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49B1 -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49B1
KR102319149B1 KR1020200014544A KR20200014544A KR102319149B1 KR 102319149 B1 KR102319149 B1 KR 102319149B1 KR 1020200014544 A KR1020200014544 A KR 1020200014544A KR 20200014544 A KR20200014544 A KR 20200014544A KR 102319149 B1 KR102319149 B1 KR 10231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tick
capture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487A (ko
Inventor
채영훈
전성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배치되는 포획시트, 포획시트의 무게 및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RF모듈을 갖는 진드기포획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력공급부에 접속되는 저전력모듈과; 저전력모듈을 통해 전력을 상시 전달받으며 설정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상기 진드기포획장치로 공급하는 주전력모듈과; 신호출력부가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만 주전력모듈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은, 진드기포획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RF모듈을 이용해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를 파악하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파악할 수 있어, 필요 없는 전력의 낭비를 유발하지 않아 경제적 부담 없이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Low power control system for mite catching device in cage}
본 발명은 양계장의 계사 내에 발생하는 진드기를 포획하는 포획장치의 제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획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양계 농장에서의 여러 기생충 중, 특히 닭진드기(와구모, 이하, 진드기)는 닭의 날개나 몸통에 들러붙어 닭의 스트레스를 유발함은 물론, 흡혈을 통해 닭의 체중감소, 사료효율 및 산란율 저하, 질병감염, 빈혈 등을 야기한다. 국내 양계농장의 진드기 감염률은 90%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진드기는 보통 알에서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유충이 되고, 24시간 내지 36시간 지난 후 성충이 된다. 또한 암컷은 흡혈과 교미 후 3일 동안 산란하는데, 이러한 생활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7일 내지 8일 정도이다. 이들의 생활사 중 흡혈을 하는 것은 대개 자충과 암컷이며, 아주 드문 경우에 수컷도 흡혈을 하나 유충은 흡혈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진드기는, 어둡고 습하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며, 공기통로나 계사의 틈새, 또는 달걀이나 닭똥 운반대 등에 많이 서식한다. 또한 주로 밤에 닭으로 이동하여 피를 빨아먹고, 다시 좁은 틈새로 이동한 후 알을 낳는 일을 반복한다.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화학적 살충제, 가령,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살충제는, 살충제에 내성을 갖는 진드기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점차 고농도의 살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게 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더욱이 살충제를 구성하는 화학물질은 닭의 몸에 점차 축적되며 그 결과 달걀에 화학물질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적 살충제를 대신하는 다양한 친환경적 살충제가 개발되고 있다. 가령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는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환경부하가 작으며 닭의 체내 오염 문제도 없다. 하지만, 화학 살충제에 비하여 고가이고 살충 효과도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다. 보다 저렴하고 환경부하가 없으며 효과적인 살충 능력을 갖는 살충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8928호)를 통해 LED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방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여 닭 사육장에 빛을 조사하는 LED부; 상기 닭 사육장 내부에 설치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수신하여 상기 LED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방제 시스템은 LED를 10분 내지 20분간 조사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심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LED가 하나라면 전력소모를 무시할 수 있겠으나, 수십 만 수의 닭을 키우는 대규모 양계장의 경우에는 전력소모량이 막대하여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8928호 (LED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4461호 (닭 진드기 개체수 측정 기반 ICT 양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진드기포획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RF모듈을 이용해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를 파악하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파악할 수 있어, 필요 없는 전력의 낭비를 유발하지 않아 경제적 부담 없이 운용이 가능한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은,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배치되는 다수의 포획시트, 시간경과에 따른 포획시트의 무게 및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RF모듈을 갖는 진드기포획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 접속되는 저전력모듈과; 상기 저전력모듈을 통해 전력을 상시 전달받으며 설정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 접속되고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상기 진드기포획장치로 공급하여 센서부와 RF모듈이 동작하게 하는 주전력모듈과; 상기 전력공급부와 주전력모듈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출력부가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만 주전력모듈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스위치와; 상기 RF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진드기포획장치의 온도 및 무게변화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버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획시트는 일정두께를 갖는 시트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포획층을 상호 마주한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하는 파스너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포획시트에는, 진드기를 포획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도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드기포획장치에는; 상기 포획시트를 내부에 수용하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센서부를 지지한 상태로 케이스를 계사에 매달아 놓는 행거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은, 진드기포획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RF모듈을 이용해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를 파악하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파악할 수 있어, 필요 없는 전력의 낭비를 유발하지 않아 경제적 부담 없이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포획장치는,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유인 및 포획할 수 있으며, 진드기의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므로, 관리자는 포획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저전력 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포획장치에서의 포획시트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포획장치의 전체 구조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5b는 도 3에 도시한 로딩블록의 구성과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포획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포획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은, 후술하는 진드기포획장치(35)에 진드기가 충분히 포획되었는지를 최소의 전력으로 파악 및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충분한 포획 여부를 파악하는 이유는 진드기포획장치를 교체할지 말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진드기가 충분히 포획되었다면 진드기포획장치를 교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조금 더 놔둔다.
