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938A -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 Google Patents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938A
KR19990045938A KR1019990005738A KR19990005738A KR19990045938A KR 19990045938 A KR19990045938 A KR 19990045938A KR 1019990005738 A KR1019990005738 A KR 1019990005738A KR 19990005738 A KR19990005738 A KR 19990005738A KR 19990045938 A KR19990045938 A KR 1999004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h
bass
hybridization
spot
sea b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교
양석우
Original Assignee
이원교
양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교, 양석우 filed Critical 이원교
Priority to KR101999000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5938A/ko
Publication of KR1999004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938A/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산란기가 다른 점농어와 민농어의 사육환경을 수온은 9∼23℃로, 광주기는 최하치 0 에서부터 최고치 3,500lux로, 또 낮 길이를 7∼13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기 상호 조절한 후, 성성숙을 유도하기 위해 암컷에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를 처리하고 수컷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 또는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처리하여 두 어종의 산란시기를 일치시켜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 또는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을 교잡함으로써 생산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발명에 의한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는, 자연 상태에서 수정이 일어날 수 없었던 민농어와 점농어의 종간 교잡의 성공으로 농어류의 신품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 종을 양식산업에 이용함으로써 농어류 양식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수한 형질을 갖춘 종들의 교잡을 통한 형질개선 방법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IMPROVED SPECIES OF SEA BASS PRODUCED BY HYBRIDIZING SEA BASSES AND SPOTTED SEA BASSES}
본 발명은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산란기가 빠른 점농어와 산란기가 늦은 민농어의 성성숙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생식시기를 일치시키고 두 종을 교잡시켜서 생산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에 관한 것이다.
자연상태에서 산란기가 10월∼11월인 점농어는 성장속도가 빠르다는 특성이 있는 반면 작은 크기의 점농어는 살이 무르기 때문에 상품 가치가 낮아 1㎏이상의 대형으로 키워야 한다. 민농어는 자연 산란기가 1월∼2월이며 맛이 좋아 횟감으로 인기가 있으며 또한 대형으로의 출하는 물론 소형의 경우에도 살이 단단하고 맛이 좋아 세꼬시(뼈꼬시)용으로 출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점농어에 비해 성장이 느리다는 단점도 있다.
좋은 성장율을 지닌 점농어와 크기에 상관없이 맛이 좋은 민농어는 생식 시기가 서로 달라 자연 상태에서는 수정이 일어날 수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민농어와 점농어의 교잡종 집단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교잡 시도도 없었다.
이에 본원은 빠른 성장율을 갖는 점농어와 맛이 뛰어난 민농어의 우수한 형질들을 이어받는 신품종 농어를 생산하고자 농어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 실험을 거듭하여왔고, 그 결과 산란기가 서로 다른 두 어종의 성성숙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산란 시기를 일치시키고 두 어종을 교잡하여 교잡종을 생산하는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농어의 사육환경을 수온은 9∼23℃로, 광주기는 최하치 0 에서부터 최고치 3,500lux로, 또 낮 길이를 7∼13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기 상호 조절한 후, 성성숙 유도를 위해 민농어와 점농어의 암컷에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GnRH-analogue;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analogue) 또는 황체자극흐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LHRH-analogue;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analogue)를 처리하고 수컷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또는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처리하여 두 어종의 산란시기를 일치시켜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 또는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을 교잡함으로써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어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어종으로서 양식용 탱크 또는 가두리에서는 산란 유도가 불가능하므로 친어의 성성숙을 유도하기 위하여 호르몬을 처리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이 사육환경을 조절하여준다.
민농어의 경우 사육환경의 수온은 9∼17℃로, 광주기는 조도 최하치 0 에서부터 최고치 2,000lux의 범위 내에서 낮의 길이를 7∼13시간으로 조절하고, 점농어의 경우 사육환경의 수온은 14∼23℃로, 광주기는 조도 최하치 0 에서부터 최고치 3,500lux의 범위 내에서 낮의 길이를 8∼13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농어와 민농어의 암컷에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를 투여할 때 100∼1,600㎍/㎏의 농도범위로 투여하며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는 400㎍/㎏이다.
상기 농어의 수컷에 처리하는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로서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흐르몬을 투여할 때의 농도 범위는 200∼1,600IU/㎏이며 경제적인 면과 그 효과를 고려한 최적의 농도는 400IU/㎏이고,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농도 0.1∼4p.e./㎏으로 처리하며 최적의 농도는 4p.e./㎏이다.
두 어종의 산란기가 일치하도록 민농어가 있는 탱크의 양식환경은 자연상태 보다 빠르게 변화하도록 조절하여 산란시키고자 하는 시기가 민농어의 산란기인 1 ∼2월의 환경이 되도록 만들어주고 점농어가 있는 탱크의 양식환경은 자연상태 보다 느리게 변화하도록 조절하여 산란시키고자 하는 시기가 점농어의 자연상태에서의 산란기인 10∼11월의 환경이 되도록 만든 후, 각 농어의 암컷과 수컷에 상기와 같이 호르몬을 각각 처리하여 민농어와 점농어의 인위적 성성숙을 유도한다. 즉, 민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초반에 점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후반에 호르몬을 처리하여 상기 점농어와 민농어로부터 채란 및 채정을 한다.
