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382B1 -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382B1
KR102365382B1 KR1020207018258A KR20207018258A KR102365382B1 KR 102365382 B1 KR102365382 B1 KR 102365382B1 KR 1020207018258 A KR1020207018258 A KR 1020207018258A KR 20207018258 A KR20207018258 A KR 20207018258A KR 102365382 B1 KR102365382 B1 KR 10236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d
sequence
bit rate
predetermined
transmission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877A (ko
Inventor
쟈칭 왕
팡-정 정
디 장
사오후이 쑨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고 종래 기술에서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위 방법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한다.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테이션하여 인코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4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711192729.3호,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5 세대 이동 통신 기술 (5th-Generation, 5G)에 대한 eMBB (Enhanced Moblie Broad Band) 시나리오에서 제어 채널 인코딩 방식인 폴라 코드 (Polar Codes)는 이진 대칭 채널의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인코딩 방식이며, 우수한 디코딩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더 코드 길이가 더 길면, 극 코드는 더 큰 저장 용량 및 레이턴시(latency)를 갖는다. 이와 같이, 5G 기술은 폴라 코드의 최대 마더 코드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512 비트이고 업링크 전송을 위한 1024 비트임을 정의한다. 그러나 대규모 MIMO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의 영향으로 인해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의 정보 시퀀스 길이가 급증된다.
단일 반송파의 경우, UCI는 최대 543 비트이며, 5G는 최대 16 개의 반송파의 UCI를 지원하여 업링크 반송파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반송파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UCI의 길이는 543 * 16 = 8688 비트일 수 있다. 그러나 8688 비트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의 최대 마더 코드 길이 (1024 비트)를 훨씬 초과하므로 다중 반송파 집성을 위해 UCI를 인코딩하고 전송하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 긴 길이를 갖는 UCI가 중간 및 낮은 비트 레이트일 때 폴라 코드의 성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방법은 더 큰 길이를 갖는 정보 시퀀스를 2 개의 정보 시퀀스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이다. 최대 비트 코드 1024를 사용하여 각각의 정보 시퀀스 세그먼트에서 폴라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한다. UCI 페이로드 크기 (UCI payload size)= 512이고 폴라 코드 전송률이 1/6 인 경우 인코딩된 비트의 총 수는 512 * 6 = 3072 비트이다.
기존의 프로토콜에 따르면, 3072 비트를 얻기 위해 1024의 최대 마더 코드 길이에 따라 반복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비 반복적 코드 레이트는 단지 512/1024 = 1/2이고, 이는 의심의 여지없이 업링크 제어 채널의 성능을 크게 떨어 뜨릴 것이다. 따라서 페이로드의 제1 길이를 처음에는 두 개의 세그먼트, 즉 512/2 = 256 비트로 나눌 필요가 있으며, 256 비트는 Nmax = 1024의 폴라 마더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어 1024 비트를 얻는다. 2048 개의 인코딩된 비트는 512 비트의 페이로드로부터 얻은 다음 3072 비트로 반복된다. 이때 비 반복적인 실제 코드 레이트는 256/1024 = 1/4이므로 R = 1/2과 비교하여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UCI의 세그먼트들에 폴라 인코딩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먼저 CRC 시퀀스는 UCI 페이로드 (UCI payload)를 얻기 위해 UCI 정보 시퀀스 정보 비트 (Information bits) 뒤에 첨부되고,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 (Code block segmentation)은 UCI 페이로드에서 수행되고, 폴라 인코딩은 두 세그먼트로 나누어진 페이로드에서 수행된다. 레이트 매칭 (rate matching)은 인코딩된 코드 블록들에 대해 각각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최종 출력을 얻기 위해 코드 블록 연결(Code block concatenation)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UCI 세그먼트에서, UCI의 다수의 세그먼트는 단지 하나의 CRC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이 수행될 때마다 후보 경로를 획득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가 디코딩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이 연결 (concatenation)되어 CRC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UCI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폴라 인코딩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이다.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Code block segmentation)은 처음에 UCI 정보 시퀀스 정보 비트 (Information bits)에 대해 수행되며, 여기서 각 세그먼트에는 L 비트의 CRC 시퀀스가 첨부되고, CRC가 추가된 비트 스트림의 각 세그먼트에 대해 폴라 인코딩이 수행된다. 레이트 매칭 (rate matching) 동작은 인코딩된 블록들에 대해 각각 수행되고, 최종 출력을 얻기 위해 코드 블록 연결(Code block concatenation)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에서, 디코딩 동안, 각 폴라 코드 세그먼트는 대응하는 CRC에 따라 각각 검사될 수 있다. CRC 오버헤드가 두 배가 된다. 현재 표준에 따르면 CRC는 최소 11 비트이므로 시스템 성능이 크게 저하될뿐 아니라 간단한 디코딩과 손쉬운 작동의 이점도 있다.
