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588B1 -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588B1
KR102364588B1 KR1020190115919A KR20190115919A KR102364588B1 KR 102364588 B1 KR102364588 B1 KR 102364588B1 KR 1020190115919 A KR1020190115919 A KR 1020190115919A KR 20190115919 A KR20190115919 A KR 20190115919A KR 102364588 B1 KR102364588 B1 KR 10236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sheet
cage
trapping
tra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239A (ko
Inventor
채영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5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및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정두께의 시트 형태를 취하는 가요성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설치된 상태로 주변 진드기를 유도 포획하는 포획시트와; 상기 포획시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는,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유인 및 포획할 수 있으며, 진드기의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하므로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포획장치와 무선 연결되며 포획장치에서 감지된 진드기의 개체수 정보를 기초로 포획장치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Device for capturing mite in hen house}
본 발명은 양계장의 계사 내에 발생하는 진드기를 포획 제거하기 위한 포획장치 및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드기 포획 효율이 양호하고, 수백 개 이상의 포획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및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양계 농장에서의 여러 기생충 중, 닭진드기(와구모, 이하, 진드기)는 닭의 날개나 몸통에 붙어 스트레스를 유발함은 물론 흡혈을 통해 닭의 체중감소, 사료효율 및 산란율 저하, 질병감염, 빈혈 등을 야기한다. 국내 양계농장의 진드기 감염률은 90%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진드기는 알에서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유충이 되고, 24시간 내지 36시간 지난 후 성충이 된다. 또한 암컷은 흡혈과 교미 후 3일 동안 산란하는데, 이러한 생활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7일 내지 8일 정도이다. 이들의 생활사 중 흡혈을 하는 것은 대개 자충과 암컷이며, 아주 드문 경우에 수컷도 흡혈을 하나 유충은 흡혈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진드기는, 어둡고 습하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며, 공기통로나 계사의 틈새, 또는 달걀이나 닭똥 운반대 등에 많이 서식한다. 주로 밤에 닭으로 이동하여 피를 빨아먹고, 다시 좁은 틈새로 이동한 후 알을 낳는 일을 반복한다.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화학적 살충제, 가령,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살충제는, 살충제에 내성을 갖는 진드기를 출현시키며 그에 따라 점차 고농도의 살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더욱이 살충제를 구성하는 화학물질은 닭의 몸에 점차 축적되며 그 결과 달걀에 화학물질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적 살충제를 대신하는 다양한 친환경적 살충제가 개발되고 있다. 가령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는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환경부하가 작으며 닭의 체내 오염 문제도 없다. 하지만, 화학 살충제에 비하여 고가이고 살충 효과도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다. 보다 저렴하고 환경부하가 없으며 효과적인 살충 능력을 갖는 살충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730호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유인 및 포획할 수 있으며, 진드기의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나 무게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포획장치에서 감지된 진드기의 개체수 정보를 기초로 포획장치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관리가 용이한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는, 일정두께의 시트 형태를 취하는 가요성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설치된 상태로 주변 진드기를 유도 포획하는 포획시트와; 상기 포획시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획시트에는, 상기 포획층을 상호 마주한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하는 파스너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포획시트에는, 진드기를 포획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도구멍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계사에 전달되는 포획시트의 하중 작용부위에 설치되는 로딩블록과, 상기 로딩블록에 장착되며 포획시트의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무게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로딩블록에는, 상기 포획층의 온도를 감지하여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포획장치에는,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며 상기 포획시트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계사에 매달아 놓는 행거가 더 포함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행거에 장착되며 포획시트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무게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검출수단에는,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있는 포획층의 온도를 감지하여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은, 일정두께의 시트 형태를 취하는 가요성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설치된 상태로 주변 진드기를 유도 포획하는 다수의 포획시트와; 상기 포획시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각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을 통해 개별 포획시트의 무게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설정된 무게 기준에 기초하여, 교체할 포획시트를 찾아내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포획시트의 주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교체할 포획시트의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램프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제어정보를 관리자단말기와 공유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는,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유인 및 포획할 수 있으며, 진드기의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하므로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포획장치와 무선 연결되며 포획장치에서 감지된 진드기의 개체수 정보를 기초로 포획장치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에서의 포획시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전체 구조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2에 도시한 로딩블록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포획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 관리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80)에서의 포획시트(10)를 별도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포획시트(10)는 제거할 진드기를 유도 및 포획하기 위한 시트형 부재로서, 폴딩라인(A)을 중심으로, 중앙부를 접어 계사(100)의 적절한 지점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계사는 철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지의 형태를 취하므로, 철망을 구성하는 와이어에 포획시트(1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시트(10)는, 베이스층(11), 접착층(13), 포획층(15)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층(11)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필요에 따라 구부리거나 접거나 둥글게 말아 놓을 수 있다.
