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869A -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869A
KR20190093869A KR1020180013209A KR20180013209A KR20190093869A KR 20190093869 A KR20190093869 A KR 20190093869A KR 1020180013209 A KR1020180013209 A KR 1020180013209A KR 20180013209 A KR20180013209 A KR 20180013209A KR 20190093869 A KR20190093869 A KR 2019009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e
chicken
composition
cas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881B1 (ko
Inventor
이경열
정덕웅
황활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8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닭진드기를 유인하고, 천적이 이를 포식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적을 도입함으로써 양계장 등의 축사에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충 등 닭진드기의 방제에 있어서, 화학적인 살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유인하고 천적의 포식 활동을 통하여 닭진드기 밀도 감소시키며 경우에 따라 유인하여 포획한 닭진드기를 소각 처리함으로써 유충, 성충을 포함하는 닭진드기를 쉽게 방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축사의 가축들의 닭진드기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출산 또는 산란율을 높이고, 가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poultry red mites, trap using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oultry red mit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닭진드기를 유인하고, 천적이 이를 포식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병해충 방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 와구모)는 거미강 진드기에 속하며, 생태, 생리적인 특성상 산란을 위하여 닭의 혈액을 흡혈하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습성은 가축 질병원체의 전파와 연관성이 크며 특히 산란을 하는 산란계의 경우, 흡혈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산란율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에는 폐사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닭진드기는 주로 야간에 이동하며 닭의 피부 등에 상처를 내어 흡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흡혈이 끝나면 계장의 틈사이나 사료받이 아랫부분 등과 같은 어두운 곳에 숨어서 산란하고 군집을 이루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닭진드기 등을 방제하기 위한 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효과적인 제품이 없는 이유로, 대부분의 산란계 농장에서는 카바메이트계, 유기인계, 유기염소계 등의 살충제 농약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닭진드기의 약제 내성으로 인하여 2 ~ 3가지의 살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인 살충성분은 독성이 강하여 동물에게 극심한 자극 및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잔류하여 계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오염된 계란은 소비자의 건강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계란 산업의 붕괴로 이끌 수 있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닭진드기와 같은 외부 기생충을 방제하면서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제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2012-0079706 A
(특허문헌 2) KR10-1705543 B1
(특허문헌 3) KR10-1537197 B1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계장 등 축사에 피해를 주는 기생충, 특히 닭진드기의 방제에 있어서, 화학적인 살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닭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유인하고 유인된 닭진드기를 천적이 포식하도록 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닭진드기가 서식하는 닭의 계장 틈사이나 사료받이 아랫부분 등에 천적이 찾아가서 포식하여 방제할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닭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간단한 구조물을 통하여 닭진드기의 포집후 소각할 수 있어서 처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천적과 먹이응애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이 담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삽탈가능하도록 골판지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왕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는 일측이 마개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끝단에 지지핀이 마련되고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천적은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및, 카살리스응애(Androlaelaps casalis)로 이루어진 포식성응애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일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는 내부에 담긴 조성물의 상측 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 제조 방법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케이스 제조 단계와, 마개 제조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케이스에 담고 마개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제조 단계는, 세척된 케이스의 외면에 흑색 시트지를 부착하고,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사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는 골판지를 말아 복수층으로 적층시켜 케이스의 개구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는 스트랩의 일측이 마개의 중앙을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그 끝단에 지지핀을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천적, 먹이응애 및 왕겨를 포함한다.
여기서, 천적은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및, 카살리스응애(Androlaelaps casalis)로 이루어진 포식성응애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화학적인 살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닭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해서 유인하여, 천적이 포식하도록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닭진드기의 유인 및 포집이 용이하며 사용후 처리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적을 도입함으로써 양계장 등의 축사에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충 등 닭진드기의 방제에 있어서, 화학적인 살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유인하고 천적의 포식 활동을 통하여 닭진드기 밀도 감소시키며 경우에 따라 유인하여 포획한 닭진드기를 소각 처리함으로써 유충, 성충을 포함하는 닭진드기를 쉽게 방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축사의 가축들의 닭진드기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출산 또는 산란율을 높이고, 가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에 조성물이 담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골판지를 말아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포충기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 사용되는 포식성응애를 나타낸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일즈응애의 포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닭진드기의 사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계장에 설치하기 위해 제작된 포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양계장내 계장의 틈사이와 사료받이 아래부분의 사진이다.
도 13은 양계장내 계장의 틈사이와 사료받이 아래부분에 도 11의 포충기를 설치한 사진이다.