또한, 진드기의 포획정도 판단은, 진드기가 포획된 포획시트의 무게변화나 온도변화를 기초로 한다. 포획시트가 무거워지거나 온도가 올라가면 포획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한 것이다. 온도는 진드기의 호흡과 관련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제어시스템(10)은, 태양전지(11), 배터리(13), 저전력모듈(21), 신호출력부(23), 스위치(31), 주전력모듈(33), 진드기포획장치(35), 서버모듈(39)을 포함한다.
태양전지(11)와 배터리(13)는, 저전력모듈(21)과 주전력모듈(3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전력공급부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로서의 태양전지(11)는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13)로 보내어 배터리(13)를 충전시킨다. 배터리(13)는 태양전지(11)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받아 충전되며, 제어시스템(10)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3)의 종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고, 가령, 리튬이온배터리나 리튬폴리머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저전력모듈(21)은 배터리(13)와 접속되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상시적으로 전달받는다. 또한 신호출력부(23)는 저전력모듈(21)을 통해 전력을 전달받으며 설정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한다. 가령 3시간이나 6시간 간격 또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배터리(13)에는 스위치(31)가 더 접속된다. 스위치(31)은 온오프형 스위치로서, 신호출력부(23)가 신호를 출력할 때에만 온(on) 상태가 되고,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때에는 오프(off) 된다. 스위치(31)는 상시 오프(off) 스위치로서, 3시간이나 6시간 또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온(on)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오프(off) 된다.
스위치의 온(on) 상태의 유지시간은 5분 이하이며, 유지시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 가능하다. 가령, 신호출력부(23)가 필요 시간동안 신호를 출력하게 하거나, 스위치에 릴레이소자를 적용하여 스위치가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오프(off) 되게 할 수 있다.
주전력모듈(33)은 스위치(31)에 접속되고, 배터리(13)로부터 스위치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을 진드기포획장치로 공급하여 센서부(36)와 RF모듈(37)이 동작하게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신호출력부(23)는 설정된 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하므로, 결국 센서부(36)와 RF모듈(37)에는 신호출력부(23)가 작동할 때마다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센서부(36)와 RF모듈(37) 자체는 전력을 공급받아야 센싱이나 데이터 송신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신호출력부(23)와 스위치(31)가 없다면 센서부(36)와 RF모듈(37)에 상시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잠깐 동안만 전력을 소모하므로 전력소모량이 매우 적다. 사실, 진드기포획시트(도 2의 51)에 포획되는 진드기의 개체수가 일순간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센서부(36)를 통한 센싱을 24시간 내내 할 필요는 없다. 하루 3회 내지 4회, 매회 5분 정도 센싱이면 충분하다.
한편, 진드기포획장치(35)는, 진드기에 의한 무게증가와 온도증가를 감지하는 센서부(36)와, 센서부(36)가 감지한 내용을 서버모듈(39)로 전송하는 RF모듈(37)을 포함한다. 서버모듈(39)은 진드기포획장치(35)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정보를 관리자(100)에게 보내어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저전력 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진드기포획장치에서의 포획시트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시트(51)는, 베이스층(52), 접착층(53), 포획층(54)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층(52)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필요에 따라 구부리거나 접거나 둥글게 말아 놓을 수 있다.
베이스층(52)은 포획층(54)에 포획된 진드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층으로서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된다. 가령,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polyolefin)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층(52)의 두께는 5mm 보다 얇게 제작된다.
