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579B1 - 강의용 책상 - Google Patents

강의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579B1
KR102363579B1 KR1020210126308A KR20210126308A KR102363579B1 KR 102363579 B1 KR102363579 B1 KR 102363579B1 KR 1020210126308 A KR1020210126308 A KR 1020210126308A KR 20210126308 A KR20210126308 A KR 20210126308A KR 102363579 B1 KR102363579 B1 KR 10236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plate
lif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1012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3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A47B2019/004Free-standing music stands with adjustable fee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강의용 책상은, 스크린 유닛, 상판 유닛, 중간판 유닛, 기둥 유닛 및 레그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둥 유닛은, 상하로 연장된 외측봉 및 외측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부로 연장되어 길이가 변형되는 중심봉을 포함하고, 상판 유닛은 상면판에 결합되어 중심봉의 상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 커버 및 일 측이 상기 중심봉과 접하도록 상기 리프팅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리프팅 봉을 포함한다. 리프팅 봉에 의해 중심봉의 길이가 변형되고 상면판이 이동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의용 책상{DESK FOR LECTURE}
본 발명은 강의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자의 편의를 높이고 강연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강의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평한 상판 및 상판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는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바닥면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다양한 상황에서 책상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형태의 책상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강연은 일반적으로 한 명의 강연자가 강의 자료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수강자에게 정보 등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연자는 보통 일어선 상태로 강연을 진행하며 노트북이나 강의자료 등 다양한 자료들을 참고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강연자는 위치를 이동하며 강연을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강연자의 편의를 위한 형태의 책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강연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효율적인 강의를 위한 강의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이 쉽고 다양한 자료 등을 손쉽게 보거나 보관할 수 있는 강의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의용 책상은 전방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유닛, 상기 스크린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상판 유닛,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중간판 유닛, 상기 스크린 유닛, 상기 상판 유닛 및 상기 중간판 유닛을 연결하는 기둥 유닛 및 상기 기둥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레그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 유닛은, 상하로 연장된 외측봉 및 상기 외측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부로 연장되어 길이가 변형되는 중심봉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유닛은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리프팅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상면판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봉의 상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 커버 및 일 측이 상기 중심봉과 접하도록 상기 리프팅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리프팅 봉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봉에 의해 상기 중심봉의 길이가 변형되고 상기 상면판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커버는, 상기 상면판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1커버면, 상기 제1커버면에서 상기 상면판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면 및 상기 제2커버면에서 상기 상면판을 따라서 연장된 제3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봉은 상기 제2커버면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심봉은 상기 제1커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리프팅 연결구를 통해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에 상기 리프팅 봉의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봉의 길이가 변형되도록 상기 중심봉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 봉은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응되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유닛은, 상기 스크린 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봉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린 연결부 및 상기 중간판 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봉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유닛은, 상기 스크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린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스크린 볼트와 결합되는 스크린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스크린 볼트 및 상기 스크린 너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스크린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스크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봉에 끼워지는 중간판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중간판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외측봉에 끼워지고,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양 측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진 곡면 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면판 및 상기 중간판의 일 단은 상기 스크린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유닛은, 상기 외측봉과 결합되는 레그 본체 및 상기 레그 본체에서 연결되어 바닥면에 접하는 레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 지지부는, 바닥면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본체는, 상기 외측봉과의 결합을 위한 본체 결합홀이 형성된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각각 연장되는 제2, 3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제3본체부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유닛은, 