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152B1 -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152B1
KR102602152B1 KR1020230102438A KR20230102438A KR102602152B1 KR 102602152 B1 KR102602152 B1 KR 102602152B1 KR 1020230102438 A KR1020230102438 A KR 1020230102438A KR 20230102438 A KR20230102438 A KR 20230102438A KR 102602152 B1 KR102602152 B1 KR 10260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d eggs
egg
flounder
eggs
fert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희
김문관
이숙경
정태혁
김가은
김정은
이지훈
서종표
양준봉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0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기초집단 넙치어미를 이용하여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을 생산하고, 수정란에 대한 난질평가와 종자 생산한 치어 성장도를 통해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생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 생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superior seeds using egg quality evaluation of artificially fertilized eggs of flounder mothers.}
본 발명은 양식 대상 생물인 넙치를 유전적으로 개량하고 최종적으로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기초집단 넙치어미를 이용하여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을 생산하고, 수정란에 대한 난질평가와 종자 생산한 치어 성장도를 통해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은행에서 세계 어업·양식업을 예측한 보고서에 의하면 2030년 어업·양식업 생산량은 1억 8,684만 톤으로 이 중 식용 수요의 62%가 양식 수산물로 차지하게 되어 수산물 공급에 있어서 양식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양식어류는 1990년 2,685톤에서 지속해서 생산 증가하여 2009년도에는 109,515톤으로 최고로 생산을 많이 하게 되었고, 그 후부터 정체 또는 생산 감소 추세에 있다(한국 통계청, 2022). 이와 같은 결과는 외국산 수산물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수입 연어나 방어 등으로 인해서 횟감용 어종의 다양화도 원인이
피해가 매년 거듭되고 있으며, 산업적으로 이러한 수산생물 질병으로 인한 피해는 막대한 파급력으로 양식 산업의 근간을 흔들고 있는 것도 생산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광어는 번식 및 사육 기술의 완성도가 높은 해산 양식 어류의 하나로 육상에 설치한 대형 사육 수조를 이용하는 양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이 양식방법이 비교적 폐쇄된 사육환경이기 때문에 에드워드병 (Edwardsiellosis), 연쇄구균병 (Streptococcusis) 등의 세균 감염, 림포시스티스병 (Lymphocystis)등의 바이러스 감염, 혹은 기생충에 의한 빈혈증 등 많은 질병피해가 가속화하여 현재는 질병발병 대응책으로서 백신 개발이나 감염증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의 육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산종자 디지털 육종 플랫폼 구축이라는 국가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양식업이 직면한 많은 문제점을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양식 대상 생물인 넙치를 유전적으로 개량하고 최종적으로는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을 개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기초집단 넙치어미를 이용하여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을 생산하였고, 수정란에 대한 난질평가와 종자 생산한 치어 성장도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354430호는 넙치의 육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전학적 다양성을 가진 어미 집단을 구성하고, 이로부터 유전능력 평가에 의한 어미 선발과 유전적 유연관계를 바탕으로 인위적인 교배지침에 의한 인공수정을 통하여 넙치를 육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24805호는 가자미류의 한 종류인 넙치와 강도다리를 교잡시켜 새로이 탄생한 교잡종 및 이러한 교잡종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넙치(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의 암컷과 강도다리(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수컷으로부터 각각 난과 정액을 추출하고, 이들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수정란을 얻고, 수정란을 부화 및 육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와 강도다리의 잡종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91703호는 농어의 수정란 생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정 사육환경으로 친어를 관리하면서 암컷에는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GnRH-analogue)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LHRH-analogue)를 투여하고 수컷에는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HCG) 또는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투여하여 성성숙을 유도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농어의 수정란 생산방법을 개시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363623호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바리와 대왕바리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란을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부화율 향상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기초집단 넙치어미를 이용하여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을 생산하고, 수정란에 대한 난질평가와 종자 생산한 치어 성장도를 통해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생산방법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양식수조에서 넙치를 관리 사육하는 단계; 넙치어미의 성성숙을 유도하는단계; 채란채정하여 인공수정하는단계; 수정란의 난경과 유구경을 측정하는단계 및 상기 측정값을 기준으로 수정란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양식수조에서 어미 넙치를 관리 사육하여 인공수정한 수정란의 난경을 측정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수정란을 선별하여 부화시키는 것일수있다.
본 발명의 수정란 측정값은 난경 930um이상을 선별하는 것일 수 있고, 인공수정란의 난경x는 상관관계 식 y = 0.4982x - 402.49 에 대입하여 수정률y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 생산방법일 수 있다.
