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02B1 -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02B1
KR102363402B1 KR1020210155188A KR20210155188A KR102363402B1 KR 102363402 B1 KR102363402 B1 KR 102363402B1 KR 1020210155188 A KR1020210155188 A KR 1020210155188A KR 20210155188 A KR20210155188 A KR 20210155188A KR 102363402 B1 KR102363402 B1 KR 10236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y
pollen
oak
plant
poly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433A (ko
Inventor
정경용
박중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pre-existing immune complex or autoimmune disease, i.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rheumatoid factors or complement components C1-C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1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한국인에게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주로 지목되는 것 중 하나인 상수리나무의 주요 알레르겐을 정제하여,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은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알레르기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diagnosis of allergy to Fagales plant pollen, diagnosis methods us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lergy to Fagales plant pollen}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꽃가루로 발생되는 알레르기 질환에는 알레르기 결막염,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피부발진, 아나필락시스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꽃가루는 참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등의 나무 꽃가루와 환삼덩굴, 쑥, 돼지풀 등의 잡초꽃가루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날리는 소나무 꽃가루는 알레르기 유발성이 약한 반면, 두 번째로 많이 날리는 참나무 꽃가루는 알레르기 유발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4월말에서 5월 사이에 대량으로 검출되는 참나무 꽃가루는 봄철의 대표적인 꽃가루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피부시험을 한 결과 참나무는 14.36%가 양성반응을 보였고 소나무 14.27%, 자작나무 13.57%, 오리나무 13.39%, 너도밤나무와 뽕나무가 각각 10.04%, 느릅나무 8.81%의 순이었다.
꽃가루 알레르기에 대한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스테로이드, 비점막 수축제 등의 약물요법, 알레르기 항원을 최소량부터 시작하여 점차 농도를 올려가며 피하로 주사하거나 설하로 투여하는 면역요법,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적인 하비갑개의 비후에 대하여 부피감소를 유도하는 수술요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치료로 알레르기 질환이 완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현재 꽃가루에 대한 분자적 특성도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상술한 알레르기 진단 및 치료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으나(한국 등록특허 제10-1302483호), 아직 이를 해결하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신규한 병원성 관련 단백질을 제공한다.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신규한 병원성 관련 단백질-10 (pathogenesis related protein-10: PR-10)을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약 91% 이상, 약 92% 이상, 약 93% 이상, 약 94% 이상, 약 95% 이상, 약 96% 이상, 약 97% 이상, 약 98% 이상, 약 99% 이상, 약 99.9% 이상, 또는 100%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펩타이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들을 천연 아미노산 중합체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응하는 천연 아미노산의 인공적인 화학적 유사체인 아미노산 중합체들에 적용한다. 상기 용어들은 또한 단백질이 작용성으로 남아있도록 보존적인 아미노산 치환을 함유하는 상기 중합체들에 적용한다.
상기 "동일성"은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핵산 서열 간 또는 폴리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동일성의 퍼센트를 의미한다. 하나의 모이어티(moiety)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이어티까지의 서열간 동일성은 알려진 당해 분야의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에 의한 알고리즘 BLAST [참조: Karlin 및 Altschul, Pro. Natl. Acad. Sci. USA, 90, 5873(1993)]이나 Pearson에 의한 FASTA [참조: Methods Enzymol., 183, 63(1990)]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상기 "단편 (fragment)"은 폴리펩타이드 전체가 아니라 폴리펩타이드의 일부분으로서, 항체와 반응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면역원성 폴리펩타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참나무목 (Fagales)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참나무목 식물은 참나무과 (Fagaceae) 또는 자작나무과 (Betulaceae) 식물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참나무과 식물은, 참나무속 (Quercus), 예를 들면, 상수리나무 (Quercus accutisima), 갈참나무 (Q. aliena), 떡갈나무 (Q. dentata), 신갈나무 (Q. mongolica, Mongolian oak), 졸참나무 (Q. serrata), 굴참나무 (Q. variabilis) 등, 너도밤나무속 (Fagus), 예를 들면, 너도밤나무 (F. engleriana), 미국너도밤나무 (F. grandifolia) 등), 또는 밤나무속 (Castanea), 예를 들면, 밤나무 (C. crenata), 약밤나무 (C. bungeana) 등의 식물 등을 포함한다. 자작나무과 식물은 오리나무속 (Alnus), 예를 들면, 오리나무 (A. japonica), 물오리나무 (A. sibilica) 등, 자작나무속 (Betula), 예를 들면, 자작나무 (B. platyphylla var. japonica), 만주자작나무 (B. platyphylla), 박달나무 (B. schmidtii), 물박달나무 (B. davurica) 등, 개암나무속 (Corylus), 예를 들면, 병개암나무 (C. hallaisanensis), 개암나무 (C. heterophylla), 물개암나무 (C. sieboldiana var. manshurica) 등, 또는 서어나무속 (Carpinus) 식물, 예를 들면, 서어나무 (C. laxiflora), 까치박달 (C. cordata), 소사나무 (C. turczaninowii) 등을 포함한다. 상기 참나무목 식물은 한국에 자생하는 참나무목 식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병원성 관련 단백질 (pathogenesis related protein: PR)-10과 유사한 서열 구조 및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R"은 식물이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발현하는 단백질로서 방어반응을 유발하는 신호이며, Van Loon (1994)에 의해 11종류로 분류되었다가, 최근 그 종류가 차츰 늘어나고 있다. 상기 PR은 병원체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농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항균 활성, 스트레스 내성 활성, RNase 활성 등을 갖는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그 중 PR-10은 파슬리 (parsley), 완두, 감자, 대두, 아스파라거스 또는 고추 등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Bet v 1 관련 단백질 (Bet v 1-related proteins) 동족체, 리보뉴클레아제 (ribonucleases) 등이 상기 분류에 속한다.