그 후, 건식법 및 습식법의 수정방법에 의하여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간의 교잡 및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간에 교잡을 시키며, 그에 대한 수정율, 부화율, 치어생산량 등을 조사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1. 농어의 인위적 성성숙 유도를 위한 환경설정 및 호르몬처리;
탱크내에서 농어 치어의 정상적인 성성숙을 유도하기 위해 민농어의 사육 수온은 10∼16℃ 내에서 유지시켜주며, 광주기는 조도 0 에서부터 최고치 2,000lux로, 낮의 길이를 8∼10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각 상호 조절하였고, 점농어의 사육 수온은 15∼22℃ 내에서 유지시켜주며, 광주기는 조도 0 에서부터 최고치 3,500lux로, 또 낮의 길이를 9∼12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각 조절하여 관리하였다.
상기 설정된 환경에서 사육되는 농어 치어의 암컷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 400㎍/㎏를 처리하고 수컷에는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을 400IU/㎏ 처리하여 성성숙을 유도하였다.
2. 민농어와 점농어의 산란 시기를 같게 하기 위한 조절;
상기와 같은 환경설정 및 호르몬 처리로써 성성숙을 유도하는 민농어와 점농어의 산란시기를 같게 하도록 사육환경의 변화 및 호르몬 처리 시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두 종의 채란 시기를 맞출 수 있었다.
즉, 낮의 길이는 12월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는데, 1월∼2월인 민농어의 산란기를 빠르게 하고 10월 하순∼11월 중순인 점농어의 산란기를 늦추어 대략 12월로 맞추도록, 민농어의 경우 자연상태의 변화보다 빠르게 낮의 길이와 수온을 변화시켜 12월경에 1월∼2월의 낮 길이와 수온이 되도록 조절하였고 점농어의 경우 12월경에 10월∼11월의 낮 길이와 수온이 되도록 광주기 및 수온 변화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였다. 상기와 같이 환경을 조절한 후, 민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초반에, 점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후반에 호르몬을 각각 처리하였다.
3. 농어의 채란 및 채정;
상기와 같은 환경조절 및 호르몬 처리로 민농어와 점농어의 인위적 성성숙을 유도하여 같은 시기에 채란과 채정을 하였다(표 1, 2).
표 1 점농어의 인위적 성성숙 유도
표 2. 민농어의 조기 성성숙 유도
점농어의 인위적 성성숙을 통해 11월 18일에 암컷으로부터 446,900 립을 채란하였으며, 수컷은 12월 3일까지도 채정이 가능하였다.
민농어의 조기 성성숙 유도를 통해 자연 산란기보다 앞선 12월 3일에 암컷에서 246,000 립의 성숙란을 채란하였으며, 수컷에서는 약 12㎖의 정액을 채정하였다.
4. 민농어와 점농어의 교잡;
상기와 같이하여 채란 및 채정을 한 후, 건식법과 습식법의 수정방법에 의하여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간에 교잡을 시켰으며, 그로부터 수정율, 부화율, 치어 생산량 등을 조사하였다(표 3).
표 3.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을 통한 신품종 농어 생산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의 교잡에 의해 약 446,900 립의 알에서 약 227,919 미의 신품종 농어가 생산되었으며,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의 수정에서는 약 246,000 립의 알에서 약 115,120 미의 신품종 농어가 생산되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생산된 신품종 농어는 두 곳의 종묘배양장에서 안정적으로 배양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의 발명은, 자연 상태에서 수정이 일어날 수 없었던 민농어와 점농어의 종간 교잡의 성공으로 농어류의 신품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 종을 양식산업에 이용함으로써 농어류 양식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수한 형질을 갖춘 종들의 교잡을 통한 형질개선 방법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농어의 사육환경을 수온은 9∼23℃로, 광주기는 최하치 0 에서부터 최고치 3,500lux로, 또 낮 길이를 7∼13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기 상호 조절한 후,
    민농어와 점농어의 암컷에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를 처리하고 수컷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 또는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처리하여 두 어종의 산란시기를 일치시켜 점농어 암컷과 민농어 수컷 또는 점농어 수컷과 민농어 암컷으로부터 채란 및 채정된 알과 정자를 수정하여 교잡함으로써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2. 제 1항에 있어서, 점농어의 경우 바람직한 사육환경이 수온은 14∼23℃로, 광주기는 조도 0∼3,500lux로, 낮의 길이는 8∼13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기 상호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3. 제 1항에 있어서, 민농어의 경우 바람직한 사육환경이 수온은 9∼17℃로, 광주기는 조도 0∼2,000lux로, 낮의 길이는 7∼13시간의 범위 내에서 각기 상호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의 처리 농도가 100∼1,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의 처리농도가 200∼1,600IU/㎏이고,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0.1∼4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6. 제 1항에 있어서, 민농어의 사육환경은 자연상태의 변화보다 빠르게 낮의 길이와 수온을 변화시켜 12월경에 1월∼2월의 낮 길이와 수온이 되도록 조절하고 점농어의 사육환경은 12월경에 10월∼11월의 낮 길이와 수온이 되도록 광주기 및 수온 변화를 조절한 후, 성성숙 유도를 위해 민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초반에, 점농어의 암컷과 수컷에는 산란기 후반에 호르몬을 각각 처리하여 두 어종의 산란시기를 일치시킴으로써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에 의한 신품종 농어.
