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57B1 -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 Google Patents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057B1
KR102363057B1 KR1020207000074A KR20207000074A KR102363057B1 KR 102363057 B1 KR102363057 B1 KR 102363057B1 KR 1020207000074 A KR1020207000074 A KR 1020207000074A KR 20207000074 A KR20207000074 A KR 20207000074A KR 102363057 B1 KR102363057 B1 KR 10236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xhaust port
sheet
sub
mai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696A (ko
Inventor
원펑 천
시옌차오 멍
궈룽 량
Original Assignee
우후 메이디 키친 앤드 바스 어플라이언스이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643879.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83149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41317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980826A/zh
Application filed by 우후 메이디 키친 앤드 바스 어플라이언스이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후 메이디 키친 앤드 바스 어플라이언스이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0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23D14/583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of elongated shape, e.g. sl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45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 plurality of burner bars assembled together, e.g. in a grid-like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연소기(100)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에 있어서, 연소기(100)는 혼합 챔버(101)가 구획되어 있고, 기체 유입구(102), 메인 배기구 및 서브 배기구를 구비하는 버너(10)를 포함하고, 버너(10)는 제1 시트(11), 제1 시트(11)에 대향 배치되어 혼합 챔버(101)를 구획하는 제2 시트(12) 및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 사이에 장착되고, 메인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 중의 적어도 하나와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는 격판(1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본 출원은 온수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연소기는 가스 온수기의 중요한 부품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연소기의 수평식 이젝터 버너의 화염공은 통상적으로 4개의 스트립 홀을 한 조로 하여 가지런히 균일하게 배열된 스트립 형 화염공 구조를 적용하고, 연소기의 유로 구조의 사이즈 설계에 있어서, 일부 기체 유동의 저항력도 존재하기에, 상술한 구조는 연소기의 열 부하가 비교적 낮고, 화염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발명자가 이하의 사실 및 과제에 기초하여 발견하고 인식하여 제출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연소기의 화염공은 복수 조가 가지런히 균일하게 배열된 스트립 홀 구조를 적용한다. 복수조의 스트립 홀은 모두 연소기의 U형 시트에 형성되고, 혼합 챔버 내의 기체는 각 스트립 홀의 인접 측부의 홀부를 통해 유출 시, 일정한 저항력이 존재하여, 연소기의 열 부하가 비교적 낮고, 화염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등 문제를 초래하기 쉽다.
본 출원의 취지는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과제의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본 출원은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우수한 연소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술한 연소기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에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혼합 챔버가 구획되어 있고, 상기 혼합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유입구, 메인 배기구 및 서브 배기구를 구비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혼합 챔버를 구획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는 격판;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격판과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인 배기구의 일측에 위치한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여, 배기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서브 배기구는 혼합 챔버에 직접 연통되어, 열 부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스 온수기의 품질 및 사용 지표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조립 완성품의 사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당해 연소기의 배기구의 면적이 크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가 간편하고, 적응 성능이 강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일측과 상기 제1 시트를 통해 구획되는 제1 서브 배기구 및 상기 격판의 타측과 상기 제2 시트를 통해 구획되는 제2 서브 배기구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시트에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격판의 일측과 상기 혼합 챔버 및 상기 제1 서브 배기구에 연통되는 제1 기류 서브 통로를 구획하는 제1 압착 성형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시트에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 압착 성형재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격판의 타측과 상기 혼합 챔버 및 상기 제2 서브 배기구에 연통되는 제2 기류 서브 통로를 구획하는 제2 압착 성형재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제1 압착 성형재 및 상기 제2 압착 성형재는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배기구는 복수의 상기 제1 압착 성형재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 배기구는 복수의 상기 제2 압착 성형재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각 상기 제1 서브 배기구 및 상기 제2 서브 배기구는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압착 성형재 및 상기 제2 압착 성형재의 상단은 상기 격판을 초과하고,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 및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중부에 장착되고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는 복수의 제1 메인 배기구 및 상기 격판 양측에 2열로 분포되고 매열 중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는 복수의 제2 메인 배기구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각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상기 제2 메인 배기구는 각각 상기 격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하고, 각 상기 제2 메인 배기구의 길이가 각 상기 제1 메인 배기구의 길이보다 짧다.
선택 가능하게, 복수의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복수의 상기 제2 메인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를 나누어 교차 배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포되는 복수조의 분포를 이루고, 각 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메인 배기구가 포함된다.
