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23B1 -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 Google Patents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23B1
KR102363623B1 KR1020190135033A KR20190135033A KR102363623B1 KR 102363623 B1 KR102363623 B1 KR 102363623B1 KR 1020190135033 A KR1020190135033 A KR 1020190135033A KR 20190135033 A KR20190135033 A KR 20190135033A KR 102363623 B1 KR102363623 B1 KR 10236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d egg
rate
daewangbari
hybrid
h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679A (ko
Inventor
방인철
박종연
김용휘
김근식
문신주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6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바리와 대왕바리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정란의 부화율과 생존율이 높고, 기형률이 낮은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종묘생산효율이 높고 양식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A hatchability improvement method of hybrid eggs of longtooth grouper and giant grouper}
본 발명은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바리와 대왕바리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바리과(Serranidae, groupers) 어류 양식생산량은 183,989톤으로 중국에서 71.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순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양식생산을 하고 있다.
바리과 어류의 양식생산량은 2010년 79,692톤에서 2017년 183,989톤으로 230% 증가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FAO, 2017). 대부분의 바리과 어류는 활어시장에서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시장수요의 증가와 암초 양식 어류의 수익성으로 인해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국가들이 야생 포획 어업과 양식업을 통한 바리과 어류 무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리과 순종의 대상종은 성장이 느리며 서식지가 한정적이어서 고가에 거래되기 때문에 아시아 여러 나라의 수산 산업에서 중요한 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에서 자바리(E. moara)는 가장 선호되는 바리과 어류 중 하나이며, 높은 가격과 좋은 육류 품질 때문에 자바리의 인공적인 종자생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교잡은 유전자형과 표현형이 다른 두 종간 교배 방법으로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인 성장, 내병성, 육질, 환경 적응력 증대 등을 대상으로 새로운 종을 생산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특히 종간 교잡은 원하는 형질의 조합을 통해 잡종강세를 획득할 확률이 높으므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459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4433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3990호). 그 중 자바리 및 대왕바리 교잡종은 빠른 성장과 뛰어난 환경적응력을 보이고 있으나 순종에 비해 높은 기형률과 낮은 부화율로 수율증대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나 기술개발이 이루어진바 없어, 교잡종의 부화율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자바리 및 대왕바리 잡종 수정란의 기형률을 감소시키고, 부화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잡종의 낮은 부화율을 개선시키고 기형율을 감소시켜 종묘의 생산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459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4433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3990호
본 발명은 수정란의 부화율과 생존율이 높고, 기형률이 낮은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종묘생산효율이 높고 양식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대왕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왕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자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20~25℃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상방법으로 제조되는 교잡종, 수정란 및 자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정란의 부화율과 생존율이 높고, 기형률이 낮은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종묘생산효율이 높고 양식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도면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자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대왕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왕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자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20~25℃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상방법으로 제조되는 교잡종, 수정란 및 자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잡
성숙한 자바리 암컷과 대왕바리 수컷으로부터 복부 압박법을 이용해 각각 난과 정액을 추출한 후 건식법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을 통해 교잡하였다.
우선 성숙한 자바리 암컷의 고품질의 성숙란을 얻기 위해 복부를 관찰한 후 손으로 만져보면서 성숙 상태를 확인하였다.
성숙이 진행된 자바리 암컷의 복강에 LHRH(Sigma, USA) 호르몬 25㎍/㎏와 HCG 호르몬 1,000IU/㎏을 주사하였다.
주사 후 36시간부터 4시간 간격으로 손으로 만져보며 성숙란의 완숙 여부를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복부를 압박하여 성숙란을 확보하였다.
대왕바리 수컷은 복부 압박법으로 정액을 추출하였다.
확보된 성숙란은 30분 이상 상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확보된 성숙란과 정액을 채란 용기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한 다음 1~5분간 실온에 둔 후 해수를 첨가하여 정자를 활성화하였다.
수정 3시간 이후에 세포분열이 4 cell 이상 분열한 것을 수정란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수정란을 수거하여 부화조로 이동하였다.
총 성숙란의 개체수 중 수정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수정률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10334613-pat00001
(실시예 2) 수온에 따른 부화
부화 및 자치어 사육은 부화조에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부화조로 4L 비이커를 사용하였으며, L 당 50개의 수정란을 부화조에 넣은 후, 수온을 18℃, 21℃, 24℃, 27℃, 30℃로 조절하였다.