KR1019990005738A 1999-02-20 1999-02-20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KR19990045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38A KR19990045938A (ko) 1999-02-20 1999-02-20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38A KR19990045938A (ko) 1999-02-20 1999-02-20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938A true KR19990045938A (ko) 1999-06-25

Family

ID=5478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38A KR19990045938A (ko) 1999-02-20 1999-02-20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59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37A (ko) * 2000-10-25 2001-02-05 추기영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종과 방법
KR20180078492A (ko) 2016-12-30 2018-07-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KR20190050443A (ko) * 2017-11-03 2019-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기 조절을 통한 은대구 치어의 사육 방법
KR20210050679A (ko) 2019-10-29 2021-05-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KR20220116615A (ko) 2021-02-15 2022-08-23 이일영 강도다리와 돌가자미의 교잡종 및 그 생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420A (en) * 1978-12-29 1981-03-10 Veb Berlin-Chemie Hormone combination and method for stimulation of ovulation
US5589457A (en) * 1995-07-03 1996-12-31 Ausa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he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420A (en) * 1978-12-29 1981-03-10 Veb Berlin-Chemie Hormone combination and method for stimulation of ovulation
US5589457A (en) * 1995-07-03 1996-12-31 Ausa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he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37A (ko) * 2000-10-25 2001-02-05 추기영 점농어와 민농어의 교잡종과 방법
KR20180078492A (ko) 2016-12-30 2018-07-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부화율 향상방법
KR20190050443A (ko) * 2017-11-03 2019-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기 조절을 통한 은대구 치어의 사육 방법
KR20210050679A (ko) 2019-10-29 2021-05-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KR20220116615A (ko) 2021-02-15 2022-08-23 이일영 강도다리와 돌가자미의 교잡종 및 그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nham et al. Production of hybrid catfish
US202102278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sh reproduction, hatching and larval culture
Hilge et al. Aquaculture of fry and fingerling of pike‐perch (Stizostedion lucioperca L.)—a short review
CN109511579B (zh) 尖裸鲤的人工繁殖技术
KR100856855B1 (ko)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KR101304951B1 (ko) 동자개 조기종묘생산 방법
Mollah et al. HCG-induced spawning of the catfish, Clarias macrocephalus (Gunther)
JP6468998B2 (ja) 海産の魚食性魚類の産卵誘導方法
Happe et al. Early life history of triploid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Richardson)
CN108901949A (zh) 一种鲈鱼人工繁殖与苗种培育方法
Miroslav et al. Adaptation of intensively reared pikeperch (Sander lucioperca) juveniles to pond culture and subsequent re-adaptation to a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JP6989451B2 (ja) ブリ属養殖魚の飼育方法及びブリ属養殖魚
CN101699997B (zh) 埋植缓释激素诱导圆斑星鲽亲鱼性腺成熟排卵方法
CN104304103A (zh) 一种提早繁育、培育大规格唇*苗种繁育方法
KR101169013B1 (ko) 미꾸라지류의 대량인공종묘 생산방법
Lee et al. Advances and future prospects of controlled maturation and spawning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L.) in captivity
KR19990045938A (ko) 점농어와민농어의교잡에의한신품종농어
Mobarak et al. Improvement of reproductive performance of rabbit does by hormonal and acetic acid treatment in hot-humid climatic condition of Bangladesh
KR101885049B1 (ko) 낚시용 잉어와 금붕어의 교잡종 생산방법
KR100291703B1 (ko) 농어의 수정란 생산방법
Marimuthu A short review on induced spawning and seed production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in Malaysia
Farag et al. Stimulation spawning of common carp, grass carp and silver carp by carp pituitary extract,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receptal and ovaprim hormones for commercial purposes
KR101924753B1 (ko) 낚시용 향어와 금붕어의 교잡종 생산방법
KR101934551B1 (ko) 명태의 조기산란 유도방법
Tiamiyu et al. Spawning performance of Clarias gariepinus administered serially diluted doses of Ovapr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