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48B1 - 얼음저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48B1
KR101988948B1 KR1020180060506A KR20180060506A KR101988948B1 KR 101988948 B1 KR101988948 B1 KR 101988948B1 KR 1020180060506 A KR1020180060506 A KR 1020180060506A KR 20180060506 A KR20180060506 A KR 20180060506A KR 101988948 B1 KR101988948 B1 KR 10198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ischarge port
crushing
crushe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120A (ko
Inventor
홍영훈
이정환
안중근
문현석
이현우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1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ice cubes or crushed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저장공간에서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내부도어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분쇄날에 포함되며 얼음의 분쇄를 위해서 회전하는 회전분쇄날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저장공간과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배출이동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배출이동공간이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면과,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면과 가이드면은 서로 이웃하며, 얼음의 분쇄시 상기 회전분쇄날의 회전속도는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저장고{ICE STORAGE TANK}
본 발명은 얼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도어와 외부도어에 의해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이나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얼음저장고는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공급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얼음저장고는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에 구비된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얼음저장고에는 저장된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여 얼음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재가 구비된다.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은 가공 없이 그대로, 즉 정상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나, 근래에는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분쇄하여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도 한다.
얼음을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얼음저장고에는 전술한 이송부재 이외에도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이 구비된다.
한편, 정상얼음이나 분쇄얼음만 토출구를 통해 얼음저장고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나, 정상얼음과 분쇄얼음이 모두 토출구를 통해 얼음저장고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정상얼음과 분쇄얼음이 모두 토출구를 통해 얼음저장고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얼음저장고를 얼음이 정상얼음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과 분쇄얼음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정상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와 분쇄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를 별도로 두는 등 얼음저장고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이나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사용하여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정상얼음이나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이 녹은 물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손이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저장고에서 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과 이송된 얼음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저장고의 토출구 측에 얼음이 몰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포함되는 회전분쇄날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저장공간에서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내부도어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분쇄날에 포함되며 얼음의 분쇄를 위해서 회전하는 회전분쇄날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저장공간과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배출이동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배출이동공간이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면과,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면과 가이드면은 서로 이웃하며, 얼음의 분쇄시 상기 회전분쇄날의 회전속도는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도어는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위치와 분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제1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포함되는 분쇄날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가이드위치에서는 상기 분쇄날까지 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날은 상기 내부도어에 의해서 개폐되지 않은 상기 연통구멍의 다른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면과 가이드면의 단면형상은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어는 하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면은 상기 내부도어의 상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내부도어의 일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2가이드위치에서 상기 토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토출구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저장고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토출구 안쪽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하는 멈춤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고본체에는 상기 배출이동공간으로부터 연장되며 얼음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드레인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드레인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드레인공간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멈춤턱에는 외부도어가 상기 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를 따라 흐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드레인공간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어는 상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은 상기 토출구 측이 높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사용하여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이나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정상얼음이나 분쇄얼음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녹은 물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이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포함되는 회전분쇄날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에서 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과 이송된 얼음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저장고의 토출구 측에 얼음이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부재와 분쇄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부재와 분쇄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 이송분쇄부(300) 및, 도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
저장고본체(200)에는 저장공간(S1)과 토출구(E)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S1)에는 얼음(I)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공간(S1)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저장공간(S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얼음(I)이 저장공간(S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 위에 얼음(I)을 만드는 제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자중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이 저장공간(S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공간(S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공간(S1)에 얼음(I)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부로부터 저장공간(S1)으로 얼음(I)이 이동하도록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공간(S1)의 하면은 토출구(E) 측이 높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저장공간(S1)의 얼음(I)은 이송분쇄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I)이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에 몰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에 얼음(I)이 몰리면,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서 얼음(I)이 서로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의 하면이 토출구(E) 측이 높도록 경사지면, 토출구(E) 측에 소정 량 이상의 얼음(I)이 몰리는 경우, 일부 얼음(I)이 토출구(E) 반대측으로 자중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이 토출구(E) 측에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서로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통해 얼음(I)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전술한 저장공간(S1)과 토출구(E) 이외에도 저장공간(S1)과 토출구(E)를 연결하는 배출이동공간(S2)도 형성될 수 있다. 배출이동공간(S2)을 통해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분쇄부(300)에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이 저장공간(S1)으로부터 토출구(E)로 이동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저장공간(S1)과 배출이동공간(S2)이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구멍(H)도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멍(H)을 통해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에서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되었으나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이 배출이동공간(S2)에 유입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드레인공간(S3)도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공간(S3)은 배출이동공간(S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공간(S3)에는 얼음(I)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얼음(I)이 녹은 물이 연통구멍(H)과 배출이동공간(S2)을 통해 드레인공간(S3)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드레인공간(S3)에는 드레인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는 드레인구(TD)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공간(S3)에 저장된 얼음(I)이 녹은 물은 드레인구(TD)를 통해 드레인라인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과 연통구멍(H)을 형성하는 메인부재(210)와, 메인부재(210)에 연결되어 토출구(E)와 배출이동공간(S2)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보조부재(220) 및, 메인부재(210)와 제1보조부재(220)에 연결되어 배출이동공간(S2)과 드레인공간(S3)을 형성하는 제2보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고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공간(S1)이나 토출구(E), 배출이동공간(S2) 또는 드레인공간(S3)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저장고본체(200)에는 저장공간(S1)에 삽입되어 저장공간(S1)과 외부와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단열부재(240)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재(240)는 저장공간(S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송분쇄부
이송분쇄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저장공간(S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저장공간(S1)의 얼음(I)을 토출구(E)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된 얼음(I)을 경우에 따라 분쇄할 수 있다.
