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763B1 -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763B1
KR102362763B1 KR1020207013306A KR20207013306A KR102362763B1 KR 102362763 B1 KR102362763 B1 KR 102362763B1 KR 1020207013306 A KR1020207013306 A KR 1020207013306A KR 20207013306 A KR20207013306 A KR 20207013306A KR 102362763 B1 KR102362763 B1 KR 10236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rain
assembly
arrangement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514A (ko
Inventor
표트르 자스키비츠
로버트 필포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2 개의 물체들, 특히 결합된 열차 차량들(1, 3)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1, 3)을 포함하는 조립체(5)에 관한 것이다.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2 개의 물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기 위한 콤팩트한 다목적 시스템(47) 및 조립체(5)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연결 시스템(47)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의 일 단부(21, 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을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적응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조립체(5)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열차(1, 3)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의 일 단부(21, 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는 대응하는 열차 차량(1, 3)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7)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열차 차량(1, 3)을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Description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2 개의 물체들, 특히 결합된 열차 차량들(coupled train cars)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high-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2 개의 물체들, 특히 결합된 열차 차량들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는 시스템들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단지 예로서, 열차의 지붕 상에 또는 열차의 바닥 아래에 배열되고, 전력 시스템들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과 같은 열차의 전기 시스템들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한다. 알려진 고전압 연결 시스템들은 대형 고전압 옥외 지지 애자들(large high voltage outdoor post insulators)을 사용하거나 열차 차량들을 상호연결하는 케이블들이 장착되는 열차 차량들 상의 강성 고전압 종단들(terminations)을 사용한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몇 가지 단점들을 가질 수 있다. 첫째로,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많은 양의 공간을 차지한다. 지지 애자들/종단들은 열차의 구성요소들로부터 도체들을 분리하기에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또한, 그러한 시스템들은 종종 우발적인 접촉에 대해 보호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특히 지지 애자들/종단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은 2 개의 물체들, 특히 열차 차량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요구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콤팩트하고 조립 및/또는 설치가 용이하며,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 및 수명을 개선시키고, 최종적으로 전기 전도성 부품들과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들의 위험성들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입부에 언급된 바와 같은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의 경우, 상호연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connection arrangement)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cable holder arrangement)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적응된다는 점에서 상기 목적이 해결된다. 도입부에 언급된 바와 같은 조립체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열차 차량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는 대응하는 열차 차량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열차 차량을 향해 연장된다는 점에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가요성 케이블은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도록 2 개의 물체들, 특히 결합된 열차 차량들의 이동들을 추종할 수 있는 도체를 제공한다. 연결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이 열차, 특히 열차의 전기 시스템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을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이 적어도 특정 한계들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동성은 물체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들 동안에 가요성 케이블의 변형들을 상쇄시키는데 유익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체, 특히 열차 차량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요소에는, 가요성 케이블의 일 단부에 고정될 수 있는 카운터-연결 요소(counter-connection element)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는 함께 플러그 연결부(plug connection)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은 물체들, 특히 시스템이 설치될 열차 차량들 상에 의존할 수 있는 상이한 요건들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는 다목적 시스템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를 사용함으로써, 지지 애자들 또는 강성 고전압 케이블 종단들이 생략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콤팩트성이 개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추가 개선들이 설명된다. 추가 개선들은, 특정 개선의 특정 이점이 특정한 응용에 필요한지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과 관련된 개선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 직접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에는 적어도 2 개의 부싱들(bushings)을 포함하는 연결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싱들은 특히 가요성 케이블의 적어도 일 단부 상에 카운터-연결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연결 요소의 적어도 2 개의 부싱들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가 전체 U-자 형상을 갖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적어도 2 개의 부싱들은 U자의 레그들(legs)을 형성한다. 연결 요소의 다른 유익한 배열들은 2 개의 부싱들 사이에 90도 각도로, 또는 2 개의 부싱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지만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라인 배열(inline arrangement)로 배열된 2 개의 부싱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부싱은 카운터-연결 요소와의 플러그 연결을 위한 플러그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방향은 열차 차량의 지붕의 평면과 평행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는 T자의 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플러그 방향은 적어도 카운터-연결 요소 근처에서 케이블에 의해 규정된 케이블 방향에 기본적으로 수직이다.