인공수정란의 난경 크기를 측정하고 일정크기의 난경을 갖는 수정란으로 종자를 한 경우의 인공수정란 치어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치어보다 20.7% 성장이 빨랐다. 이로부터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일별 산란량 (부상란+침하란)
도 2 시간대별 산란량 (야간 중심)
도 3 시간대별 산란량 (주간 중심)
도 4 인공수정란의 난경과 수정률과의 관계
도 5 인공수정란의 유구경과 수정률과의 관계
1. 넙치어미 관리
넙치 어미 후보군은 생산이력 및 성별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역 및 집단으로부터 수집하여 넙치 어미 기초집단을 구축하였다. 기초집단 넙치어미 관리는 제주시 구좌읍 양식장의 어미 사육동내 콘크리트 수조(8×8×1.5m, 유효수량 38톤)에서 암수 300여 마리를 수용하여 사육하였다. 사육수는 유수식으로 하루에 24회전 내외로 공급하였다.
넙치 어미의 양성조건으로써 사육환경이 적당하고, 영양이 좋으면서 병원체 관리가 잘 돼야 한다. 본 발명에서도 이 부분에 중점을 두었고, 우선 사육환경의 요인 중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이 수온이어서 사육 기간에 지하해수를 공급하면서 17.1∼17.2℃를 유지했다.
염분농도는 32.3∼34.2psu이었고, 용존산소량은 6.7∼7.9mg/L로 부족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먹이는 냉동 고등어와 전갱이 등 생사료와 크릴새우어분, 면역증강제, 소화제 등 영양제를 혼합하여 자체 제작한 습사료를 하루에 한번 공급하였다. 여기서 사육되고 있는 어미들을 활용해서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 (이하 인공수정란)과 자연산란 수정란을 얻게 되었다.
2. 어미의 성 성숙 유도
어류의 성숙·산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것은 빛과 수온을 이용하였다. 어미는 수온의 상승이나 하강, 그리고 하루 중 밝은 시간의 길고, 짧음으로 계절을 느끼는 것에 의해서 성숙, 산란을 반복하고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수온 조절은 하지 않았고, 광주기를 조절하면서 성숙과 산란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하였다.
성 성숙 유도는 2022년 8월 10일부터 10일간격으로(8월 10∼19일, 8월 20일∼29일, 8월 30일∼9월 9일) 하여 명주기를 30분씩( 12 : 30L /11 : 30D, 13 : 00L /11 : 00D, 13 : 30L /10 : 30D) 점차 증가시켜서 9월 10일 이후에는 하루에 14시간(14 : 00L / 10 : 00D) 동안 등을 켜주는 시간 제어를 하면서 광주기를 조절하였다.
3. 채란 및 채정
기초집단 넙치어미에서의 자연산란은 사육수조 밖에 설치한 채란용 원형 수조(D 1m × H 0.5m) 내에 있는 수정란 수집 망으로부터 매일 오전 10시에 수거한 후 비이커를 이용하여 부상란과 침하란을 각각 측정하였고, 어미의 인공채란 시기 및 시각을 정하고자 자연산란 패턴을 일별 그리고 시간대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시간대별 산란량은 주, 야간 중심으로 나누어서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산란시각은 수정란의 발생단계를 현미경 관찰을 하면서 추정하였다.
인공채란은 자연산란 패턴 조사 결과에 따라서 산란량이 많을 때와 새벽 시간대에 실시했는데, 1차 인공채란은 전날(10월 26일) 오후 4시에 성숙한 수컷으로부터 미리 정액을 채취하였고, 10월 27일 새벽 4∼6시 사이에 성숙한 암컷을 대상으로 복부를 압박하여 채란한 다음 미리 채취한 정액을 건식법으로 수정시켰다. 그리고, 2차 인공채란은 11월 17일 새벽 4시∼7시 40분 사이에 먼저 채정을 하였고, 채란한 다음 미리 채취한 정액을 건식법으로 수정시켰다.
<실시예> 채란 및 채정
기초집단 넙치어미에서 자연 산란이 처음으로 시작된 날은 2022년 10월 16일이었고, 광주기 조절이 시작된 이후 68일째였다. 처음 자연 산란량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800mL이었으나 점차 증가하여 10,600mL까지 생산되었고, 그 후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13,650mL까지 생산하게 되면서 10월 27일 1차적으로 작성된 교배지침에 따라 인공 수정란을 생산하였다.