이송분쇄부(3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와 분쇄날(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얼음(I)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에는 나선형상의 이송날개(3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310)는 회전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모터나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이송회전수단(33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회전수단(330)은 토출구(E) 반대측의 저장고본체(200)에 이송부재(3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이송회전수단(330)에 의해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310)의 정회전시 저장공간(S1)의 얼음(I)이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310)는 토출구(E) 측으로의 얼음(I)의 이송 또는 후술할 분쇄날(320)에 의한 얼음(I)의 분쇄가 완료되면 소정 시간 동안 역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된 얼음(I)의 일부가 토출구(E) 반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토출구(E)에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얼음(I)을 분쇄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날(320)은 도어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내부도어(410)에 의해서 개폐되지 않은 연통구멍(H)의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분쇄날(320)까지 이송되지 못한 얼음(I)은 분쇄날(320)에 의해서 분쇄되지 못하여 정상얼음(I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얼음(Ia)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분쇄날(320)까지 이송된 얼음(I)은 분쇄날(320)에 의해서 분쇄되어 분쇄얼음(Ib)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얼음(Ib)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회전분쇄날(321)과 고정분쇄날(3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분쇄날(321)은 얼음(I)의 분쇄를 위해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분쇄날(321)은 모터나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분쇄회전수단(340)에 포함되는 분쇄회전축(341)에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회전수단(340)은 토출구(E) 측의 저장고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분쇄날(322)은 회전분쇄날(321)과 함께 얼음(I)을 분쇄하도록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분쇄날(322)은 저장고본체(2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고정분쇄날(322) 각각의 일측이 고정부재(MF)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분쇄날(322)의 각각의 타측은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보조부재(MFS)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고정분쇄날(322)이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분쇄날(321)은 고정분쇄날(322) 사이를 통과하도록 분쇄회전축(3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날(320)까지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은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한 회전분쇄날(321)의 회전과 고정분쇄날(322)에 의해서 분쇄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날(321)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분쇄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부재(310)만이 이송회전수단(330)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분쇄되는 경우에는,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날(321)이 이송회전수단(330)과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해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날(321)의 회전속도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얼음(I)의 분쇄시 회전분쇄날(321)의 회전속도는 이송부재(31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분쇄날(320)에 의한 얼음(I)의 분쇄가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으로의 얼음(I)의 이송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의 분쇄가 늦게 이루어져서 얼음(I)이 토출구(E) 측에 몰리지 않기 때문에, 얼음(I)의 토출구(E) 측으로의 이송과 얼음(I)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날(321)이 구비되는 전술한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재(310)와 분쇄회전축(341)은 독립회전연결부(35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독립회전연결부(3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51)와 제2연결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51)의 일측에는 이송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재(310)에는 이송부재(310)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는 회전연결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51)의 일측에는 회전연결구멍(35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310)의 회전연결부(312)가 제1연결부재(351)의 회전연결구멍(351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351)의 일측에 이송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재(351)의 일측에 이송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352)는 일측이 제1연결부재(35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부재(351)의 타측에는 끼움구멍(35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52)의 일측에는 끼움부(35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352)의 끼움부(352a)가 제1연결부재(351)의 끼움구멍(351b)에 끼워져서 제2연결부재(352)의 일측이 제1연결부재(35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352)의 일측이 제1연결부재(351)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352)의 타측에는 분쇄회전축(34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잇다. 예컨대, 제2연결부재(352)의 타측에는 제2회전연결구멍(35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회전축(341)이 제2연결부재(352)의 제2회전연결구멍(352b)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2연결부재(352)의 타측에 분쇄회전축(34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352)의 타측에 분쇄회전축(34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송분쇄부(30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부재(310)가 분쇄회전수단(340)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며 회전분쇄날(321)이 이송부재(310)의 연장된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해서 회전분쇄날(321)과 이송부재(310)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이송수단(330)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어부
도어부(400)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400)는 내부도어(410)와 외부도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도어(410)는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부도어(410)는 저장고본체(200)의 배출이동공간(S2)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도어(410)는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가이드위치와,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도록 가이드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도어(410)는 제1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의 분쇄날(320)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은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내부도어(410)는 제2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분쇄날(320)까지 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은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될 수 있다.