베이스층(11)은 포획층(15)에 포획된 진드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층으로서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된다. 가령,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polyolefin)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층(11)의 두께는 5mm 보다 얇게 제작된다.
접착층(13)은 베이스층(11)에 포획층(15)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열가소성수지나 핫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획층(15)은,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시트로서, 합성수지로 제작된 섬유조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섬유로서, 비스코스 섬유, 동암모니아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프로 믹스 섬유,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비닐론 섬유,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합성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합성 섬유, 폴리에스텔계 합성 섬유, 폴리 아크릴로니트릴계 합성 섬유, 폴리에틸렌계 합성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합성 섬유, 폴리우레탄계 합성 섬유, 포리크라르 섬유, PET 등이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포획층(15)에는 기생충 방제제나 유인제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포획층(15)에 방제제나 유인제를 뿌려 함침 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방제제로서, 살란제, 살유충제, 살용제, 살성충제, 불임화제를 포함하는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가령, 페니트로치온, 사후로틴 등의 유기 인제, 세빈, 바이곤 등의 카바메이트제, 페노트린, 페르메트린 등의 피레스 로이드제, 메트프렌, 피리 프록시펜 등의 유약 호르몬제, 데미 인 등의 키친 합성 저해제, 사이로마진 등의 항에크지손제, 피프로닐 등의 피라조르계 약제, 니코틴제, 이미다크로프리드 등의 크로로니코치닐제, 크로르페나필 등의 피로르계 약제, 천연 성분인 제충국 추출물, 인드센단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생충 방제제는, 우선, 곤충 성장 제어제로서 해충의 정상적인 발생을 저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약제, 구체적으로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이나 키친 합성 저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4-페녹시 페닐 2-(2-피리 질 옥시) 프로필에테르[피리 프록시 펜], 에틸 2-(4-페녹시 페녹시) 에틸 카바 메이트[페노키시카르브], 이소프로필 11-메톡시-3, 7, 11-새 메틸-2, 4-드데카지에노에이트[메소프렌], 4-클로로-2-(2-클로로-2-메틸프로필)-5-(6-요드-3-피리 질 메톡시) 피리다진 3(2 H)-온을 들 수 있다.
또한, 키친 합성 저해제로서는, 예를 들면, 1-(4-클로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지후르벤즈론], 1-[3, 5-디클로로-4-(3-클로로-5-새 플루오르 메틸피리딘-2-일옥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크롤 풀아즈론], 1-(3, 5-디클로로-2, 4-디플루오로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테후르벤즈론], 1-(4-새 플루오르 메톡시페닐)-3-(2-클로로 벤조일) 우레아[트리후룸론], 1-[4-(2-클로로-4-새 플루오르 메틸 페녹시)-2-플루오르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후르페노크스론], 1-[3, 5-디클로로-4-(1, 1, 2, 2-테트라 플루오르 에톡시)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헤키사후룸론], 1-[2-플루오르-4-(1, 1, 2, 2-테트라 플루오르 에톡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우레아, 1-(2-플루오르-4-새플루오르 메틸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우레아 등의 벤조이르우레아 화합물 및 2-테르트-브치르이미노 3-이소프로필-5-페닐-3, 4, 5, 6-테트라 히드로-2 H-1, 3, 5-치어 차아진-4-온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기생충 방제제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기생충 방제용 수지 조성물 중 0.05~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기생충 방제재의 수지 성형체는, 합성 수지에 해충 방제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필요한 경우 해충을 유인하는 색소, 그 외의 첨가제를 더한 기생충 방제용 수지 조성물을 미리 열혼련 한 후, 펠렛화한 마스터 배치를 얻고, 이것을 이용하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기, 압출기 등의 통상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필름, 시트, 망상 성형체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에 성형해 이용 할 수가 있다.