상기 단백질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레르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레르겐 (allergen)"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항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알레르겐 물질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물질의 섭취 또는 접촉으로 인하여 생체 내에서 항체가 만들어지면, 같은 물질의 재섭취 또는 재접촉이 일어날 경우에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단백질을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참나무목 식물, 알레르겐 등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참나무목 식물로부터 직접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동물 세포를 이용하여 재조합적으로 제조되고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또는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재조합적으로 제조되고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추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추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은 재조합적으로 제조된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해, 친화성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기 위해, 추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은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은 2 내지 18개, 3 내지 12개, 4 내지 9개, 또는 6개 내지 8개의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10 내지 40개, 15 내지 30개, 18 내지 25, 또는 22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박테리아는 에스케리키아 (Escherichia) 속 미생물인 것일 수 있으며, 대장균 (E. coli)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을 박테리아에서 재조합적으로 제조 및 발현시키는 경우,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박테리아에 도입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코돈 최적화(codon optimization)한 후,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박테리아에 도입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코돈 최적화한 후,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대장균에 도입하여, 수득된 재조합 단백질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박테리아에 도입하는 것은 발현 카세트 (expression cassette) 형태로의 도입,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자체의 도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 전사 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 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발현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자체의 도입은 도입된 숙주 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박테리아는 형질도입된 박테리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박테리아의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선택되는 미생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양 방법은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 배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생물의 다양한 배양 방법이 예를 들면 Biochemical Engineering, James M. Lee,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이용 가능한 탄소원은, 포도당, 자당, 유당, 과당, 말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와 같은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와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소원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용 배지에 이용 가능한 질소원은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및 대두밀과 같은 유기 질소원 및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 질소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질소원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용 배지는 인의 공급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상응하는 소듐-함유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 등이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용 배지 또는 개별 성분은 배양액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인 알레르겐이므로,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IgE 항체와 상기 단백질 사이의 항원-항체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diagnosis)"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이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지는지 여부 또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질 가능성을 확인하거나 그를 예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 (antibody)"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을 의미한다. 상기 IgE 항체는 감작 항체로서, 알레르겐에 의해 생성되며, 형질세포에 의해 만들어지고, 비만세포 또는 호염기구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부착될 수 있다. IgE 항체는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과민증, 항원-항체 반응으로 생기는 특이적인 증상)를 일으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조성물, 참나무목 식물, 알레르기 진단 등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키트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트는 상기 단백질과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내의 IgE 항체 사이의 반응성을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면역분석 (immunoassay)용 키트이다.