내부도어(410)는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도어(410)가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내부도어(410)에 의해서 분쇄날(320)까지 이송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I)은 분쇄날(32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Ia)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한다.
또한, 내부도어(410)가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닫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내부도어(410)에 의해서 분쇄날(420)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얼음(I)은 분쇄날(32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한다.
이 경우, 내부도어(410)는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면(411)과,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도어(410)의 개폐면(411)과 가이드면(412)의 단면형상은 저장공간(S1)의 하면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의 하면의 단면형상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인 경우, 내부도어(410)의 개폐면(411)과 가이드면(412)의 단면형상도 아래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부도어(410)의 개폐면(411)에 의한 얼음(I)의 분쇄날(420)까지의 이송과, 내부도어(410)의 가이드면(412)에 의한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의 토출구(E)까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도어(410)의 가이드면(412)은 제1,2가이드위치에서 토출구(E)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면(412)에 의한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의 토출구(E)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도어(410)는 하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도어(410)의 개폐면(411)은 내부도어(410)의 상면을 이루고 내부도어(410)의 가이드면(412)은 내부도어(410)의 일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내부도어(410)의 선회중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도어(410)의 어떠한 부분도 선회중심이 될 수 있다.
내부도어(41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내부도어 선회수단(430)에 연결되어 선회할 수 있다.
외부도어(420)는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개폐할 수 있다.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를 닫으면, 내부도어(410)에 의해서 토출구(E)까지 이동한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를 개방하면, 내부도어(410)에 의해서 토출구(E)까지 이동한 정상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외부도어(420)는 토출구(E)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토출구(E)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E)를 형성하는 저장고본체(200)의 부분에는 외부도어(420)가 상기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하는 멈춤턱(J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여 사용자의 손이 저장고본체(200)의 배출이동공간(S2)과 연통구멍(H)을 통해 분쇄날(320), 즉 분쇄날(320)의 회전분쇄날(3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여 열리는 구조의 경우에는,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작동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외부도어(420)가 열려 분쇄날(320)과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토출구(E)를 개방하고 외부도어(42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는 것이 방지되면, 사용자의 손이 회전분쇄날(321)에 의해서 상처를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외부도어(420)는 토출구(E)를 닫았을 때 드레인공간(S3)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멈춤턱(JS)에는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통구멍(H)을 통해 외부도어(420) 또는 내부도어(410)를 따라 흐르는 얼음(I)이 녹은 물이 드레인공간(S3)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녹은 물이 토출구(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부도어(420)는 상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도어(420)의 선회중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부도어(420)의 어떠한 부분도 선회중심이 될 수 있다.