2 개의 부싱들이 제공되는 단일 연결 요소에 의해 2 개 초과의 케이블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해, 카운터-연결 요소들은 상호연결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카운터-연결 요소들은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이 연결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카운터-연결 요소들은 차폐형의 분리 가능한 결합 커넥터(screened separable coupling connectors)일 수 있다.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그러한 연결 조립체는 연결 요소의 단일 부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조립체는 임의의 수의 부싱들이 제공되는 연결 요소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간단하고 콤팩트한 케이블 홀더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hold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는 가요성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케이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 방향에 수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수직 이동이 방지되지만 수평 이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부품들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유발되는 손상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케이블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sliding collar)를 포함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는 가요성 케이블 주위로 연장되는 부싱 또는 링(ring)의 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 홀더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칼라가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 내에서 이동하도록 케이블 상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의 영역에서 지붕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모판(wear-plate)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 적어도 하나의 마모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저마찰 플라스틱 재료, 특히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이에 의해, 용어 "경질(hard)"은 전형적인 고무 재료보다 적어도 경질인 재료를 지칭한다. 플라스틱 재료는 특히, 요소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일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 특히 경질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은 대응하는 요소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요소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는 의도하지 않은 접촉, 특히 손가락 또는 공구 또는 비행 물체에 의한 접촉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protection cover)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가요성 케이블들을 위한 관통 구멍들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는, 특히 2 개의 열차 차량들 사이에 고정되도록, 특히 열차 차량들 중 하나의 벽에 고정되도록 적응될 수 있거나, 또는 열차 차량의 지붕 상에 고정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고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중앙 가요성 도체와, 원주방향으로 가요성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 층과, 또한 접지 전위에 연결된 절연체 위의 전기 전도성 차폐 층(electrically conductive screen layer)과, 최종적으로 외부 보호 절연 재킷(outer protective insulating jacket)을 포함하며, 이러한 절연 방법은 고전압 케이블이 방전 없이 차체 및 다른 접지된 물체들과 밀접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경우에, 고전압 연결 배열체가 전기 방전의 발생 없이 차체 및 다른 접지된 물체들과 밀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접지된 전기 차폐 커버를 포함하는 절연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열차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을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용어 "열차 차량들(train cars)"은 승용차, 화물차, 기관차, 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다른 차량들을 지칭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물론, 그것은 일종의 열차를 함께 형성하는 트럭(truck) 및 트레일러(truck)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열차 차량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열차 차량들의 연결 배열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열차 차량들, 특히 열차 차량들의 고전압 전기 시스템들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할 수 있다.
연결 배열체들은 예를 들어, 열차 차량들의 지붕들 상에, 열차 차량들의 지붕 아래에 또는 열차 차량들의 바닥들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열차 차량 상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열차 차량 상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도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가요성 케이블이 양쪽 열차 차량들 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양쪽 케이블 홀더들을 통해 연장된다.
콤팩트한 배열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적어도 2 개의 연결 배열체들 사이의 영역에서,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기본적으로 수평 배열은 중력으로 인해 약간의 편차들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케이블의 외경의 약 1 내지 3 배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의 처짐(sagging)이 허용될 수 있다.
특히, 열차 차량들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를 구비하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립체에는,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된 플러그 방향들을 갖는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들(plug connectors)로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가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체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배열되고, 이에 의해 특히 지하철들 또는 이층 열차들(double-deck trains)에 유리할 수 있는 수직 공간을 절약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적어도 2 개의 연결 배열체들 사이의 영역에서, 곡선 경로를 따라 배열되며, 곡선 경로는 기본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곡선 경로는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가요적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평면을 따른 배열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전체 수평 배열들을 유지하는데 유리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수직방향으로, 시스템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곡선 경로는 가요성 케이블이 수평 방향에 수직으로 보아 전체 U-자 형상을 갖도록 가요성 케이블의 하나의 굴곡부(ben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선 경로는 가요성 케이블이 전체 S-자 형상을 갖도록 2 개의 굴곡부들을 포함하거나, 케이블이 2 개의 연결 배열체들을 향해 구부러진 레그들을 갖는 U자의 전체 형상을 갖도록 3 개의 굴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요성 케이블이 곡선 경로를 따라 배열될 때,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는 열차 차량들의 구동 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방향은 기본적으로 열차 차량들의 결합 방향, 다시 말해서, 열차 및 조립체의 길이방향과 동일하다.