상기 키트는 상기 단백질이 코팅된 고체 기질과,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내의 IgE 항체에 결합할 수 있고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지가 결합되어 있는 항-IgE 항체 및 기타 항원 (알레르겐)-항체 (IgE) 반응을 검출하는데 필요한 시약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기질은 탄화수소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 유리, 금속 또는 겔인 것일 수 있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지는, 화학 물질 (예를 들면, 비오틴 등), 효소 (예를 들면,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래디쉬 페옥시다아제 및 시토크롬 P450 등), 방사능 물질, 형광 물질 (예를 들면, 플루오레신 등), 발광 물질, 화학발광 물질 (chemiluminescent) 및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표지 및 표지 방법은 Ed Harlow and David Lane, Using Antibodies: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IgE 항체와 상기 단백질의 결합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조성물, 참나무목 식물, 알레르기 진단 등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개체"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지는지 여부 또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가질 가능성을 확인하거나 그를 예측하고자 하는 개체를 의미한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등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포유동물인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Homo sapiens)일 수 있다. 상기 인간은 한국인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면역분석 (항원-항체 반응)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면역분석 방법은 방사능 면역분석, 방사능 면역침전, 면역침전, 효소결합 면역 흡착분석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캡처-ELISA, 억제 또는 경쟁 분석, 샌드위치 분석, 유세포 분석 (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 및 면역친화성 정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면역분석의 방법은 Enzyme Immunoassay, E. T. Maggio, ed.,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80; Gaastra, W.,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1, Walker, J.M. ed., Humana Press, NJ, 1984; 및 Ed Harlow and David Lane, Using Antibodies: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법이 방사능 면역분석으로 실시되는 경우, 방사능 동위원소 (예를 들면, C14, I125, P32 및 S35 등)로 표지된 항체 (IgE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술한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지가 결합되어 있는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상기 방법이 ELISA로 실시되는 경우, (i) 동정한 상기 단백질을 고체 기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ⅱ)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를 코팅 처리된 상기 고체 기질에 첨가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ⅱ)의 결과물을 효소가 결합된 항-IgE 이차 항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차 항체에 결합된 효소는 발색 반응, 형광 반응, 발광 반응 또는 적외선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 루시퍼라아제 또는 시토크롬 P450을 포함한다. 상기 이차 항체에 결합된 효소로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기질로서 브로모클로로인돌일 포스페이트,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 나프톨-AS-B1-포스페이트 또는 증강된 화학형광 (enhanced chemifluorescence: ECF)와 같은 발색 반응 기질이 이용되고,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클로로나프톨, 아미노에틸카바졸, 디아미노벤지딘, D-루시페린, 루시게닌(비스-N-메틸아크리디늄 니트레이트), 레소루핀 벤질 에테르, 루미놀, 암플렉스레드 시약 (10-아세틸-3,7-디하이드록시페녹사진), p-페닐렌디아민-HCl 및 피로카테콜 (p-phenylenediamine-HCl and pyrocatechol: HYR), 테트라메틸벤지딘 (tetramethylbenzidine: TMB), 2,2'-아진-디[3-에틸벤조티아졸린 설포네이트] (2,2'-Azine-di[3-ethylbenzthiazoline sulfonate]: ABTS), o-페닐렌디아민, 나프톨/파이로닌, 글루코스 옥시다아제와 t-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 (t-nitroblue tetrazolium: t-NBT) 또는 m-펜나진 메토설포네이트 (m-phenazine methosulfate: m-PMS)과 같은 기질이 이용될 수 있다.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상대적인 위험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최종적인 효소의 활성 측정 또는 신호의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검출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내의 IgE가 상기 단백질과 결합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러한 정보를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단백질을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면역치료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면역치료 (allergen immunotherapy)"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을 소량부터 서서히 증량하여 일정 기간 동안 개체에 주사로 투여함으로써,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감수성 및 과민성을 저하시키는 치료법을 의미한다. 즉,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경감작 요법을 의미한다. 