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89B1 -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89B1
KR102625289B1 KR1020230101893A KR20230101893A KR102625289B1 KR 102625289 B1 KR102625289 B1 KR 102625289B1 KR 1020230101893 A KR1020230101893 A KR 1020230101893A KR 20230101893 A KR20230101893 A KR 20230101893A KR 102625289 B1 KR102625289 B1 KR 10262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storage
coupl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퍼스
Priority to KR102023010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01Office desks or work-station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e.g. work space managemen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2Mechanical means to move furniture easily, e.g. air cush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의 가구용 프레임은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승강되는 가동부를 갖는 책상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어 수납장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장 프레임은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고, 일단이 상기 경첩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첩부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동부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갖는 프레임 지지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Storage closet frame and furniture fram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납장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6934호는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선행 특허에 따르면, 메인 상판의 하부에 서랍장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이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판 서로 간의 간격 내에 서랍장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특허는 메인 상판과 서랍장이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메인 상판과 서랍장 서로 간의 배치 구조를 쉽게 구성 및 변경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693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책상과 수납장을 일체형 유닛으로 구성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서로 간의 배치 구조를 쉽게 구성 및 변경할 수 있는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용 프레임은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승강되는 가동부를 갖는 책상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어 수납장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장 프레임은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결합되는 경첩부와,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고, 일단이 상기 경첩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첩부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동부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갖는 프레임 지지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가 통과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는 상기 책상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는 상기 경첩부와 결합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다리는 상측에 상기 승강부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장 프레임의 회동 동작에 따른 상기 프레임 지지다리의 이동을 위한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부재를 갖는 외곽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측에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걸쳐지는 제 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부에 배치되고 상기 경첩부와 결합되는 경첩부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수납장 프레임이 책상 프레임의 가동부에 결합되고, 가동부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가지며, 또한 경첩부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납장 프레임의 수평 방향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체형 유닛으로 구성되는 책상과 수납장 서로 간의 배치 구조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쉽게 구성 및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납장 프레임은 물론이고, 수납장 프레임과 책상 프레임 간 결합 부분이 수납장에 의해 외관상 보이지 않게 가려질 수 있어, 유닛 이미지 및 전체적인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체적인 구조가 간소하고, 쉽게 조립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프레임을 적용한 책상 가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최소 높이 승강 상태를, (b)는 최대 높이 승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 가구로, 도 2a는 'ㄱ'자형 배치 구조를, 도 2b는 일자형 배치 구조를, 도 2c는 'V'자형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a)는 최소 높이 승강 상태를, (b)는 최대 높이 승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과 수납장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 사시도, (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이 적용되는 수납장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프레임을 적용한 책상 가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최소 높이 승강 상태를, (b)는 최대 높이 승강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 가구로, 도 2a는 'ㄱ'자형 배치 구조를, 도 2b는 일자형 배치 구조를, 도 2c는 'V'자형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a)는 최소 높이 승강 상태를, (b)는 최대 높이 승강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과 수납장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 사시도, (b)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 프레임이 적용되는 수납장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1)은 책상(2)과 수납장(3)을 유닛으로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책상 상판(2a)을 지지하고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승강되는 가동부(11)를 갖는 책상 프레임(10)과, 가동부(11)에 결합되어 수납장(3)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20)을 포함하되, 특히 수납장 프레임(20)이 책상 프레임(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되, 가동부(11)의 승강 동작에 연동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책상(2)과 수납장(3) 서로 간의 배치 구조를 쉽게 구성 및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책상(2)의 높낮이와 연동하여 수납장(3)의 높낮이를 최소 높이로 세팅하거나, 도 1의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납장(3)의 높낮이를 최대 높이로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수납장(3)의 높낮이를 상기의 최소 높이와 최대 높이 사이의 소정의 높이로 세팅할 수 있다. 특히, 가동부(11)에 의해 책상(2)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가동부(11)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납장(3)의 높낮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책상(2)과 수납장(3)이 서로 직각으로 'ㄱ'자형으로 배치되거나, 도 2의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일렬로 일자형으로 배치되거나, 도 2의 (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납장(3)이 책상(2)에 대해 상기의 직각 배치와 일렬 배치 사이의 소정 각도로 'V'자형으로 배치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의 수납장(3)의 수평 방향 회동은 책상 프레임(10)에 대해 수납장 프레임(20)을 수평 방향으로 밀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쉽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부(11)는 책상 상판(2a) 하측에 배치되고, 책상 다리(15)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책상 다리(15)가 2개인 경우, 가동부(11)는 책상 상판(2a) 하측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1-1)과, 수평 프레임(11-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2개의 책상 다리(15)와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수직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2)은 책상 다리(1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반대로 수직 프레임(11-2) 내에 책상 다리(15)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가동부(11)는 수동 또는 유압, 공압 등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유닛을 이용하는 자동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 가능토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수평 방향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장 프레임(20)은, 가동부(11)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30)와, 프레임 연결부(30)에 결합되고 상기의 수평 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40)와, 수납장(3)이 거치되고 일단이 경첩부(40)에 연결되어 경첩부(40)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 프레임(50)과, 지지 프레임(50)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 지지다리(60)를 포함한다.