또한 수정란을 부화조에 넣은 후 수온을 18℃에서 10시간 유지한 다음 24℃로 변경하여 수정률, 부화율 및 기형율을 관찰하였다.
이때 부화조의 염분도는 32ppt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부화 완료 후, 부화된 개체와 폐사하여 가라앉은 개체를 계수하여 부화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10334613-pat00002
또한 부화된 개체 중 꼬리지느러미의 비정상 발달개체를 계수하여 기형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10334613-pat00003
표 1은 자바리의 수정란; 및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조 수온에 따른 부화율과 기형률을 나타낸다.
자바리 자바리×대왕바리
부화율 (%) 기형률 (%) 부화율 (%) 기형률 (%)
18℃ 77.2±5.5 0 3.3±1.2 36.7±22.3
21℃ 75.8±18.7 0 5.4±2.1 27.3±21.3
24℃ 77.4±8.9 10.84±4.7 8.1±3.2 48.8±19.5
27℃ 86.0±20.1 6.7±2.1 1.4±0.8 40.0±28.7
30℃ 55.3±12.5 23.3±3.5 2.5±1.0 50.2±13.5
18℃→24℃ 77.2±11.8 0 28.3±7.7 22.7±4.9
발생과정에서 배 형성단계까지 자바리 및 자바리×대왕바리 잡종 간에는 발생단계 차이가 없었으나, kupffer’s vesicle 생성단계부터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은 꼬리 및 체절발달 불량의 뚜렷한 기형을 나타내었다.
자바리의 부화율은 18℃부터 27℃까지는 최저 75.8%에서 최대 86.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0℃에서 55.3%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바리의 기형은 24℃부터 발생하여 30℃에서 23.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한편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의 부화율은 24℃에서 8.1%로 가장 높았으며, 18℃ 3.3%, 21℃ 5.4%, 27℃ 1.4%, 30℃ 2.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잡종의 기형율은 21℃에서 27.3%로 가장 낮았으며, 18℃ 36.7%, 24℃ 48.8%, 27℃ 40.0%, 30℃ 50.2%로 21℃에 비해 높은 기형율을 보였다.
수정란의 부화율 및 기형률을 고려하면, 부화조의 수온은 20~2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3℃이다. 수온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정란의 부화율 및 생존율이 저하되고 기형률은 증가한다.
또한 부화조의 염분도는 30~36ppt인 것이 바람직하며, 염분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정란의 부화율 및 생존율이 저하되고 기형률은 증가한다.
한편 부화조의 수온을 18℃에서 10시간 유지한 후 24℃로 수온을 변경하는 경우, 자바리는 기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77.2%의 부화율을 보였다.
또한 부화조의 수온을 18℃에서 10시간 유지한 후 24℃로 수온을 변경하는 경우,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은 부화율에 있어 다른 수온에 비해 6~7배 높은 28.3%를 보였으며, 기형률 역시 22.7%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온 변화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정란의 부화율 및 생존율이 저하되고 기형률은 증가한다.
또한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에서 2~12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의 생산에 있어 부화조의 수온변화가 부화율을 상승시키고 기형률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부화 후 개구가 완료되는 2일자부터 로피터를 공급하였다.
자어가 성장함에 따라 알테미아 유생과 함께 배합사료를 공급하였다. 사육수는 여과 해수를 이용하였으며, 사육 초기에는 지수식으로 유지하고, 알테미아 공급 이후부터는 1일 환수량을 30~50%로 유지하였다. 수조내 배설물은 알테미아 공급단계부터 사이폰을 통해 제거하였다.
표 2는 자바리의 수정란; 및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조 수온에 따른 수율을 나타낸다.