상기 면역치료는 피하 및/또는 설하에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면역치료는 저농도에서 시작하여 알레르겐의 양을 서서히 증가해 유지 용량에 이르게 하는 초기 치료 (initial therapy)와 이후 3 내지 5년간 지속하는 유지 치료 (maintenance therapy) 등 두 단계로 이루어진 것, 계절 직전에 1일 내지 1주 동안 고농도의 알레르겐을 투여하는 것, 또는 수년간 저농도로 알레르겐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면역치료를 통하여, 추후 알레르겐에 노출시에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증상의 발현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단백질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이므로, 이를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면역치료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 성분인, 상기 알레르겐을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표적 기관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 기관 특이적 항체 또는 기타 리간드를 상기 담체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국소, 비경구, 비내, 정맥내, 근육내, 피하, 안내, 경피 등의 투여를 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시 비내, 설하,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 주사,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돼지, 소, 말, 개, 고양이, 또는 실험 동물, 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토끼, 기니아피그, 또는 햄스터이다. 사용되는 조성물의 투여량은 다양한 파라미터, 특히 투여 방식 또는 치료 기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개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배설률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증상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 내지 100 ㎎/㎏, 약 0.001 내지 10 ㎎/㎏, 약 0.01 내지 10 ㎎/㎏, 약 0.01 내지 5 ㎎/㎏, 약 0.1 내지 5 ㎎/㎏, 약 0.1 내지 3 ㎎/㎏, 약 0.1 내지 1 ㎎/㎏, 약 0.5 내지 1 ㎎/㎏으로 하루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다른 신규한 병원성 관련 단백질은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진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한국인에게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주로 지목되는 것 중 하나인 상수리나무의 주요 알레르겐이므로, 상기 단백질을 이용하여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진단한 결과는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다. 또한, 상기 단백질을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천연 Que ac 1을 정제한 것이다.
도 2는 정제한 천연 Que ac 1 및 재조합 Que ac 1을 SDS-PAGE 한 것이다.
도 3은 정제된 천연 Que ac 1을 2D 겔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것으로 Que ac 1의 아형들을 나타낸다.
도 4a는 Que ac 1 서열의 다형성을 아미노산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1 번째 아미노산부터 99 또는 100 번째 아미노산까지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Que ac 1 서열의 다형성을 아미노산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100 또는 101 번째 아미노산부터 149 또는 150 번째 아미노산까지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Que ac 1의 아미노산 서열과 다른 식물에서 유래한 상동 알레르겐의 아미노산 동일성을 나타낸 결과이다(Que ac 1(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sawtooth oak 유래), Que m 1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Mongolian oak 유래), Que a 1 (백참나무, Quercus alba, white oak, EU283863 유래), Que s 1 (코르크참나무, Quercus suber, cork oak, JQ290115 유래), Que r 1 (루브라참나무, Quercus rubra, northern red oak, JQ290112 유래), Bet v 1.0101 (자작나무, Betula verrucosa, European white birch, Z80099 유래), Cas s 1 (유럽밤나무, Castanea sativa, European chestnut, FJ390843 유래), Fag s 1 (유럽너도밤나무, Fagus sylvatica, European beech, FJ390847 유래), The c 1 (카카오 나무, Theobroma cacao, cacao, XM_007035635 유래), Cor a 1 (개암나무, Corylus avellana, European hazelnut, CAA96549 유래), Mal d 1 (사과나무, Malus domestica, apple, CAA96535 유래), Pru av 1 (양벚나무, Prunus avium, sweet cherry, O24348 유래), Pru ar 1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Apricot, O50001 유래)).
도 6은 IgE 항체에 대한 반응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상수리나무 꽃가루 추출물 및 천연 Que ac 1(nQue ac 1), (B)는 상수리나무 꽃가루 추출물 및 재조합 Que ac 1(rQue ac 1), (C)는 천연 Que ac 1(nQue ac 1) 및 재조합 Que ac 1(rQue ac 1)을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상수리나무 꽃가루 추출물, 천연 Que ac 1(nQue ac 1), 및 재조합 Que ac 1(rQue ac 1)이 각각 IgE 항체를 억제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 Que ac 1 및 재조합 Que ac 1의 정제 및 분석
1-1.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 시료 수집
한국 서울 세브란스 병원의 알레르기-천식(Allergy-Asthma) 센터에 방문한 24 명의 환자로부터 혈청 시료를 수집하였다. 알레르기 진단은 환자 병력 및 피부 단자 검사(skin prick test)를 기초로 하였다. 백참나무에 대한 특정한 IgE 반응성을 ImmunoCAP 분석(Thermao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상기 연구는 본 기관의 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았다(4-2017-1197).