다른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는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은 열차 차량들 각각의 지붕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배열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가 제공되어,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부터 연결 배열체를 보호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인접한 열차 차량들 사이에 적어도 2 개의 연결 배열체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배열체는 열차 차량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다. 특히, 각각의 연결 배열체는 대응하는 열차 차량들의 벽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양쪽 열차 차량들의 벽들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그러면, 연결 배열체들 각각에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배열체로부터 대응하는 열차 차량의 지붕까지 연장되는 가요성 케이블이 제공된다. 또한, 양쪽 연결 배열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 및 그 개선점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도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특정 응용들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언급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들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들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세부사항들을 도시하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 배열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서로 결합된 2 개의 열차 차량들(1 및 3)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열차 차량들(1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5)의 일부이다. 열차들(1 및 3)은 특히 열차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은 열차 차량들(1 및 3)의 지붕들(7 및 9) 상으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열차 차량들(1 및 3) 사이에는, 열차 차량들(1 및 3)의 적어도 일부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영역(11)이 형성된다. 열차 차량들(1 및 3)은 일반적으로 열차의 구동 방향과 동일하고 결과적으로 열차가 이동하는 트랙들의 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13)을 따라 서로 결합된다. 측방향(15)은 길이방향(13)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길이방향(13)과 측방향(15) 둘 모두는 도 1에서 해칭(hachure)으로만 표시된 수평면(35)과 평행하다. 수직방향(17)은 길이방향(13) 및 측방향(15)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도 1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시야 축(viewing axis)과 평행하다.
각 열차 차량(1 및 3)에는 연결 배열체(19)가 제공된다. 각각의 연결 배열체(19)는 가요성 케이블(25)의 단부들(21 및 23) 중 하나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연결 배열체(19)는 가요성 케이블(25)을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각각의 연결 배열체(19)는 연결 요소(27)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counter-connection element)(29)를 포함한다.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특히 차폐형의 분리 가능한 커넥터들일 수 있다. 연결 요소들(27)은 열차 차량들(1 및 3)의 지붕들(7 및 9) 상에 고정되는 반면,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가요성 케이블(25)의 대응하는 단부들(21 및 23)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연결 요소들(27)에는 연결 요소들(27)과 카운터-연결 요소(29)가 플러그 방식(pluggable manner)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카운터-연결 요소들(29)과 상보적으로 형성된 부싱들이 제공된다. 부싱들은 도 11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연결 요소(27)는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이 하나의 연결 요소(27)에 연결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을 제공한다. 부싱들의 플러그 방향들(31)은 제1 실시예에서 측방향(15)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T-자형 커넥터들로서 형성되고, 그 단부들(33)은 연결 요소들(27)의 부싱들과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가요성 케이블(25), 연결 요소들(27) 및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외부에 대해 절연되고, 접지 전위에 연결된 외부 전도성 층을 가지며, 그에 따라 이들 요소들 중 임의의 요소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임의의 고전압 전도성 부품들과의 접촉을 반드시 초래하지는 않는다. 연결 요소(27)와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부싱들 내의 암나사산들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들 또는 볼트들로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케이블(25)은 열차 차량(1)의 연결 배열체(19)로부터 다른 열차 차량(3)의 연결 배열체(19)까지 곡선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가요성 케이블(25)의 곡선 경로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13) 및 측방향(15)에 평행한 수평면(35)을 따라 연장된다. 곡선 경로는 가요성 케이블(25)이 열차 차량들(1 및 3)의 서로에 대한 이동들에 반응할 수 있게 한다. 열차 차량들(1 및 3)의 이동 시에, 예를 들어, 조립체(5)가 곡선 트랙들을 따라 이동될 때, 가요성 케이블(25)은 길이방향(13)을 따라 압축되거나 비압축된다. 그리고, 곡선 경로로 인해, 가요성 케이블(25)은 측방향(1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반응할 것이다.