추가로,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한 두 조의 상기 메인 배기구의 간격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서브 배기구의 간격 이상이고 각 조의 메인 배기구의 수량은 3 내지 8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가 등지는 일측의 양단에 각각 상기 격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격판의 최외단에 위치하는 한 조의 상기 메인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엔드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실시예의 가스 온수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연소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수기에 있어서, 메인 배기구 및 제1 시트 및/또는 제2 시트와 격판을 통해 구획되는 서브 배기구를 구비하는 연소기를 적용함으로써, 연소 화염이 안정적이고, 열 부하가 높으며, 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본 출원의 부가 측면 및 장점은 이하의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고 일부는 이하의 서술에서 명확하게 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본 출원의 상술한 측면 및/또는 추가되는 측면 및 장점이 더욱 명백해지고 이해가 용이해질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복수의 버너 조립 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하나의 버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B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주며, 여기서 시종일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서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의 서술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축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보여주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단지 본 출원을 서술하고 서술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설명하고자 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수기(미도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수기는 연소기(100)를 포함한다. 연소기(100)는 복수의 나란히 배치된 버너(10)를 포함하고, 버너(10)의 수량은 구체적으로 실제 응용에 따라 정할 수 있다.
각 버너(10) 내에 혼합 챔버(101)가 구획되어 있고, 버너(10)는 혼합 챔버(101)에 연통되는 기체 유입구(102), 메인 배기구 및 서브 배기구를 구비한다.
버너(10)는 제1 시트(11), 제2 시트(12) 및 격판(13)을 포함하고, 제2 시트(12) 및 제1 시트(11)는 대향 배치되어 혼합 챔버(101)를 구획한다. 격판(13)은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 사이에 장착되고 혼합 챔버(101)의 상부에 위치한다. 격판(13)의 전후 양측은 각각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에 대향하는 일측에 연결된다. 격판(13)에 메인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격판(13)은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 중의 적어도 하나와 서브 배기구를 구획한다. 예를 들어, 격판(13)은 오직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 중의 하나와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거나, 또는 격판(13)의 양측은 각각 대응되게 위치한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와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고, 이때 메인 배기구의 양측에 모두 서브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100)에 있어서, 격판(13)과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인 배기구의 일측에 위치한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여, 배기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서브 배기구는 직접 혼합 챔버(101)에 연통되어, 열 부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온수기의 품질 및 사용 지표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조립 완성품의 사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당해 연소기(100)의 배기구의 면적이 크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가 간편하고, 적응 성능이 강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수기에 있어서, 메인 배기구 및 제1 시트(11) 및/또는 제2 시트(12)와 격판(13)을 통해 구획되는 서브 배기구를 구비하는 연소기(100)를 적용함으로써, 연소 화염이 안정적이고, 열 부하가 높으며, 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100)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서브 배기구는 제1 서브 배기구(113) 및 제2 서브 배기구(123)를 포함하고, 격판(13)의 일측(도 3에 나타낸 전측)과 제1 시트(11)를 통해 제1 서브 배기구(113)를 구획하고, 격판(13)의 타측(도 3에 나타낸 후측)과 제2 시트(12)를 통해 제2 서브 배기구(123)를 구획한다. 이를 통해, 메인 배기구의 양측에 각각 서브 배기구를 증가시켜, 배기구의 면적을 더욱 늘이고, 열 부하를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시트(11)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제1 압착 성형재(11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압착 성형재(111) 및 격판(13)의 전측은 혼합 챔버(101) 및 제1 서브 배기구(113)에 연통되는 제1 기류 서브 통로(112)를 구획하고, 제1 기류 서브 통로(112)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 시트(12)에 외측으로 함몰되고 제1 압착 성형재(111)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착 성형재(1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압착 성형재(121) 및 격판(13)의 후측은 혼합 챔버(101) 및 제2 서브 배기구(123)에 연통되는 제2 기류 서브 통로(122)를 구획하며, 제2 기류 서브 통로(122)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외"는 도 3에 나타낸 격판(13)을 등지는 방향을 가리키고, 다시 말해서 격판(13)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키며, "수직 방향"은 도 3에 나타낸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제1 시트(11)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제1 압착 성형재(111)를 형성하고, 제2 시트(12)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제2 압착 성형재(121)를 형성함으로써, 격판(13)의 사이즈가 변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배기공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연소기(100)의 열 부하를 향상시키고,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와 격판(13)이 각각 구획한 서브 배기구는 대응되는 기류 통로를 통해 혼합 챔버(101)에 직접 연통되며, 기체는 혼합 챔버(101)에서 제1 기류 서브 통로(112) 및 제2 기류 서브 통로(122)로 유동 시, 안정적인 흐름을 실현함으로써, 기류 유동 저항력을 줄이고, 나아가서 가스 온수기의 품질 및 사용 지표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그 외, 뚤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에 대한 프레스 성형 제조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생산 원가가 낮다.