도 14는 마일즈응애의 닭진드기 포식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실험실상에서 마일즈응애의 닭진드기 포식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설치한 후에 1주 간격으로 닭진드기의 밀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닭진드기를 유인하고, 천적이 이를 포식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으로 닭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이하, '포충기'라 함),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포충기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110), 케이스(120), 마개(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110)은 천적(111)과 먹이응애(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천적(111) 및 먹이응애(112)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고, 포충기 내에서 적절한 습도 유지를 위하여 왕겨(1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왕겨(113)는 특징적인 형태에 의하여 천적(111) 및 먹이응애(112)의 은닉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왕겨(113)는 약 2주간 닭진드기를 방제한 후 케이스(120) 내부의 조성물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20)는 내부에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110)이 담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스에 조성물이 담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121)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120)는 재활용 가능한 직육면체 형태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재질로서, 양계장의 계장 틈사이나 사료받이 아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위해서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1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120)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마개(130)는 상기 케이스(120)의 개구부(121)에 삽탈가능하도록 골판지(131)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골판지를 말아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는 다공성으로서, 좁은 구멍(131a)이 복수층으로 적층되도록 말아서 이 골판지(131) 내부로 방제하게 될 닭진드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골판지(131)를 말아서 형성시킨 마개(130)는 케이스(120)의 개구부(121)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개(130)가 상기 개구부(121)에 삽탈가능하도록 적어도 개구부(121)의 직경보다 작거나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말아서, 테이프와 같은 마감재로 고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개(130)는 구멍(131a)이 케이스(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케이스(120)의 길이에 대한 1/3 내지 1/5 길이로 형성시키는 것이 케이스(120) 내부 조성물의 운용 및 닭진드기 방제에서 유리하다.
또한, 마개(130)는 상기 개구부(121)에 삽입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개(130)의 중앙에 스트랩(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트랩(132)은 일측이 마개(13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끝단에 지지핀(133)을 고정하여 형성시키고, 타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구비될 수 있다. 마개(130)의 중앙을 관통한 스트랩(132)의 끝단에 고정용 지지핀(133)이 고정되어 사용자가 스트랩(132)을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20)로부터 제거된 마개(130)는 소각을 통하여 포집된 닭진드기를 손쉽게 방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포충기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케이스 및 마개가 결합되어 포충기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는 천적이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식성응애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천적은 닭진드기를 포식하는 응애로서,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및, 카살리스응애(Androlaelaps casalis)로 이루어진 포식성응애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일 수 있다. 이때, 포식성응애는 닭의 흡혈성 및 기생성이 없으며, 닭진드기의 포식성을 가진 응애 중에 선택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일즈응애의 포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일즈응애는 닭진드기를 포식할 때에 부속지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포획한 후 다리에 구기를 찔러 흡즙한다. 때로 여러 마리의 마일즈 응애가 한 마리의 닭진드기를 대상으로 경쟁을 하기도 하고 두 마리가 동시에 한 마리를 흡즙하기도 한다.
도 10은 닭진드기의 사체를 나타낸 것으로, 포식성응애인 천적에 의해 포식된 닭진드기의 사체와 자연사한 닭진드기의 사체가 서로 형태적으로 완전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사한 사체에 비하여 천적에 의한 사체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포식성응애의 닭진드기 방제 유용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를 사용하였다. 긴털가루응애는 닭에 대한 흡혈성 및 기생성이 없는 것으로 선택하였다. 먹이응애는 포충기의 설치시에 천적인 포식성응애의 초기 먹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식성응애의 환경적응을 통해 연속적이고 자연스러운 닭진드기 포식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포충기의 케이스(120)는 내부에 담긴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의 상측 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사구(122)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방사구(122)는 포식성응애의 자율방사를 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사구(122)를 통하여 포식성응애가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외부의 닭진드기도 포식할 수 있도록 하여 닭진드기의 방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방사구(122)는 케이스(12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하며, 과도하게 큰 직경을 가지지 않도록하여 내부 습도 및 서식환경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포충기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포충기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케이스 제조 단계, 마개 제조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케이스에 담고 마개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 제조는 세척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재질의 케이스를 준비하여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사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의 외면에 흑색 시트지를 부착할 수 있다. 흑색 시트지는 케이스의 내부를 차양하도록 하여 내부에 응애의 서식이 용이하도록 어두운 상태로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흑색 시트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차양 또는 차폐시킬 수 있도록 도료를 코팅하여 표면처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방사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타공시킨다. 이때, 방사구의 직경을 1 ~ 2 mm 크기로 타공하여 응애가 드나들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개는 골판지를 말아 복수층으로 적층시켜 케이스의 개구부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시킨다. 이때, 마개의 중앙에 스트랩의 일측을 삽입하여 관통시킨 후, 끝단에 지지핀을 부착하여 마개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조된 케이스의 내부에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담고, 마개를 캐이스의 개구부에 삽입해 장착하여 포충기를 제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포충기 제작
이중골판지를 가로 5cm, 세로 45cm 크기로 제단하여 원통으로 말아서 고정시켜 마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개는 지름이 5cm 이며, 길이 5cm 이다.
