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882B1 -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882B1
KR102363882B1 KR1020210096268A KR20210096268A KR102363882B1 KR 102363882 B1 KR102363882 B1 KR 102363882B1 KR 1020210096268 A KR1020210096268 A KR 1020210096268A KR 20210096268 A KR20210096268 A KR 20210096268A KR 102363882 B1 KR102363882 B1 KR 10236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nnecting member
coupl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충용
Original Assignee
나충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충용 filed Critical 나충용
Priority to KR102021009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82B1/ko
Priority to KR1020210170015A priority patent/KR102551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연결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지주 및 제2지주와, 제1지주에 마련되어 전기부품을 수용하는 전장수용부를 포함하고, 전장수용부에 수용된 전기부품과 지지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로가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POLE FOR ROAD FACILITY INSTALLATION}
본 발명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이나 방범용 카메라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방범용 카메라, 가로등,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중 방범용 카메라,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의 도로시설물들은,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골목길 또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지주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 구조물은, 지주와 가로대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주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대는, 지주 상부에 설치되며, 지주 상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대에는,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의 도로시설물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주에는, 함체가 마련될 수 있다. 함체는, 신호등이나 카메라와 같은 도로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기부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함체는 지주에 비해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주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함체는 지주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개방된 함체를 통해, 도로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전기부품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체가 너무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경우, 예컨대 함체가 사람의 키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함체 접근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반대로 함체가 너무 낮은 곳에 배치되는 경우, 그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장치로 인해 함체의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예컨대, 도로시설물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 함체가 배치된 경우, 주차를 위해 차량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차량과 함체의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운전자의 시선이 지주에만 쏠려 그 하부에서 돌출된 함체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장치와의 충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과 함체에 설치된 전기부품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되도록 하면서도 함체 내부로의 물 침투가 차단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는, 연결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지주 및 제2지주와, 제1지주에 마련되어 전기부품을 수용하는 전장수용부를 포함하고, 전장수용부에 수용된 전기부품과 지지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로가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지주와; 상기 제1지주의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주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지주의 상부에서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제2지주와; 상기 제1지주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부품을 수용하는 전장수용부; 및 상기 제2지주를 상기 제1지주에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주는 상기 제2지주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장수용부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이 상기 제1지주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할 수 있게 상기 제1지주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 및 상기 제2지주와 결합되고, 상기 전장수용부에 수용된 전기부품과 상기 지지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로가 상기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고,
상기 제2지주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주에는 상기 제2지주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주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랜지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지며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지주 및 상기 연결부재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주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주의 하단에는, 상기 제2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커버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부재는, 상기 제2지주의 개방된 하부를 덮으며 상기 제2지주의 내부와 상기 제1지주의 내부 사이를 차단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주의 내부와 상기 제2지주의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커버부에 형성하는 통과홀; 및 상기 통과홀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주의 내부를 상기 제2지주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수홀이 상기 제2지주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수홀은, 상기 연장관부의 상단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장관부의 상단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수홀은 상기 연장관부의 상단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수홀은, 상기 제2지주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관통하되, 상기 제2지주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연장관부의 외주면 측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2지주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커버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시키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플랜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랜지를 함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에는 상기 볼트부재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외주면의 둘레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설정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장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지주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전장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케이스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커버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차단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람의 접근이 가능하면서도 너무 낮지 않은 위치에 전장수용부가 배치되고, 이 전장수용부가 제1지주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1지주에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장치와 지주와의 충돌 발생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주와 제2지주를 연결부재에 볼트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지주의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플레이트에 둘레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된 제2체결홀에 의해 각 부재의 체결홀로 인한 공차에 의한 영향이 상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지주(와 제2지주와 연결부재 및 체결플레이트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들을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통과를 위한 통로가 하부커버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부커버부재와 체결플레이트 및 차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3중의 방수 구조가 지주 내부에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지주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과 전장수용부에 설치된 전기부품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주 내부로 유입된 물이 전장수용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 복수 지점에서 장착부재와 제2지주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착부재와 제2지주의 결합 지점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영향력이 장착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착부재가 