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225B1 -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225B1
KR102362225B1 KR1020210114756A KR20210114756A KR102362225B1 KR 102362225 B1 KR102362225 B1 KR 102362225B1 KR 1020210114756 A KR1020210114756 A KR 1020210114756A KR 20210114756 A KR20210114756 A KR 20210114756A KR 102362225 B1 KR102362225 B1 KR 10236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unit
packaging
dye
packaging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 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1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25B1/ko
Priority to KR1020220016075A priority patent/KR102598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2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zig-zag manner over series of 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05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adding or mixing constituents of the tre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리본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리본 제조 장치는 포장용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체결되고, 권취되어 있는 포장용 리본을 권출 가능한 권출부와, 염료를 이용하여 상기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포장용 리본을 염색하는 염색부와, 포장용 리본을 세척액이 담긴 수조를 통과시키면서 염색 후 남은 염료를 제거하는 세척부와, 상기 염색부에 의하여 염색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염료를 건조시키거나, 상기 세척부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세척액의 건조가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고,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한 후 적재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부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에 액상의 염료를 공급하는 염료탱크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을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에 침지(浸漬)시켜 염색한다.

Description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RIBBO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IBBON FOR PACKAGING}
본 발명은 리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염색 제조공정이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섬유소재인 사(絲) 또는 직물에 물리적·화학적 처리로 색상, 촉감, 디자인 및 성질변화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섬유염색 제조공정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염료를 이용하여 자재를 염색하는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염색 방법에 따르면, 염료가 수용된 수조에 피염색물인 리본 등이 감긴 권취롤을 권취된 상태로 담근 뒤 일정 온도로 가열시켜 염색하게 되며, 염색이 마무리되면 상품성을 위해 리본을 다미리질하여 반듯하게 펴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을 타래를 쳐서 고압 압력기에서 염색한 후 다시 타래를 풀고 가공을 한다는 점에서 염색 공정 절차가 복잡하였고, 물때나 구김이 많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1-0067715호
본 발명은 포장끈, 꽃 또는 케이크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 리본을 제조하는 리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 리본의 염색 공정을 자동화하고, 신속하고 고른 품질로 포장용 리본을 제조할 수 있는 리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 리본의 염색에 사용되는 액상의 염료를 균일 혼합 상태로 교반할 수 있는 리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리본 제조 장치는 포장용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체결되고, 권취되어 있는 포장용 리본을 권출 가능한 권출부; 염료를 이용하여 상기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포장용 리본을 염색하는 염색부; 포장용 리본을 세척액이 담긴 수조를 통과시키면서 염색 후 남은 염료를 제거하는 세척부; 상기 염색부에 의하여 염색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염료를 건조시키거나, 상기 세척부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세척액의 건조가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고,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한 후 적재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부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에 액상의 염료를 공급하는 염료탱크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을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에 침지(浸漬)시켜 염색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이송되는 포장용 리본이 걸리고, 염료에 잠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걸림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바는 포장용 리본이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에 진입하는 방향에서 포장용 리본이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를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포장용 리본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걸림바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를 더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이 이동될 때, 상기 걸림바는 포장용 리본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걸림바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를 교반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이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의 온도를 이용하여 염료 또는 세척액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는 상하 방향의 지그 재그 형태로 교차 배치되고, 포장용 리본은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를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방향이 변경되며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염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과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은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의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 각각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염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과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을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끈, 꽃 또는 케이크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 리본을 권취롤에서 권출한 상태로 염색, 건조, 세척, 절단을 진행하므로 타래를 쳐서 염색하는 경우보다 염색에 따른 물때나 구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적은 인력과 적은 비용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염색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염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건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염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건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 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 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 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본 제조 장치(1)는 권출부(100), 염색부(200), 건조부(300), 세척부(400), 및 절단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본 제조 장치(1)는 이송 롤러(610,620,630,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출부(100)는 포장용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체결되며, 리본 제조 장치(1)의 작동에 따라 권취되어 있는 포장용 리본(R1)을 염색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도면번호 R1, R2, R3, R4, R5는 한 줄의 포장용 리본의 각기 다른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포장용 리본은 천연 섬유(예: 면, 마, 견 등) 및/또는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염색부(200)는 권출부(100)로부터 포장용 리본(R1)을 공급(또는, 전달)받고, 염료를 이용하여 포장용 리본을 염색시킨 뒤 건조부(300)로 공급(또는, 전달)할 수 있다.