상기 리프팅 부재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는 받침 커버 및 상기 받침 커버와 상기 상면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힌지는 상기 상면판이 이동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상면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의용 책상은 일어선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일어서서 강의를 진행하는 강연자뿐만 아니라 건강 등을 위해 일어서서 작업을 수행하려는 작업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강의용 책상은 비교적 이동이 간단하고 자료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공간을 분리하며 바로 사용하는 자료와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자료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의용 책상은 전방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통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여 강연에 참석하는 수강자들에게 깔끔한 인상을 주며 설치되는 공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상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기둥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중간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레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의용 책상(1)은 여러 개의 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강의용 책상(1)은 스크린 유닛(10), 상판 유닛(20), 기둥 유닛(30), 중간판 유닛(40) 및 레그 유닛(50)으로 구분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상 예시적으로 구분 및 명칭된 것으로, 상기 강의용 책상(1)은 다양하게 구분 및 명칭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10)은 상기 강의용 책상(1)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강의용 책상(1)의 앞에는 강의를 듣는 수강자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10)에 의해 상기 상판 유닛(20), 상기 기둥 유닛(30),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레그 유닛(50) 중 적어도 일부가 수강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판 유닛(20)은 상기 강의용 책상(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판 유닛(20)에는 강연자가 사용하는 노트북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 유닛(40)은 상기 상판 유닛(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판 유닛(40)에는 강연자가 필요한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 유닛(40)은 상기 상판 유닛(20)의 보조적인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유닛(50)은 상기 강의용 책상(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레그 유닛(50)은 바닥면에 접하여 각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 유닛(30)은 각 구성을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기둥 유닛(30)은 상기 상판 유닛(20),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레그 유닛(50)을 상하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상 좌측하방을 전방 또는 전면방향이라 하고, 우측상방을 후방 또는 후면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1상 좌측상방을 우측방향이라 하고, 좌측하방을 좌측방향이라 한다. 또한,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을 합하여 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명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은 상기 강의용 책상(1)을 이용하는 강연자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강의용 책상(1)은 상기 스크린 유닛(10)이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 유닛(20), 상기 기둥 유닛(30),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레그 유닛(50)이 그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상판 유닛(20),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레그 유닛(50)이 상하로 차례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 유닛(30)에 의해 상기 스크린 유닛(10), 상기 상판 유닛(20),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레그 유닛(50)이 연결된다.
이하, 각 유닛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유닛(10)은 상기 기둥 유닛(30)과 결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스크린 유닛(10)은 상기 기둥 유닛(3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강의용 책상(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10)은 스크린(100) 및 스크린 너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스크린(100)은 상하방향 및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1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양 측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곡면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100)은 상기 강의용 책상(1)의 나머지 구성들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스크린(100)은 상기 상판 유닛(20)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판 유닛(20) 및 상기 중간판 유닛(40) 보다 양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100)은 반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이를 표현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100)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스크린(100)은 가림막 기능을 하여 강연자 또는 강연자료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100)은 반투명하게 마련되어 수강자들로 하여금 개방감을 주며 미관상 좋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유닛(30)에는, 상기 스크린 너트(110)와 결합되는 스크린 볼트(318)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100)에는 스크린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볼트(318) 및 상기 스크린 너트(110)가 상기 스크린 결합홀(112)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너트(110), 상기 스크린 볼트(318) 및 상기 스크린 결합홀(112)은 서로 대응하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상기 스크린 너트(110), 상기 스크린 볼트(318) 및 상기 스크린 결합홀(112)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3개로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배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상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의 편의상,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2에 도시된 상기 스크린 유닛(10)과 분리된 상기 강의용 책상(1)에서 상기 상판 유닛(20)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에서 상부에 분리된 구성을 상기 상판 유닛(20)으로 구분한다.