제2지주에 단단히, 그리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결합, 그리고 결합돌기부와 장착부재 간의 결합을 통해, 복수 지점에서 가로대와 장착부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로대가 장착부재 및 제2지주에 더욱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이 가로방향으로 복수 지점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복수 지점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로대가 지지부재와 단단히 결합되면서 지지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2지주와 장착부재 및 가로대 간의 결합이 강한 결합력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가로대에 대한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가로대의 처짐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대가 장착부재 및 제2지주에 안정되게 결합되고 지지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제2통과홀을 이용하여 가로대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낮추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돌기부와 장착부재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장착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고 가로대와 지지돌기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가로대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설치가 쉽고 편리하며 정확성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이 포함된 지주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지주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대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지주와 장착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2지주와 장착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이 포함된 지주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주 구조물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1)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및 가로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는,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는, 별물로 마련된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지주(110)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를 형성하는 지주들 중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지주(1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면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주(120)는, 제1지주(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지주(120)는, 제1지주(110)의 상부에서 제1지주(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주(120)는, 제1지주(1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제1지주(110)의 상부에서 지지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지주(120)는, 지지대상물을 직접 지지할 수도 있고, 후술할 가로대(200)를 통해 지지대상물을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상물은, 방범용 카메라,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 도로에 소정 높이, 예컨대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1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 중 하나인 것으로 예시된다.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는, 각각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주(120)는, 제1지주(110)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배치된 제1지주(110)가 상부에 배치된 제2지주(120)에 비해 직경이 더 큰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는,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는 두 개의 지주(110,120)가 하나의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세 개 이상의 지주가 둘 이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가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도로시설용 설치용 지주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에는 전장수용부(1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장수용부(105)는 제1지주(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지주(110)에 마련된 전장수용부(105)는, 대략 사람의 접근이 가능하면서도 너무 낮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장수용부(105)는 사람의 손이 닿을 수 있으면서도 차량에 탑승한 사람이 식별이 가능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전장수용부(105)에는, 지지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장수용부(105)에는 신호등이나 카메라 등과 같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수용부(105)는, 제1지주(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에는, 가로대(200)가 설치될 수 있다. 가로대(200)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대(200)는, 장착부재(300)를 매개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대(200)가 제2지주(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가로대(200)에는, 지지대상물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가로대(200)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며, 중량물인 지지대상물을 지지한다.
이러한 가로대(200)의 처짐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와 가로대(200) 사이에 장착부재(300)가 설치되는 한편, 가로대(200)의 하부에 지지부재(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구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지주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는 각각 중공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주(110)는 제2지주(120)보다 직경이 큰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는 연결부재(1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제1지주(110)의 내부에서 제1지주(1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주(120)는, 연결부재(140)의 상부와 연결부재(140)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연결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40)의 상부와 연결부재(140)의 내부 모두에서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연결부재(140)는, 제1지주(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재(140)에는, 관통공(14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40)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원통의 중심부에 세로방향의 중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지주(120)에는, 플랜지(121)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121)는, 제2지주(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21)는, 제2지주(120)의 하단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121)는, 제2지주(120)의 하단으로부터 연결부재(140)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21)는, 제1지주(110) 또는 연결부재(140)의 반경과 제2지주(120)의 반경 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제2지주(1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의 관통공(142)은, 연결부재(140)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며, 제1지주(110)의 가로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공(142)은, 제1지주(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연결부재(14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주(120)는, 관통공(142)에 삽입되며 연결부재(1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주(120)의 하단이 대략 연결부재(14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40) 상부에서는,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40)의 상부면과 플랜지(121)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지며,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에 의해, 제2지주(120)의 하단의 위치가 연결부재(140)의 하단의 위치와 대략 일치되도록, 연결부재(140)에 끼워지는 제2지주(120)의 하단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지주(110)와 연결부재(140) 간의 끼움 결합은 억지 끼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은 제1체결부재(10,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체결부재(10,15)는 볼트부재(10)와 너트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부재(10)는 플랜지(121) 및 연결부재(1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너트부재(15)는 돌출된 볼트부재(10)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볼트부재(10)와 너트부재(15)의 체결에 의해 플랜지(121)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랜지(121)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에 의해, 제1지주(110)가 연결부재(14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10)가 연결부재(140)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결부재(140) 및 플랜지(121)를 관통하고, 플랜지(121)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부재(10)의 단부에 너트부재(15)가 체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볼트부재(10)의 헤드는 연결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너트부재(15)는 플랜지(121)의 상부에서 볼트부재(10)와 체결될 수 있다.