적어도 측방향(15) 및 길이방향(13)을 따라 가요성 케이블(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조립체(5)에는, 또한 2 개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가 제공된다. 각각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에는, 대응하는 열차 차량(1 또는 3), 특히 지붕(7 또는 9)에 고정된 마모판(39), 및 마모판(39)의 영역에서 가요성 케이블(25)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칼라(41)가 제공된다. 가요성 케이블(25)은 수평면(35)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한 유지 부재들(81)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반면, 수직방향(17)으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이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25)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 칼라들(41)은 가요성 케이블(25)과 마모판들(39)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가요성 케이블(25)을 마찰력들로 인한 손상들로부터 보호한다. 유지 부재들(81) 각각에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81)를 통해 길이방향(13)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방향(13) 및 측방향(15)을 따라 공간을 개방하는 안내 개구(43)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칼라(41) 및/또는 마모판(39),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45),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
가요성 케이블(25)의 곡선 경로를 사전규정하기 위해, 각각의 열차 차량(1 및 3)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 및 대응하는 연결 배열체(19)는 측방향(15)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가요성 케이블(25), 연결 배열체(19) 및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을 형성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5) 및/또는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의 추가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이에 의해, 간결화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차이점들만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에는,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을 갖는 조립체(5)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는 연결 배열체(19)가 U-자형 부싱들을 구비하지 않고 인라인 배열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언급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7)을 연결하도록 적응된 각각의 연결 배열체(19)에는, 서로 평행하지만 반대 플러그 방향들(31)로 배열된 부싱들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적어도 연결 배열체들(19)의 바람직한 수평 배열을 허용한다.
도 3에는, 연결 배열체들(19)이 90° 연결부들을 형성하도록 적응된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 및 조립체(5)가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요소들(27)의 부싱들이 서로에 대해 90° 각도로 배열되기 때문에, 하나의 연결 배열체(19)의 플러그 방향들(31)은 서로 수직이다. 제3 실시예에서의 가요성 케이블(25)의 곡선 경로는 기본적으로 U자의 형상과 유사하다. 이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25)은 적어도, 그 단부들(21 및 23)에서 측방향(15)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4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연결 배열체들(19)이 4-방향 커넥터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연결 배열체들(19)은 4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을 연결하기 위한 4 개의 부싱들이 각각 제공되는 연결 요소들(27)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고, 2 개의 추가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다시 말해서, 각각의 연결 배열체(19)는 4-방향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제3 실시예의 2 개의 90° 배열들의 형상과 유사하다.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 및 조립체(5)의 제5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의 경우, 플러그 방향들(31)(도시되지 않음)이 수직방향(17)과 평행하도록, 연결 배열체(19)가 열차 차량들(1 및 3)의 지붕(7 및 9) 상에 수평 방식이 아니라 수직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연결 요소들(27)을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사용된다. 연결 요소들(27)에는 U-자 형상들이 제공되며, U자의 레그들은 열차 차량들(1 또는 3)의 대응하는 지붕(7 또는 9)으로부터 멀리 수직방향(17)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U-자형 부싱들이 제공되는 단일 연결 배열체(19)로 2 개 초과의 케이블들(25)을 상호연결하기 위해,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상호연결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요소들(27)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이 연결 조립체(30)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은 차폐형의 분리 가능한 결합 커넥터들일 수 있다.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에 의해 형성된 그러한 연결 조립체(30)는 연결 요소(27)의 단일 부싱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연결 배열체들(19) 각각에는, 각각의 연결 배열체(19)가 3 개의 케이블들(25)을 서로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되도록 하나의 연결 조립체(30)가 제공된다. 그러나, 4 개의 케이블들(25)이 서로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2 개의 연결 조립체들(30)을 각각의 연결 배열체(19)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조립체(30)는 조립체(5) 및 시스템(47)의 모든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을 갖는 조립체(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 도 7은 측방향(15)과 평행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은 2 개의 열차 차량들(1 및 3) 사이, 또는 다시 말해서 영역(11)에 배열되는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를 포함한다. 연결 배열체(19)의 연결 요소(27)는 연결 배열체(19)의 부싱들이 길이방향(13)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열차 차량(1)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27)는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29)는 연결 배열체(19)로부터 수직으로 열차 차량(1)의 지붕(7) 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케이블(25)과 연결된다. 제2 카운터-연결 요소(29)는 연결 배열체(19)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된 후에 반대측 열차 차량(3)의 지붕(9) 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케이블(25)에 연결된다. 상기 가요성 케이블(25)은 열차 차량(3)의 지붕(9) 상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를 통해 연장된다.