접착층(53)은 베이스층(52)에 포획층(5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열가소성수지나 핫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획층(54)은,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다공성 시트로서, 합성수지로 제작된 섬유조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섬유로서, 비스코스 섬유, 동암모니아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프로 믹스 섬유,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비닐론 섬유,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합성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합성 섬유, 폴리에스텔계 합성 섬유, 폴리 아크릴로니트릴계 합성 섬유, 폴리에틸렌계 합성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합성 섬유, 폴리우레탄계 합성 섬유, 포리크라르 섬유, PET 등이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포획층(54)에는 기생충 방제제나 유인제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포획층(54)에 방제제나 유인제를 뿌려 함침 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방제제로서, 살란제, 살유충제, 살용제, 살성충제, 불임화제를 포함하는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가령, 페니트로치온, 사후로틴 등의 유기 인제, 세빈, 바이곤 등의 카바메이트제, 페노트린, 페르메트린 등의 피레스 로이드제, 메트프렌, 피리 프록시펜 등의 유약 호르몬제, 데미 인 등의 키친 합성 저해제, 사이로마진 등의 항에크지손제, 피프로닐 등의 피라조르계 약제, 니코틴제, 이미다크로프리드 등의 크로로니코치닐제, 크로르페나필 등의 피로르계 약제, 천연 성분인 제충국 추출물, 인드센단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생충 방제제는, 우선, 곤충 성장 제어제로서 해충의 정상적인 발생을 저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약제, 구체적으로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이나 키친 합성 저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약 호르몬 활성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4-페녹시 페닐 2-(2-피리 질 옥시) 프로필에테르[피리 프록시 펜], 에틸 2-(4-페녹시 페녹시) 에틸 카바 메이트[페노키시카르브], 이소프로필 11-메톡시-3, 7, 11-새 메틸-2, 4-드데카지에노에이트[메소프렌], 4-클로로-2-(2-클로로-2-메틸프로필)-5-(6-요드-3-피리 질 메톡시) 피리다진 3(2 H)-온을 들 수 있다.
또한, 키친 합성 저해제로서는, 예를 들면, 1-(4-클로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지후르벤즈론], 1-[3, 5-디클로로-4-(3-클로로-5-새 플루오르 메틸피리딘-2-일옥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크롤 풀아즈론], 1-(3, 5-디클로로-2, 4-디플루오로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테후르벤즈론], 1-(4-새 플루오르 메톡시페닐)-3-(2-클로로 벤조일) 우레아[트리후룸론], 1-[4-(2-클로로-4-새 플루오르 메틸 페녹시)-2-플루오르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후르페노크스론], 1-[3, 5-디클로로-4-(1, 1, 2, 2-테트라 플루오르 에톡시)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 우레아[헤키사후룸론], 1-[2-플루오르-4-(1, 1, 2, 2-테트라 플루오르 에톡시)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우레아, 1-(2-플루오르-4-새플루오르 메틸 페닐)-3-(2, 6-디플루오로 벤조일)우레아 등의 벤조이르우레아 화합물 및 2-테르트-브치르이미노 3-이소프로필-5-페닐-3, 4, 5, 6-테트라 히드로-2 H-1, 3, 5-치어 차아진-4-온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기생충 방제제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기생충 방제용 수지 조성물 중 0.05~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기생충 방제재의 수지 성형체는, 합성 수지에 해충 방제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필요한 경우 해충을 유인하는 색소, 그 외의 첨가제를 더한 기생충 방제용 수지 조성물을 미리 열혼련 한 후, 펠렛화한 마스터 배치를 얻고, 이것을 이용하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기, 압출기 등의 통상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필름, 시트, 망상 성형체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에 성형해 이용 할 수가 있다.