추가로, 제1 압착 성형재(111) 및 제2 압착 성형재(121)의 상단은 격판(13)을 초과하고 각각 그 높이 방향(도 3에 나타낸 상하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 및 격판(13)을 등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를 통해 화염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판(13)은 U형판 시그먼트(133), 상기 U형판 시그먼트(133)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수직판 시그먼트(131) 및 상기 U형판 시그먼트(133)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수직판 시그먼트(132)를 포함한다. U형판 시그먼트(133)는 제1 시트(11)와 제2 시트(12) 사이에 장착되고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에 연결된다.
U형판 시그먼트(133)의 전측 및 제1 시트(11)를 통해 제1 서브 배기구(113)를 구획하고, 제1 수직판 시그먼트(131) 및 제1 시트(11)를 통해 제1 기류 서브 통로(112)를 구획한다. U형판 시그먼트(133)의 후측 및 제2 시트(12)를 통해 제2 서브 배기구(123)를 구획하고, 제2 수직판 시그먼트(132) 및 제2 시트(12)를 통해 제2 기류 서브 통로(122)를 구획한다. 제2 수직판 시그먼트(132), 제1 수직판 시그먼트(131) 및 U형판 시그먼트(133)를 통해 메인 배기구, 서브 배기구 및 혼합 챔버(101)에 연통되는 기류메인 통로(134)를 구획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착 성형재(111)는 제1 시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를 포함하고, 제1 서브 배기구(113)는 복수의 제1 압착 성형재(111)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를 포함한다. 제2 압착 성형재(121)는 제2 시트(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를 포함하고, 제2 서브 배기구(123)는 복수의 제2 압착 성형재(121)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를 포함하며, 각 제1 서브 배기구(113) 및 제2 서브 배기구(123)는 각각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격판(13)의 전측에 복수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제1 서브 배기구(113)가 형성되어 있고, 격판(13)의 후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서브 배기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제1 서브 배기구(113) 및 복수의 제2 서브 배기구(123)의 위치는 일대일 대응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서브 배기구(113) 및 복수의 제2 서브 배기구(123)는 각각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어, 연소기(100)의 성능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배기구는 복수의 격판(13)의 중부에 장착된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복수의 두열로 분포되고 격판(13)의 양측에 인접한 제2 메인 배기구(135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메인 배기구(1351)는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된다. 매열의 복수의 제2 메인 배기구(1352)는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된다.
구체적으로, 각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제2 메인 배기구(1352)는 각각 격판(1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하고, 각 제2 메인 배기구(1352)의 길이는 각 제1 메인 배기구(1351)의 길이보다 짧다. 여기서 "폭 방향"은 도 4에 나타낸 격판(13)의 전후 방향을 가리키고, "길이 방향"은 도 4에 나타낸 격판(13)의 좌우 방향을 가리킨다.
선택 가능하게, 복수의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복수의 제2 메인 배기구(1352)는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를 나누어 교차 배치된다. 메인 배기구를 길이가 다른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제2 메인 배기구(1352)로 마련함으로써, 연소기(100)의 메인 배기구의 배포를 최적화함으로써, 연소기(100)의 화염 안정을 확보할 수 있고, 연소기(100)의 전체 성능을 개선하였다.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예시에 있어서, 메인 배기구는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포되는 복수조의 배치를 이루고, 각 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메인 배기구(1352)를 포함한다.