이송 롤러(610,620,630,640)는 복수의 이송 롤러(610,620,630,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610,620,630,640)는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됨에 따라서 포장용 리본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롤러(610,620,630,640)는 포장용 리본의 전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건조부(300)는 염색부(200)에 의하여 염색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R2)을 공급(또는, 전달)받아 포장용 리본(R2)에 도포되어 있는 염료를 고온으로 건조시키거나, 세척부(400)에 의하여 염료의 세척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R3)을 공급(또는, 전달)받아 세척액을 고온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부(300)는 염료가 건조된 포장용 리본을 세척부(400)로 공급(또는, 전달)할 수 있다. 건조부(300)는 세척액이 건조된 포장용 리본(R4)을 절단부(500)로 공급(또는, 전달)할 수 있다.
건조부(300)는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드럼 롤러는 발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히터 드럼 롤러는 8개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장용 리본은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에 지지되어 이송될 수 있으며,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의 온도에 의해 염료 또는 세척액이 건조될 수 있다.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척부(400)는 건조부(300)로부터 염료가 건조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또는, 전달)받을 수 있고, 공급받은 포장용 리본을 세척액(L)이 담긴 수조를 통과시키면서 세척시킨 뒤 건조부(300)로 다시 공급(또는,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 리본은 세척액(L)이 담긴 수조에 담기거나 수조 밖으로 노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포장용 리본에 도포된 염료가 세척될 수 있다. 세척액(L)에 의하여 씻겨 제거되는 염료는 염색 후 포장용 리본의 표면에 남은 염료일 수 있다.
절단부(500)는 절단 장치(510)와, 적재함(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500)는 건조부(300)로부터 세척액의 건조가 완료된 포장용 리본(R4)을 전달받으며, 컷터날 등의 절단 장치(51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길이(예: 1m 내지 2m 등)로 절단시킨 뒤 적재함(520)에 절단된 포장용 리본(R5)을 적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염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염색부(200)는 바스켓(210)과, 염료탱크(220)와, 연결호스(230)와, 밸브(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210)과 염료탱크(220)는 연결호스(23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바스켓(210)은 수용공간(210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210a)에 염료(M)가 수용될 수 있다. 염료는 액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210)은 바닥면에 형성되어 수용공간(210a)의 유체(예: 염료(M))를 바스켓(2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수구(212)에는 배수호스(213)가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210)은 바스켓(210)의 일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연결호스(23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호스(230)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호스(230)는 수용공간(210a)과 연통될 수 있고, 염료탱크(220)의 염료를 수용공간(210a)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염료탱크(220)는 바스켓(210)의 수용공간(210a)에 염료를 공급할 수 있다. 연결호스(230)의 타단은 염료탱크(220)와 연결될 수 있다.
밸브(240)는 연결호스(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240)는 염료탱크(220)로부터 연결호스(230)를 통하여 바스켓(210)으로 유동하는 염료를 단속하거나, 바스켓(210)으로 유동하는 염료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염색부(200)는 포장용 리본(R1)을 바스켓(210)(또는, 수용공간(210a))에 담긴 염료(M)에 침지(浸漬)시킴으로써 포장용 리본을 염색할 수 있다. 염색부(200)는 포장용 리본을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에 통과시킴으로써 포장용 리본을 염색할 수 있다.