또한, 기생충 방제제가 자외선으로 열화하기 쉬운 경우는, 베소조페논 유도체, 살칠산 에스터, 벤조트리아조르 유도체, 레조르신 유도체, 산화 티탄, 옥틸 시릴화 산화 티탄, 살칠산 에틸 헥실 등의 자외선 열화 방지제를 100ppm~500ppm, 에트키시킨,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프치르히드로키시아니소르 등의 산화 방지제 0.1%~0.5%를 합성수지나 합성 섬유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유인제는, 비특이적으로 다종류의 기생충 또는 해충 혹은 특이적으로 특정의 기생충 또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이용된다. 비특이적인 해충 유인제로서는, 페네치르아르코르류, 벤젠기, 나프타렌기, 또는 테트라인기를 가지는 페놀, 초산, 락트산, 저급 알코올, 아민류, 동물성 단백질, 식물성 단백질, 동식물성 유지와 그 메이라드 반응물, 동식물 성분의 추출물과 그 발효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이적인 해충 유인제로서는, 세리코르닌, 라시코르, 페리프라논 등의 곤충 페로몬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유인제는, 용해, 현탁 혹은 유화한 액체에 수지 성형체나 섬유 성형체를 침지시키거나, 액체를 분무하거나 솔이나 롤러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유인제의 첨가량은, 포획층(15)의 사이즈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유인제 용액에는, 유인제가 빗물이나 바람 등으로 박리 또는 용해되는 것을 막아, 주제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고 기재에 대한 습전성, 부착성, 고착성이 뛰어난 전착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착제로서는 운석재, 소프레스리프, 황산화유, 고급 알코올 황산화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등이 이용된다. 유인제의 농도는, 포획층(15)의 무게 대비, 0.01wt%~10wt%의 범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층(15)에는 다수 쌍의 파스너(10a,10b)가 고정되어 있다. 파스너(10a,10b)는 상호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벨크로테입이다. 포획시트(10)를 폴딩라인(A)을 기준으로 접으면, 파스너(10a,10b)가 서로에 대해 결합하며 포획시트(1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상기 파스너(10a,10b)로서 스냅단추나 자석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포획시트(10)에는 다수의 슬릿형 유도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구멍(10c)은 포획시트(1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상부로 개방된 통로를 제공한다. 유도구멍(10c)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많은 진드기가 보다 빨리 포획층(1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유도구멍(10c)은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드기 포획장치(80)의 전체 구성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사(100)의 걸이부(100a)에, 검출수단과 포획시트(10)가 장착된다. 포획시트(10)는 탄성클립(41)을 통해 검출수단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걸이부(100a)는 계사를 이루는 철망에서 진드기 포획장치(80)를 걸어 둘 수 있는 적절한 형태의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포획시트(10)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 및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수단에는, 로딩블록(20), 무게센서(31), 온도센서(33), 배터리(35), 통신모듈(37)이 포함된다.
도 4a 내지 4c는 상기 검출수단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로딩블록(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로딩블록(20)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하부로 개방된 공간부(21)를 제공한다. 공간부(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사의 걸이부(100a)를 수용한다. 로딩블록(20)이 걸이부(100a)에 걸쳐지는 것이다.