현재, 모든 논의는 단일 반송파 인코딩 방식 또는 다수의 반송파가 단지 2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될 때의 인코딩 방법에 기초한다. 그러나 특히 인코딩될 비트의 수가 인코딩 동안 허용되는 최대 정보 시퀀스 길이보다 큰 경우, 유연하게 분할하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은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에서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테이션이 유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코딩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인코딩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고,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정된 제1 함수는 N= a1*K/g(R)의 정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g(R)은 선형 함수 또는 비선형 함수이고,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N은 타겟의 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g(R)이 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1*R+b1,여기서, c1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1은 소정된 제1 오프셋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g(R)이 비선형 함수 인 경우, 상기 g(R)= c2*(Ai*Ri+ Ai-1 Ri-1+ ……+ A1 R)+b2,여기서, c2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2는 소정된 제2 오프셋 값이고, i는 소정된 2보다 작지 않는 상수이고, Ai-A1는 소정된 상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과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값은 1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하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스케일링 계수는 0보다 작고 1과 같다.
선택적으로, 오프셋 값은 -150보다 크고 200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먼테이션은,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을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세그먼테이션 모듈;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음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고,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와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세서는 또한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위 인코딩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위 방법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한다.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테이션하여 인코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서술에 필요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 서술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은 자명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는 한 이들의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폴라 인코딩을 위한 UCI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폴라 인코딩을 위한 UCI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장치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구조도이다.
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테이션하기 위해, 본 출원 실시예는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이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된다.
S301: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S302: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한다.
S303: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방법은 송신단에 적용되며, 구체적으로, 송신단은 기지국 또는 UE (User Equipment)일 수 있다.
송신단에서 인코딩될 시퀀스가 있으며, 본 출원은 상기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하고, 세그먼테이션에 의해 얻어진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송신단은 비트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송신 코드 레이트 R을 알고 있다.
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하기 위해, 먼저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수를 결정해야 하며,이를 타겟의 수라고 한다.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 및 전송 코드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의 타겟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타겟 수는 양의 정수이다.
타겟의 수가 결정된 후, 인코딩될 시퀀스는 타겟의 수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될 수 있다. 세그먼테이션이 수행될 때, 그것은 균일 한 분할 또는 불균일 한 분할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는 UCI를 포함하는 정보 시퀀스일 수 있거나, UCI 및 검사에 사용되는 CRC 시퀀스를 포함하는 정보 시퀀스일 수 있다. 즉, 인코딩될 시퀀스는 획득된 UCI 페이로드이다. 전송 코드 레이트 (R)는코딩될 시퀀스 길이 (K)와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한 폴라 인코딩 및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한 후에 획득된 시퀀스의 길이 (M)의 비율이며, 즉, R = K/M이다.
인코딩될 시퀀스가 세그먼테이션된 후에, 세그먼테이션 후에 각각의 서브시퀀스가 결정되고, 서브시퀀스가 각각의 코드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인코딩될 수 있고, 인코딩된 후 획득된 다수의 코드 블록은 전체 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얻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한다.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테이션하여 인코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더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세그먼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에 소정된 제1 함수가 저장된다.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할 때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송신단에 저장된 제1 기능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와 관련된 서브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함수는 g(R)이댜. 소정된 제1 함수는 N= int(a1*K/g(R))또는 N=ceiling(a1*K/g(R))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g(R)는 전송 비트 레이트과 관련된 함수이다. 그리고 g(R)은 선형 함수 또는 비선형 함수이고,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인코딩될 시퀀스의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N은 타겟의 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함수는 a1*K/g(R)의 정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a1*K/g(R)를 반올림 (round down)하면 제1 함수는 N=int(a1*K/g(R))이다. 또한, a1*K/g(R)에 대해 올림(round up)을 수행하면 제1 함수는 N=ceiling(a1*K/g(R))이고, 여기서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제1 스케일링 계수의 범위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다.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인코딩될 시퀀스의 전송 비트 레이트이다.