인공채란 후 다시 자연 산란하게 되었고 20,850mL를 정점으로 하여 산란량이 감소와 증가를 하면서 11월 17일에 2차적으로 작성된 교배지침에 따라 인공 수정란을 생산하였다.
기초집단 넙치어미에서 자연산란을 하는 동안 평균 산란량은 10,387mL(±3,979mL)이었고, 이 중에서 부상란은 9,284mL(±3,627mL), 침하란은 1,104mL(±744mL)이었다. 그리고, 평균 부상란율은 89%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일반 넙치어미의 평균 부상란율도 88%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기초집단 넙치어미에서 자연산란량을 시간대별로 조사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간에는 산란량이 아주 적었고, 전체 산란량의 80∼86%가 아침 7시부터 11시 사이에 생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수정은 6시부터 10시 사이에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었고, 이를 토대로 인공채란은 6시까지는 끝내야 양질의 수정란을 최대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여기서 사육수조에서 생산된 수정란은 사육수조 밖에 설치된 채란용 원형 수조까지 이동하는 데 1시간이 걸린다고 추정하였다. 또한, 야간 (18:00∼07:00)에는 침하란율이 40∼71%로 높았고, 주간(07:00∼16:00)에는 부상란율이 73∼89%로 높았다.
4.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
기초집단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일반적으로 난질 평가의 유력지표를 난경을 중심으로, 유구경, 유구의 이상 유무, 부상률, 수정률 등에 관해서 조사했다. 또한, 인공수정란의 난질과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의 난질, 그리고 어미로 사용하고 있는 일반넙치에서 자연산란한 수정란의 난질과 비교 분석하였다.
난경과 유구경은 가장 많은 산란시각에 생산된 부상란(2∼16세포기)으로부터 무작위 추출한 표본 수에 관해서 만능투영기를 이용해서 측정했고, 수정된 개체도 계수해서 수정률을 구했다. 또한, 정상 수정란 여부 판단을 위해서, 넙치의 유구는 오직 하나만을 가진 분리 부성란이고, 2개 이상의 유구를 가진 난은 비정상적인 난이기 때문에 유구 수를 계수했다.
<실시예> 인공수정란의 난질평가
1차 인공 수정란의 난질 특성을 파악하고자 기초집단 넙치어미 자연산란 수정란의 난질, 그리고 일반 넙치어미 자연산란 수정란의 난질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3그룹에 의한 난경, 유구경, 수정률 측정 결과 (단위: ㎛)
기초집단 인공수정란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난경
(n=106)
유구경
(n=106)
수정률
(n=193)
난경
(n=122)
유구경
(n=117)
수정률
(n=128)
난경
(n=115)
유구경
(n=115)
수정률
(n=230)
929
(±26)
168
(±19)
73.6% 923
(±22)
167
(±9)
100% 891
(±28)
155
(±17)
96.5%
평균 난경의 크기는 인공수정란에서 929(±26)㎛,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에서 923(±22)㎛,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에서 891(±28)㎛로 인공수정란에서 얻어진 수정란이 가장 크고, 일반넙치에서 얻어진 수정란이 가장 작았다.
최근 넙치 난경의 크기에 관한 연구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고, 일반넙치에서는 재래식 선발육종 된 어미에서 수정란을 얻었고, 기초집단에서는 재래식 선발육종과는 달리 유전적 다양성을 기본적으로 확보된 어미에서 수정란을 얻었다.
인공수정란은 기초집단 넙치어미들을 이용해서 교배지침에 따라서 수정란을 얻었고, 이와 같은 결과는 어미선발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어미의 영향과 채란 방법상에서 교배지침 수립의 차이가 난경의 크기에 영향을 주었다고도 추정할 수 있으나, 수정란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전자, 환경이나 먹이, 그리고 어미의 나이나 크기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할 수 있다.
수정란의 크기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고, 좀더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난황(난경)을 크게 가진 어종은 유영력이 강하고, 기아 내성이 강하다. 또한, 포식당하기 어려운 것으로부터 그 자어기에 유리하다.
유구경의 평균 크기는 기초집단 인공수정란에서 168 (±19) ㎛, 기초집단 자연산란에서 167 (±9) ㎛, 일반 넙치어미 자연산란에서 155(±17)㎛로 3개의 그룹간에는 인공수정란에서 얻어진 수정란 유구경이 가장 크고, 일반넙치에서 얻어진 수정란 유구경이 가장 작았다.
