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재(511)는 구동모터(520)에 포함되는 후술할 구동축(521)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재(300)를 관통한,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일부가 구동연결부재(511)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회전하며, 이송부재(40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가 구동연결부재(511)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이송부재(400)가 저장부재(300)와 함께 저장고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재(511)에는 삽입홈(511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511a)에는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511a)에는 구동걸림턱(511b)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걸림턱(511b)에는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걸릴 수 있다. 그리고, 구동연결부재(511)에는 축연결구멍(511c)이 형성될 수 있다. 축연결구멍(511c)에는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동연결부재(511)의 구동걸림턱(511b)에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걸려서 이송부재(40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가 구동연결부재(5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재(511)의 외주에는 제2부재멈춤돌기(51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멈춤돌기(511d)는 구동연결보조부재(512)에 형성된 후술할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 형성되는 부재멈춤턱(512b)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동연결부재(511)가 구동연결보조부재(512)의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구동연결보조부재(512)에는 구동연결부재(511)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연결보조부재(512)에는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는 구동연결부재(511)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는 제2탄성부재(5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13)에 의해서 구동연결부재(511)에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은 개방된 일측이 저장고본체(200)의 연결관통구멍(214)과 연통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관통구멍(214)을 통해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가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13)는 구동연결부재(51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13)는 구동연결보조부재(512)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탄성부재(513)는 구동연결보조부재(512)의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1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구동연결부재(511)가,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2부재멈춤돌기(511d)가 부재멈춤턱(512b)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재(511)에 연결되는 이송부재(400)가 회전하는 중에, 제2탄성부재(513)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의 힘이 이송부재(400)에 작용하여 구동연결부재(511)에 전달되면, 제2탄성부재(513)가 이를 완충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13)는, 예컨대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탄성부재(513)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동연결보조부재(512), 예컨대 구동연결보조부재(512)의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에 구비되어 구동연결부재(511)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구동연결부(510)는 덮개부재(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514)는 구동연결보조부재(512)에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재(514)에 의해서, 구동연결보조부재(512)의 제2이동가이드구멍(512a)의 개방된 타측이 덮일 수 있다. 덮개부재(514)에는 축관통구멍(514a)이 형성될 수 있다. 축관통구멍(514a)에는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관통할 수 있다. 축관통구멍(514a)을 관통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은 구동연결부재(511)의 축연결구멍(511c)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520)는 구동연결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터(520)는 구동연결부(510)의 덮개부재(514)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520)는 이송부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520)는 구동축(5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521)은 구동연결부(510)의 덮개부재(514)의 축관통구멍(514a)을 관통하여 구동연결부(510)의 구동연결부재(511)의 축연결구멍(511c)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동축(521)이 회전하면, 구동연결부재(511)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 삽입된, 이송부재(400)의 구동돌기(442)가 삽입홈(511a)의 구동걸림턱(511b)에 걸리어 이송부재(400)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의 일실시예는 도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600)는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6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재(610)는 저장고본체(200), 예컨대 저장고본체(200)의 연결공간형성부재(2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재(610)는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와 본체연통구멍(21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부재(610)에는 저장고본체(200)의 얼음토출구(221)를 개폐하는 제1개폐면(611)과 저장고본체(200)의 본체연통구멍(213)을 개폐하는 제2개폐면(6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도어회전모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회전모터(620)는 도어부재(610)에 연결되어 도어부재(6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면서 이송부재(400)의 타측이 회전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를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공간(3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의 제1연결부재(430)의 삽입연결부(431)에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를 삽입하여, 이송부재(400)가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는 저장부재(300)의 돌기관통구멍(315)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부재(400)가 저장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후, 저장부재(300)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저장부재(300)의 돌기관통구멍(315)을 관통하여 위치한 이송부재(400)의 구동돌기(442)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의 연결관통구멍(214)을 통해 회전구동부(500)의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회전하면, 구동연결부재(511)가 회전하면서, 이송부재(400)의 구동돌기(442)가 구동연결부재(511)의 구동걸림턱(511b)에 걸리어 이송부재(400)도 회전하게 된다.
이송부재(400)는 제1,2탄성부재(324,513)에 의한 탄성력을 양측에서 각각 받게 되므로, 이송부재(400)의 회전 중에, 제1,2탄성부재(324,513)에 의한 탄성력 이외의 다른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제1,2탄성부재(324,513)에 의해서 완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4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400)의 타측이 회전구동부(500)로부터 분리된 후 저장부재(300)가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송부재(400)의 일측이 저장부재(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고본체(200)의 연결관통구멍(214)을 통해 회전구동부(500)의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에 삽입된 이송부재(400)의 구동돌기(442)를 이송부재(400)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서, 구동연결부재(511)의 삽입홈(511a)과 저장고본체(200)의 연결관통구멍(214)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00)를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장착공간(211)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부재(400)와 함께 저장부재(300)를 저장고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저장부재(300)의 회전연결부(320)의 회전연결부재(323)를 이송부재(400)의 제1연결부재(430)의 삽입연결부(431)로부터 분리하면서, 이송부재(400)의 제2연결부재(440)의 구동돌기(442)는 저장부재(300)의 돌기관통구멍(31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를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공간(31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부재(400)를 저장부재(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400)를 얼음저장고(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얼음저장고(100)에 용이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얼음저장고(100), 예컨대 얼음저장고(100)의 저장고본체(200)의 장착공간(211)이나 저장부재(300)의 저장공간(310) 또는 이송부재(400) 자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저장고(100)의 위생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얼음저장고(100)를 세척한 후 이송부재(400)를 용이하게 얼음저장고(10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부재(400)가 작동하지 못한다던지, 고장이 발생한다던지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를 사용하면,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얼음저장고에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얼음저장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얼음저장고에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얼음저장고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저장고 200 : 저장고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장착공간
212 : 제빙공간 213 : 본체연통구멍
214 : 연결관통구멍 215 : 부재삽입부
216 : 끼움고정돌기 220 : 토출구형성부재
221 : 얼음토출구 230 : 연결공간형성부재
231 : 연결공간 232 : 드레인구
300 : 저장부재 310 : 저장공간
311 : 저장연통구멍 312 : 끼움고정구멍
313 : 끼움고정부재 314 : 설치부
314a : 설치구멍 315 : 돌기관통구멍
320 : 회전연결부 321 : 제1회전연결보조부재
322 : 제2회전연결보조부재 322a : 제1이동가이드구멍
322b : 부재관통구멍 323 : 회전연결부재
323a : 제1부재멈춤돌기 324 : 제1탄성부재
400 : 이송부재 410 : 축부
411 : 끼움연결홈 412 : 연결홈
420 : 이송날개부 430 : 제1연결부재
431 : 삽입연결부 432 : 끼움연결돌기
440 : 제2연결부재 441 : 연결돌기
442 : 구동돌기 443 : 연결보조부재
500 : 회전구동부 510 : 구동연결부
511 : 구동연결부재 511a : 삽입홈
511b : 구동걸림턱 511c : 축연결구멍
511d : 제2부재멈춤돌기 512 : 구동연결보조부재
512a : 제2이동가이드구멍 512b : 부재멈춤턱
513 : 제2탄성부재 514 : 덮개부재
514a : 축관통구멍 520 : 구동모터
521 : 구동축 600 : 도어부
610 : 도어부재 611 : 제1개폐면
612 : 제2개폐면 620 : 도어회전모터
PT : 구획벽

