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21B1 - 얼음저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21B1
KR101876221B1 KR1020120031084A KR20120031084A KR101876221B1 KR 101876221 B1 KR101876221 B1 KR 101876221B1 KR 1020120031084 A KR1020120031084 A KR 1020120031084A KR 20120031084 A KR20120031084 A KR 20120031084A KR 101876221 B1 KR101876221 B1 KR 10187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discharge port
op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388A (ko
Inventor
박정철
노용연
최인두
홍영훈
이현우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2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한 얼음저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된 얼음(I)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0)가 구비된 저장고본체(200);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상기 배출구(210)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재(300); 상기 배출구(210) 측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며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I')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400); 및 상기 배출구(210)를 개폐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며 온전한 얼음(I)은 상기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은 상기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개폐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저장고{ICE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한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얼음저장고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얼음저장고는 예컨대,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또는 제빙기 등에 구비된다.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져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구비된 이송부재에 의해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송된다. 그리고, 배출구로 이송되는 얼음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에 의해서 배출구를 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에 의해서 배출구로 이송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재에 의해서 배출구를 닫는다.
또한, 얼음저장고에는 보조저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저장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에 의해서 얼음이 배출구로 이송될 때 얼음과 함께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구 근처에 잔류하는 얼음이 녹은 물도 보조저장부에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얼음저장고가 구비되는 제품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소형화에 따라 얼음저장고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얼음저장고가 소형화되면 크기의 제약이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보조저장부의 크기를 종전과 같이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에 의해서 배출구로 이송되는 온전한 얼음은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에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루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저장고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얼음이 녹은 물이 개폐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폐부재에 의해서 닫히면 얼음저장고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고본체;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며 저장고본체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구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재; 배출구 측의 저장고본체에 연결되며 얼음이 녹은 물이나 부서진 얼음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 및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저장고본체에 구비되며 온전한 얼음은 배출구로 배출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개폐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배출구와 보조저장부 사이의 저장고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배출구를 개폐하고 온전한 얼음이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개폐면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에 연결되며, 얼음이 녹은 물이나 부서진 얼음이 보조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은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저장고본체의 일측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은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은 O보다 크고 온전한 얼음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배출구를 닫으면 저장고본체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와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개폐면과 가이드면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가이드부로부터 이동된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보조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얼음이 녹은 물이 보조저장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첨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면과 연결되어 첨예부를 형성하는 첨예부형성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예부형성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예부형성면의 첨예부의 반대측 단부는 개폐면과 소정의 거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얼음의 외부로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는 저장고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얼음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블레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는 배출구 측의 저장고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축의 타측 단부는 배출구 반대측의 저장고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배출구 측이 더 높도록 경사지게 저장고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저장고본체의 하부는 이에 대응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 측의 저장고본체에는 회전축의 배출구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촉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레이드는 나선형으로 회전축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저장고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얼음이 녹은 물이나 부서진 얼음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장부재; 및 저장부재에 구비되어 얼음이 녹은 물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구는 연결부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의 저장부재에 구비되며, 저장부재의 하부는 드레인구가 구비된 측이 더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녹은 물이 개폐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폐부재에 의해서 닫히면 얼음저장고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용이하게 녹거나 부서지지 않고 온전하게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저장고본체의 배출구 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개폐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개폐부재에 의해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개폐부재에 의해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는 저장고본체(200), 이송부재(300), 보조저장부(400) 및, 개폐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고본체(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I)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본체(200)의 상부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만들어지는 제빙유닛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고본체(20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고본체(200)로 낙하된 얼음(I)은 저장고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고본체(200)에 유입되어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고본체(20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얼음(I)이 저장고본체(200)에 낙하되어 저장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유닛과 저장고본체(200)를 연결하는 별도의 얼음이동덕트(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얼음(I)이 저장고본체(200)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저장고본체(200)에 얼음(I)을 공급하는 제빙유닛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침지식 제빙유닛이나 분사식 제빙유닛 또는 유수식 제빙유닛 등 얼음(I)을 만들어서 저장고본체(200)에 공급할 수 있는 제빙유닛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제빙유닛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저장고본체(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를 통해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에는 배출가이드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가이드부재(211)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된 