버너(10)의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출원에 따른 추가적인 예시에 있어서, 격판(13)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한 두 조의 메인 배기구의 간격(L1)은 인접한 두 개의 서브 배기구의 간격(L2) 이상이다. 각 조 중 메인 배기구의 수량은 3 내지 8이고 각조의 메인 배기구의 양측에 제1 서브 배기구(113) 및 제2 서브 배기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각 조에 2개의 제1 메인 배기구(1351) 및 4개의 제2 메인 배기구(1352)를 포함한다. 그 중, 2개의 제1 메인 배기구(1351)는 격판(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고 각 제1 메인 배기구(1351)의 중심선은 격판(13)의 중심선과 겹친다. 제1 메인 배기구(1351)의 좌측, 제1 메인 배기구(1351)의 우측에 모두 격판(13)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는 2개의 제2 메인 배기구(1352)를 포함하고, 2개의 제2 메인 배기구(1352)의 중심선은 제1 메인 배기구(1351)의 중심선의 전후 양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추가적인 예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가 등지는 일측의 양단(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의 외측의 좌우 양단)에 각각 격판(1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엔드 플레이트(114 또는 124)가 장착되어 있고, 각 엔드 플레이트(114 또는 124)는 격판(13)의 최외단에 위치하는 한 조의 메인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된다. 나머지 각 조의 메인 배기구의 양측에 각각 서브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114 또는 124)는 화염을 안정시키고, 화염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져, 인접한 두 개의 버너(10) 사이의 화염 전달에 편이하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6개의 버너(10)를 포함하고, 6개의 버너(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며, 각 버너(1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인접한 두 개의 버너(10)의 양단은 각자의 엔드 플레이트(114 또는 124)를 통해 연결되어, 연소기의 화염 안정을 확보하여, 인접한 두 개의 버너(10) 사이의 화염 전달에 편이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100)에 있어서, 중부에 위치한 U형판 시그먼트(133)와 제1 시트(11) 및 제2 시트(12)를 통해 U형판 시그먼트(133) 상의 각 조의 메인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여, 배기구의 총면적을 증가시키고, 혼합 기체 유동의 저항력을 줄임으로써, 열 부하, 연소기(100)의 성능 및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100)에 있어서, 가스 온수기의 기타 구성 및 조작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기지의 것이기에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을 참조한 서술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에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을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술한 용어의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적합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서술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의 원리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 변화, 수정, 대체 또는 변형을 진행할 수 있고, 본 출원의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 : 연소기 10 : 버너
101 : 혼합 챔버 102 : 기체 유입구
11 : 제1 시트 111 : 제1 압착 성형재
112 : 제1 기류 서브 통로 113 : 제1 서브 배기구
114, 124 : 엔드 플레이트 12 : 제2 시트
121 : 제2 압착 성형재 122 : 제2 기류 서브 통로
123 : 제2 서브 배기구 13 : 격판
131 : 제1 수직판 시그먼트 132 : 제2 수직판 시그먼트
133 : 수평판 시그먼트 134 : 기류메인 통로
1351 : 제1 메인 배기구 1352 : 제2 메인 배기구

Claims (12)

  1. 혼합 챔버가 구획되어 있고, 상기 혼합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유입구, 메인 배기구 및 서브 배기구를 구비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혼합 챔버를 구획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서브 배기구를 구획하는 격판; 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일측과 상기 제1 시트를 통해 구획되는 제1 서브 배기구 및 상기 격판의 타측과 상기 제2 시트를 통해 구획되는 제2 서브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에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격판의 일측과 상기 혼합 챔버 및 상기 제1 서브 배기구에 직접 연통되는 제1 기류 서브 통로를 구획하는 제1 압착 성형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시트에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 압착 성형재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격판의 타측과 상기 혼합 챔버 및 상기 제2 서브 배기구에 직접 연통되는 제2 기류 서브 통로를 구획하는 제2 압착 성형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기류 서브 통로 및 상기 제2 기류 서브 통로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성형재 및 상기 제2 압착 성형재는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배기구는 복수의 상기 제1 압착 성형재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 배기구는 복수의 상기 제2 압착 성형재의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각 상기 제1 서브 배기구 및 상기 제2 서브 배기구는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성형재 및 상기 제2 압착 성형재의 상단은 상기 격판을 초과하고,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 및 상기 격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중부에 장착되고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는 복수의 제1 메인 배기구; 및