플랜지(121) 및 연결부재(140)에는 체결홀(부호 생략)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은 볼트부재(10)가 플랜지(121) 및 연결부재(140)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체결부재(10,15)는, 플랜지(121) 또는 연결부재(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랜지(121) 또는 연결부재(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10,15)에 의해, 플랜지(121)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40)의 외주면은, 제1지주(1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40)는 제1지주(110)의 내부에서 연결부재(140)의 외주면과 제1지주(110)의 내주면이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40)는, 제1지주(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주(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2지주(120)가 연결부재(140)의 내부에 끼워지는 것과 구별된다.
연결부재(140)가 제1지주(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40)와 제1지주(110) 간의 결합은 제2체결부재(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체결부재(20)는, 제1지주(110) 및 연결부재(140)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가 제1지주(110)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제1지주(110) 및 연결부재(140)를 구심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지주(110) 및 연결부재(140)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볼트부재의 헤드는 제1지주(1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재(140)의 내부에 너트부재가 배치되어 연결부재(140)를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지주(110) 및 연결부재(140)에는 체결홀(부호 생략)이 각각 직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은 볼트부재(10)가 제1지주(110) 및 연결부재(140)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체결부재(20)는, 플랜지(121) 또는 연결부재(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랜지(121) 또는 연결부재(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20)에 의해, 플랜지(121)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 내부의 방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주(120)의 하단에는 하부커버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커버부재(130)는, 제2지주(120)의 하단에 설치되며, 커버부(131) 및 연장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부커버부재(130)는 제2지주(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부커버부재(130)는 제2지주(120)와 별물로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2지주(1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부(131)는, 제2지주(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지주(120)의 개방된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31)는, 제2지주(120)의 하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원형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31)는 제2지주(12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지주(120)와 커버부(131) 간의 결합 부위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실링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131)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 용접 방식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1)에는, 제1통과홀(1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통과홀(132)은, 커버부(1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과홀(132)은, 제1지주(110)의 내부와 제2지주(120)의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지주(120)의 내부와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관부(135)는, 커버부(131)로부터 제1지주(1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부(135)는, 제1통과홀(132)을 지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커버부(1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관부(135)는 제1통과홀(13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가 커버부(1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장관부(135)는, 그 내부의 중공이 제1통과홀(132)과 연결될 수 있게 커버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는, 체결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50)는, 연결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부커버부재(130)를 연결부재(14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플레이트(150)가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50)는, 연결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되되, 연결부재(140) 및 하부커버부재(130)와 맞대어질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플레이트(150)는, 연결부재(140)의 하단, 그리고 연결부재(140)의 내부에 끼워진 제2지주(120)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커버부재(130)와 맞대어질 수 있게 연결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150)는, 연결부재(140)의 중공보다 직경이 작은 중공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플레이트(150)는,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이들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플레이트(150)와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이 제1체결부재(10,15)에 의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체결부재(10,15)의 볼트부재(10)는 체결플레이트(150)와 연결부재(140) 및 플랜지(12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플랜지(121)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부재(10)의 단부에 너트부재(15)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플레이트(150)는, 제3체결부재(30)에 의해 하부커버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체결부재(30)는, 제1체결부재(10,15)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이다. 이러한 제3체결부재(30)는, 체결플레이트(150) 및 커버부(13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플레이트(150)와 하부커버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3체결부재(30)는, 체결플레이트(150) 및 커버부(13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가 체결플레이트(150)의 하부에서 체결플레이트(150) 및 커버부(131)를 상부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플레이트(150) 및 커버부(131)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볼트부재의 헤드는 체결플레이트(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31) 및 체결플레이트(150)에는 체결홀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은, 볼트부재가 체결플레이트(150) 및 커버부(131)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체결플레이트(150)에는, 두 종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하나(151; 이하, "제1체결홀"이라 한다)는 제1체결부재(10,15)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152; 이하 "제2체결홀"이라 한다)는 제2체결부재(20)를 위한 것이다.