1-2. 꽃가루 알레르기 추출물 수집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에서 상수리나무로부터 꽃가루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꽃가루를 에틸 에테르로 탈지시키고, 4℃에서 48 시간 동안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물을 4℃에서 15 분 동안 13,000 g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멤브레인(컷오프(cutoff) 3,500 Da, Spectrum)을 이용해 증류수로 투석시키고, 시린지-필터(0.22 μm, Millipore, Bedford)로 여과하여 동결건조시켰다. 총 단백질 함량은 Bradford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1-3. 천연 Que ac 1의 정제
3 단계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천연 Que ac 1을 정제한 후 서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DEAE(Diethylaminoethyl cellulose: DEAE) Sepharose CL-6B(GE Healthcare Bioscience)를 사용한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10 mM Tri-HCl의 pH 8.0에서 수행하고, 단백질을 0.5 M NaCl 선형 구배로 용출시켰다. 이어서, 단백질을 5 mL 페닐세파로스(phenylsepharose) 컬럼(GE Healthcare Biosciences)을 사용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한 후, 상기 단백질을 100 mM Tris-HCl, pH 8.0, 1.5 M (NH4)2SO4의 조건으로 용출시켰다. 그 뒤, Sephadex G75 16/60 컬럼(GE Healthcare Biosciences)을 사용하여 pH 7.4의 PBS에서 겔 여과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제 단계 동안 17 kDa의 단백질을 SDS-PAGE로 모니터링 하였을 때,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 패턴에서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두 번째 피크에서 Que ac 1을 검출하였다.
1-4. 천연 Que ac 1의 서열 분석
서열 분석을 위해 상기 정제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0.45 μm, Millipore)으로 옮긴 후 한국 기초 과학 연구소(Korea Basic Science Institute)에서 Procise 491 HT 단백질 시퀀서(sequencer)(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에드만 분해(Edman degradation)시켰다.
그 결과, 상기 Que ac 1은 GVFTHESTSVIPPARLFK로 이루어진 서열이었으며, 하기 표 1과 같이 다형성을 나타내는 다중 아미노산 펩타이드임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의 "아미노산 번호"는 상기 펩타이드 Que ac 1의 N-말단으로부터의 아미노산 순서에 따른 번호를 나타내며, "변이 아미노산"은 Que ac 1의 아미노산이 다형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종류를 의미한다.
아미노산 번호 Que ac 1의 아미노산 변이 아미노산
1 Gly Asp
2 Val Glu, Pro, Ile
3 Phe Tyr, Ile
4 Thr Glu
5 His Val
6 Glu Lys
7 Ser Asn
8 Thr Ala
15 Arg Ala
1-5. Que ac 1의 아미노산 서열 분석
정제된 천연 Que ac 1을 대상으로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된 상기 천연 Que ac 1을 2-차원 겔 전기영동을 하였다. 11 개의 IPG 스트립(ReadyStrip IPG Strips, Protean IEF system; Bio-Rad)에서 pH 4에서 7로 고정화된 구배를 사용하여 등전점 전기영동(Isoelectric focusing)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15%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스팟(spot)의 확인을 위해 겔로부터 절제한 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결합된 전자분무 이온화-직렬 질량 분석(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및 에드만 분해를 수행하였다. ProteomeTech(Seoul)에서 직렬 질량 분석을 위한 겔 내 트립신 분해(In-gel tryptic digestion)를 수행하였고, 상기 한국 기초 과학 연구소에서 에드만 분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된 Que ac 1는 2-차원 겔에서 적어도 13 개 스팟으로 추가로 분리되었다. 이 중 12 개의 스팟은 직렬 질량 분석법에 의해 PR-10 분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6 개의 특정 스팟은 에드만 분해에 의해 PR-10 분자로 확인되었다.