상기 상판 유닛(20)은 상면판(200), 받침 부재(210) 및 리프팅 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판(200)은 대략 사각형의 평평한 평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면판(200)의 전단은 상기 스크린(100)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판(200)은 강연자가 강연자료나 노트북 등을 올려둘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유닛(20)의 저면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재(210) 및 상기 리프팅 부재(220)는 상기 상면판(200)의 하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 부재(220)는 상기 상면판(200)의 전방에 부착되고, 상기 받침부재(210)는 상기 상면판(200)의 후방에 부착된다. 즉, 상기 리프팅 부재(220)가 상기 받침부재(210)보다 상기 스크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는 상기 받침 부재(2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리프팅 부재(220)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받침부재(210) 및 상기 리프팅 부재(220)가 상기 상면판(20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리프팅 부재(220)는 상기 기둥 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상면판(200)을 리프팅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받침 부재(210)는 이동하는 상기 상면판(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 부재(210)는 받침 커버(212) 및 상기 받침 커버(212)와 상기 상면판(200)을 연결하는 힌지(214, 215, 216, 217)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214, 215, 216, 217)는 상기 상면판(200)과 연결되는 힌지 고정부(2140, 2160) 및 상기 받침 커버(212)와 연결되는 힌지 회동부(2150, 2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고정부(2140, 2160)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상면판(200)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회동부(2150, 2170)는 상기 받침 커버(212)와 일체 또는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힌지는 상기 받침 커버(212) 또는 상기 상면판(200)의 모서리부에 각각 위치하며 제1힌지(214), 제2힌지(215), 제3힌지(216) 및 제4힌지(217)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제1힌지(214)가 좌측 하부에 위치하고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3힌지(216), 상기 제4힌지(217) 및 상기 제2힌지(215)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214) 및 상기 제2힌지(215)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힌지(216) 및 상기 제4힌지(217)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2힌지(214, 215)의 힌지 고정부(2140)는 상기 제3,4힌지(216, 217)의 힌지 고정부(2160)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부재(220)는 리프팅 커버(222), 리프팅 봉(224) 및 리프팅 연결구(226)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커버(222)는 상기 상면판(200)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리프팅 커버(222)는 대략 일 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형성하고, 복수의 리프팅 커버면(2220, 2222, 2224)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 커버면은 상기 상면판(200)과 대략 평행하게 이격된 제1커버면(2220), 상기 제1커버면(2220)에서 상기 상면판(200)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커버면(2222) 및 상기 제2커버면(2222)에서 상기 상면판(200)을 따라서 연장된 제3커버면(2224)을 포함한다. 상기 제3커버면(2224)에는 상기 상면판(200)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봉(224)은 상기 제2커버면(2222)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팅 커버(22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프팅 봉(224)은 상기 리프팅 커버(22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봉(2242) 및 상기 리프팅 커버(2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봉(22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이해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상기 리프팅 봉(224)은 상기 내측봉(2242) 및 상기 외측봉(2240)이 연결되어 일 측으로 연장된 하나의 봉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커버(222)의 내측에는 상기 리프팅 봉(224)을 지지하는 지지대(22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28)는 대략 상기 리프팅 봉(224)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리프팅 봉(224)을 지지한다. 그에 따라, 상기 리프팅 봉(224)은 상기 지지대(228)를 기준으로 양 단이 상하로 소정의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연결구(226)는 상기 제1커버면(22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 연결구(226)는 상기 기둥 유닛(30)과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다. 이하, 이과 관련하여 상기 기둥 유닛(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기둥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기둥 유닛(30)은 중심봉(300), 외측봉(310) 및 기둥 커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봉(300)은 유압 등에 의해 압축되는 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봉(300)은 길이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리프팅 봉(22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중심봉(300)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팅 연결구(226)를 관통하고, 상기 중심봉(300)의 상단은 상기 리프팅 커버(222)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중심봉(300)의 상단은 상기 리프팅 봉(224), 특히, 상기 내측봉(2242)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심봉(300)은 상기 리프팅 봉(224)이 상기 중심봉(300)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길이가 변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측봉(2240)에 외력을 가하여 이동시키면 그와 대응하여 상기 내측봉(2242)이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중심봉(3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중심봉(300)의 길이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 봉(224)에만 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중심봉(300)의 길이가 늘어난다. 그에 따라, 상기 리프팅 부재(220)가 위치한 상기 상면판(200)의 전방부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214, 215, 216, 217)가 변형되며 상기 상면판(200)을 지지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 봉(224)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상면판(200)을 누르는 경우 상기 중심봉(300)의 길이가 줄어든다. 그에 따라, 다시 상기 상면판(200)의 전방부가 하강하며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봉(310)은 상기 중심봉(30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기둥 커버(320)는 상기 중심봉(300)이 상기 외측봉(3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측봉(310)은 대략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기둥 커버(32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봉(300)은 상기 외측봉(310) 보다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 유닛(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봉(310)의 전방으로 상기 스크린 유닛(10)과의 연결을 위한 스크린 연결부(312)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 연결부(312)의 연장된 단면에 앞서 설명한 스크린 볼트(318)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 연결부(312)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 기둥형상을 구비되며,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 연결부(312)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스크린 볼트(318) 등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봉(310)의 후방으로 상기 중간판 유닛(314)과의 연결을 위한 중간판 연결부(314)가 구비된다. 정리하면, 상기 기둥 유닛(30)의 상부에 상기 상판 유닛(20)이 연결되고, 전방에 상기 스크린 유닛(10)이 연결되며, 후방에 상기 중간판 유닛(40)이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중간판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중간판 유닛(40) 및 상기 기둥 유닛(30)을 함께 하측 방향에서 도시하였다.