얼음(I)의 외부로의 배출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가이드부재(211)는 단면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된 얼음(I)이 배출가이드부재(211)에 의해서 아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가이드부재(211)의 단면의 형상은 전술한 'ㄱ'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된 얼음(I)의 외부로의 배출을 가이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송부재(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저장고본체(200)의 배출구(210)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부재(300)는 회전축(310)과 이송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1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310)의 일측 단부는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10)의 타측 단부는 배출구(210) 반대측의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10)의 회전을 위해서 회전축(310)의 일측 단부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는 모터(M)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M)가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구동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모터(M)가 배출구(210) 측 반대측의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고 회전축(310)의 타측 단부가 모터(M)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는 접촉방지부재(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방지부재(311)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310)의 배출구(210)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덮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210)를 통한 회전축(310)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유아 등이 배출구(210)에 손을 넣어서 회전하는 회전축(31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310)은 배출구(210) 측이 더 높도록 경사지게 저장고본체(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고본체(200)의 하부는 이에 대응하여 경사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송블레이드(3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3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얼음(I)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블레이드(320)는 나선형으로 회전축(3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블레이드(31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얼음(I)이 이송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모터(M)가 구동되어 회전축(310)이 회전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른 이송블레이드(320)의 회전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저장고본체(200)의 배출구(210)로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310)이 배출구(210) 측이 더 높도록 경사지게 저장고본체(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저장고본체(200)의 하부가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저장고본체(200)의 배출구(210)로 얼음(I)이 이송될 때, 얼음(I)이 배출구(210) 주변으로 몰려서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소정 개수 이상의 얼음(I)이 배출구(210)로 이송되어 배출구(210)에 쌓이면, 그 중 일부의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다시 저장고본체(200)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얼음(I)이 배출구(210) 주변에 몰려서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한꺼번에 많은 개수의 얼음(I)이 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400)는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저장부(4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얼음(I)을 배출구(210)로 이송할 때, 얼음(I)과 함께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배출구(210)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구(210) 근처에 잔류하는 얼음이 녹은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조저장부(4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410)와 드레인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재(4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는 연결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11)를 통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저장부재(4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4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재(410)의 연결부(411)가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억지끼워맞춤으로 연결되거나 용접이나 본딩 등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저장부재(410)의 연결부(411)가 배출구(210)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410)에는 연결부(411)를 통해 유입된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부재(4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11)를 통해 유입된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저장부재(410)의 저장공간(S')에 저장될 수 있다.
드레인구(4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구(42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재(410)의 저장공간(S')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W)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구(420)는 연결부(411)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의 저장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레인구(420)는 저장부재(410) 하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재(410)의 하부는 드레인구(420)가 구비된 측이 더 낮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재(410)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W)이 용이하게 드레인구(420)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드레인구(420)는 전술한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W) 등의 사용되지 않은 물이 모아져 저장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에는 전술한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W) 이외에도,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가 얼음정수기에 구비된다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생활용수관이 연결되어 생활용수가 모아져서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는 연결관에 의해서 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펌프에는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저장탱크에 소정 수위의 물이 저장되면, 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서 펌프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재(5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00)에 의해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5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온전한 얼음(I)은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배출구(210)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구(210) 근처에서 잔류하는 얼음이 녹은 물(W)이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온전한 얼음(I)은 제빙유닛에서의 생성 당시 크기의 일정비율(예컨대, 80%)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얼음(I)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구성의 개폐부재(500)에 의해서 얼음저장고(100)의 크기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온전한 얼음(I)은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은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500)는 배출구(210)와 보조저장부(400) 사이의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개폐부재(500)에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회전축에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는 전술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서 모터가 구동되어 개폐부재(50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면, 개폐부재(500)에 의해서 배출구(210)가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배출구(2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이송부재(300)의 회전축(310)에 연결된 모터(M)가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되지 않아 회전축(310)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서 개폐부재(500)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가 구동되어 개폐부재(5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하면, 개폐부재(500)에 의해서 배출구(210)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배출구(21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이송부재(300)의 회전축(310)에 연결된 모터(M)가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되어 회전축(310)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온전한 얼음(I)이나 부서진 얼음(I')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이송된다.