제조된 마개에 스트랩을 장착하였다. 스트랩은 시판되고 있는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였으며, 스트랩의 일단에는 지지핀으로서 케이블타이 조각을 결합시켰고, 타단을 마개의 중앙에 삽입시켜 관통시켰다. 본 발명에서 케이블타이 조각은 길이 5cm로 사용하였고, 스트랩인 케이블타이의 길이는 15cm 이다.
케이스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소재를 사용하였다. 도 2와 같이 PET의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케이스의 가로 X 세로 X 높이는 6 X 6 X 15cm 크기이다.
이후, 케이스에 천적, 먹이응애 및 왕겨를 혼합한 조성물을 넣었다. 용량은 100~300ml 이다. 이때, 천적은 마일즈응애를 사용하였으며,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에 마개를 삽입하여 포충기를 제작하였다.(도 11)
1-2 포충기 설치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포충기는 계장의 틈사이나 사료받이 아랫부분에 설치한다. 도 12에서는 닭진드기가 계장의 틈사이에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도 13에서와 같이 제조된 포충기를 계장의 틈사이와 계장의 사료받이 아래부분에 설치하였다. 이때, 포충기의 설치 및 제거의 용이함을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케이블타이로 포충기를 고정시켰다.
1-3 포충기 운용
계장에 포충기를 설치한 후, 3주일 간 포충기를 방치하였다. 1주마다 포충기로부터 마개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마개에 포집된 닭진드기의 개체수를 확인하였다(도 14).
1-4 결과
실험실 상에서 마일즈응애가 닭진드기를 포식하는 포식율을 도 15에 표시하였다. 마일즈응애 1마리는 닭진드기를 1일 평균 3.2마리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5).
실시예 1의 포충기를 양계장 내의 계장 틈사이나 사료받이 아랫부분에 포충기를 설치한 후 1주 간격으로 닭진드기의 밀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닭진드기의 밀도는 무처리구가 초기밀도에 비하여 3주 후 200% 이상 밀도가 증가하였고, 포충기를 설치한 처리구에서는 초기밀도에 비하여 5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포식성응애의 자율적 방사를 위한 포충기의 방사구 형성 여부 및 방사구 수에 따른 포식성응애의 방사량 관계
2-1 방사구 형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포충기들의 상단부면에 방사구의 개수를 0개, 5개, 10개, 15개, 20개로 각각 형성시켜 준비하였다. 이때, 방사구의 직경은 1 ~ 2 mm 정도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2-2 응애 수집
도 17과 같이 방사구를 타공시킨 포충기를 거치대에 고정하여 박스 안에 새운 후, 박스의 바닥을 비눗물로 채워 아래로 떨어지는 포식성응애를 수집하였다.
이후, 24시간 간격으로 바닥의 비눗물을 수거하여 75, 120, 200 micron mesh 체를 이용하여 포식성응애를 걸러내었다.
2-3 응애 방사량 조사
체에 걸러진 포식성응애를 흑백격자에 올려 놓고 현미경을 이용해 포식성응애의 개체수를 카운트 하였다(도 18).
2-4 결과
도 19는 본 실시예 2의 방사일차별 포식성응애의 방사량을 나타낸 표이고, 도 20은 도 19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1은 본 실시예 2의 포식성응애의 누적 방사량을 나타낸 표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와 같이 포충기 상단부면에 방사구가 형성됨으로써, 방사구가 없는 포충기에 비해서 포식성응애의 방사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방사구의 개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초기 방사되는 포식성 응애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방사구가 15개 이상일 경우 9일 이후에 포식성 응애의 방사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충기 내의 포식성응애의 밀도가 급속하게 감소한 이유로, 방사구가 15개 이상일 경우 포식성응애의 지속적인 방사에서는 불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주일간 조사한 전체 누적 방사량을 비교하였을 때 방사구의 유무 및 개수에 따라서 방사량의 차이는 5 ~ 20% 범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구가 개수의 증가함에 따라 포식성응애의 방사량을 증가시켜 닭진드기의 방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방사구의 개수가 10개일 경우가 방사구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누적 방사량이 약 2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방사구의 개수는 5 ~ 15 개가 바람직하고, 10 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111: 천적
112: 먹이응애
113: 왕겨
120: 케이스
121: 개구부
122: 방사구
130: 마개
131: 골판지
131a: 구멍
132: 스트랩
133: 지지핀

Claims (13)

  1. 천적과 먹이응애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이 담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삽탈가능하도록 골판지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포충기.