위 g(R)은 선형 함수일 수 있거나, g(R)은 비선형 함수일 수 있다.
g (R)이 선형 함수인 경우 g(R)= c1*R+b1일 수 있으며, 여기서, c1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1은 소정된 제1 오프셋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오프셋 값의 범위는 -150보다 크고 200보다 작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폴라 코드의인코딩 방법인 경우, c1은 최대 마더 코드 길이이며, 1024 비트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g(R)이 선형 함수인 경우, N=ceiling(a*K/g(R))이다.
a1 및 b1의 값이 변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선형 함수 g (R)가 상이하고, 대응하는 제1 함수도 상이하다. 서로 다른 경우에 다른 값의 a1 및 b1이 아래에 설명된다. 제1 함수가 N=ceiling(a1*K/g(R))인 경우 g(R)= c1*R+b1이다.
a1이 1이 아니고 b1이 0이 아닌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a1*K/ (c1*R+b1))이다.
a1이 1이 아니고 b1이 0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a1*K/ (c1*R)이다.
a1이 1이고 b1이 0이 아닌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K/ (c1*R+b1))이다.
a1이 1이고 b1이 0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K/ (c1*R))이다.
제1 함수가 N=int(a1*K/g(R))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는 상기와 유사하고,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g (R)이 비선형 함수인 경우, g(R)= c2*(Ai*Ri+ Ai-1 Ri-1+ ……+ A1 R)+b2이고, 여기서, c2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2는 소정된 제2 오프셋 값이고, i는 소정된 2보다 작지 않는 상수이고, Ai-A1는 소정된 상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폴라 코드의 인코딩 방법인 경우, c2는 최대 마더 코드 길이이며, 이는 1024 비트일 수 있다. 상술한 Ai 내지 A1는 소정된 상수이다. Ai 내지 A1중 어느 하나 이상은 0이거나 0이 아닐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g (R)이 비선형 함수인 경우, N=ceiling(a1*K/ (c2*(Ai*Ri+ Ai-1 Ri-1+ ……+ A1 R)+b2))이다.
a1 및 b2의 값이 변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비선형 함수 g (R)가 변하고, 대응하는 제1 함수도 변한다. 다른 경우에 상이한 값의 a1 및 b2가 하기에 예시될 것이다.
a1이 1이 아니고 b2가 0이 아닌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a1*K/ (c2*(Ai*Ri+ Ai-1 Ri-1+ ……+ A1 R)+b2))이다.
a1이 1이 아니고 b2가 0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a1*K/ (c2*(Ai*Ri+ Ai-1 Ri-1+ ……+ A1 R)))이다.
a1이 1이고 b2가 0이 아닌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K/ (c2*(Ai*Ri+ Ai-1 Ri-1+ ……+ A1 R)+b2))이다.
a1이 1이고 b2가 0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N= ceiling(*K/ (c2*(Ai*Ri+ Ai-1 Ri-1+ ……+ A1 R)))이다.
상술한 Ai 내지 A1는 소정된 상수이다. Ai 내지 A1 중의 상수는 0일 수도 있고 0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상수 0에 대응하는 아이템은 존재하지 않으며, 상수가 0이 아닌에 대응하는 아이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 (R) = c2 * (A3 * R3 + A2R2 + A1R) + b2일 수 있는 3 개의 아이템 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g (R) = c2 * (A4 * R4 + A1R) + b2일 수 있는 2 개의 아이템 만이 존재한다.