도 8에는,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을 갖는 조립체(5)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8 실시예는 연결 배열체(19)가 보호 커버(49) 내에 수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7 실시예와 상이하다. 보호 커버(49)는 바람직하게는, 카운터-연결 요소(29)가 연결 요소(27)에 연결된 경우에 연결 요소(27) 및 카운터-연결 요소(29)를 수용한다.
보호 커버(49)에는 보호 커버(49)의 벽(53)을 통해 가요성 케이블(25)을 공급하기 위한 관통 구멍들(51)이 제공될 수 있다. 관통 구멍들(51)을 통해 부스러기(debris) 또는 물이 보호 커버(49)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커버(49)에는, 또한 가요성 케이블들(25)을 둘러쌀 수 있고 관통 구멍들(51)의 영역에서 가요성 케이블들(25)과 벽(53) 사이의 갭(gap)을 폐쇄하는 밀봉 배열체(sealing arrangement)(54)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5)의 다른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시야 축은 측방향(15)과 평행하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2 개의 연결 배열체들(19)이 2 개의 열차 차량들(1 및 3) 사이의 영역(11)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이에 의해, 하나의 연결 배열체(19)가 열차 차량들(1 및 3) 각각 상에 배열된다.
양쪽 연결 배열체들(19)은 열차 차량들(1 및 3) 중 하나 상에 그 연결 요소(27)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17)을 따라 오프셋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배열체(19)에는 2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을 연결하기 위한 2 개의 부싱들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연결 배열체(19)에는, 그 연결 배열체(19)로부터 대응하는 열차 차량들(1 또는 3)의 지붕(7 또는 9) 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케이블(25)에 연결되는 카운터-연결 요소(29)가 제공된다.
열차를 따라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또는 다시 말해서, 2 개의 열차 차량들(1 및 3)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기 위해, 2 개의 연결 배열체들(19)은 각 단부 상에 카운터-연결 요소(29)가 제공된 가요성 케이블(25)을 통해 상호연결된다. 2 개의 열차 차량들(1 및 3)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양쪽 연결 배열체들(19)을 상호연결하는 가요성 케이블(25)만이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열차 차량들(1 및 3)의 지붕들(7 및 9)까지 직접 연장되는 다른 2 개의 가요성 케이블들(25)은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 배열체(37)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5)의 다른 실시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양쪽 연결 배열체들(19)을 상호연결하는 가요성 케이블(25)이 양쪽 열차 차량들(1 및 3) 사이의 U-자 형상을 따라 연장되도록, 2 개의 연결 배열체(19)가 길이방향(13)을 따라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이전에 논의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연결 요소들(27)이 도 11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에는, 도 5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의 연결 배열체들(19)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요소(27)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요소(27)에는 2 개의 부싱들(57)이 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기부(base)(55)가 제공된다. 각각의 부싱(57)이 기부(55)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카운터-연결 요소(29)(도시되지 않음)가 부싱들(57)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방향(31)을 규정한다.
기부(55)에는, 기부(55)를 통해 연장되고 열차 차량의 지붕 또는 벽과 같은 물체에 연결 요소(27)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착 개구들(59)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들(27)을 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장착 요소가 장착 개구(59)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 개구들(59)은 기부(55)를 통해 플러그 방향(31)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연결 요소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4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붕 상에 고정되면, 플러그 방향은 수직으로 연장될 것이다.