자바리 자바리×대왕바리
수율 (%) 수율 (%)
18℃ 77.2 2.1
21℃ 75.8 3.9
24℃ 69.0 4.1
27℃ 80.2 0.8
30℃ 42.4 1.2
18℃→24℃ 77.2 21.9
부화율 및 정상개체출현율로부터 수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10334613-pat00004
자바리의 수율은 42.4~80.2%를 나타내었으며, 27℃에서 80.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의 수율은 24℃에서 4.1%로 가장 높았으며, 27℃에서 0.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부화조의 수온을 18℃에서 10시간 유지한 후 24℃로 수온을 변경하는 경우,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은 수율에 있어 다른 수온에 비해 5~27배(평균 9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온 변화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정란의 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에서 2~12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바리×대왕바리 잡종의 생산에 있어 부화조의 수온변화가 부화율 및 수율을 상승시키고 기형률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자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대왕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2. 대왕바리의 암컷에서 성숙란을 확보하고, 자바리의 수컷에서 정액을 확보한 후 둘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는
    부화조의 수온을 16~20℃에서 2~12시간 유지한 후 22~26℃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35033A 2019-10-29 2019-10-29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KR10236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033A KR102363623B1 (ko) 2019-10-29 2019-10-29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033A KR102363623B1 (ko) 2019-10-29 2019-10-29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79A KR20210050679A (ko) 2021-05-10
KR102363623B1 true KR102363623B1 (ko) 2022-02-15

Family

ID=7591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033A KR102363623B1 (ko) 2019-10-29 2019-10-29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152B1 (ko) 2023-08-04 202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9793B (zh) * 2022-06-27 2023-03-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统计指定区域内的鱼种鱼卵密度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787Y1 (ko) 2005-03-07 2005-08-09 나영수 낚시찌
KR101919859B1 (ko) 2018-03-16 2018-11-19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각시붕어와 흰줄납줄개의 교잡종 및 그 교잡 방법
KR102038705B1 (ko) 2016-12-30 2019-10-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38A (ko) 1999-02-20 1999-06-25 이원교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KR100844339B1 (ko) 2007-08-28 2008-07-07 유병덕 검정잉어 및 그 육종방법
KR100990103B1 (ko) * 2008-10-07 2010-10-29 전라남도 민어 수정란 생산방법
KR100990094B1 (ko) * 2008-10-07 2010-10-29 전라남도 군평선이 수정란 생산방법
KR20120083990A (ko) 2011-01-19 2012-07-27 이영국 참돔과 감성돔의 교잡종 및 그 교잡종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787Y1 (ko) 2005-03-07 2005-08-09 나영수 낚시찌
KR102038705B1 (ko) 2016-12-30 2019-10-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KR101919859B1 (ko) 2018-03-16 2018-11-19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각시붕어와 흰줄납줄개의 교잡종 및 그 교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152B1 (ko) 2023-08-04 202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79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uda et al. Artificial completion of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life cycle: challenge to mass production
CN101032228B (zh) 养殖暗纹东方鲀纯系的建立和选育方法
KR102363623B1 (ko)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CN105123573B (zh) 暗纹东方鲀雌鱼与菊黄东方鲀雄鱼杂交育种方法
CN101518215B (zh) 抗寒吉富罗非鱼的培育方法
CN107549059B (zh) 一种施氏鲟雌鱼和匙吻鲟雄鱼杂交育苗方法
CN101120658A (zh) 一种鲑鳟鱼全雌化的方法
CN111387134B (zh) 一种提高笼养中小型肉种鸭繁殖性能的方法
CN103918605B (zh) 一种提高汉寿甲鱼产卵量及产卵质量的养殖方法
CN111758625A (zh) 一种克氏原螯虾工厂化离体育苗的方法
CN1327763C (zh) 养殖对虾家系的建立和良种选育方法
Chu et al. Effect of salinity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hatching of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x Epinephelus lanceolatus
CN101897305A (zh) 一种红刺参人工育苗的方法
CN101401555B (zh) 一种鮸状黄姑鱼工厂化苗种培育方法及其专用亲鱼强化剂
KR102038705B1 (ko) 갈색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Hu et al. Developments in common carp culture and selective breeding of new varieties
KR20120083990A (ko) 참돔과 감성돔의 교잡종 및 그 교잡종 생산방법
Hongtuo et al. Culture of the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CN106305522B (zh) 一种多宝鱼的人工育苗方法
CN101032229B (zh) 养殖暗纹东方鲀家系的建立和选育方法
Ola-Oladimeji Comparison of fitness traits between reciprocal hybrids and parentals of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and Heterobranchus bidorsalis (Geoffroy Saint-Hilaire, 1809)
CN108377939B (zh) 一种奥吉杂交罗非鱼的制种方法
CN111316939A (zh) 一种条纹锯鮨的反季育苗方法
Pengeluaran Effect of salinity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hatching of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x Epinephelus lanceolatus
KR20220074803A (ko) 자바리와 대왕바리 교잡종의 3배체 유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