제1 함수가 N=int(a1*K/ (c2*(Ai*Ri+ Ai-1 Ri-1+ ……+ A1 R)+b2))인 경우 구체적으로, 타겟의 수 는 상기와 유사하고,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2:
경계 포인트가 세그먼트 경계를 성공적으로 캡처할 수 있도록 보다 정확하게 세그먼테이션하기 위해, 타겟의 수가 결정된 후, 상기 타겟의 수에 따른 세그먼테이션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지에 의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된다는 사실에 응답하여, 인코딩될 시퀀스는 타겟의 수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된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응답하여, 결정된 타겟의 수가 조정되고, 인코딩될 시퀀스는 조정된 타겟의 수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에서는,
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세그먼테이션 전에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 및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시 값은 인코딩될 시퀀스의 각 세그먼트의 이론적 서브길이이다. 즉,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 및 타겟 수에 따라 비율을 결정하여 전송 코드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코드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한다.
비례 임계값의 크기 및 임시 값의 크기에 따라, 타겟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할지 여부가 결정된다.
임시 값이 비례 임계값 이상이면, 인코딩될 시퀀스는 타겟의 수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된다. 임시 값이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타겟의 수를 조정해야 하고, 인코딩될 시퀀스는 조정된 타겟의 수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된다.
제1 값은 송신단에 저장된다.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 및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이 결정될 때, 제2 값은 타겟의 수 및 저장된 제1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와 제2 값의 비율은 임시 값으로 결정된다. 타겟의 수 및 저장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가 결정되는 경우, 타겟의 수와 제1 값의 합은 제2 값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타겟의 수와 제1 값의 차는 제2 값으로 결정된다. 제1 값은 0, 1, 1, 1.5 또는 2, 또는 다른 수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값은 1이다.
제1 값이 0인 경우, 즉,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K와 타겟의 수 N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 하고, 상기 임시 값=K/N이다. 상기 제1 값은 1이며 타겟의 수와 제1 값의 차를 제2 값으로 결정하고, 제2 값은 N-1이며 이 임시 값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K와 제2 값N-1의 비율이고 상기 임시 값=K/(N-1)이다.
제2 스케일링 계수 (a2)는 송신단에 저장된다. 인코딩될 시퀀스의 길이 K 및 타겟 수 N에 따라 임시 값이 결정될 때,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타겟의 수 및 제2 스케일링 계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구체적으로는, 먼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과 상기 제2 스케일링 계수의 적을 임시 값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임시 값=a2*K/N. 또는, 타겟의 수와 제1 값의 차를 제2 값으로 결정하고, 제2 값은 N-1이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K와 제2 값N-1의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비율과 상기 제2 스케일링 계수의 적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즉, 상기 임시 값=a2*K/(N-1)이다.
임시 값이 비례 임계값보다 작으면, 타겟의 수를 조정해야 한다. 타겟의 수를 조정할 때, 타겟 수를 N-k 또는 N+k로 조정할 수 있으며, k는 0보다 큰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k는 1이다.
실시예 3:
임시 값 및 비례 임계값의 크기가 판단될 때,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전송 코드 레이트마다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송신단에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과 소정 값이 저장되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할 때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의 크기에 따라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서 결정한다.
제1 코드 레이트 임계값 (R1)은 0보다 큰 임의의 값일 수 있다. R이 R1보다 작은 경우, R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소정 값이다. R1이 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전송 비트 레이트에 관계없이 소정 값인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은 1/5 또는 2/5이다.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해 비례 임계값을 결정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저장된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한다.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경우,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제2 코드 레이트 임계값 (R2)은 1 이하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R이 R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비례 임계값은 전송 코드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또는 int(c3*R+b3)에 따라 결정된다.
R2가 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전송 코드의 값에 관계없이 선형 함수 c3*R+b3,또는 int(c3*R+b3)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은 1/5 또는 2/5이다.
R1=R2, 0<R1<1, 0<R2<1이다. R<R1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소정 값이고, R≥R1인 경우,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결정된다.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할 때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제3 코드 레이트 임계값 (R3)은 제4 코드 레이트 임계값 (R4)보다 작다. 이를 기초로, R3은 1보다 작은 값일 수 있고,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 R4는 0보다 큰 임의의 값일 수 있다. R3≤R <R4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결정된다.