제1체결홀(151)과 제2체결홀(152)은 체결플레이트(150)의 중공과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체결플레이트(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홀(152)은, 제1체결홀(151)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체결홀(152)은, 체결플레이트(150)의 외주면의 둘레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플레이트(150)에는 체결플레이트(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체결홀(15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2체결홀(152)은 제2체결홀(152)들의 배열 방향(이하, "둘레방향"이라 한다)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제2체결홀(152)은, 제2체결부재(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볼트부재의 직경의 2 내지 3배 정도의 길이만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는, 둘레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제2체결홀(1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체결홀(152)이 둘레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은, 체결플레이트(150)가 두 부재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연결부재(140)의 체결홀로 인한 공차와 체결플레이트(150)의 제1체결홀(151)과 제2체결홀(152)로 인한 공차가 더해지게 되면, 제1체결부재(10,15)와 제2체결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체결홀(152)이 둘레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공차로 인한 영향이 제2체결홀(152)에 의해 상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및 체결플레이트(15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들을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140)와 플랜지(121) 간의 결합에 의해 연결부재(140)의 상부에서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플레이트(15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 및 체결플레이트(150)와 하부커버부재(130) 간의 결합에 의해, 연결부재(140)의 하부에서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40)의 상하방향 두 지점에서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연결부재(140)의 직경방향 두 지점에서 제2지주(120)와 연결부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2지주(120)가 연결부재(14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이 안정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장수용부(105)는, 연결부재(140) 및 체결플레이트(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수용부(105)는,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이 제1지주(110)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할 수 있게 제1지주(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수용부(105)는, 전장케이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케이스(106)는, 연결부재(140) 및 체결플레이트(150)의 하부, 그리고 커버부(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을 제1지주(1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케이스(106)는,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과 제1지주(110)의 내부공간을 세로방향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세로격벽(106a) 및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과 제1지주(110)의 내부공간을 가로방향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가로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세로격벽(106a)은 가로격벽을 사이에 두고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가로격벽은 세로격벽을 사이에 두고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장케이스(106)는 한 쌍의 세로격벽(106a)과 한 쌍의 가로격벽, 그리고 제1지주(110)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케이스(106)의 내부에는 전기부품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로격벽 중 상부에 배치된 가로격벽은,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과 커버부(131) 사이를 가로지르는 차단면(106b)을 형성할 수 있다.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지주(120)에는, 도로시설물을 볼트부재 등으로 제2지주(120)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체결홀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주(120)에는 도로시설물 설치를 위한 체결홀들이 복수개 타공될 수 있고, 이처럼 제2지주(120)에 타공된 체결홀들을 통해 제2지주(12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지주(1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2지주(120) 내부에서 전장수용부(105)를 향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이 전장수용부(105) 내부로 유입될 경우, 전장수용부(105) 내부의 전기부품들이 이 물로 인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위험성이 있게 된다.