스팟 진단 펩타이드 단백질 명 서열 커버리지(Sequence coverage) 마스코트 점수(Mascot score) 에드만 분해
1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54 GVITYESEDASVIXPAXLFX (서열번호 2)
K.SIEIVEGNGGPGTIKK.L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0% 27
2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65 GVITYESEDASVIPPARLFF(서열번호 3)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47
3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86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37
4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9% 46
5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0% 324 GVYTHESQETSVIPPAXLFX(서열번호 4)
6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0% 125
7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0% 100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48
8 K.LTFVEDGETK.Y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0% 52 GVITTESEDASVIPPAXLFX(서열번호 5)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51
9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115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41
10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231 GVYTXESQETXXIPXA (서열번호 6)
-.AFVLDADNLIPK.K Fra a 1 Fragaria ananassa 23
11 K.SIEIVEGNGGPGTIK.K Disease resistance response protein DRRG49-C Pisum sativum 263 GVYTHESQETSVIPPARLFF (서열번호 7)
K.LVASPDGGSIVK.T Pru ar 1 Prunus armeniaca 33
12 R.AVVVHADPDDLGK.G Superoxide dismutase Ananas comosus 65
13 K.TVVEVAGGGGGGGGGGGGGENAVR.Q Dynein alpha chain Chlamydomonas reinhardtii 17
상기 표 2의 에드만 분해 아미노산 서열 중 X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나타내며, 상기 표 2의 종은 각각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완두콩(Pisum sativum), 딸기(Fragaria ananassa), 파인애플(Ananas comosus)을 의미한다.
1-6. RNA 수준에서 Que ac 1의 다형성 분석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이용하여 RNA 수준에서 Que ac 1의 다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RT-PCR을 위해 TRIzol 시약(Invitrogen)을 사용하여 상수리나무 꽃가루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 10 μg의 총 RNA로 첫 번째 가닥 cDNA를 합성하였다. 이어서, Que ac 1을 코딩하는 c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로 증폭하기 위하여 ExTaq DNA polymerase(Takara)을 사용하였으며, 프라이머로는 천연 Que ac 1 및 동일성 알레르겐의 N-말단 서열을 기초로 하여 고안된 하기 표 3의 서열을 이용하였다. 하기 표 3의 서열 중 이탤릭체 서열은 방향성 있는 복제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3 회의 독립적인 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을 pET6xHN-N 벡터(Clonetech Laboratories, Inc. A Takara Bio Company)에 클로닝하고, DNA 서열을 BioFact(Daejeon)에서 양 방향으로 결정하였다. 총 242 개의 서열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3의 Y는 C 또는 T, W는 A 또는 T, M은 A 또는 C, R은 A 또는 G, S는 G 또는 C를 나타낸다.
뉴클레오티드 서열 서열번호
정방향 프라이머 5'- TAAggCCTCTgTCgACATgggTgTYWWCAMTYAYg-3' 8
역방향 프라이머 5'- CAgAATTCgCAAgCTTTTAgTTgTAgRSATCRgRg-3' 9
그 결과, 도 4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효소 연쇄반응 및 시퀀싱으로 인한 가능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두 번 반복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였다. 최소 3 개의 아형알레르겐(isoallergen)(1.0101, 10201, 10301)이 존재하고, 가장 우세한 아형(isoform)인 Que ac 1.0101(서열번호 1)은 GenBank에 수탁번호 MN201198로 기탁되었다. Que ac 1.0101은 동종 알레르겐에 대해 58.1% 내지 83.0%의 서열 동일성을 보였다. 또한, 도 4a 및 4b에 나타낸, Que ac 1의 다형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아형들은 Que ac 1.0101의 서열과 7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9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참나무목(Fagales)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자인 Bet v 1에 대하여 58.1%, Que a 1에 대하여 73.1%의 동일성을 공유하였다.
실시예 2. 각 알레르겐의 IgE 반응성 비교
상기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얻은 IgE 항체에 대한 각 알레르겐의 반응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Que ac 1의 주요 아형을 E. coli Rosetta-2 (DE3)(Novagen)에 형질도입하였다. 이어서, 1 mM 이소프로필-1-티오-β-갈락토피라노사이드(isopropyl-1-thio-β-galactopyranoside: IPTG)를 첨가하여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였다. Ni-NTA 수지(Qiagen)를 사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봉입체(inclusion body)로부터 정제하였다.