외부도어(42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외부도어 선회수단(440)에 연결되어 선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도어(410)와 외부도어(420)를 사용하여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얼음(I)이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Ia)이나 분쇄된 분쇄얼음(Ib)으로 되어 토출구(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얼음(I)을 정상얼음(Ia)이나 분쇄얼음(Ib)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사용하여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이나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정상얼음이나 분쇄얼음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얼음이 녹은 물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에 포함되는 회전분쇄날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얼음저장고에서 토출구로의 얼음의 이송과 이송된 얼음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얼음저장고의 토출구 측에 얼음이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저장고 200 : 저장고본체
210 : 메인부재 220 : 제1보조부재
230 : 제2보조부재 240 : 단열부재
300 : 이송분쇄부 310 : 이송부재
311 : 이송날개 312 : 회전연결부
320 : 분쇄날 321 : 회전분쇄날
322 : 고정분쇄날 330 : 회전이송수단
340 : 분쇄회전수단 341 : 분쇄회전축
350 : 독립회전연결부 351 : 제1연결부재
351a : 제1회전연결구멍 351b : 끼움구멍
352 : 제2연결부재 352a : 끼움부
352b : 제2회전연결구멍 400 : 도어부
410 : 내부도어 411 : 개폐면
412 : 가이드면 420 : 외부도어
430 : 내부도어 선회수단 440 : 외부도어 선회수단
I : 얼음 Ia : 정상얼음
Ib : 분쇄얼음 S1 : 저장공간
S2 : 배출이동공간 S3 : 드레인공간
TD : 드레인구 E : 토출구
H : 연통구멍 JS : 멈춤턱
GG : 가이드홈 MF : 고정부재
MFS : 고정보조부재

Claims (16)

  1.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정상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저장공간에서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내부도어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분쇄날에 포함되며 얼음의 분쇄를 위해서 회전하는 회전분쇄날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저장공간과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배출이동공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배출이동공간이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형성된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연통구멍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면과, 정상얼음 또는 분쇄얼음이 상기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면과 가이드면은 서로 이웃하며,
    얼음의 분쇄시 상기 회전분쇄날의 회전속도는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내부도어는 하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상기 개폐면은 상기 내부도어의 상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내부도어의 일측면을 이루는 얼음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는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위치와 분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얼음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제1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포함되는 분쇄날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가이드위치에서는 상기 분쇄날까지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얼음저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상기 내부도어에 의해서 개폐되지 않은 상기 연통구멍의 다른 부분 위에 위치하는 얼음저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면과 가이드면의 단면형상은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얼음저장고.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2가이드위치에서 상기 토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얼음저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토출구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얼음저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저장고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토출구 안쪽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하는 멈춤턱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본체에는 상기 배출이동공간으로부터 연장되며 얼음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드레인공간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드레인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드레인공간 측으로 경사지는 얼음저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턱에는 외부도어가 상기 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외부도어 또는 내부도어를 따라 흐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드레인공간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어는 상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얼음저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부가 개방된 얼음저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은 상기 토출구 측이 높도록 경사진 얼음저장고.
KR1020180060506A 2018-05-28 2018-05-28 얼음저장고 KR10198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06A KR101988948B1 (ko) 2018-05-28 2018-05-28 얼음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06A KR101988948B1 (ko) 2018-05-28 2018-05-28 얼음저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598A Division KR20170051910A (ko) 2015-11-03 2015-11-03 얼음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120A KR20180061120A (ko) 2018-06-07
KR101988948B1 true KR101988948B1 (ko) 2019-06-12

Family

ID=6262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06A KR101988948B1 (ko) 2018-05-28 2018-05-28 얼음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690A (ko) 2021-07-01 2023-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48B1 (ko) * 2011-08-18 201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KR101876221B1 (ko) * 2012-03-27 2018-07-10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120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671B1 (ko) 냉장고의 아이스빈
KR100748520B1 (ko) 개방형 아이스빈의 셔터 개폐구조
US4176527A (en) Ice crusher for refrigerator
US6425259B2 (en) Removable ice bucket for an ice maker
CN101573572B (zh) 包括冰块分配器及对应组件的制冷装置
JP2919460B2 (ja) 冷蔵庫用氷供給装置
US20130104587A1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TR201802349T4 (tr) Soğutucu ve buz boşaltmak için aparat.
KR101988948B1 (ko) 얼음저장고
KR20170136893A (ko) 얼음저장고
KR20170051910A (ko) 얼음저장고
KR102475544B1 (ko) 얼음저장고
KR101177462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170112212A (ko) 얼음저장고
US20090249820A1 (en) Refrigerator
KR102568690B1 (ko) 얼음저장고
KR102565130B1 (ko) 얼음저장고
KR20170136755A (ko) 얼음저장고
KR20110098506A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070079735A (ko) 얼음분쇄기와 이를 이용한 얼음공급장치 및 냉장고
KR20170029070A (ko) 얼음저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20170138665A (ko) 얼음저장고
KR20170136752A (ko) 얼음저장고
KR100777293B1 (ko) 얼음 저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