제2지주(1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전장수용부(10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에는 다음과 같은 방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첫째, 제2지주(120)의 하단에 하부커버부재(130)가 설치되어 제2지주(120)의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제2지주(12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의 흐름이 하부커버부재(130)에 의해 차단되고, 그 결과 전장수용부(105) 내부로의 물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부재(130)는, 전장수용부(105) 측을 향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전장수용부(105)에 수용된 전기부품과 지지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로, 즉 전기부품과 연결된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수용부(105) 측을 향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은 커버부(131)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전기부품과 연결된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는 커버부(131)에 형성된 제1통과홀(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통과홀(132)을 둘러싸는 연장관부(135)는, 커버부(131)와 제1통과홀(132) 사이를 가로막음으로써, 커버부(131)의 상부에 채워진 물이 제1통과홀(13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하부커버부재(130) 및 연결부재(140)의 하부에 체결플레이트(150)가 결합되어 제2지주(120) 및 하부커버부재(130)의 하단, 제2지주(120) 및 하부커버부재(130)와 연결부재(140) 간의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제2지주(120)에 채워진 물이 제2지주(120)의 하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커버부재(130) 및 연결부재(140)와 체결플레이트(150) 사이에 이들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이때 실링부재는, 하부커버부재(130)와 연결부재(140) 및 체결플레이트(150)와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체결플레이트(150) 자체가 하부커버부재(130) 및 연결부재(140)와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셋째, 전장수용부(105)의 내부공간과 커버부(131) 사이를 가로지르는 차단면(106b)이 전장수용부(105)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차단면(106b)은 혹시라도 제2지주(120)로부터 하부로 새어 나온 물을 전장수용부(105)의 상부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내부에는, 하부커버부재(130)와 체결플레이트(150) 및 차단면(106b)에 의해 형성되는 3중의 방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3중의 방수 구조는, 제2지주(1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전장수용부(10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지주(120)에는 개수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개수홀(122)은, 제2지주(120)의 내부를 제2지주(120)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제2지주(120)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수홀(122)은, 제2지주(12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제2지주(120)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2지주(1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수홀(122)은 연장관부(135)의 상단과 커버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개수홀(122)은, 커버부(131)보다는 높고 연장관부(135)의 상단 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21)는 연장관부(135)의 상단과 커버부(131) 사이에 배치되고, 개수홀(122)은 연장관부(135)의 상단과 플랜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수홀(122)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플랜지(121)보다는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물의 수위가 연장관부(135)의 상단보다 높아지기 전에 물의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개수홀(122)은 연장관부(135) 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로써 제2지주(12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연장관부(135)의 상단보다 높아지기 전에 개수홀(122)을 통해 물의 배출이 이루지게 되므로, 제1통과홀(132)을 통한 물의 넘침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개수홀(122)은 제2지주(12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관통할 수 있다. 이때 개수홀(122)은, 제2지주(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지주(120)의 외주면 측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며 제2지주(12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개수홀(122)의 형상은,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외부의 물이 개수홀(122)을 통해 제2지주(1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홀(122)의 상부에 커버돌기(12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커버돌기(123)는 개수홀(122)의 상부에서 제2지주(12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돌기(123)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외부의 물이 개수홀(122)을 통해 제2지주(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전장수용부(105)가 제1지주(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지주(110)에서 돌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수용부(105a)는 제1지주(110)로부터 약간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장수용부(205)의 돌출 길이가 제1지주(110)의 반경의 1/2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된 전장수용부(105a)과 차량 등과 같은 다른 사물 간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돌출된 전장수용부(105a)로 인해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2)의 미관이 훼손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가로대 및 장착부재의 구조]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대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지주와 장착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2지주와 장착부재와 가로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1)은 가로대(200)와 장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20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재(300)는, 가로대(200)를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지주(120)에 장착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가로대(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210)와 제1결합부(220) 및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가로대(200)의 골격 및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210)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중량인 도로시설물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210)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210)는 제2지주(120) 및 장착부재(30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지주(120) 및 장착부재(300), 즉 본체부(210)가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당 부위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커지게 된다(동일 중량인 조건에서).
이와 같이 본체부(2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면, 가로대(200)의 처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0)가 제2지주(120) 및 장착부재(30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부(2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감소되도록 하였다.