로딩블록(20)의 양측면은 포획시트(10)와 면접하는 밀착면(25)으로서 사이드홈(23)을 갖는다. 사이드홈(23)은 밀착면(25)에 접하고 있는 포획시트(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22는 포획시트(10)를 지지하는 지지면이다. 포획시트(10)의 하중은 지지면(22)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무게센서(31)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21) 내부의 걸림면(26)에 장착된다. 무게센서(31)는 걸림면(26)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다. 걸림면(26)은 걸이부(100a)가 걸리는 부분이다. 하지만 걸림면(26)에 무게센서(31)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걸이부(100a)는 무게센서(31)에 걸린다. 무게센서(31)는 걸이부(100a)에 받쳐진 상태이므로, 가령, 지지면(22)을 누르면 무게센서(31)가 반작용력, 즉,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무게센서(31)는 화살표 F방향으로 가해지는 포획시트(10)의 하중을 받아, 포획시트(10)의 무게를 감지 및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포획시트(10)에 습기가 차거나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포획시트(10)의 무게가 증가하는데, 이러한 무게 증가를 감지하고 증가한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33)는 로딩블록(20)의 하측부에 위치한다. 온도센서(3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포획시트(1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 감지한다. 포획시트(10)의 내부공간은 매우 좁으며 공기의 순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흡혈을 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외기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상기 무게센서(31)와 온도센서(33)가 감지한 정보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모듈(37)로 전달된다. 통신모듈(37)은 무게센서(31) 및 온도센서(33)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로 전달한다. 가령, 무선 접속되어 있는 제어서버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관리자는 각 포획시트(10)의 개별적 상태를 원격에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35는 배터리이다. 배터리(35)는, 무게센서(31), 온도센서(33), 통신모듈(37)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로서 일회용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충전형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형 전지일 경우 충전은 무선충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딩블록(20)의 공간부(21)내에 걸이부(100a)가 끼워져 있고, 걸이부(100a)의 상부에 무게센서(31)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로딩블록(20)은, 접혀진 상태의 포획시트(10)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이 때 로딩블록(20)의 양쪽 밀착면(25)과 지지면(22)이 포획시트의 포획층(15)에 밀착한다.
아울러 포획층(15)에 고정되어 있는 파스너(10a,10b)는 상호 부착되어 포획시트(10)의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긴밀히 밀착하고 있다.
탄성클립(41)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에 가압부(41a)를 갖는다. 가압부(41a)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 복원되며 화살표 c방향으로 오므라진다. 이러한 탄성클립(41)은, 로딩블록(20)과 포획시트(10)의 접촉부위를 수용하며 포획시트(10)를 로딩블록(20)측으로 탄력 가압한다.
도 3은 탄성클립(41)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시트(10)가, 상기한 검출수단을 내장한 상태로 탄성클립(41)에 물려 있다. 각 탄성클립(41)의 사이에 유도구멍(10c)이 위치함도 볼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포획시트(10)의 하중은, 로딩블록(20)과 무게센서(31)를 통과해 걸이부(100a)로 전달된다. 걸이부(100a)를 누르고 있는 무게센서(31)는 걸이부(100a)로부터 전달된 반작용력에 의해 포획시트(10)의 하중을 감지한다. 포획층(15)에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포획시트(10)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무게센서(31)를 통해, 진드기의 포획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포획시트(10) 내부의 온도는 온도센서(33)를 통해 동시에 파악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포획시트(10)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 포획층(15)의 온도가 증가하므로, 온도 정보를 통해서도 진드기의 포획 정도를 추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8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포획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드기 포획장치(80)가, 케이스(50), 행거(60), 포획시트(10), 검출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스(50)는 입구부(51)를 통해 계사(100) 방향으로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로서, 내부의 수납공간(50a)에 포획시트(10)를 수용한다. 포획시트(1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11), 접착층(13), 포획층(15)으로 구성된다. 특히 포획시트(10)의 일부는 입구부(5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로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포획시트(10)의 일부를 노출시킨 이유는 진드기가 보다 쉽게 걸려들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50)의 내부에는 유도제수납부(55)가 설치된다. 유도제수납부(55)는 위에 언급한 유도제가 수용되어 있는 약통이다. 유도제수납부(55)에 수용되어 있는 유도제는 서서히 스며나와 포획층(15)을 적신다.
케이스(50)의 상부에는 두 개의 장착홀(53)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홀(53)은 전방으로 개방된 홈으로서 행거(60)를 수용한다. 행거(60)는 장착홀(53)에 걸린 상태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부(100a)에 지지된다.
행거(60)는 행거본체(61)와 스위블후크(63)를 포함한다. 행거본체(61)는 대략 ⊥ 자의 형태를 취하는 부속으로서, 수납공간(50a)에 끼워진 상태로 그 일부가 케이스(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스위블후크(63)는 그 하단부가 행거본체(61)에 연결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사의 걸이부(100a)에 걸려 케이스(50)가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행거본체(61)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무게센서(31)와, 행거본체(61)의 하부나 측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33), 배터리(35), 통신모듈(37)을 포함한다.