R3이 0이고 R4가 1인 경우,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전송 코드 레이트의 값에 관계없이 선형 함수 c4*R+b4,또는 int(c4*R+b4)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는 R1=R3,R2=R4, 0<R1<1, 0<R2<1, 0<R3<1, 0<R4<1일 수 있으며 R<R1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소정 값이다.
R1≤R<R2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3*R+b3,또는 int(c3*R+b3)에 따라 결정된다.
R≥R2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4*R+b4,또는 int(c4*R+b4)에 따라 결정된다.
R1 = R3, 0 <R1 <1, 0 <R3 <1 및 0 <R4 <1일 수도 있고;
R <R1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소정 값이다.
R1≤R<R4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4*R+b4,또는 int(c4*R+b4)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R2 = R3, 0 <R2 <1, 0 <R3 <1 및 0 <R4 <1일 수도 있다.
R≥R2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3*R+b3,또는 int(c3*R+b3)에 따라 결정된다.
R3≤R<R2 일 때,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은 선형 함수 c4*R+b4,또는 int(c4*R+b4)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다음 표에서 전송 코드 레이트 R과 비례 임계값 사이의 결정된 관계가 얻어 질 수 있으며, 여기서, R1은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이며 R2는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이고, R3은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이고, R4는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이다.
전송 비트 레이트 R 비례 임계값
R<R1 소정 값
R≥R2 c3*R+b3,또는 int(c3*R+b3)
R3≤R<R4 c4*R+b4,또는 int(c4*R+b4)
다음은 세그먼테이션의 특정 실시예이다 :
N=ceil(M/1024) where M= K/R
If R <=1/5
Ksegthr=370
Else if 1/5<R <=2/5
Ksegthr=1024*R +150
End
즉, 비트 레이트가 0.2 이하인 경우, 소정 값 Ksegthr = 370이 세그먼테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비트 레이트가 0.2보다 크고 0.4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선형 함수 Ksegthr = 1024 * R + 150이 세그먼테이션에 사용된다.
코딩될 시퀀스의 길이는 K = 543 * 4 = 2172 비트이고, 전송 코드 레이트 R = 0.4인 것으로 가정한다.
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가 결정될 때, 이는 N= ceiling( K/(1024* R))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인 N= ceiling(2172/(1024* 0.4))=6이므로, 인코딩될 시퀀스는 6 개의 세그먼트로 직접 세그먼테이션될 수 있다. 위의 예는 최대 마더 코드 길이 1024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M=K/R을 세그먼테이션하는 것이다. 도 5는 N= ceiling( K/(1024* R)) 을 사용하는 두 세그먼트의 예이며, 여기서 능형은 경계점을 나타낸다.
코딩될 시퀀스의 타겟 세그먼트 수가 결정될 때, 그것은 N= ceiling( K/(1024* R+b))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b=56 or 72이다. b=56일 때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 N= ceiling(2172/(1024* 0.4+56))=6이고, b=72일 때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 N= ceiling(2172/(1024* 0.4+72))=6이다. 위의 예는 인코딩된 비트 수 M = K/R을 세그먼테이션하는 것이다. 도 6은 N= ceiling( K/(1024* R + b)),offset=56 or 72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능형은 b가 56일 때의 경계 포인트를 나타내고, 원형은 b가 72일 때의 경계 포인트를 나타낸다.
상기는 결정된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직접 세그먼테이션하는 것이다. 세그먼테이션을 보다 정확하게 하고 경계점을 보다 정확하게 캡처하기 위해, 타겟의 수 N을 결정한 후 세그먼테이션 임시 값과 비례 임계값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또한 전송 코드 레이트에 따라 타겟의 수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N= ceiling( K/(1024* R))에 따라 N의 특정 값을 계산하고, N의 특정 값을 획득한 후에 임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송 코드 레이트뿐만 아니라 임시 값 및 비례 임계값에 의해, N 세그먼트로 세그먼테이션할지 N-1 세그먼트로 세그먼테이션할지가 결정된다.