연결 요소(27)에는, 연결 요소(27) 내부의 전도성 요소(63)를 기본적으로 둘러싸는 절연 케이싱(insulating casing)(61)이 제공된다. 절연 케이싱(61) 내부에는, 카운터-연결 요소(29)의 전기 전도성 상대부들(counterparts)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도성 요소(63)가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싱들(57)은, 상기 요소들(29)이 연결 요소(27)의 부싱들(57)에 연결될 때 카운터-연결 요소들(29), 즉 대응하는 가요성 케이블들(25)을 서로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도록 적응된다.
도 12에는, 장착 개구들(59)이 기부(55)를 통해 플러그 방향(31)에 수직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연결 요소(27)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요소(27)가 열차의 지붕 상에 장착되면, 부싱들(57)의 플러그 방향(31)은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콤팩트한 배열을 허용한다.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 요소들(27)에 사용되는 전도성 요소(63)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전도성 요소(63)는 전기 전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주로 구리를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전도성 요소(63)는 U자의 전체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U-자 형상의 2 개의 레그들(65)이 하부 부분(67)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부 부분(67)은 레그들(65)의 길이방향들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레그들(65)의 자유 단부들(69)에는 레그들(65)의 길이방향들과 평행하게 레그들(65) 내로 연장되는 블라인드 구멍들(blind holes)(71)이 제공된다. 블라인드 구멍들(71)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전도성 요소(63)가 절연 케이싱(61) 내부에 배열되는 경우, 레그들(65)은 부싱들(57)의 일부이고, 하부 부분(67)은 연결 요소(27)의 기부(55)의 일부를 형성한다. 자유 단부들(69)의 일부들은 카운터-연결 요소(29)의 전도성 부분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 요소(27)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암나사산이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들(71)은 볼트 또는 나사로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연결 요소들(27)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 14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에 의해, 간결화를 위해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차이점들만이 상세하게 논의된다. 또한, 연결 요소들(27) 각각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전도성 요소(63)가 제공되지만, 부싱들의 상이한 배열로 인해 레그들의 방향들이 상이하고, 또한 상이한 양의 부싱들로 인해 레그들의 수가 상이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4에는, 예를 들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인라인 배열에 사용될 수 있는 연결 요소(27)가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부싱들(57)은, 평행한 방식으로, 그렇지만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로 배향된 플러그 방향(31)과 일치하여 서로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기부(55)는 양쪽 부싱들(57) 사이에 배열되고, 플러그 방향(3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장착 개구들(59)을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요소(27)의 실시예는 4 개의 카운터-연결 요소들(29)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는 4 개의 부싱들(57)이 제공된다. 부싱들(57)의 배열은 기본적으로 도 12 및 도 14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의 조합을 따른다. 결과적으로, 2 개의 부싱들(57)은 서로 나란히 기부(55)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반면, 2 개의 추가 부싱들(57)은 서로 평행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전술한 부싱(57)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인라인 배열을 형성한다. 기부(55)에는 부싱들(57)의 플러그 방향들(3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장착 개구들(59)이 제공된다. 그러한 실시예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시스템(47)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요소(27)의 실시예에는 90° 배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2 개의 부싱들(57)이 제공된다. 기부(55)에는, 기부(55)를 통해 부싱들(57)의 플러그 방향들(3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장착 개구들(59)이 제공된다. 연결 요소(27)의 이러한 실시예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시스템(47)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조립체(5) 및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47)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홀더 배열체(37)가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가요성 케이블(25) 상에 고정된 슬라이딩 칼라(41)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칼라(41)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25)은 슬라이딩 칼라(41)가 유지 부재(81) 내부에 배열되도록 유지 부재(81)의 안내 개구(43)를 통해 연장된다.
유지 부재(81)는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 개의 측벽들(73) 및 2 개의 측벽들(73)을 상호연결하는 상부벽(75)에 의해 형성된 케이지형 또는 프레임형 구조를 제공한다. 마모판(39)은 배열체(37)의 하부벽(77)을 형성한다. 측벽들(73), 마모판(39) 및 상부벽(75)은 터널형 안내 개구(43)를 둘러싼다.