그 후, 효소결합 면역흡착 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IgE 반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를 100 μL/웰에서 2 μg/mL의 재조합 또는 천연 단백질로 플레이트를 4℃에서 밤새 코팅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blocking)한 후, 환자의 혈청(1:4)과 함께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비오틴화(biotinylated) 염소 항인간 IgE(1:1000)(Vector, Burlingame) 및 스트렙타비딘(1:1000)(Sigma-Aldrich)으로 컨쥬게이션된 호르스라디쉬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로 결합된(bound) IgE를 검출하였다. KPL SureBlueTM Microwell Peroxidase Substrate(1-성분)(Kirkegaard & Perry Laboratories, Gaithersburg)를 사용하여 색상을 발달시켰다. 0.5 M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은 참나무(oak) 알레르기 환자의 혈청에서 IgE 항체의 91.7%와 반응하였으며, 재조합 Que ac 1 및 천연 Que ac 1에 대한 IgE 반응성은 꽃가루 추출물에 대한 반응성과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Pearson 상관 계수 = 0.98 및 0.93), 천연 Que ac 1에 대한 IgE 반응성은 재조합 Que ac 1과 강력하게 상관관계가 있었다(Pearson 상관 계수 = 0.95)
실시예 3. 각 알레르겐의 IgE 억제 확인
상기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얻은 IgE에 대한 억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를 10 μg/mL의 꽃가루 추출물로 4℃에서 밤새 코팅하였다. 동시에, 환자의 혈청(1 : 4)을 4℃에서 밤새 다양한 농도의 알레르겐(allergen)과 함께 사전 배양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오틴화 염소 항인간 IgE(1 : 1000)로 결합된 IgE를 검출하였다. 억제 백분율을 (1-억제제가 있는 흡광도 / 억제제가 없는 흡광도)x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가 10 μg/mL인 경우 재조합 Que ac 1은 꽃가루 추출물에 대한 IgE 반응의 82.6%를 억제할 수 있었던 반면, 천연 Que ac 1은 92.8%를 억제할 수 있었고, 꽃가루 추출물은 95.5%를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재조합 Que ac 1은 참나무 알레르기에 대한 우수한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알레르기의 억제에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Compositions for diagnosis of allergy to Fagales plant pollen, diagnosis methods using the sam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lergy to Fagales plant pollen <130> PN142335 <160> 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9 <212> PRT <213> Quercus acutissima <400> 1 Met Gly Val Tyr Asn Tyr Glu Ser Gln Glu Thr Ser Val Ile Pro Pro 1 5 10 15 Ala Arg Leu Phe Lys Ala Phe Val Leu Asp Ser Asp Asn Leu Ile Ser 20 25 30 Lys Val Leu Pro His Ala Val Lys Ser Thr Glu Ile Ile Glu Gly Asn 35 40 45 Gly Gly Pro Gly Thr Ile Lys Lys Phe Thr Phe Gly Glu Ala Ser Lys 50 55 60 Val Lys Tyr Ala Lys His Arg Ile Asp Thr Leu Asp Pro Glu Asn Cys 65 70 75 80 Ser Tyr Ser Phe Ser Val Ile Glu Gly Glu Ala Leu Thr Asp Ile Ala 85 90 95 Ser Ile Ser Thr Glu Val Lys Phe Val Ala Ser Pro Asp Gly Gly Ser 100 105 110 Ile Met Lys Ser Thr Thr Lys Tyr Gln Thr Lys Gly Gly Phe Gln Leu 115 120 125 Lys Glu Glu Gln Ile Gln Ala Ala Val Glu Lys Gly Thr Gly Leu Phe 130 135 140 Lys Ala Val Glu Ala Tyr Leu Leu Ala His Pro Asp Leu Tyr Asn 145 150 155 <210> 2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unus armeniaca <400> 2 Gly Val Ile Thr Tyr Glu Ser Glu Asp Ala Ser Val Ile Xaa Pro Ala 1 5 10 15 Xaa Leu Phe Xaa 20 <210> 3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isum sativum <400> 3 Gly Val Ile Thr Tyr Glu Ser Glu Asp Ala Ser Val Ile Pro Pro Ala 1 5 10 15 Arg Leu Phe Phe 20 <210> 4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isum sativum <400> 4 Gly Val Tyr Thr His Glu Ser Gln Glu Thr Ser Val Ile Pro Pro Ala 1 5 10 15 Xaa Leu Phe Xaa 20 <210> 5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isum sativum <400> 5 Gly Val Ile Thr Thr Glu Ser Glu Asp Ala Ser Val Ile Pro Pro Ala 1 5 10 15 Xaa Leu Phe Xaa 20 <210> 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isum sativum <400> 6 Gly Val Tyr Thr Xaa Glu Ser Gln Glu Thr Xaa Xaa Ile Pro Xaa Ala 1 5 10 15 <210> 7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isum sativum <400> 7 Gly Val Tyr Thr His Glu Ser Gln Glu Thr Ser Val Ile Pro Pro Ala 1 5 10 15 Arg Leu Phe Phe 20 <210> 8 <211> 3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8 taaggcctct gtcgacatgg gtgtywwcam tyayg 35 <210> 9 <211> 3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9 cagaattcgc aagcttttag ttgtagrsat crgrg 35

Claims (10)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참나무목 (Fagales)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펩타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펩타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목 식물은 상수리나무 (Sawtooth oak)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5. 청구항 1의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목 식물은 상수리나무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1의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알레르기 환자로부터 분리된 IgE와 결합하는 것인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키트.