이것으로 보면 난경이 크면 유구경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최근 넙치 유구경의 크기에 관한 연구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좀더 자료 축적에 의해서 난경과 유구경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수정률은 자연산란 수정란과 인공수정란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되고, 자연산란으로 얻어진 수정란에서는 기초집단에서 수정률 100%가 일반넙치에서 수정률 96.5%보다 약간 높았다.
본 발명에서 인공채란에 의해서 얻어진 수정률 73.6%는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채란방법을 좀 더 개선한다면 수정률을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넙치어미는 개체마다 매일 산란에 가입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고, 자연산란에 가입하는 개체가 일별로 달랐을 경우 난경(유구경)의 크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 조사하고 표 2에 나타내었다.
자연산란에 의한 일별 난경, 유구경 측정 결과(단위:㎛)
11월 8일 11월 9일 11월 10일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기초집단 자연산란 수정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난경 유구경 난경 유구경 난경 유구경 난경 유구경 난경 유구경 난경 유구경
930
(±30)
173
(±18)
884
(±30)
152
(±11)
922
(±28)
171
(±18)
894
(±24)
159
(±14)
918
(±25)
165
(±14)
890
(±26)
159
(±17)
난경과 유구경은 기초집단에서 일별로 각각 930(173)㎛, 922(171)㎛, 918(165)㎛로 점점 작아지는 경향이지만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넙치의 난경과 유구경은 884(152)㎛, 894(159)㎛, 890(159)㎛로 차이를 볼 수 없었고, 이와 같이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은 자연산란에 가입하는 개체가 매일 달라도 수정란의 크기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산란에 가입하는 개체별 차이를 더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수정에 의한 가계별로 수정란을 얻었고, 그 수정란의 난질 특성을 조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난경은 883∼ 944㎛, 유구경은 163 ∼ 199㎛, 수정률은 38∼70%로 가계별로 차이가 발생하였고, 난경과 수정률은 일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구경과 수정률과의 관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2차 인공채란에 의한 난질 측정 결과(단위:㎛)
 가 계 난경 (㎛) 유구경(㎛) 수정률 (%) 이상 수정란(유구 2개 이상)
가계 1 ( n=45 )   938 193 67 없 음
가계 2 ( n=50 ) 937 180 63 없 음
가계 3 ( n=50 ) 924 176 55 없 음
가계 4 ( n=50 ) 883 172 38 없 음
가계 5 ( n=50 ) 937 166 70 없 음
가계 6 ( n=50 ) 944 199 65 없 음
가계 7 ( n=50 ) 929 163 59 없 음
이와 같이 가계별 차이에 관해서는 향후 데이터 축적으로 단순 개체의 차이인지, 교배 지침상의 차이인지 등을 밝혀나갈 필요가 있다. 인공수정에 의해서 복수의 유구를 가진 이상 수정란이 있는지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확인해 보았지만, 현미경으로 관찰된 수정란 중에서 이상 수정란은 없었고, 100%가 1개의 유구만를 가지고 있는 정상 수정란이었다.
도 4는 인공수정란의 난경과 수정률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5는 인공수정란의 유구경과 수정률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결과를 살펴보면 난경과 수정률과는 일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구경과 수정률과는 상관관계를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인공수정란의 난경은 수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상관관계 식 y = 0.4982x - 402.49을 토대로 수정란의 수정률을 50% 이상을 목표로 하는 경우를 계산하면, 난경의 크기는 910㎛ 이상으로 설정하여 선별하고, 수정란의 수정률을 60% 이상을 목표로 하는 경우, 난경의 크기는 930㎛ 이상으로 설정하여 선별할 때 특정의 수정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종자생산 및 성장도
기초집단 넙치어미의 인공수정란과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을 생산해서 종자생산 업체인 제주시 구좌읍 양식장에서 분양해 주었고, 종자생산은 콘크리트 사각수조(8×8×1m)를 이용하였다.
수정란은 기초집단 넙치어미의 인공수정란과 일반 넙치어미의 자연산란 수정란을 수조를 달리하여 동시에 입식하였다. 사육수온은 수정란 입식부터 치어사육까지 지하해수로 17.6℃내외를 유지하였고, 염분농도는 33.4Psu내외였다. 먹이는 부화 후 14일쯤부터 상업용 사료를 구입하여 공급하고 점차적으로 입자규격을 증가시켜 나갔다.