상기 중간판 유닛(40)은 중간판(400) 및 상기 중간판(400)과 상기 외측봉(310)의 연결을 위한 중간판 연결부재(41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판(400)은 대략 사각형의 평평한 평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400)의 전단은 상기 스크린(100)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판(400)은 상기 상면판(200)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면판(200)은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이라면, 상기 중간판(400)은 사용자가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400)에는 전단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400)은 이와 같은 홈에 맞추어 상기 중간판 연결부(314)에 지지되도록 상기 외측봉(31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410)가 상기 중간판(400)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외측봉(31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400)과 상기 중간판 연결부(314) 및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410)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410)는 상기 스크린 연결부(312)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봉(31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 연결부(312)는 상하방향으로 3개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410)는 중간에 위치한 스크린 연결부(312)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봉(3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상기 기둥 유닛(30)과 상기 중간판 유닛(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의용 책상의 레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레그 유닛(50)은 상기 외측봉(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 유닛(50)은 레그 본체(500) 및 바닥면에 접하는 레그 지지부(510, 520)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 본체(500)는 상기 외측봉(310)과의 결합을 위한 본체 결합홀(50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홀(508)을 통해 볼트 등이 관통되어 상기 외측봉(3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본체(5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 본체(500)는 상기 결합홀(508)이 형성된 제1본체부(502) 및 상기 제1본체부(502)에 연장되는 제2, 3본체부(504, 506)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부(502)는 대략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3본체부(504, 506)는 상기 제1본체부(502)의 연장된 양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3본체부(504, 506)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 지지부(510, 520)는 바닥면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510)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대(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510)는 보다 쉽게 상기 레그 유닛(40)을 포함한 강의용 책상(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대(520)는 상기 강의용 책상(1)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3본체부(504, 506)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본체부(504)의 말단에는 바퀴(51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본체부(506)의 말단에는 지지대(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본체부(504)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본체부(506)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본체부(506)는 상기 제2본체부(504)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520)가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후방을 살짝 들어 상기 바퀴(510)를 이용하여 상기 강의용 책상(1)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지대(520)에 의해 상기 강의용 책상(1)이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 강의용 책상
10 : 스크린 유닛
100 : 스크린
20 : 상판 유닛
200 : 상면판
220 : 리프팅 부재
30 : 기둥 유닛
300 : 중심봉
310 : 외측봉
40 : 중간판 유닛
50 : 레그 유닛

Claims (10)

  1. 전방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유닛;
    상기 스크린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상판 유닛;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중간판 유닛;
    상기 스크린 유닛, 상기 상판 유닛 및 상기 중간판 유닛을 연결하는 기둥 유닛; 및
    상기 기둥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레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 유닛은,
    상하로 연장된 외측봉;
    상기 외측봉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부로 연장되어 길이가 변형되는 중심봉;
    상기 스크린 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봉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린 연결부; 및
    상기 중간판 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봉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유닛은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리프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상면판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봉의 상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 커버 및
    일 측이 상기 중심봉과 접하도록 상기 리프팅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된 리프팅 봉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봉에 의해 상기 중심봉의 길이가 변형되고 상기 상면판이 이동가능하며,