  2. 1항에 있어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왕겨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3. 1항에 있어서,
    마개는 일측이 마개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끝단에 지지핀이 마련되고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트랩이 구비되는, 포충기.
  4. 1항에 있어서,
    천적은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및, 카살리스응애(Androlaelaps casalis)로 이루어진 포식성응애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인, 포충기.
  5. 1항에 있어서,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인, 포충기.
  6. 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내부에 담긴 조성물의 상측 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사구가 형성되는, 포충기.
  7.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케이스 제조 단계;
    마개 제조 단계;
    상기 조성물을 케이스에 담고 마개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장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충기 제조 방법.
  8.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제조 단계는,
    세척된 케이스의 외면에 흑색 시트지를 부착하고,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사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충기 제조 방법.
  9. 7항에 있어서,
    마개는 골판지를 말아 복수층으로 적층시켜 케이스의 개구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시키는, 포충기 제조 방법.
  10. 9항에 있어서,
    마개는 스트랩의 일측이 마개의 중앙을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그 끝단에 지지핀을 부착하는, 포충기 제조 방법.
  11. 천적, 먹이응애 및 왕겨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12. 11항에 있어서,
    천적은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및, 카살리스응애(Androlaelaps casalis)로 이루어진 포식성응애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13. 11항에 있어서,
    먹이응애는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1020180013209A 2018-02-02 2018-02-02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09A KR102023881B1 (ko) 2018-02-02 2018-02-02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09A KR102023881B1 (ko) 2018-02-02 2018-02-02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69A true KR20190093869A (ko) 2019-08-12
KR102023881B1 KR102023881B1 (ko) 2019-09-23

Family

ID=6762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09A KR102023881B1 (ko) 2018-02-02 2018-02-02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90A (ko) * 2019-12-03 2021-06-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케이지식 계사에서 닭진드기 유인물질을 활용한 닭진드기 모니터링용 유인트랩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45A (ja) * 2000-05-09 2001-11-13 Yuukou Yakuhin Kogyo Kk シロアリ駆除装置およびシロアリの駆除方法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45A (ja) * 2000-05-09 2001-11-13 Yuukou Yakuhin Kogyo Kk シロアリ駆除装置およびシロアリの駆除方法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90A (ko) * 2019-12-03 2021-06-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케이지식 계사에서 닭진드기 유인물질을 활용한 닭진드기 모니터링용 유인트랩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881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 et al. Control methods for Dermanyssus gallinae in systems for laying hen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seminar
Fessl et al. Invasion of an avian nest parasite, Philornis downsi, to the Galapagos Islands: colonization history, adaptations to novel ecosystems, and conservation challenges
Sikes et al. Laboratory observations on three species of bird mites
Akre Social wasps
Hodek et al. Enemies of Coccinellidae
Venzon et al. Diet of a polyphagous arthropod predator affects refuge seeking of its thrips prey
Gulati et al. Enemies of honeybees and their management–a review
Campbell The gypsy moth and its natural enemies
JP2007014232A (ja) 昆虫の羽化交尾促進方法及び装置
Tostowaryk LIFE HISTORY AND BEHAVIOR OF PODISUS MODESTUS (HEMIPTERA: PENTATOMIDAE) IN BOREAL FOREST IN QUEBEC1
Morris Predation by wasps, birds, and mammals on Hyphantria cunea
CN204860707U (zh) 一种用于防控卷烟厂烟草甲虫的卷状固体型材
KR102023881B1 (ko)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0783U (ko)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Coleman The use of artificial nest sites erected for starlings in Canterbury, New Zealand
Brushwein Bionomics of Lomamyia hamata (Neuroptera: Berothidae)
CN214903058U (zh) 一种可组合的隔断式禽舍
Kam et al. Maternal brood care of an arboreal breeder, Chirixalus eiffingeri (Anura: Rhacophoridae) from Taiwan
Gillaspy Behavioral observations on paper-nest wasps (genus Polistes; family Vespidae; order Hymenoptera)
Bengtsson Aggregation in non-social insects
Keita et al. Efficacy of phoxim 50% EC (ByeMite) for treatment of Dermanyssus gallinae in laying hens under field conditions
Ewunkem et al. Seasonal variation and biology of Delena cancerides Walckenaer (Araneae: Sparassidae) in a banana agroecosystem
DeWEESE et al. Brief observations on the breeding biology of the flammulated owl in Colorado
KR20200127548A (ko) 동애등에의 유화장
Hori et al. Biology of two species of the Protocalliphora (Diptera: calliphoridae) in Tokachi, Hokkaido, Japan: feeding behaviour of larvae, larval and pupal durations, voltinism and host specif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