그리고,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온전한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와 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또한, 배출구(210)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배출구(210)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구(210) 근처에 잔류하는 얼음이 녹은 물(W)은 개폐부재(500)를 통해 보조저장부(40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500)는 개폐부(510)와 가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510)는 개폐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면(511)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의 회전에 의해서 배출구(210)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가 열린 경우에 개폐면(511)은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이송되는 온전한 얼음(I)이 배출구(21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52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면(52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0)에의해서 이송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20)의 가이드면(521)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가 회전하는 경우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와 소정의 간격(D)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D)은 개폐부재(500)가 회전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거나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면(521)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개폐부재(500)가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면(521)과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가 소정의 간격(D)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간격(D)으로 이송부재(300)에 의해서 이송되고 가이드면(521)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보조저장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520)의 가이드면(521)과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가 이루는 간격(D)은 0보다 크고 온전한 얼음(I)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가이드면(521)과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가 이루는 간격(D)이 0 이하이면,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간격(D)을 통해 보조저장부(40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부재(500)의 회전이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에 의해서 방해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간격(D)이 온전한 얼음(I)의 크기 이상이면, 간격(D)을 통해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이 뿐만 아니라 온전한 얼음(I)도 보조저장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5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510)를 닫으면 저장고본체(200)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510)와 가이드부(5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개폐부(510)의 개폐면(511)과 가이드부(520)의 가이드면(521)은 소정의 각도(α)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510)의 개폐면(511)에 의해서 배출구(210)가 닫힌 경우에, 개폐면(511)으로부터 가이드면(521)까지의 두께가 두껍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면(511)에 의해서 배출구(210)가 닫히면 저장고본체(200)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고본체(200)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면,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용이하게 녹거나 부서지지 않고 온전하게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개폐부(510)의 개폐면(511)과 가이드부(520)의 가이드면(521)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α)는 예각일 수 있다. 만약, 개폐면(511)과 가이드면(521)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면, 가이드면(512)에 의한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의 보조저장부(400)로의 가이드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00)의 회전이 방해받을 수 있다.
개폐부재(5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가이드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가이드부(530)는 가이드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520)로부터 이동된 얼음이 녹은 물(W)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가이드부(530)는 첨예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예부(531)는 얼음이 녹은 물(W)이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20)로부터 이동된 얼음이 녹은 물(W)은 첨예부(531)에 의해서 첨예부(531)를 지나서 저장고본체(200)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첨예부(531)에서 낙하되어 보조저장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 녹은 물(W)이 개폐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가이드부(53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가이드부(530)는 첨예부형성면(5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첨예부형성면(532)은 가이드면(521)과 연결되어 전술한 첨예부(5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첨예부형성면(532)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러나, 첨예부형성면(532)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면(521)과 연결되어 첨예부(531)를 형성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첨예부형성면(532)의 첨예부(531)의 반대측 단부는 개폐면(511)과 소정의 거리(t)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면(511)으로부터 가이드면(521)까지의 두께가 두껍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면(511)에 의해서 배출구(210)가 닫히면 저장고본체(200)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를 사용하면, 크기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온전한 얼음만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부서진 얼음이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얼음이 녹은 물이 개폐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폐부재에 의해서 닫히면 얼음저장고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할 수 있어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용이하게 녹거나 부서지지 않고 온전하게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저장된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저장고 200 : 저장고본체
210 : 배출구 211 : 배출가이드부재
300 : 이송부재 310 : 회전축
311 : 접촉방지부재 320 : 이송블레이드
400 : 보조저장부 410 : 저장부재
411 : 연결부 420 : 드레인구
500 : 개폐부재 510 : 개폐부
511 : 개폐면 520 : 가이드부
521 : 가이드면 530 : 보조가이드부
531 : 첨예부 532 : 첨예부형성면
I : 얼음 I' : 부서진 얼음
W : 얼음이 녹은 물 D : 간격
α : 각도 M : 모터
S, S' : 저장공간

Claims (22)

  1. 제빙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된 얼음(I)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0)가 구비된 저장고본체(200);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저장된 얼음(I)이 상기 배출구(210)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재(300);
    상기 배출구(210) 측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며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I')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400); 및