무게센서(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홀(53) 하부에서 행거본체(61)에 받쳐진 상태로 케이스(50) 및 포획시트(10)의 무게를 감지한다. 케이스(50)의 무게는 일정하므로 포획시트(1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온도센서(33)는 케이스(5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통신모듈(37)은 온도센서(33) 및 무게센서(31)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통신모듈(37)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 관리시스템(9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90)은, 다수의 포획장치(80), 제어부(71), 관리자단말기(73), 알림램프(75)를 포함한다.
포획장치(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포획시트(10)와 검출수단을 포함하며, 검출수단은, 무게센서(31), 온도센서(33), 배터리(35), 통신모듈(37)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71)는 모든 포획장치(80)의 통신모듈(37)과 접속되며, 포획시트(10)의 상황을 실시간 보고 받는다. 각 포획시트(10)의 무게와 온도 데이터가 제어부(71)에 모여 통합 관리되는 것이다. 제어부(71)는 모니터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일 수 있다.
제어부(71)는 각 포획장치(8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데이터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교체할 포획시트(10)를 찾아낸다. 말하자면, 온도가 설정치보다 높게 올라간 포획시트나, 무게가 설정치보다 무거워진 포획시트를 찾아내는 것이다. 진드기가 포획됨에 따라 포획시트(10)의 온도가 올라가고 무게가 증가함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알림램프(75)는 각 진드기 포획장치(80)의 주변에 배치되는 엘이디 램프이다. 각 알림램프(75)는 진드기 포획장치(80)에 일대일 대응한다. 즉, 하나의 진드기 포획장치(80)에 하나의 알림램프(75)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알림램프(75)는 제어부에 접속되며 제어부(71)에 의해 작동한다. 제어부(71)는 교체할 포획시트(10)가 포함되어 있는 포획장치(80)의 알림램프(75)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교체할 포획시트(10)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관리자단말기(73)는 작업자가 가지고 다니는 모바일기기, 가령 스마트폰으로서, 제어부(71)와 무선 접속된다. 제어부(7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나 제어부로 입력되는 여러 가지 감지데이터는 관리자단말기(73)와 공유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포획시트 10a,10b:파스너 10c:유도구멍
11:베이스층 13:접착층 15:포획층
20:로딩블록 21:공간부 22:지지면
23:사이드홈 25:밀착면 26:걸림면
31:무게센서 33:온도센서 35:배터리
37:통신모듈 41:탄성클립 41a:가압부
50:케이스 50a:수납공간 51:입구부
53:장착홀 55:유도제수납부 60:행거
61:행거본체 63:스위블후크 71:제어부
73:관리자단말기 75:알림램프 80:진드기 포획장치
90:관리시스템 100:계사 100a:걸이부

Claims (10)

  1. 일정두께의 시트 형태를 취하는 가요성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설치된 상태로 주변 진드기를 유도 포획하는 포획시트와;
    상기 포획시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포획층에는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 및 키친 합성 저해제가 함침되고,
    상기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은, 4-페녹시 페닐 2-(2-피리 질 옥시) 프로필에테르[피리 프록시 펜], 에틸 2-(4-페녹시 페녹시) 에틸 카바 메이트[페노키시카르브], 이소프로필 11-메톡시-3, 7, 11-새 메틸-2, 4-드데카지에노에이트[메소프렌], 4-클로로-2-(2-클로로-2-메틸프로필)-5-(6-요드-3-피리 질 메톡시) 피리다진 3(2 H)-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키친 합성 저해제는, 벤조이르우레아 화합물, 2-테르트-브치르이미노 3-이소프로필-5-페닐-3, 4, 5, 6-테트라 히드로-2 H-1, 3, 5-치어 차아진-4-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포획층에는 해충 유인제가 포함되고, 상기 해충 유인제로는, 세리코르닌, 라시코르, 페리프라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해충 유인제에는 운석재, 소프레스리프, 황산화유, 고급 알코올 황산화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며,
    상기 해충 유인제는:
    베소조페논 유도체, 살칠산 에스터, 벤조트리아조르 유도체, 레조르신 유도체, 산화 티탄, 옥틸 시릴화 산화 티탄, 살칠산 에틸 헥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열화 방지제; 및
    에트키시킨,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및 프치르히드로키시아니소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화 방지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시트에는,
    상기 포획층을 상호 마주한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하는 파스너가 더 구비된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시트에는,
    진드기를 포획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도구멍이 형성된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계사에 전달되는 포획시트의 하중 작용부위에 설치되는 로딩블록과,
    상기 로딩블록에 장착되며 포획시트의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무게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블록에는,