제1결합부(220)는, 본체부(210)의 가로방향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장착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결합부(220)는, 본체부(210)의 가로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금속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220)는, 후술할 장착부재(300)의 제2결합부(320)와 맞대어지며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로대(200)는, 복수개의 지지리브(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리브(221)는, 본체부(210)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리브(221)는, 본체부(210)와 마주보는 측이 본체부(210)와 결합되고, 제1결합부(220)와 마주보는 측이 제1결합부(220)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리브(221)는, 제1결합부(220)와 인접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고 제1결합부(220)와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리브(221)는 본체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리브(221)는, 다른 예로서, 지지리브(221)는 제1결합부(2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지지리브(221)는, 제1결합부(220)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부(210)로 인해 제1결합부(220)와 본체부(210)의 결합 지점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영향력을 지지하며, 제1결합부(220)와 본체부(210) 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부(230)는, 제1결합부(22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부(230)는, 제2결합부(320)를 관통하며 장착부재(3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장착부재(300)는, 장착본체부(310)와 제2결합부(320) 및 링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본체부(310)는, 장착부재(3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제2지주(120)에 결합되어 제2지주(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본체부(310)에는, 제2결합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320)는, 제1결합부(220)와 마주보는 장착본체부(3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결합부(220)와 맞대어지며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결합부(220)와 제2결합부(320)는 각각 금속판 형태로 형성되되, 서로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220)와 제2결합부(320)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링지지부(330)는, 장착본체부(310)로부터 돌출되되, 제2결합부(320)가 배치된 장착본체부(310)의 일측의 반대편인 장착본체부(310)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링지지부(330)는, 제2지주(12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제2지주(12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재(300)에 복수개의 링지지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링지지부(33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링지지부(33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복수 지점에서 장착부재(300)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착부재(300)의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장착본체부(310)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장착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링지지부(330)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복수 지점에서 장착부재(300)와 제2지주(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가로대(200)로 인해 장착부재(300)와 제2지주(120)의 결합 지점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영향력이 장착부재(3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장착본체부(310)에는, 제1끼움홀(32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끼움홀(322)은, 제2결합부(320)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끼움홀(322)은, 제1결합부(220)와 마주보는 제2결합부(3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끼움홀(124)과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끼움홀(322)의 주변에는 제2끼움홀(124)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끼움홀(124)은, 제2지주(120)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끼움홀(322)과 제2끼움홀(124)이 직경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끼움홀(322)은 제2결합부(3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지주(120)의 직경방향 중심과 제1끼움홀(322)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제2끼움홀(124)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돌기부(230)는, 제1끼움홀(322)을 통해 제2결합부(320)를 관통한 후 제2끼움홀(124)을 통해 제2지주(12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부(230)는, 제1끼움홀(322) 및 제2끼움홀(124)을 통해 제2결합부(320) 및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즉 제2지주(1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부(230)는, 제2결합부(320) 및 제2지주(12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돌기부(230)와 제2결합부(320) 및 제2지주(120) 간의 결합에 의해, 가로대(200)가 장착부재(300) 및 제2지주(1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돌기부(230)는, 제2결합부(320)와 제2지주(120), 즉 두 지점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부(230)에 대한 지지가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로대(200)는,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제2결합부(320) 및 제2지주(120)와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100)에 안정적이면서도 신뢰성 높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돌기부(230)가 장착부재(300) 및 제2지주(12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결합돌기부(23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부(230)가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결합돌기부(230) 및 가로대(2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결합 구조]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가로대와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은 지지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가로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로대(20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60) 및 지지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0)은, 지지부재(250)의 골격 및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0)은, 가로대(200)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60)은,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6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60)은, 가로대의 하단과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지는 상단, 및 제1결합부(220) 또는 제2결합부(320)와 맞대어지는 측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260)의 측단이 제1결합부(220)와 맞대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60)은, 제2지주(120) 및 장착부재(300)와 인접한 부분이 가장 두껍고 제2지주(120) 및 장착부재(300)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60)의 측단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장 길고, 이 측단과 가로방향으로 멀어지는 부위일수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대(200)는 지지프레임(260)의 측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60)도 지지프레임(260)의 측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도 가로대(200)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260)이 지지프레임(260)의 측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프레임(260)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작용이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본 실시예의 지지프레임(260)은, 가로대(200)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작용이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도록 하면서 가로대(200)를 하부에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260)는, 지지프레임(26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60)는, 가로대(20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다.