벽들(73 및 75)과 마모판(39)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칼라(41)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부벽(75)과 마모판(39)의 상부 사이의 거리(79)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칼라(41)의 직경보다 크다.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상부벽(75)과 평행하지만 그에 수직하지는 않는 가요성 케이블(25)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25)은 케이블 홀더 배열체(37)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1 : 열차 차량
3 : 열차 차량
5 : 조립체
7 : 지붕
9 : 지붕
11 : 영역
13 : 길이방향
15 : 측방향
17 : 수직방향
19 : 연결 배열체
21 : 단부
23 : 단부
25 : 가요성 케이블
27 : 연결 요소
29 : 카운터-연결 요소
30 : 연결 조립체
31 : 플러그 방향
33 : 단부
35 : 수평면
37 : 케이블 홀더 배열체
39 : 마모판
41 : 슬라이딩 칼라
43 : 안내 개구
45 : 플라스틱 재료
47 :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49 : 보호 커버
51 : 관통 구멍
53 : 벽
54 : 밀봉 배열체
55 : 기부
57 : 부싱
59 : 장착 개구
61 : 절연 케이싱
63 : 전도성 요소
65 : 레그
67 : 하부 부분
69 : 자유 단부
71 : 블라인드 구멍
73 : 측벽
75 : 상부벽
77 : 하부벽
79 : 거리
81 : 유지 부재

Claims (15)

  1.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1, 3)을 포함하는 조립체(5)로서,
    적어도 하나의 열차 차량(1, 3)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의 일 단부(21, 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는 대응하는 열차 차량(1, 3)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열차 차량(1, 3)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열차 차량들(1, 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을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개구(4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holding member)(81)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81)는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 개의 측벽들(73) 및 2 개의 측벽들(73)을 상호연결하는 상부벽(75)에 의해 형성된 케이지형 또는 프레임형 구조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25)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sliding collar)(4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칼라(4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81) 내부에 배열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칼라(4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유지 부재(81)의 안내 개구(43)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칼라(4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수직 이동이 방지되지만 수평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81)에 의해 유지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2.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열차 차량(1, 3)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가 제공되며, 상기 열차 차량들(1, 3)의 연결 배열체들(1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적어도, 적어도 2 개의 연결 배열체들(19) 사이의 영역(11)에서,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열체들(19) 중 적어도 하나는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된 플러그 방향(plug direction)(31)을 갖는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들(plug connectors)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7)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연결 요소(counter-connection element)(29)를 포함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25)은 적어도, 적어도 2 개의 연결 배열체들(19) 사이의 영역(11)에서, 곡선 경로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곡선 경로는 수평면(35)을 따라 연장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는 구동 방향에 수직인 측방향(15)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1, 3) 사이에 배열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4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판(wear plate)(39)을 포함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홀더 배열체(37)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2 개의 측벽들(73), 상기 2 개의 측벽들(73)을 상호연결하는 상부벽(75), 상기 상부벽(75)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2 개의 측벽들(73)을 상호연결하는 바닥 벽(77)을 포함하고,
     상기 마모판(39)은 상기 케이블 홀더 배열체(37)의 바닥벽(77)을 형성하고, 상기 마모판(39) 및 상부벽(75)은 터널 모양의 안내 개구(43)를 둘러싸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10.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81)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칼라(41)는 플라스틱 재료(45)로 제조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모판(39)은 플라스틱 재료(45)로 제조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12.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열체(19)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49)를 더 포함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13.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1, 3)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유지 배열체(37)가 제공되는,
    서로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열차 차량들을 포함하는 조립체(5).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13306A 2017-10-13 2018-10-09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KR10236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6391.1 2017-10-13
EP17196391.1A EP3470296B1 (en) 2017-10-13 2017-10-13 High 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
PCT/EP2018/077409 WO2019072806A1 (en) 2017-10-13 2018-10-09 HIGH 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514A KR20200060514A (ko) 2020-05-29
KR102362763B1 true KR102362763B1 (ko) 2022-02-14

Family

ID=601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306A KR102362763B1 (ko) 2017-10-13 2018-10-09 고전압 상호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8687B2 (ko)
EP (1) EP3470296B1 (ko)
JP (2) JP2020536787A (ko)
KR (1) KR102362763B1 (ko)
CN (1) CN111201175A (ko)
WO (1) WO2019072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0296B1 (en) * 2017-10-13 2021-09-01 Tyco Electronics UK Ltd High 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
DE102020108458A1 (de) * 2020-03-27 2021-09-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chleistungssteckverbindersystem
DE102021113556A1 (de) 2021-05-26 2022-12-01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Energieversorgungssystem für elektrische Verbraucherverbun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285A (en) 1992-02-24 1993-06-01 Gunderson, Inc. Freight car with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EP2665147A1 (en) 2011-01-14 2013-11-2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High-pressure equipment system for rolling stock, and rolling stock
CN104608776A (zh) * 2015-01-27 2015-05-13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动车组的电缆过桥安装结构
WO2016119509A1 (zh) 2015-01-27 2016-08-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动车组的电缆过桥安装结构
WO2016150852A1 (de) 2015-03-23 2016-09-29 Siemens Ag Österreich Kabelführung für wagenübergangsleitung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684A (en) * 1902-10-03 1904-06-14 Gen Electric Connector.