Claims (24)

  1. 장착공간과 얼음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상기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며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저장공간에서 회전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재에는 회전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저장부재에 연결되는 제1회전연결보조부재; 상기 제1회전연결보조부재에 연결되는 제2회전연결보조부재;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연결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축부; 상기 축부의 외주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날개부; 상기 축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축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연결부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상기 저장부재가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저장부재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의 형상은 상기 저장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얼음저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얼음토출구 측이 높도록 경사지는 얼음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얼음토출구 반대측의 상기 저장고본체의 부분에 구비되는 얼음저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본체는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얼음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형성부재
    를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본체는 상기 본체부재와 토출구형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연결공간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연결보조부재에는 상기 회전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제1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제1이동가이드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부재관통구멍 사이의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부분에 걸리며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1부재멈춤돌기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연결홈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끼움연결돌기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축부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어 연결보조부재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포함되는 구동연결부에 포함된 구동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형성된 구동걸림턱에 걸리는 구동돌기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이송부재에 포함되는 제2연결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포함되는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연결부재,
    상기 구동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연결보조부재 및,
    상기 구동연결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구동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구동돌기가 걸리는 구동걸림턱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재에는 상기 구동축이 끼워져서 연결되는 축연결구멍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는 상기 구동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며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연결관통구멍과 연통되는 제2이동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구멍에 형성된 부재멈춤턱에 걸리는 제2부재멈춤돌기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구멍의 개방된 타측을 덮도록 상기 구동연결보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KR1020170040645A 2017-03-30 2017-03-30 얼음저장고 KR10236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45A KR102366339B1 (ko) 2017-03-30 2017-03-30 얼음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45A KR102366339B1 (ko) 2017-03-30 2017-03-30 얼음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29A KR20180110829A (ko) 2018-10-11
KR102366339B1 true KR102366339B1 (ko) 2022-02-23

Family

ID=6386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45A KR102366339B1 (ko) 2017-03-30 2017-03-30 얼음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3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85B1 (ko) * 2013-02-26 2015-01-23 정휘동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585609B1 (ko) * 2014-08-19 2016-01-25 주식회사 동구 제빙기용 얼음취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193A (ko) * 2005-06-1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
KR101876221B1 (ko) * 2012-03-27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102428585B1 (ko) * 2015-09-04 2022-08-04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85B1 (ko) * 2013-02-26 2015-01-23 정휘동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585609B1 (ko) * 2014-08-19 2016-01-25 주식회사 동구 제빙기용 얼음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29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254A (en) Developing apparatus
US9943164B2 (en) Filter cleaning device
KR20090120426A (ko) 철근 결속기
JP2004209254A (ja) ドラム洗濯機
CN109674421B (zh) 洗碗机开关门组件及具有其的洗碗机
KR102366339B1 (ko) 얼음저장고
US8074401B2 (en) Mechanical arm system for opening a door
WO2020224188A1 (zh) 制冰机及冰箱
KR101177439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CN108577763B (zh) 洗碗机及其关门控制装置
CN208946120U (zh) 一种便于分类的五金件存放箱
EP1845183B1 (en) Device for supplying detergent
KR20130072418A (ko) 공작기계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102423727B1 (ko) 원터치 절수형 수전카트리지
KR102311406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US4277002A (en) Ice dispensing mechanism
CN203396468U (zh) 一种组合秤料斗门的开合控制机构
KR200442445Y1 (ko) 세탁 장치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JP2015190248A (ja) 操作装置
KR200345217Y1 (ko) 수저공급장치
JP6513437B2 (ja) シャッター装置
CN208814149U (zh) 一种去石机星型卸料器
KR102504981B1 (ko) 비데 덮개 구동용 댐퍼 장치
WO2022041386A1 (zh) 一种排水阀组件及衣物处理设备
CN212000269U (zh) 一种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