가로대(200)에는 제3끼움홀(2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3끼움홀(212)은, 가로대(2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260)는, 제3끼움홀(212)을 통해 가로대(200)를 관통하며 가로대(2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260)의 상하방향 두 지점 이상이 가로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돌기(260)는 가로대(200)의 하부로부터 제3끼움홀(212)을 통해 가로대(200)를 관통하며 가로대(2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가로대(200)에 끼움 결합된 지지돌기(260)의 상단은, 제3끼움홀(212)을 통해 가로대(2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돌기(260)와 가로대(20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260)와 가로대(200) 접점 중 두 부분에 대해 이루어지는 용접에 의해 지지돌기(26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지돌기(260)의 상단과 가로대(200)의 상단 간의 용접이 이루어지고, 지지돌기(260)의 하단 또는 지지프레임(260)과 가로대(200)의 하단 간의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돌기(260)가 제3끼움홀(212)을 통해 가로대(200)를 관통하며 가로대(20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일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일차적인 결합은,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한편, 가로대(200)를 상대로 한 지지부재(25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의 용접이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일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로대(200)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하방향 세 부위에서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50)는, 가로대(200)와 매우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가로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부재(250)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돌기(260)가 배열되며, 이에 대응하여 가로대(200)에도 복수개의 제3끼움홀(212)이 가로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도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의 지점에서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각각의 지점에서는 상하방향 세 부위에서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 간의 결합이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지지부재(250)와 가로대(200)의 결합이 매우 굳건하게 이루어지고, 지지부재(250)에 의한 가로대(200)의 지지가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재(250)에는, 제2통과홀(26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통과홀(262)은, 상하방향 및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로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한다면, 제2통과홀(262)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2통과홀(262)이 가로방향, 즉 지지부재(25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2통과홀(262)은, 지지부재(250)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지지부재(25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부재(250) 및 이에 지지되는 가로대(200)는, 가로대(200)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낮춤으로써,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그 설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2 :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
10 : 볼트부재
15 : 너트부재
20 : 제2체결부재
30 : 제3체결부재
100 :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105,105a : 전장수용부
106 : 전장케이스
106a : 세로격벽
106b : 차단면
110 : 제1지주
120 : 제2지주
121 : 플랜지
122 : 개수홀
123 : 커버돌기
124 : 제2끼움홀
130 : 하부커버부재
131 : 커버부
132 : 통과홀
133 : 연장관부
140 : 연결부재
142 : 관통공
150 : 체결플레이트
151 : 제1체결홀
152 : 제2체결홀
200 : 가로대
210 : 본체부
212 : 제3끼움홀
220 : 제1결합부
221 : 지지리브
230 : 결합돌기부
250 : 지지부재
260 : 지지프레임
262 : 통과홀
270 : 지지돌기
300 : 장착부재
310 : 장착본체부
320 : 제2결합부
322 : 제1끼움홀
330 : 링지지부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되어 지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의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주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지주의 상부에서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제2지주;
    상기 제1지주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부품을 수용하는 전장수용부; 및
    상기 제2지주를 상기 제1지주에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주는, 상기 제2지주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장수용부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이 상기 제1지주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할 수 있게 상기 제1지주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 및 상기 제2지주와 결합되고,
    상기 전장수용부에 수용된 전기부품과 상기 지지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로가 상기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주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주의 하단에는, 상기 제2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커버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커버부재는, 상기 제2지주의 개방된 하부를 덮으며 상기 제2지주의 내부와 상기 제1지주의 내부 사이를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주의 내부를 상기 제2지주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수홀이 상기 제2지주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주의 내부와 상기 제2지주의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커버부에 형성하는 통과홀; 및