프레임 연결부(30)는 일측은 가동부(11)와 결합되고 타측은 경첩부(40)와 결합되는 마운트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연결부(3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수직 프레임(11-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측부가 가동부(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부가 경첩부(40)와 결합됨으로써, 간소하고 쉽게 가동부(11) 및 경첩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동부(11)는 수평 프레임(11-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패널 형태의 제 1 결합부(11-3)를 갖고, 프레임 연결부(30)는 그 상단부에 제 1 결합부(11-3)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결합되는 패널 형태의 제 2 결합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마운트부(31)가 구비됨으로써, 수납장 프레임(20)을 전용 책상 프레임(10) 외 다른 책상 프레임(10)과도 유닛화 가능하고, 책상 프레임(10)과 수납장 프레임(20)이 서로 간소하고 쉽게 결합될 수 있고, 가동부(11)가 경첩부(40)와 간섭없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31)에 경첩부(40)가 체결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2곳 이상 구비할 수 있고, 이에 경첩부(40)가 마운트부(31)와 결합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 연결부(30)는 수납장(3)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동부(11), 특히 수직 프레임(11-2)이 통과하는 커버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납장(3)의 상면 일측에 책상 다리(15) 또는 책상 다리(15)와 함께 수직 프레임(11-2)이 통과하는 제 1 개구부(3a)가 형성되고, 제 1 개구부(3a)가 커버부(33)에 의해 덮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33)에는 제 1 개구부(3a)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고 수직 프레임(11-2)이 통과하는 제 2 개구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개구부(33a)는 책상 다리(15)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책상 프레임(10)의 일부가 수납장(3)과 구조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책상(2)과 수납장(3)을 일체형으로 유닛화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33)의 일측에 마운트부(31)가 배치되어 고정되되, 마운트부(31)의 상측부가 커버부(33)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책상 프레임(10)과 결합되고, 마운트부(31)의 하측부가 커버부(33)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경첩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운트부(31)가 제 2 개구부(33a)를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되어, 경첩부(40)가 커버부(33)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경첩부(40)는 어떠한 경첩 형태이든 무방하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부(40)는 프레임 연결부(30)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 1 고정편(41)과, 지지 프레임(50)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 2 고정편(42)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2 고정편(41, 42)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수평 방향 회동이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구현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조립 및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경첩부(40)는 책상 프레임(10)과 수납장 프레임(20)이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2 경첩부(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50)은 지지 프레임(50)의 외곽을 이루는 외곽 프레임(51)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51)은 지지 프레임(50)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부재(51a)에 의해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 프레임(51)은 선형 부재(51a)에 의해 정의되는 외곽 프레임(51)의 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2곳 이상에서 선형 부재(51a)에 교차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51b)는 일 예로써, 일자형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곽 프레임(51)은 상측에 수납장(3)이 거치되는 수평부(51-1)와, 수평부(51-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수직부(51-2)와, 수평부(51-1)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수직부(5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곽 프레임(51)은 정면에서 볼 때'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50)과 경첩부(40)가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수직부(51-2)에는 경첩부 결합 브라켓(52)이 배치되고, 경첩부 결합 브라켓(52)에 경첩부(40)의 제 2 고정편(42)이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경첩부 결합 브라켓(52)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형 부재(51a)에 의해 정의되는 외곽 프레임(5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형 부재(5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양단부가 각각 선형 부재(5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수직부(51-3)는 선형 부재(51a)가 지지 프레임(50)의 외곽을 따라 끊어진 부분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짐으로써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수직부(51-3)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단부가 프레임 지지다리(60)의 상측에 걸쳐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50)이 프레임 지지다리(60)와 간소하고 쉽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다리(60)는 가동부(11)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되는 승강부(61)를 포함한다. 승강부(61)는 가동부(11)와 연동하여 승강 가능토록 유압이나 공압 등으로 작동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동 조작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승강부(61)는 지지부(62)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61)는 지지부(62) 내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6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다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2)의 하측에는 수납장 프레임(20)의 회동 동작에 따른 프레임 지지다리(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바퀴(63)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61)의 상측에 지지 프레임(5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 결합 브라켓(64)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 브라켓(64)은 상면에 지지 프레임(50)의 제 2 수직부(51-3)의 상단부가 걸쳐져서 안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안착부(64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납장(3)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3-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 1 개구부(3a)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 1 개구부(3a)를 통과하는 책상 다리(15), 가동부(11) 및 경첩부(40) 등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3-2)의 저면은 책상 다리(15)가 통과할 수 있게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수납장(3)은 본체부(3-1)의 타측에 프레임 지지다리(60)가 내측으로 수용되되, 프레임 지지다리(60)가 통과할 수 있게 저면이 개방된 형태의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경첩부(40)에 의한 책상 프레임(10)과 수납장 프레임(20)의 기구적 결합 부분, 프레임 지지다리(60) 등이 수납장(3)에 의해 은닉될 수 있어, 유닛화 이미지 및 심미감에 바람직하다.