다음은 세그먼테이션의 다른 특정 실시예이다 :
N=ceil(M/1024) where M= K/R
If R <=1/5
Ksegthr=370
Else if 1/5<R
Ksegthr=832*R+200
End
즉, 비트 레이트가 0.2 이하인 경우, 소정 값 Ksegthr = 370이 세그먼테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코드 레이트가 0.2보다 큰 경우, 선형 함수 Ksegthr = 832 * R + 200이 세그먼테이션에 사용된다.
도 7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테이션의 개략도이며, 경계 포인트는 세그먼테이션 경계를 성공적으로 캡처한다.
실시예 4:
제4 실시예 :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PUCCH (Uplink Control Channel)는 동기화된 UCI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PUCCH를 통해 전송된 UCI는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 SR), HARQ-ACK(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Query ACKnowledge) 정보,UE의 주기적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단이 수신된 UCI의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송신단은 UCI를 인코딩하기 전에 UCI 정보 시퀀스의 뒤를 검사하기 위한 CRC 시퀀스를 첨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되고 인코딩된다. 구체적으로, 처음에는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한 후 CRC 시퀀스 추가를 수행할 수 있거나, 처음에는 CRC 시퀀스 추가를 수행한 후 세그먼테이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것은,
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구체적으로, 세그먼테이션에서, URC 페이로드를 얻기 위해 CRC 시퀀스가 UCI 정보 시퀀스 (정보 비트) 뒤에 첨부되고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 (Code block segmentation)이 UCI 페이로드에서 수행되는 경우, 인코딩될 시퀀스가 UCI정보 시퀀스일 때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타겟 시퀀스는 CRC 시퀀스가 UCI 정보 시퀀스 (정보 비트)에 첨부된 후에 획득된 UCI 페이로드이다. 인코딩될 시퀀스 자체가 UCI 정보 시퀀스 및 검사를 위한 CRC 시퀀스를 포함할 때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는 타겟 시퀀스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세그먼테이션에서,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Code block segmentation)은 처음에 UCI 정보 시퀀스 (정보 비트)에 대해 수행되고, 여기서 각 세그먼트에는 L 비트의 CRC 시퀀스가 추가되고, 다음의 각 세그먼트에 대해 폴라 코드 인코딩이 수행된다. CRC에 추가된 비트 스트림에서, 레이트 매칭 동작은 각각 인코딩된 코드 블록에 대해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코드 블록은 최종 출력을 얻기 위해 연결 (Code block concatenation)된다. 그리고,인코딩될 시퀀스가 UCI 정보 시퀀스 일 때, 인코딩될 시퀀스는 타겟 시퀀스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시퀀스는 타겟의 수를 사용하여 세그먼테이션된다. 인코딩될 시퀀스 자체가 UCI 정보 시퀀스 및 검사를 위한 CRC 시퀀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RC 시퀀스는 인코딩될 시퀀스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고, 획득된 UCI 정보 시퀀스는 타겟 시퀀스로서 사용되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세그먼테이션이 수행될 때,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일 수 있으며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일 수 있다.
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하는 경우 인코딩될 시퀀스를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하거나,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할 수 있다.
타겟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하는 경우 타겟 시퀀스에 대해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이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된다.
S401: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S402: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비트 레이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한다.
S403: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이면 S405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S404를 수행한다.
S404: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하여 조정된 타겟의 수에 따라 S405를 수행한다.
S405: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한다.
S406: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실시예 6: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코딩 장치의 구조도이다. 상기 장치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81);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세그먼테이션 모듈 (82);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도록 구성된인코딩 모듈 (8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모듈 (81)은 또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세그먼테이션 모듈 (82)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정 모듈 (8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와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갱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정 모듈 (81)은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한다.