    상기 격판 양측에 2열로 분포되고 매열 중 각각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되는 복수의 제2 메인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상기 제2 메인 배기구는 각각 상기 격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홀을 형성하고, 각 상기 제2 메인 배기구의 길이가 각 상기 제1 메인 배기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복수의 상기 제2 메인 배기구가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를 나누어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기구는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포되는 복수조의 분포를 이루고, 각 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메인 배기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메인 배기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길이 방향에서, 인접한 두 조의 상기 메인 배기구의 간격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서브 배기구의 간격 이상이고, 각 조의 메인 배기구의 수량은 3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가 등지는 일측의 양단에 각각 상기 격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격판의 최외단에 위치하는 한 조의 상기 메인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엔드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연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수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207000074A 2017-06-05 2018-06-05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KR10236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413171.0 2017-06-05
CN201720643879.0 2017-06-05
CN201720643879.0U CN206831497U (zh) 2017-06-05 2017-06-05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201710413171.0A CN108980826A (zh) 2017-06-05 2017-06-05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PCT/CN2018/089953 WO2018223957A1 (zh) 2017-06-05 2018-06-05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696A KR20200015696A (ko) 2020-02-12
KR102363057B1 true KR102363057B1 (ko) 2022-02-14

Family

ID=6456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074A KR102363057B1 (ko) 2017-06-05 2018-06-05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66243A1 (ko)
JP (1) JP7035091B2 (ko)
KR (1) KR102363057B1 (ko)
WO (1) WO2018223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1010A1 (en) 2020-02-10 2023-07-06 Exostemtech Co., Ltd. Exosome comprising photocleavable protein, and use thereof
CN214619543U (zh) * 2021-01-22 2021-11-05 佛山市顺德区裕安燃气具实业有限公司 一种低氮燃烧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93407U (zh) * 2015-05-11 2015-10-07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及燃气热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2270Y2 (ko) * 1976-11-11 1979-12-08
JPS5710629U (ko) * 1980-06-17 1982-01-20
JPH01277105A (ja) * 1988-04-27 1989-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騒音型バーナ
JP3561905B2 (ja) * 1998-12-25 2004-09-08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JP4807704B2 (ja) * 2007-05-16 2011-11-02 リンナイ株式会社 偏平ガスバーナ
CN202216250U (zh) * 2011-08-05 2012-05-09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高效浓淡燃烧器
CN203628655U (zh) * 2013-10-21 2014-06-04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稳焰燃烧器组件及热水器的燃烧器
CN203687036U (zh) * 2013-12-18 2014-07-02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燃气热水器的燃烧器及燃气热水器
JP6452146B2 (ja) * 2014-12-26 2019-01-16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CN204648246U (zh) * 2015-05-09 2015-09-16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热水器燃烧器的火排
CN205746828U (zh) * 2016-06-21 2016-11-30 甘国玉 一种新型节能火排
CN206831497U (zh) * 2017-06-05 2018-01-02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93407U (zh) * 2015-05-11 2015-10-07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及燃气热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6243A1 (en) 2020-05-28
JP7035091B2 (ja) 2022-03-14
KR20200015696A (ko) 2020-02-12
WO2018223957A1 (zh) 2018-12-13
JP2020522669A (ja)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057B1 (ko)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온수기
US10184658B2 (en) Combustion apparatus
KR102259833B1 (ko) Cvd-반응기용 가스 분배기
CN204693407U (zh) 燃烧器及燃气热水器
RU200413629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аривания топлива для установки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с реформером
JP2013118153A (ja) 電池モジュール
WO2016145745A1 (zh) 燃烧器
CN207686880U (zh) 一种带egr副腔的三缸发动机的进气歧管结构
KR102179739B1 (ko) 연료 전지용 유체 흐름 플레이트
US9777921B2 (en) Combustion plate
CN114593418A (zh)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100578134C (zh) 一种陶瓷蓄热体
JPWO2007077863A1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燃料電池
CN108006631B (zh)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205789933U (zh) 散热装置
CN210921532U (zh) 一种燃气灶具用金属蜂窝发热体
CN210921531U (zh) 一种燃气灶具用金属蜂窝发热体
CN206831497U (zh)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109681871B (zh) 燃烧器和具有其的热水器
CN210921533U (zh) 一种燃气灶具用金属蜂窝发热体
CN220310741U (zh) 流体喷射装置
CN205360635U (zh) 板式蒸发器的液体分配器
JPH0579786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216466889U (zh) 一种印刷用连续化风冷干燥装置
CN210926223U (zh) 一种双通道电池组空气冷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