    상기 중간판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스크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봉에 끼워지는 중간판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중간판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외측봉에 끼워지고, 상기 중간판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커버는,
    상기 상면판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1커버면;
    상기 제1커버면에서 상기 상면판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면; 및
    상기 제2커버면에서 상기 상면판을 따라서 연장된 제3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봉은 상기 제2커버면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심봉은 상기 제1커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리프팅 연결구를 통해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리프팅 커버의 내측에 상기 리프팅 봉의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봉의 길이가 변형되도록 상기 중심봉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 봉은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응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유닛은,
    상기 스크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린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스크린 볼트와 결합되는 스크린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스크린 볼트 및 상기 스크린 너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스크린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양 측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진 곡면 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면판 및 상기 중간판의 일 단은 상기 스크린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유닛은,
    상기 외측봉과 결합되는 레그 본체 및
    상기 레그 본체에서 연결되어 바닥면에 접하는 레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 지지부는, 바닥면을 따라 회동되는 바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본체는,
    상기 외측봉과의 결합을 위한 본체 결합홀이 형성된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각각 연장되는 제2, 3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제3본체부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유닛은, 상기 리프팅 부재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는 받침 커버 및 상기 받침 커버와 상기 상면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힌지는 상기 상면판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상면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책상.
KR1020210126308A 2021-09-24 2021-09-24 강의용 책상 KR10236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08A KR102363579B1 (ko) 2021-09-24 2021-09-24 강의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08A KR102363579B1 (ko) 2021-09-24 2021-09-24 강의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579B1 true KR102363579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308A KR102363579B1 (ko) 2021-09-24 2021-09-24 강의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29Y1 (ko) * 2001-09-10 2001-12-24 국옥환 의자의 시트 받침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395675Y1 (ko) * 2005-06-07 2005-09-14 이봉준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JP2013017707A (ja) * 2011-07-12 2013-01-31 Okamura Corp カート装置
KR102037164B1 (ko) * 2019-05-21 2019-10-29 부호체어원(주)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20200104648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코아스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29Y1 (ko) * 2001-09-10 2001-12-24 국옥환 의자의 시트 받침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395675Y1 (ko) * 2005-06-07 2005-09-14 이봉준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JP2013017707A (ja) * 2011-07-12 2013-01-31 Okamura Corp カート装置
KR20200104648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코아스 결합장치
KR102037164B1 (ko) * 2019-05-21 2019-10-29 부호체어원(주)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640A (zh) 高度可调式桌子
US20080178779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20180007803A1 (en) Configurable device comprising a screen and suitable to support a computer
WO2017199744A1 (ja) モニタースタンド
KR102363579B1 (ko) 강의용 책상
JP4547570B2 (ja) 壁構造体
JP2001353028A (ja) 昇降パネル付きワゴンデスク
CN206491476U (zh) 一种可升降多媒体教师讲台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JP2007306957A (ja) 組合せ家具
CN211065485U (zh) 多功能写字台
KR101486525B1 (ko) 키보드 받침대
KR200287512Y1 (ko) 책상이 결합된 책장
JP3224886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KR20050094777A (ko) 높이 조절 책상
KR102625289B1 (ko)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CN208491419U (zh) 一种公寓多功能床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JP6692127B2 (ja) 天板昇降式什器
CN211833367U (zh) 一种床上书桌
CN204292526U (zh) 一种多功能椅子
JP7032867B2 (ja) テーブルシステム
CN211984320U (zh) 英语教学用讲台
KR102154574B1 (ko) 확장 연결이 가능한 책상
KR102026104B1 (ko)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