상기 결정 모듈 (81)은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 모듈 (81)은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상기 결정 모듈 (81)은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상기 세그먼테이션 모듈 (82)은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실시예 7: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의 구조도이며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92) 및 프로세서 (91)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음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고,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상기 프로세서 (91)은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또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와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또한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 (91)은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구체적으로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상기 프로세서 (91)는 구체적으로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 (91)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92)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91)는 버스 아키텍처과 일반 처리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메모리 (92)는 프로세서 (91)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실시예 8: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다음의 도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고,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정된 제1 함수는 N= a1*K/g(R)의 정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g(R)은 선형 함수 또는 비선형 함수이고,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N은 타겟의 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g(R)이 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1*R+b1,여기서, c1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1은 소정된 제1 오프셋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g(R)이 비선형 함수 인 경우, 상기 g(R)= c2*(Ai*Ri+ Ai-1 Ri-1+ ……+ A1 R)+b2,여기서, c2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2는 소정된 제2 오프셋 값이고, i는 소정된 2보다 작지 않는 상수이고, Ai-A1는 소정된 상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과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값은 1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이다.
선택적으로, 스케일링 계수는 0보다 작고 1과 같다.
선택적으로, 오프셋 값은 -150보다 크고 200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것은,
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먼테이션은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을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위 방법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 세그먼트의 타겟의 수를 결정하고, 타겟의 수에 따라 인코딩될 시퀀스를 세그먼테이션한다. 인코딩될 시퀀스를 유연하게 세그먼테이션하여 인코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시스템/장치 실시예의 경우, 그것들은 방법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비교적 간단하고 관련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 예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관계 용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오퍼레이션을 다른 엔티티 또는 오퍼레이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반드시 이들 엔티티 또는 오퍼레이션 사이의 그러한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여,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메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9)

  1.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된 제1 함수는 N= a1*K/g(R)의 정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g(R)은 선형 함수 또는 비선형 함수이고,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N은 타겟의 수이고,
    상기 g(R)이 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1*R+b1이고, 여기서, c1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1은 소정된 제1 오프셋 값이고,
    또는,
    상기 g(R)이 비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2*(Ai*Ri+ Ai-1 Ri-1+ ……+ A1 R)+b2이고, 여기서, c2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2는 소정된 제2 오프셋 값이고, i는 소정된 2보다 작지 않는 상수이고, Ai-A1는 소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고,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임시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타겟의 수 및 소정된 제1 값에 따라 제2 값을 결정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제2 값의 비율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고, 또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와 상기 타겟의 수의 제2 비율을 결정하고 제2 비율과 소정된 제2 스케일링 계수의 곱을 임시 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값이 상기 비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겟의 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1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소정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2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3*R+b3 또는 int(c3*R+b3)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이고,
    c3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3은 소정된 제3 오프셋 값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int는 라운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2 함수에 따라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가 소정된 제3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소정된 제4 비트 레이트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선형 함수 c4*R+b4 또는 int(c4*R+b4)에 따라 상기 비례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c4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상기 b4는 소정된 제4 오프셋 값이고, 상기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상기 int는 라운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일링 계수 및 상기 제2 스케일링 계수는 0보다 작고 1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프셋 값, 제2 오프셋 값, 제3 오프셋 값 및 제4 오프셋 값은 -150보다 크고 20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에 따라 타겟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타겟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시퀀스는 정보 시퀀스, 또는 정보 시퀀스 및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CRC)시퀀스로 구성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테이션은
    균일한 분할, 또는
    불균일 분할, 또는
    제로 패딩후 균일한 분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13.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상기 타겟의 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에 대해 세그먼테이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세그먼테이션 모듈; 및