    상기 배출구(210)를 개폐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되며 온전한 얼음(I)은 상기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부서진 얼음(I')이나 얼음이 녹은 물(W)은 상기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개폐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배출구(210)와 상기 보조저장부(400) 사이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배출구(210)를 개폐하고 온전한 얼음(I)이 상기 배출구(21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개폐면(511)을 포함하는 개폐부(510) 및, 상기 개폐부(510)에 연결되며,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I')이 상기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521)을 포함하는 가이드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521)은 상기 개폐부재(5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저장고본체(200)의 일측 단부와 소정의 간격(D)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521)은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D)은 O보다 크고 온전한 얼음(I)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배출구(210)를 닫으면 상기 저장고본체(200)의 내부가 외부와 단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10)와 가이드부(5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면(511)과 상기 가이드면(521)은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α)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가이드부(520)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520)로부터 이동된 얼음이 녹은 물(W)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부(5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부(530)는 얼음이 녹은 물(W)이 상기 보조저장부(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첨예부(5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부(5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521)과 연결되어 상기 첨예부(531)를 형성하는 첨예부형성면(5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형성면(532)은 오목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형성면(532)의 상기 첨예부(531)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개폐면(511)과 소정의 거리(t)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10)에는 얼음(I)의 외부로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부재(2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300)는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310); 및
    상기 회전축(31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얼음(I)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블레이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출구(210) 측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310)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배출구(210) 반대측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배출구(210) 측이 더 높도록 경사지게 상기 저장고본체(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고본체(200)의 하부는 이에 대응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10) 측의 상기 저장고본체(200)에는 상기 회전축(310)의 상기 배출구(210)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촉방지부재(3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레이드(320)는 나선형으로 상기 회전축(3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400)는
    상기 저장고본체(200)에 연결되는 연결부(411)가 형성되며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I')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장부재(410); 및
    상기 저장부재(410)에 구비되어 얼음이 녹은 물(W)이나 부서진 얼음이 녹은 물(W)이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구(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구(420)는 상기 연결부(411)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의 상기 저장부재(410)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재(410)의 하부는 상기 드레인구(420)가 구비된 측이 더 낮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KR1020120031084A 2012-03-27 2012-03-27 얼음저장고 KR10187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84A KR101876221B1 (ko) 2012-03-27 2012-03-27 얼음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84A KR101876221B1 (ko) 2012-03-27 2012-03-27 얼음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88A KR20130109388A (ko) 2013-10-08
KR101876221B1 true KR101876221B1 (ko) 2018-07-10

Family

ID=4963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084A KR101876221B1 (ko) 2012-03-27 2012-03-27 얼음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39B1 (ko) * 2017-03-30 2022-02-2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101988948B1 (ko) * 2018-05-28 2019-06-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977A (ja) * 2001-04-27 2002-1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砕氷粉の回収処理装置
KR20040085596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단열구조의 얼음저장고를 가지는 제빙기
US20100186437A1 (en) * 2007-09-17 2010-07-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ooling device having a condensation water channel
JP2010266087A (ja) * 2009-05-12 2010-11-25 Hoshizaki Electric Co Ltd ディスペンサ
KR20110060323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10079968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10098506A (ko) * 2010-02-26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US9341407B2 (en) * 2010-07-02 2016-05-1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toring 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977A (ja) * 2001-04-27 2002-1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砕氷粉の回収処理装置
KR20040085596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단열구조의 얼음저장고를 가지는 제빙기
US20100186437A1 (en) * 2007-09-17 2010-07-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ooling device having a condensation water channel
JP2010266087A (ja) * 2009-05-12 2010-11-25 Hoshizaki Electric Co Ltd ディスペンサ
KR20110060323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10079968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10098506A (ko) * 2010-02-26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US9341407B2 (en) * 2010-07-02 2016-05-1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toring 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88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130B2 (en) Toilet flush tank
US8756950B2 (en) Dispenser device for ice and water,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cleaning same
EP266487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1876221B1 (ko) 얼음저장고
KR20110060323A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101371586B1 (ko)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KR20140085826A (ko) 수처리장치
CN104264425A (zh) 洗衣机
CN104074257B (zh) 冲水大便器装置
KR101339448B1 (ko)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KR101281590B1 (ko)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CN105444276B (zh) 除湿机
JP6374252B2 (ja)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KR101177439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101177462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CN104805653B (zh) 洗衣机
CN109724342A (zh) 具有定量排出单元的供冰装置
KR101346819B1 (ko) 얼음정수기의 저빙고
US10401076B2 (en) Cooling and/or freezing apparatus
CN210921885U (zh) 一种循环式制冰机
CN203723910U (zh) 饮水机
JP5077631B2 (ja) 局部洗浄装置用の温水タンク装置
KR200468943Y1 (ko) 얼음정수기의 저빙고
CN208878315U (zh) 油品调和喷头
KR101876222B1 (ko) 얼음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