또한, 치어가 성장함에 따라서 분조하게 되었고, 수조의 부족함 때문에 기초집단 인공수정란 치어와 일반넙치 자연산란 치어의 일정량을 다른 중간 양성장에서 사육하게 되었다. 여기서도 수조를 달리하여 인공수정란 치어와 자연산란 치어를 구분하여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사육수온은 지하해수로 17.4℃내외를 유지하였고, 염분농도는 32.8Psu내외였다. 성장도 조사는 수조에서 무작위로 채집하여 전장과 체중을 측정한 후에 다시 수조로 입식하였다.
<실시예> 종자생산 및 성장률
종자생산의 현장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난경의 큰 산란 시기와 산란량이 많은 시기의 수정란을 이용할 것, 그리고 부상란율의 높은 시기의 수정란을 이용하는 것이 높은 생존율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도 난경의 크기를 중심으로 성장률을 조사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난경의 크기가 자치어의 성장도에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규명하는 기초적인 자료확보 차원에서 자치어의 성장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치어 성장도 측정결과
기초집단 인공수정란 치어 일반넙치 자연산란 치어
평균전장
( cm )
1월 6일 (일령69일) 6.3 (±0.5) 5.9 (±0.6)
1월16일 (일령79일) 7.4 (±0.5) 6.6 (±0.7)
1월27일 (일령90일) 8.5 (±0.7) 7.9 (±0.8)
2월 3일 (일령97일)   9.8 (±0.5) 8.8 (±0.97)
평균체중
( g )
1월 6일 3.24 2.74
1월16일 4.6 3.7
1월27일 7.04 5.78
2월 3일   9.69     7.2
여기서 인공수정란의 난경 크기를 측정한 수정란으로 종자를 생산하였지만, 일반넙치는 난경 크기를 측정한 수정란이 아니고 또 다른 일반 넙치의 수정란으로 종자를 생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장은 기초집단 인공수정란을 이용한 치어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을 이용한 치어에서 각각 9.8±0.5 cm, 8.8±0.97 cm로 성장하였다.
기초집단 인공수정란 이용 치어가 일반넙치 자연산란 수정란 이용 치어보다 20.7% 성장이 빨랐다(P<0.01). 이것은 어미의 영향이 가장 크게 반영되었고 난경과 수정률과의 일정의 상관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나, 향후 성장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좀 더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조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결과에서도 인공수정란 이용 치어에서 자연산란 수정란 이용 치어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이것에 관해서는 관련 자료를 축적해서 수정란의 크기가 자치어의 성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규명해 나아갈 필요성이 있다.
유전적 다양성이 최대로 확보된 기초집단 넙치어미를 이용하여 인공교배에 의한 수정란을 생산하고, 수정란에 대한 난질평가와 종자 생산한 치어 성장도를 통해 우수한 여러 형질을 강화한 품종을 생산함으로서 양식산업에 도움될 수 있다.

Claims (5)

  1. 양식수조에서 어미 넙치를 관리 사육하여 인공수정한 수정란의 난경을 측정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수정란을 선별하여 부화시키고,
    상기 수정란의 선별은 인공수정란의 난경x과 수정률y의 상관관계 식 y = 0.4982x - 402.49에 대입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 생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공수정란의 수정률y을 60% 이상의 값으로 대입하여 산출된 난경의 크기를 우량종자로 선별하여 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 생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02438A 2023-08-04 2023-08-04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KR10260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438A KR102602152B1 (ko) 2023-08-04 2023-08-04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438A KR102602152B1 (ko) 2023-08-04 2023-08-04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152B1 true KR102602152B1 (ko) 2023-11-13

Family

ID=8874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438A KR102602152B1 (ko) 2023-08-04 2023-08-04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1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5B1 (ko) * 2005-04-04 2007-06-21 대한민국 넙치와 강도다리의 교잡종 및 그 교잡 방법
WO2015164771A1 (en) * 2014-04-25 2015-10-29 Once Innovation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sex of oviparous embryos using light sources
US20180237742A1 (en) * 2017-02-18 2018-08-23 Tracy Shawn Peterson Method for injectable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into a fish embryo
KR20210128152A (ko) * 2020-04-16 2021-10-26 최홍준 낚시용 가림막
KR102363623B1 (ko) 2019-10-29 2022-02-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JP2022032740A (ja) * 2020-08-14 2022-02-25 株式会社クラハシ 親魚の産卵管理装置
JP2022518304A (ja) * 2019-12-17 2022-03-15 中国水産科学研究院黄海水産研究所 ヒラメ耐病性育種遺伝子チップおよびその応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5B1 (ko) * 2005-04-04 2007-06-21 대한민국 넙치와 강도다리의 교잡종 및 그 교잡 방법
WO2015164771A1 (en) * 2014-04-25 2015-10-29 Once Innovation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sex of oviparous embryos using light sources
US20180237742A1 (en) * 2017-02-18 2018-08-23 Tracy Shawn Peterson Method for injectable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into a fish embryo