1 ; 가구용 프레임 2 ; 책상
3 ; 수납장 10 ; 책상 프레임
11 ; 가동부 15 ; 책상 다리
20 ; 수납장 프레임 30 ; 프레임 연결부
31 ; 마운트부 33 ; 커버부
40 ; 경첩부 50 ; 지지 프레임
51 ; 외곽 프레임 52 ; 경첩부 결합 브라켓
60 ; 프레임 지지다리 61 ; 승강부
62 ; 지지부 64 ; 프레임 결합 브라켓

Claims (5)

  1.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승강되는 가동부를 갖는 책상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납장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결합되는 경첩부;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고, 일단이 상기 경첩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첩부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동부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갖는 프레임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수납장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가 통과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는 상기 책상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는 상기 경첩부와 결합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수납장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다리는,
    상측에 상기 승강부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장 프레임의 회동 동작에 따른 상기 프레임 지지다리의 이동을 위한 바퀴를 더 포함하는 수납장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부재를 갖는 외곽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측에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걸쳐지는 제 2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직부에 배치되고 상기 경첩부와 결합되는 경첩부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수납장 프레임.
  5.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승강되는 가동부를 갖는 책상 프레임; 및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어 수납장을 지지하는 수납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 프레임은,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부;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결합되는 경첩부;
    상기 수납장이 거치되고, 일단이 상기 경첩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첩부의 개방 각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동부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갖는 프레임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KR1020230101893A 2023-08-04 2023-08-04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KR10262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893A KR102625289B1 (ko) 2023-08-04 2023-08-04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893A KR102625289B1 (ko) 2023-08-04 2023-08-04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89B1 true KR102625289B1 (ko) 2024-01-16

Family

ID=8971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893A KR102625289B1 (ko) 2023-08-04 2023-08-04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8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2429U (ko) * 1987-03-27 1988-10-06
KR200380783Y1 (ko) * 2005-01-06 2005-04-07 안상균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책상
KR101696416B1 (ko) * 2016-08-12 2017-01-16 (주)캠퍼스라인 편측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101866934B1 (ko) 2017-08-09 2018-06-12 주식회사 다산퍼스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CN210842021U (zh) * 2019-09-07 2020-06-26 唐山九州顺安木业有限公司 组合安装的写字台和抽屉柜
KR20220028503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토탈시스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용이한 테이블
KR20230023526A (ko) * 2021-08-10 2023-02-17 최현철 전동 콘솔 데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2429U (ko) * 1987-03-27 1988-10-06
KR200380783Y1 (ko) * 2005-01-06 2005-04-07 안상균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책상
KR101696416B1 (ko) * 2016-08-12 2017-01-16 (주)캠퍼스라인 편측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101866934B1 (ko) 2017-08-09 2018-06-12 주식회사 다산퍼스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CN210842021U (zh) * 2019-09-07 2020-06-26 唐山九州顺安木业有限公司 组合安装的写字台和抽屉柜
KR20220028503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토탈시스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용이한 테이블
KR20230023526A (ko) * 2021-08-10 2023-02-17 최현철 전동 콘솔 데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714A (en) Continuously adjustable computer console table
CA2234062C (en) Adjustable shelf support assembly computer work station
US20080163422A1 (en) Structure for a Piece of Furniture Such as a Retractable Bed, with Retractable Legs
US20190059601A1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RU2718351C2 (ru) Стол с рабочими блоками, регулируемыми по высоте
US5375514A (en) Adjustable height table support mechanism
US4382641A (en) Sewing machine storage cabinet
KR100669365B1 (ko) 침대 겸용 책상
KR102625289B1 (ko) 수납장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WO2024061246A1 (zh) 一种升降桌
US20080060130A1 (en) Bedding assembly with two liftable beds
JPH08182543A (ja) 移動式収納家具
WO2011128058A1 (en) Pull-down bed assembly
US10973716B2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CN213849267U (zh) 一种无内框书桌桌架
KR102189004B1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JP2018126319A (ja) 天板昇降式什器
US20180192767A1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101517425B1 (ko) 모듈형 침대
CN220089191U (zh) 高度可调的挂帘结构及衣柜
US3837297A (en) Extension arrangement for glass top tables
KR200366388Y1 (ko) 상판이 절첩되는 책상
CN209003307U (zh) 一种沙发
JPS6031538Y2 (ja) 机の高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