또한, 기생충 방제제가 자외선으로 열화하기 쉬운 경우는, 베소조페논 유도체, 살칠산 에스터, 벤조트리아조르 유도체, 레조르신 유도체, 산화 티탄, 옥틸 시릴화 산화 티탄, 살칠산 에틸 헥실 등의 자외선 열화 방지제를 100ppm~500ppm, 에트키시킨,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프치르히드로키시아니소르 등의 산화 방지제 0.1%~0.5%를 합성수지나 합성 섬유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유인제는, 비특이적으로 다종류의 기생충 또는 해충 혹은 특이적으로 특정의 기생충 또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이용된다. 비특이적인 해충 유인제로서는, 페네치르아르코르류, 벤젠기, 나프타렌기, 또는 테트라인기를 가지는 페놀, 초산, 락트산, 저급 알코올, 아민류, 동물성 단백질, 식물성 단백질, 동식물성 유지와 그 메이라드 반응물, 동식물 성분의 추출물과 그 발효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이적인 해충 유인제로서는, 세리코르닌, 라시코르, 페리프라논 등의 곤충 페로몬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유인제는, 용해, 현탁 혹은 유화한 액체에 수지 성형체나 섬유 성형체를 침지시키거나, 액체를 분무하거나 솔이나 롤러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유인제의 첨가량은, 포획층(54)의 사이즈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유인제 용액에는, 유인제가 빗물이나 바람 등으로 박리 또는 용해되는 것을 막아, 주제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고 기재에 대한 습전성, 부착성, 고착성이 뛰어난 전착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착제로서는 운석재, 소프레스리프, 황산화유, 고급 알코올 황산화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등이 이용된다. 유인제의 농도는, 포획층(54)의 무게 대비, 0.01wt%~10wt%의 범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층(54)에는 다수 쌍의 파스너(51a,51b)가 고정되어 있다. 파스너(51a,51b)는 상호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벨크로테입이다. 포획시트(51)를 폴딩라인(A)을 기준으로 접으면, 파스너(51a,51b)가 서로에 대해 결합하며 포획시트(51)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상기 파스너(51a,51b)로서 스냅단추나 자석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포획시트(51)에는 다수의 슬릿형 유도구멍(51c)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구멍(51c)은 포획시트(51)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통로를 제공한다. 유도구멍(51c)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많은 진드기가 보다 빨리 포획층(5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유도구멍(51c)은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드기 포획장치(35)의 전체 구성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사(Z)의 걸이부(Z1)에, 검출수단과 포획시트(51)가 장착된다. 포획시트(51)는 탄성클립(61)을 통해 검출수단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걸이부(Z1)는 계사를 이루는 철망에서 진드기 포획장치(35)를 걸어 둘 수 있는 적절한 형태의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포획시트(51)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포획시트의 무게 변화 및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수단에는, 로딩블록(55), 무게센서(36a), 온도센서(36b), 보조배터리(58), RF모듈(37)이 포함된다.
도 5a 및 5b는 상기 검출수단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로딩블록(5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로딩블록(55)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하부로 개방된 공간부(55a)를 제공한다. 공간부(55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사의 걸이부(Z1)를 수용한다. 로딩블록(55)이 걸이부(Z1)에 걸쳐지는 것이다.
로딩블록(55)의 양측면은 포획시트(51)와 면접하는 밀착면(55d)으로서 사이드홈(55c)을 갖는다. 사이드홈(55c)은 밀착면(55d)에 접하고 있는 포획시트(5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55b는 포획시트(51)를 지지하는 지지면이다. 포획시트(51)의 하중은 지지면(52b)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무게센서(36a)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55a) 내부의 걸림면(55e)에 장착된다. 무게센서(36a)는 걸림면(55e)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다. 걸림면(55e)은 걸이부(Z1)가 걸리는 부분이다. 하지만 걸림면(55e)에 무게센서(36a)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걸이부(Z1)는 무게센서(36a)에 걸린다. 무게센서(36a)는 걸이부(Z1)에 받쳐진 상태이므로, 가령, 지지면(52b)을 누르면 무게센서(36a)가 반작용력, 즉,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무게센서(36a)는 화살표 F방향으로 가해지는 포획시트(51)의 하중을 받아, 포획시트(51)의 무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포획시트(51)에 습기가 차거나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포획시트(51)의 무게가 증가하는데, 이러한 무게 증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RF모듈(37)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36b)는 로딩블록(55)의 하측부에 위치한다. 온도센서(36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포획시트(51)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 감지한다. 포획시트(51)의 내부공간은 매우 좁으며 공기의 순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흡혈을 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외기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상기 무게센서(36a)와 온도센서(36b)는 하나의 센서부(36)를 구성하며, 감지한 정보를 RF모듈(37)로 전달한다. RF모듈(37)은 무게센서(36a) 및 온도센서(36b)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서버모듈(39)로 전달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서버모듈(39)은 RF모듈(37)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데이터를 관리자(100)에게 전달하여, 관리자가 각 포획시트(51)의 개별적 상태를 원격에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58는 보조배터리이다. 보조배터리(58)는, 배터리(13)의 충전량이 모자라거나 기타의 이유로 주전력모듈(3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임시로 사용된다. 보조배터리(38)도, 무게센서(36a), 온도센서(36b), RF모듈(37)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딩블록(55)의 공간부(55a)내에 걸이부(Z1)가 끼워져 있고, 걸이부(Z1)의 상부에 무게센서(36a)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로딩블록(55)은, 접혀진 상태의 포획시트(51)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이 때 로딩블록(55)의 양쪽 밀착면(55d)과 지지면(52b)이 포획시트의 포획층(54)에 밀착한다.