    상기 통과홀을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수홀은, 상기 연장관부의 상단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주에는, 상기 제2지주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주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랜지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지며 서로 결합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지주 및 상기 연결부재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커버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시키는 체결플레이트;
    상기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지주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전장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케이스는, 상기 전장수용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커버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차단면을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20210096268A 2021-07-22 2021-07-22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236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268A KR102363882B1 (ko) 2021-07-22 2021-07-22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20210170015A KR102551665B1 (ko) 2021-07-22 2021-12-01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268A KR102363882B1 (ko) 2021-07-22 2021-07-22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15A Division KR102551665B1 (ko) 2021-07-22 2021-12-01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882B1 true KR102363882B1 (ko) 2022-02-15

Family

ID=80325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268A KR102363882B1 (ko) 2021-07-22 2021-07-22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20210170015A KR102551665B1 (ko) 2021-07-22 2021-12-01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15A KR102551665B1 (ko) 2021-07-22 2021-12-01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38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614A (ko) * 2011-05-18 2013-03-18 주식회사 태양전자 도로시설물용 지주 연결장치
KR101395324B1 (ko) * 2013-06-27 2014-05-16 신희수 도로집수구 가드레일 지지용 소켓타입 파형 강관 지주
KR101437794B1 (ko) * 2013-12-31 2014-09-11 나충용 옥외 방범 장비 장착형 지주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833A (ja) * 1997-11-05 1999-05-25 Nippon Light Metal Co Ltd 情報表示柱
KR100709486B1 (ko) * 2007-01-25 2007-04-20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직경이 상이한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0816722B1 (ko) * 2008-01-07 2008-03-27 서한전기공업(주)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110009836A (ko) * 2009-07-23 2011-01-31 김진호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KR101118682B1 (ko) * 2011-09-07 2012-03-06 주식회사 현대표지 지주의 결합구조
KR101176940B1 (ko) * 2012-03-14 2012-08-30 이효성 다기능 교통시설물 철주
KR102296321B1 (ko) * 2019-07-24 2021-09-01 주식회사 더존디자인조명 조립식 가로등 지주
KR102273524B1 (ko) * 2019-08-23 2021-07-06 주식회사 퍼팩트 우드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614A (ko) * 2011-05-18 2013-03-18 주식회사 태양전자 도로시설물용 지주 연결장치
KR101395324B1 (ko) * 2013-06-27 2014-05-16 신희수 도로집수구 가드레일 지지용 소켓타입 파형 강관 지주
KR101437794B1 (ko) * 2013-12-31 2014-09-11 나충용 옥외 방범 장비 장착형 지주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250A (ko) 2023-01-31
KR102551665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987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 구조물
CN110199070B (zh) 用于支撑照明器具及其他装置的杆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1244261B1 (ko)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315808B1 (ko) 분전반 내장형 내진 가로등주
KR102363882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1074743B1 (ko) 다 방향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가로등주
JPH05151804A (ja) ソーラー灯の台座
KR102495950B1 (ko) 태양광패널이 적용된 태양광 방음벽
KR102294240B1 (ko) 도로변 전신주 충돌 방지 시스템
KR102162472B1 (ko) 측면 벽체부의 설치가 용이한 개방형 정류장 부스
KR102099353B1 (ko) 강성보강 가로등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359954Y1 (ko) 탄성지지구조를 갖는 도로용 통합표지판
JP3837382B2 (ja) 防音型柵構造体及び接続用ブラケット
JP7493371B2 (ja) 簡易建物
KR200430425Y1 (ko) 끼움식 설치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
KR101808096B1 (ko) 울타리용 연결 어댑터
CN216311068U (zh) 智能交通控制装置
KR102525613B1 (ko) 다목적 지주
KR102162471B1 (ko) 기둥부의 강성 및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개방형 정류장 부스
KR20120034897A (ko) 지주대 설치용 베이스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