KR102363623B1 (ko) 2019-10-29 2022-02-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리와 대왕바리의 교잡종 수정란의 수온조절을 통한 수율향상방법
JP2022518304A (ja) * 2019-12-17 2022-03-15 中国水産科学研究院黄海水産研究所 ヒラメ耐病性育種遺伝子チップおよびその応用
KR20210128152A (ko) * 2020-04-16 2021-10-26 최홍준 낚시용 가림막
JP2022032740A (ja) * 2020-08-14 2022-02-25 株式会社クラハシ 親魚の産卵管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ppon Suisan Gakkaishi, vol.53(12), pp.2105-2110(1987) *
국내 등록특허 제10-0291703호는 농어의 수정란 생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정 사육환경으로 친어를 관리하면서 암컷에는 생식선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GnRH-analogue) 또는 황체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LHRH-analogue)를 투여하고 수컷에는 생식소 자극호르몬 유사체인 인간 태반성 생식선 자극호르몬(HCG) 또는 어류의 뇌하수체 추출물을 투여하여 성성숙을 유도함으로써 수정란을 생산하는 농어의 수정란 생산방법을 개시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24805호는 가자미류의 한 종류인 넙치와 강도다리를 교잡시켜 새로이 탄생한 교잡종 및 이러한 교잡종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넙치(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의 암컷과 강도다리(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수컷으로부터 각각 난과 정액을 추출하고, 이들 간의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수정란을 얻고, 수정란을 부화 및 육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와 강도다리의 잡종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서종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터봇, Scophthalmus maximus의 성성숙 유도와 수정란 생산’(2017.02.28.)* *
수산해양교육연구 vol.34(5) pp.857-863(2022.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opea et al. Effect of long-term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on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ve parameters of the “red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US20170105392A1 (en) Method for selective breeding of fast-growing strain of lined seahorse
CN104488784A (zh) 一种金鱼繁育方法
Puvanendran et al. Development of cod farming in Norway: Past and current biological and marke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CN112741024B (zh) 一种加州鲈反季节繁育与大规格苗种规模化培育方法
Pillai et al. Genetic evaluation of a complete diallel cross involving three populations of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India
CN100370896C (zh) 半滑舌鳎的亲鱼培育方法
CN101647412B (zh) 纹缟虾虎鱼人工催产授精繁育方法
Papanikos et al. Egg and larval quality of natural and induced spawns of red snapper, Lutjanus campechanus
Thodesen et al. Breeding programs on Atlantic Salmon in Norway-lessons learned.
Malison et al. Comparative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of juvenile walleye and sauger and their hybrids reared under intensive culture conditions
CN108552088A (zh) 一种加州鲈鱼分子遗传育种方法
EP2688396B1 (fr) Procede d&#39;obtention d&#39;un hybride interspecifique triploïde de maigre et d&#39;une ombrine
Arifin et al. New insights into giant gourami (Osphronemus goramy) reproductive biology and egg production control
CN105325321A (zh) 一种金头鲷养殖技术
KR102602152B1 (ko) 넙치어미 인공수정란의 난질 평가를 이용한 우량종자생산방법
De Silva et al. Fish reproduction in relation to aquaculture
KIZAK et al. First record of F_2 hybrid striped bass (Morone chrysops♀× Morone saxatilis♂× Morone chrysops♀× Morone saxatilis♂) in Kemer Dam Lake
KR100588419B1 (ko) 말쥐치의 조기산란유도 및 종묘 생산방법
CN111480617A (zh) 制备两性可育四倍体杂合鲫鱼的方法和制备不育三倍体杂合鲫鱼的方法
Tian et al. Comparative growth and viability of hybrids between two populations of Chinese shrimp (Fennropenaeus chinensis)
Oyebola et al. Effect of spawning methods on fertilization, hatchability and fry size variation in Clarias gariepinus
Kohinoor et al. Upgradation of genetically improved farmed tilapia (GIFT) strain by family selection in Bangladesh
Yousif et al. Spawning and hatching performance of the silvery black porgy Sparidentex hasta under hypersaline conditions
Rachek et al. Generative and somatic production of female sturgeon at a research farm in Primorsky Krai as a basis for manufacturing gastronomic cavi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