아울러 포획층(54)에 고정되어 있는 파스너(51a,51b)는 상호 부착되어 포획시트(51)의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긴밀히 밀착하고 있다.
탄성클립(61)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에 가압부(61a)를 갖는다. 가압부(61a)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 복원되며 화살표 c방향으로 오므라진다. 이러한 탄성클립(61)은, 로딩블록(55)과 포획시트(51)의 접촉부위를 수용하며 포획시트(51)를 로딩블록(55)측으로 탄력 가압한다.
도 4는 탄성클립(61)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시트(51)가, 상기한 검출수단을 내장한 상태로 탄성클립(61)에 물려 있다. 각 탄성클립(61)의 사이에 유도구멍(51c)이 위치함도 볼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포획시트(51)의 하중은, 무게센서(36a)를 통과해 걸이부(Z1)로 전달된다. 그런데 무게센서(36a)가 걸이부(Z1)에 걸려 있으므로, 무게센서(36a)는 걸이부(Z1)로부터 전달된 반작용력에 의해 포획시트(51)의 하중을 감지한다. 포획층(54)에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포획시트(51)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무게센서(36a)를 통해, 진드기의 포획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포획시트(51) 내부의 온도는 온도센서(36b)를 통해 동시에 파악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포획된 진드기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포획시트(51)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 포획층(54)의 온도가 증가하므로, 온도 정보를 통해서도 진드기의 포획 정도를 추측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35)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포획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드기 포획장치(35)가, 케이스(71), 행거(75), 포획시트(51), 검출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스(71)는 입구부(71b)를 통해 계사(Z) 방향으로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로서, 내부의 수납공간(71a)에 포획시트(51)를 수용한다. 포획시트(51)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52), 접착층(53), 포획층(54)으로 구성된다. 특히 포획시트(51)의 일부는 입구부(71b)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로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포획시트(51)의 일부를 노출시킨 이유는 진드기가 보다 쉽게 걸려들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71)의 내부에는 유도제수납부(73)가 설치된다. 유도제수납부(73)는 위에 언급한 유도제가 수용되어 있는 약통이다. 유도제수납부(73)에 수용되어 있는 유도제는 서서히 스며나와 포획층(54)을 적신다.
케이스(71)의 상부에는 두 개의 장착홀(71c)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홀(71c)은 전방으로 개방된 홈으로서 행거(75)를 수용한다. 행거(75)는 장착홀(71c)에 걸린 상태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부(Z1)에 걸린다.
행거(75)는 행거본체(75a)와 스위블후크(75b)를 포함한다. 행거본체(75a)는 대략 ⊥ 자의 형태를 취하는 부속으로서, 수납공간(71a)에 끼워진 상태로 그 일부가 케이스(71)의 상부로 연장된다. 스위블후크(75b)는 하단부가 행거본체(75a)에 연결되며,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계사의 걸이부(Z1)에 걸려 케이스(71)가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행거본체(75a)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무게센서(36a), 행거본체(75a)의 하부나 측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36b), 보조배터리(58), RF모듈(37)을 포함한다.