    상기 포획층의 온도를 감지하여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장치에는,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며 상기 포획시트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계사에 매달아 놓는 행거가 더 포함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행거에 장착되며 포획시트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무게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에는,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있는 포획층의 온도를 감지하여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15919A 2019-09-20 2019-09-20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KR10236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19A KR102364588B1 (ko) 2019-09-20 2019-09-20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19A KR102364588B1 (ko) 2019-09-20 2019-09-20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239A KR20210034239A (ko) 2021-03-30
KR102364588B1 true KR102364588B1 (ko) 2022-02-17

Family

ID=7526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919A KR102364588B1 (ko) 2019-09-20 2019-09-20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97079A1 (en) * 2020-06-26 2023-02-16 Ctb, Inc. Arthropod trap and extermin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44A (ja) 2002-08-22 2004-03-11 Fumakilla Ltd 害虫誘引捕獲器
KR101523529B1 (ko) * 2013-09-26 2015-05-28 한국광기술원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 진드기 제거장치
JP2019110851A (ja) * 2017-12-25 2019-07-11 京都府 ダニ捕捉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85B1 (ko) * 2004-02-28 2006-12-20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92860B1 (ko) * 2007-12-28 2010-11-09 주식회사 세스코 확장형 끈끈이 및 이를 포함한 보행해충 트랩
KR102094916B1 (ko) 2017-12-04 2020-03-30 조명행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44A (ja) 2002-08-22 2004-03-11 Fumakilla Ltd 害虫誘引捕獲器
KR101523529B1 (ko) * 2013-09-26 2015-05-28 한국광기술원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 진드기 제거장치
JP2019110851A (ja) * 2017-12-25 2019-07-11 京都府 ダニ捕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239A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erson et al. A carbon dioxide, heat and chemical lure trap for the bedbug, Cimex lectularius
US10506804B2 (en) Collapsible stackable disposable inexpensive pesticide free traps and attractant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of Aedes container breeding mosquitos and other container breeding insects
US2012029133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on From Bedbugs
MX2008002748A (es) Monitor de chinches de cama.
KR20110120935A (ko) 빈대의 서식을 감시하는 방법 및 감지장치
KR102364588B1 (ko)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US10548305B2 (en) Spider trap
JP6467571B1 (ja) ダニ捕捉器
US20190116777A1 (en) Mite-capturing sheet
KR102319149B1 (ko)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JP5660480B2 (ja) 害虫集積装置
CN102006772A (zh) 用于虫害防治的设备
US20190110437A1 (en) Grooming apparatus for pets
US9788525B1 (en) Grooming apparatus for household pets
US20210259231A1 (en) Ambulatory insect pest-trapping device
Ward et al. Preliminary laboratory and field trials of a heated pheromone trap for the sandfly lutzomyia logipalpis (Diptera: Psychodidae)
Yusuf et al. An effective method for maintaining the African termite-raiding ant Pachycondyla analis in the laboratory
KR20120003759U (ko) 이동식 끈끈이 포집기
AU768388B2 (en) An improved process for combating parasitosis in bee colonies
KR20200000765A (ko) 체외 기생충 방제 시스템
JP4129671B2 (ja) 害虫誘引捕獲器
US6840195B1 (en) Avian medicament or pest control product and method
KR20190093869A (ko)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Martínez-de la Puente et al. Testing the use of a citronella-based repellent as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the prevalence and abundance of biting flies in avian nests
US6925750B1 (en) Insect bait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