US4017136A (en) * 1975-08-25 1977-04-12 Power Parts Company Permanent tri-headed jumper cable for locomotives
JP3229024B2 (ja) 1992-07-29 2001-11-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3次元位置標定装置
JP2602968Y2 (ja) * 1992-12-18 2000-02-07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車両のケーブル支持装置
JP3237425B2 (ja) * 1994-12-20 2001-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US7014493B1 (en) * 2003-07-10 2006-03-21 Battard Derek J Retaining socket for electrical outlets
US7485808B2 (en) * 2005-04-28 2009-02-03 Airbus Deutschland Gmbh Holder for attaching electrical line bundles and pipes etc. to carriers and boards
US20090260823A1 (en) * 2008-04-18 2009-10-22 Robert George Prince-Wright Mines and tunnels for use in treating subsurface hydrocarbon containing formations
EP3470296B1 (en) * 2017-10-13 2021-09-01 Tyco Electronics UK Ltd High 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285A (en) 1992-02-24 1993-06-01 Gunderson, Inc. Freight car with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EP2665147A1 (en) 2011-01-14 2013-11-2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High-pressure equipment system for rolling stock, and rolling stock
CN104608776A (zh) * 2015-01-27 2015-05-13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动车组的电缆过桥安装结构
WO2016119509A1 (zh) 2015-01-27 2016-08-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动车组的电缆过桥安装结构
WO2016150852A1 (de) 2015-03-23 2016-09-29 Siemens Ag Österreich Kabelführung für wagenübergangslei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0296A1 (en) 2019-04-17
JP7351891B2 (ja) 2023-09-27
CN111201175A (zh) 2020-05-26
EP3470296B1 (en) 2021-09-01
JP2022033999A (ja) 2022-03-02
KR20200060514A (ko) 2020-05-29
WO2019072806A1 (en) 2019-04-18
US11148687B2 (en) 2021-10-19
US20200239045A1 (en) 2020-07-30
JP2020536787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1891B2 (ja) 高圧相互接続システム
CN108202678B (zh) 线束
US11527855B2 (en) Integrated multipole connector
KR101860224B1 (ko) 전자기 차폐형 커넥터 시스템
US10131293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US10211564B2 (en) Connector-mounting structure and terminal stage
CN109638744B (zh) 高压电气接线盒
US9318826B2 (en) Connector structure
KR101794780B1 (ko) 철도 차량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20190173245A1 (en) Busway Stab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992080B2 (en) High-current connector comprising an insulating bush
CN113745894B (zh) 电连接总成及浮动式连接器
CN101375477A (zh) 用于电气装置的电流导体,特别是用于中电压电气设备的汇流条导体
CN110235326B (zh) 壳体元件、电线路装置和其制造方法
US1166462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with electric wires including the connector
US20170005432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CN105576591B (zh) 导电路径连接部件
CN102484019B (zh) 开关设备
KR200409092Y1 (ko) 변압기용 엘보우 소켓
KR101348159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RU2504058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электрическое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ысоковольт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US20230198208A1 (en) Shield connector
CN114421349B (zh) Gis母线连接装置及gis
CN102782972A (zh) 气体绝缘的、金属包覆的、单相或多相的开关设备
EP2876756A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