무게센서(36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홀(71c) 하부에서 행거본체(75a)에 받쳐진 상태로 케이스(71) 및 포획시트(51)의 무게를 감지한다. 케이스(71)의 무게는 일정하므로 포획시트(51)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온도센서(36b)는 케이스(7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RF모듈(37)은 온도센서(36b) 및 무게센서(36a)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RF모듈(37)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진드기포획장치(37)는, 계사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진드기의 개체 수 증가 여부를 감지하고, 신호출력부(23)의 작동 시, 서버모듈(39)에 감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제어시스템 11:태양전지 13:배터리
21:저전력모듈 23:신호출력부 31:스위치
33:주전력모듈 35:진드기포획장치 36:센서부
36a:무게센서 36b:온도센서 37:RF모듈
39:서버모듈 51:포획시트 51a,51b:파스너
51c:유도구멍 52:베이스층 53:접착층
54:포획층 55:로딩블록 55a:공간부
52b:지지면 55c:사이드홈 55d:밀착면
55e:걸림면 58:보조배터리 61:탄성클립
61a:가압부 71:케이스 71a:수납공간
71b:입구부 71c:장착홀 73:유도제수납부
75:행거 75a:행거본체 75b:스위블후크
100:관리자
Z:계사 Z1:걸이부

Claims (5)

  1.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내부로 파고 들어온 진드기를 잡아 포획하는 포획층을 구비하고 계사에 배치되는 다수의 포획시트, 시간경과에 따른 포획시트의 무게 및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RF모듈을 갖는 진드기포획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 접속되는 저전력모듈과;
    상기 저전력모듈을 통해 전력을 상시 전달받으며 설정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 접속되고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상기 진드기포획장치로 공급하여 센서부와 RF모듈이 동작하게 하는 주전력모듈과;
    상기 전력공급부와 주전력모듈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출력부와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RF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진드기포획장치의 온도 및 무게변화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획시트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포획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주전력모듈로 상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신호출력부가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만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주전력모듈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시트는 일정두께를 갖는 시트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포획층을 상호 마주한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하는 파스너가 구비된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시트에는,
    진드기를 포획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유도구멍이 형성된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드기포획장치에는;
    상기 포획시트를 내부에 수용하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센서부를 지지한 상태로 케이스를 계사에 매달아 놓는 행거가 더 구비되는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KR1020200014544A 2020-02-06 2020-02-06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KR10231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44A KR102319149B1 (ko) 2020-02-06 2020-02-06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44A KR102319149B1 (ko) 2020-02-06 2020-02-06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87A KR20210100487A (ko) 2021-08-17
KR102319149B1 true KR102319149B1 (ko) 2021-10-28

Family

ID=7746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44A KR102319149B1 (ko) 2020-02-06 2020-02-06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97079A1 (en) * 2020-06-26 2023-02-16 Ctb, Inc. Arthropod trap and extermin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88B1 (ko) * 2017-08-10 2018-12-21 대한민국 유해곤충 포획 트랩
JP2019110851A (ja) * 2017-12-25 2019-07-11 京都府 ダニ捕捉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85B1 (ko) * 2004-02-28 2006-12-20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92860B1 (ko) * 2007-12-28 2010-11-09 주식회사 세스코 확장형 끈끈이 및 이를 포함한 보행해충 트랩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74461A (ko) 2017-12-20 2019-06-2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닭 진드기 개체 수 측정 기반 ict 양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928A (ko) 2018-03-16 2019-09-25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88B1 (ko) * 2017-08-10 2018-12-21 대한민국 유해곤충 포획 트랩
JP2019110851A (ja) * 2017-12-25 2019-07-11 京都府 ダニ捕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87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15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st monitoring or control
US10506804B2 (en) Collapsible stackable disposable inexpensive pesticide free traps and attractant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of Aedes container breeding mosquitos and other container breeding insects
CA1167260A (en) Pest controlling animal tag
US20070044372A1 (en) Bed bug monitor
US20130145680A1 (en) Bedbug Trap
JPH09501041A (ja) 害虫管理の新規な方法および材料
KR102319149B1 (ko)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Webb et al. To find an ant: trail-following in Australian blindsnakes (Typhlopidae)
KR102364588B1 (ko)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JP2019528785A (ja) 脱皮動物トラップ
JP6467571B1 (ja) ダニ捕捉器
KR200423611Y1 (ko) 왕반날개 사육상자 거치대 및 왕반날개 대량사육시스템
JP5660480B2 (ja) 害虫集積装置
US4495898A (en) Pest controlling animal tag
US20080256843A1 (en) Insect Bait Station
Paula et al. Improving the delivery and efficiency of fungus-impregnated cloths for control of adult Aedes aegypti using a synthetic attractive lure
US20190110437A1 (en) Grooming apparatus for pets
US9788525B1 (en) Grooming apparatus for household pets
US20150173339A1 (en) Combination Insect Trap and Furniture Moving Apparatus
KR101917108B1 (ko) 모기 유인 트랩
Robinson Distribution of cat flea larvae in the carpeted household environment
KR100895507B1 (ko) 졸대형 바퀴벌레 트랩
KR20200000765A (ko) 체외 기생충 방제 시스템
JP4129671B2 (ja) 害虫誘引捕獲器
CN210538441U (zh) 一种捕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