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59B1 - 고전압 차폐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차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59B1
KR101348159B1 KR1020120110071A KR20120110071A KR101348159B1 KR 101348159 B1 KR101348159 B1 KR 101348159B1 KR 1020120110071 A KR1020120110071 A KR 1020120110071A KR 20120110071 A KR20120110071 A KR 20120110071A KR 101348159 B1 KR101348159 B1 KR 10134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ing harness
high voltage
connect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윤
홍승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1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와이어링 하네스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차폐부재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단부가 장착되는 후방벽이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상기 후방벽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도록 복수의 외벽스프링이 형성된 확관부; 상기 확관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방수씰(seal);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전기적으로 결속시키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고전압 커넥터를 차폐하기 위하여 차폐 장치 사이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차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차폐 커넥터{HIGH VOLTAGE SHIELDED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효과를 증대시키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신호 및 전원 경로를 장치의 구성으로부터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경로는 차폐되어 전기적 간섭(electrical interference)이 경로로부터 방사되거나 경로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경로로부터 방사된 간섭은 고전압을 전달하는 경로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원 경로와 신호 경로 간의 간섭은 전원 경로와 신호 경로가 물리적으로 매우 근접한 제품들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로에 차폐를 마련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폐는 고전압 커넥터로부터 누출된 간섭을 방지하거나 간섭이 저전압 신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은 고전압에서 작동하는 구성 중에서 고전압 경로를 요구하는 커넥터가 다수 장착되어 있으며, 고전압 경로와 커넥터에서 전송되는 전원은 저전압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전원과 서로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전압 시스템과 저전압 시스템이 서로 인접하게 마련되면 전기적 간섭에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를 보호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전압 차폐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고전압 차폐 커넥터는 와이어링 하네스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차폐부재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단부가 장착되는 후방벽이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상기 후방벽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도록 복수의 외벽스프링이 형성된 확관부; 상기 확관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방수씰(seal);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전기적으로 결속시키는 터미널; 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고전압 커넥터를 차폐하기 위하여 차폐 장치 사이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차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와 접촉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에 확관부를 장착하여 차폐부재와 와이어링 하네스의 접촉성을 향상시켜 커넥터의 차폐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차폐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차폐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벽스프링의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고전압 차폐 커넥터(10)는 와이어링 하네스(100)와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되고, 내부에 차폐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단부가 장착되는 후방벽(242)이 형성된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에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됨에 따라 커넥터(10)의 전기 간섭을 방지하여 고전압신호와 저전압 신호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차폐 커넥터(10)의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와이어링 하우징(200)은 확관부(140), 방수씰(160) 및 터미널(180)을 포함한다.
상기 확관부(140)는 후방벽(242)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도록 복수의 외벽스프링(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벽스프링(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확관부(1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패턴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스프링(120)은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에 장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위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커넥터(10)에서의 전기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수씰(160)은 커넥터(10)의 외부에서 수분이 커넥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방수씰(160)은 후술한 하우징(200)의 내부하우징(260)과 면접하도록 장착되어 보다 완전하게 커넥터(1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80)은 하우징(200)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 내에 상기 장착되면, 하우징(200)과 와이어링 하네스(100)를 전기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180)은 전기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끝 단에 위치하여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묶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확관부(140)는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방수씰(16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체결되는 와이어체결단(142)과 와이어체결단(142)에서 연장 형성되고, 외벽스프링(120)이 형성된 하우징장착단(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체결단(142)은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 또는 와이어링 하네스(100)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 및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와이어체결단(142)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체결단(142)의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단(144)은 와이어체결단(1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체결단(142)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하우징장착단(144)은 하우징(200)의 후방벽(24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하우징(200)의 후방벽(242)이 와이어체결단(142)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장착단(144)의 너비가 와이어체결단(14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장착단(144)은 상기 하우징(200)의 후방벽(24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되는 하우징(200)은 내부에 차폐부재(240)가 마련되며 하우징장착단(144)이 후방벽(242)에 장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케이스(222)가 형성된 외부하우징(220)과 차폐부재(240) 내에 마련되는 내부하우징(260)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하우징(220)은 차폐부재(240)를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너비 및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폐가 불가능하도록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외부하우징(220)의 연장케이스(222)는 하우징(200)에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될 때,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확관부(140)가 연장케이스(222) 내로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넥터(10) 외부의 수분이 커넥터(10)로 흐르는 동선을 최대화하여 수분이 흐르는 도중 증발하여 커넥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240)는 외부스프링(120)과 면접하기 위하여 하우징(200) 내부에서 외부스프링(1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 후방벽(242)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벽(242)는 외부스프링(120)과 면접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커넥터(10)에 전기가 공급될 때 고전압의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240)는 고전압의 신호를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는 도전성 물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부하우징(260)은 차폐부재(240)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방수씰(160)과 면접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하우징(260)은 차폐부재(240)를 하우징(200) 내에 고정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방수씰(160)과 면접하여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에 장착되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전압 차폐 커넥터(10)의 하우징(200)에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 내부를 따라 유입된다.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 내부에 유입될 때, 방수씰(160)은 내부하우징(260)과 면접하며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 내부에 충분히 유입되면,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외벽스프링(120)이 하우징(200)의 후방벽(242)에 걸림된다. 이때, 외벽스프링(120)이 후방벽(242)에 걸림될 때 터미널(180)이 하우징(200) 내부의 터미널 락킹부(미도시)에 장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외벽스프링(120)이 하우징(200)의 후방벽(242)에 걸림되면서 하우징(200)에 추가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형상을 변경할 필요 없이 와이어링 하네스(100)와 장착되어 고전압의 신호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외벽스프링(12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4를 참고하면, 외벽스프링(120a)은 와이어체결단(142)과 인접한 하우징장착단(144)의 상단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되 하우징장착단(144)의 하단과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벽스프링(120a)은 아치형으로 하우징장착단(144)의 외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에 장착될 때, 후방벽(242)에 의해 눌림 압착되어 후방벽(242)과 하우징장착단(144)이 억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링 하네스(100)와 하우징(200)의 결속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커넥터(10)의 차폐성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5를 참고하면, 외벽스프링(120b)은 와이어체결단(142)과 인접한 하우징장착단(144)의 상단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되 하우징장착단(144)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벽스프링(120b)은 하우징장착단(144)이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끝 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장착단(144)이 후방벽(242)에 장착되면, 장착 반대 방향으로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역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링 하네스(100)와 하우징(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외벽스프링(120c)은 볼(Ball)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벽스프링(120c)이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00) 내벽에 걸림되어 하우징(200)과 확관부(140)와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외벽스프링(120c)는 확관부(14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성의 성질이 포함된 재질로 형성되어 외벽스프링(120c)가 탄성 변형되면서 확관부(140)가 하우징(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벽스프링(120c)이 탄성 변형되면 확관부(140)가 하우징(200)에 끼움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확관부(140)과 하우징(200) 내벽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보다 견고하게 와이어링 하네스(100)가 하우징(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10)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100)에 외벽스프링(120b)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200)과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체결력을 높여 커넥터(10)의 차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고전압 차폐 커넥터 100: 와이어링 하네스
120, 120a, 120b, 120c: 외벽스프링 140: 확관부
142: 와이어체결단 144: 하우징장착단
160: 방수씰 180: 터미널
200: 하우징 222: 연장케이스
240: 차폐부재 242: 후방벽
260: 내부하우징