  9.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의 IgE 항체와 청구항 1의 폴리펩타이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폴리펩타이드를 검출하는 방법.
  10. 청구항 1의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210155188A 2019-09-19 2021-11-11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188A KR102363402B1 (ko) 2019-09-19 2021-11-11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85A KR20210033775A (ko) 2019-09-19 2019-09-19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55188A KR102363402B1 (ko) 2019-09-19 2021-11-11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85A Division KR20210033775A (ko) 2019-09-19 2019-09-19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33A KR20210141433A (ko) 2021-11-23
KR102363402B1 true KR102363402B1 (ko) 2022-02-15

Family

ID=752500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85A KR20210033775A (ko) 2019-09-19 2019-09-19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55188A KR102363402B1 (ko) 2019-09-19 2021-11-11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85A KR20210033775A (ko) 2019-09-19 2019-09-19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337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4674A1 (en) * 2021-08-13 2023-02-15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Methods and reagents for detecting an antibody to a ses ipr-10 allerg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75B1 (ko) * 2017-04-21 2018-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176092B1 (ko) * 2018-12-07 2020-11-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VOL.44, P.438_449, 2013
GENBANK: ABZ8104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33A (ko) 2021-11-23
KR20210033775A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5134A1 (en) Methods
EP1377604B1 (en) Methods and means for use of hla-dq restricted t-cell receptors and hla-dq-binding prolamine-derived peptides
HUE026699T2 (en) Peptides and their applications from the major allergen of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US20110268758A1 (en) Tuberculosis antigen detection assays and vaccines
KR102363402B1 (ko)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393408A1 (en) Allergy antigen and epitope thereof
KR101919575B1 (ko)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용 조성물,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 방법, 및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190300B1 (ko) 누에에 대한 알레르기 질환 진단용 조성물, 누에에 대한 알레르기 진단 방법, 및 누에에 대한 알레르기 질환 면역 치료용 조성물
Nigam et al.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protein disulfide isomerase family gene
Chiu et al. Secretome analysis of novel IgE‐binding proteins from Penicillium citrinum
KR102107056B1 (ko)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성 진단 방법, 및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EP2361634B1 (en) Proteins/peptides having immunogenic properties and their biological applications
WO2012105541A1 (ja) 新規ヒノキ花粉アレルゲン
JP4852738B2 (ja) スギ花粉由来の新規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タンパク質をコードする遺伝子並びにそれらの利用
JP2005503113A (ja) ブタクサアレルゲン
KR102406593B1 (ko) 참나무목 식물의 꽃가루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이를 포함한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A2480682C (en) Nucleic acid sequence and protein, and polypeptides encoding mannitol dehydrogenases or parts thereof,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diagnostics and therapy
KR20230166288A (ko) 화분증 진단용 조성물
KR102647737B1 (ko)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바이러스 유래 면역원성 폴리펩타이드 단편 및 이의 용도
Li et al.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llergenic activity of common fungus allergens
JP3755040B2 (ja) ポリヌクレオチド、ポリペプチド及び解糖系酵素の製造方法
CN116790560A (zh) 一种芒果果实的几丁质酶过敏原及其应用
US20160144020A1 (en) Johnson grass allergenic pollen proteins, encoding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JP2005052049A (ja) ソバアレルゲンのエピトープポリペプチド
WO2010070136A2 (en) Novel caviidae allergen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