    세그먼테이션된 각각의 서브시퀀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후 서브시퀀스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및 전송 비트 레이트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 전송 비트 레이트 및 소정된 제1 함수에 따라 상기 인코딩될 시퀀스의 세그먼트 타겟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된 제1 함수는 N= a1*K/g(R)의 정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g(R)은 선형 함수 또는 비선형 함수이고, a1은 제1 스케일링 계수이고, K는 인코딩될 시퀀스 길이이고, R은 전송 비트 레이트이고, N은 타겟의 수이고,
    상기 g(R)이 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1*R+b1이고, 여기서, c1은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1은 소정된 제1 오프셋 값이고,
    또는,
    상기 g(R)이 비선형 함수인 경우, 상기 g(R)= c2*(Ai*Ri+ Ai-1 Ri-1+ ……+ A1 R)+b2이고, 여기서, c2는 최대 인코딩될 비트 길이이고, b2는 소정된 제2 오프셋 값이고, i는 소정된 2보다 작지 않는 상수이고, Ai-A1는 소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207018258A 2017-11-24 2018-08-29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365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92729.3A CN109842458B (zh) 2017-11-24 2017-11-24 一种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201711192729.3 2017-11-24
PCT/CN2018/103089 WO2019100795A1 (zh) 2017-11-24 2018-08-29 一种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877A KR20200090877A (ko) 2020-07-29
KR102365382B1 true KR102365382B1 (ko) 2022-02-18

Family

ID=6663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58A KR102365382B1 (ko) 2017-11-24 2018-08-29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76971B2 (ko)
EP (1) EP3716509A4 (ko)
JP (1) JP7039699B2 (ko)
KR (1) KR102365382B1 (ko)
CN (1) CN109842458B (ko)
WO (1) WO2019100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3822B2 (en) * 2018-01-12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Coded-bit allocation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segmentation
CN110768680B (zh) * 2019-11-04 2024-03-29 重庆邮电大学 一种scl剪枝技术联合球型列表译码的方法及装置
CN111757118B (zh) * 2020-06-29 2023-04-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视频转码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438054B (zh) * 2021-06-23 2022-08-1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4000564A1 (zh) * 2022-07-01 2024-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6741B2 (en) 2007-09-28 201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ed circular buffer rate matching for turbo-coded MIMO-OFDM wireless systems
KR101526990B1 (ko) 2008-01-31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블록 크기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CN101667884A (zh) * 2008-09-03 201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编码方法及装置、信道译码方法及装置
US8259643B2 (en) 2009-02-13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deword to layer mapping in MIMO transmission wireless systems
JP5654621B2 (ja) 2010-06-14 2015-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ためのユーザ機器、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の方法
US9526089B2 (en) * 2010-10-27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380490B2 (en) *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JP5195989B2 (ja) 2011-09-09 2013-05-15 富士通株式会社 送信方法
WO2014207895A1 (ja) 2013-06-28 2014-12-3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6174884A1 (ja) * 2015-04-27 2016-11-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41781B2 (en) 2016-01-29 2020-01-21 Intel IP Corporation Rate matching using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JP2019149589A (ja) * 2016-07-08 2019-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8289010B (zh) * 2017-01-09 2022-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8631941B (zh) * 2017-03-24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6073954A (zh) * 2017-08-10 2023-05-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通信或广播系统中对信道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设备
CN109600194A (zh) * 2017-09-30 2019-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Ploar编码方法和编码装置、译码方法和译码装置
CN109600201B (zh) * 2017-10-01 2024-04-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极化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28522B1 (ko) * 2018-04-05 202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극 부호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de block segmentation for data channel (3GPP TSG RAN WG1 NR Ad-Hoc #2, June 2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2458B (zh) 2020-10-20
WO2019100795A1 (zh) 2019-05-31
JP2021505028A (ja) 2021-02-15
EP3716509A1 (en) 2020-09-30
US11476971B2 (en) 2022-10-18
US20200389249A1 (en) 2020-12-10
CN109842458A (zh) 2019-06-04
JP7039699B2 (ja) 2022-03-22
EP3716509A4 (en) 2020-12-30
KR20200090877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382B1 (ko) 인코딩 방법,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133704B (zh) 用于基于代码块组的第五代(5g)或其它下一代系统的自适应两级下行链路控制信道结构
US112061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de block grouping
TWI713906B (zh) 一種極化編碼方法、裝置、電子設備及存儲介質
US10516505B2 (en) Baseband processors, base station, user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11057794B2 (en) Redundancy version indication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s
CN108141860B (zh) 用于确定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US202000213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WO2018214927A1 (zh) 编译码方法及装置
US11936399B2 (en) CRC interleaving pattern for polar codes
US202001861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eck matrix,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8058352A1 (en) Sub-channel mapping
TWI723232B (zh) 資料處理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TWI791023B (zh) 編碼輸入資料為極性碼的方法及設備、解碼方法及用以解碼碼字的設備
US11218248B2 (en) Channel encoding method and device
CN112438023A (zh) 极化编码和解码
US10707990B2 (en) Method for channel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3574806A (zh) 极化编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