Claims (6)

  1. 와이어링 하네스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차폐부재 및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단부가 장착되는 후방벽이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상기 후방벽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도록 복수의 외벽스프링이 형성된 확관부;
    상기 확관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방수씰(seal);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전기적으로 결속시키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확관부는,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체결되는 와이어체결단; 및
    상기 와이어체결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스프링이 형성된 하우징장착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스프링은,
    상기 와이어체결단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장착단의 상단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장착단의 하단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스프링은,
    상기 와이어체결단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장착단의 상단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장착단의 하단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
  5.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차폐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장착단이 상기 후방벽에 장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케이스가 형성된 외부하우징; 및
    상기 차폐부재 내에 마련되는 내부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차폐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되되 상기 방수씰과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1020120110071A 2012-10-04 2012-10-04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10134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071A KR101348159B1 (ko) 2012-10-04 2012-10-04 고전압 차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071A KR101348159B1 (ko) 2012-10-04 2012-10-04 고전압 차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159B1 true KR101348159B1 (ko) 2014-01-07

Family

ID=5014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071A KR101348159B1 (ko) 2012-10-04 2012-10-04 고전압 차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9608A (ja) * 2004-03-12 2005-09-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への電線接続構造
KR100733849B1 (ko) * 2006-06-16 2007-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암단자
JP2011014422A (ja) * 2009-07-03 2011-01-20 Yazaki Corp 端子及び該端子を有するコネクタ
JP5029505B2 (ja) * 2008-06-16 2012-09-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部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9608A (ja) * 2004-03-12 2005-09-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への電線接続構造
KR100733849B1 (ko) * 2006-06-16 2007-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암단자
JP5029505B2 (ja) * 2008-06-16 2012-09-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部の防水構造
JP2011014422A (ja) * 2009-07-03 2011-01-20 Yazaki Corp 端子及び該端子を有する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4730B (zh) 电磁屏蔽的连接器系统
JP6517615B2 (ja) 電気コネクタ
US8298016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with with spring arms in lengthwise and crosswise directions
US8096834B2 (en)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conduction mechanism
JP2015531538A (ja) 電気コネクタ
US10128621B2 (en) Cable connector
JP7351891B2 (ja) 高圧相互接続システム
KR101348158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US8535094B2 (en) Elastic membe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CN109038114B (zh) 屏蔽罩和屏蔽连接器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KR102270012B1 (ko) 일괄차폐 커넥터
US10340639B2 (en) Shield shell and shielded connector
JP2005026110A (ja) 導電路
KR101348159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JP5684882B2 (ja) 自動車分野において高圧電流を伝送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101407933B1 (ko) 차폐 커넥터
CN110235326B (zh) 壳体元件、电线路装置和其制造方法
KR102492966B1 (ko) 고전압 커넥터용 리어 홀더
KR20040101013A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RU2764584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US201602851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tubular casing system
EP3111514B1 (en) Improved device for the ground connection of coaxial cables
US20030034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nal grounding of plastic backshell connectors
CN112956086A (zh) 用于高数据速率的插拔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