한편, 염색부(200)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포장용 리본의 염색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에 의하여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는 대략 100℃ 이상 140℃ 이하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바스켓(210)은 포장용 리본이 걸리는 걸림바(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바(211)는 수용공간(210a)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바(211)는 수용공간(210a)에 수용된 염료(M)에 잠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바(21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바(211)는 바스켓(210)의 양 측벽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걸림바(211)는 바스켓(210)의 양 측벽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포장용 리본(R1,R2)은 걸림바(211)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또는, 이송)될 수 있다. 포장용 리본이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에 빠졌다가 나오도록, 걸림바(211)는 포장용 리본(R1)이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에 진입하는 방향에서 포장용 리본(R2)이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를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포장용 리본(R1,R2)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염색부(200)에 따르면, 이송 롤러 등에 의하여 이송되는 포장용 리본이 자동으로 바스켓(210)의 염료(M)에 빠졌다가 나오게 되면서 포장용 리본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포장용 리본 염색 작업이 신속하고 고른 품질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건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의 일부(310,320,330,34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할 때, 건조부(300)의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는 상하 방향의 지그 재그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건조부(300)는 포장용 리본이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를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방향이 변경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온도에 의해 염료 또는 세척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는 포장용 리본의 적정 가열온도인 350℃ 내지 370℃,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일측(또는, 히터 드럼 롤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일측)에는 염색부(2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염료가 건조되도록 하고,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타측(또는, 히터 드럼 롤러의 좌우 방향으로의 타측)에는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세척액이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염색부(2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 또는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은, 각각이 별도로 설치되는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두 종류의 포장용 리본(R2,R3) 모두가 동시에 각각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온도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부(3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판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염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염색부(200)에 관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4에 도시된 염색부(200-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할 때, 염색부(200-1)는 바스켓(210)과, 염료탱크(220)와, 연결호스(230)와, 밸브(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210)은 걸림바(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바(211)의 양단은 바스켓(2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210)은 걸림바(211)에 장착되는 교반날개(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날개(214)는 걸림바(2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걸림바(211)에 걸린 포장용 리본이 이동될 때 걸림바(211)는 포장용 리본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교반날개(214)는 걸림바(211)와 함께 회전되어 바스켓(210)에 담긴 염료(M)를 교반(agitation)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교반날개(21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바스켓(210)의 염료(M)를 교반하여 염료가 굳거나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걸림바(2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바스켓(2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211a)와, 로드(211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로드(211a)의 표면 상에 부착되고 포장용 리본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미끄럼방지패드(211b)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11b)는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날개(214)는 로드(211a) 및/또는 미끄럼방지패드(211b)에 고정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11b)가 마련 됨에 따라서 걸림바(211)와 포장용 리본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하는 포장용 리본에 의한 회전력이 걸림바(211)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건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350,360,370,380)의 일부(310,320,33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건조부(300)에 관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5에 도시된 건조부(300-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할 때, 건조부(300-1)의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는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건조부(300-1)는 포장용 리본(R2,R3)이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를 따라 웨이브를 이루며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온도에 의해 염료 또는 세척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염색부(200,200-1)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과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은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일측(또는, 히터 드럼 롤러의 상하 방향으로의 일측(또는, 일면))에는 염색부(200,200-1)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염료가 건조되도록 하고,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타측(또는, 히터 드럼 롤러의 상하 방향으로의 타측(또는, 타면))에는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세척액이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염색부(200,200-1)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 또는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은, 각각이 별도로 설치되는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두 종류의 포장용 리본(R2,R3) 모두가 동시에 각각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온도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판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건조부(300)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경우 염색부(200,200-1)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에 의하여 가해지는 토크와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에 의하여 가해지는 토크가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가 잘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동하는 포장용 리본(R2,R3)과 정지해 있는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며,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340)의 표면에서의 미끄러짐에 의하여 포장용 리본(R2,R3)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반면에, 도 5의 건조부(300-1)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경우 염색부(200,200-1)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2)에 의하여 가해지는 토크와 세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3)에 의하여 가해지는 토크가 서로 같은 방향이므로, 포장용 리본(R2,R3)에 의하여 가해지는 토크에 의하여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가 구름 운동할 수 있고,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의 구름 운동으로 인하여 포장용 리본(R2,R3)과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포장용 리본의 손상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 각각은 구동장치(예: 모터)에 의하여 시계 방향(또는, 제1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이다.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는 강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 각각은 인접한 다른 히터 드럼 롤러와 회전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됨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히터 드럼 롤러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히터 드럼 롤러가 순서대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310,320,330) 각각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염색부(200,200-1)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R2)과 세척부(400)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R3)을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리본 제조 장치(1)는 도 2의 염색부(200) 및 도 4의 염색부(200-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의 건조부(300) 및 도 5의 건조부(300-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당업계의 기술 수준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방법은, 우선, 포장용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설치된 권출부(100)에서 포장용 리본(R1)이 권출되고, 염색부(200,200-1)는 권출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용 리본(R1)을 침지시켜 염색한다(S110).
염색부(200,200-1)에 의해 염색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R2)을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를 포함하는 건조부(300)를 통과시키면서 염료를 건조시킨 뒤(S120) 세척부(400)로 전달한다.
염료 건조 단계(S120)에 의해 염료가 건조된 포장용 리본을 건조부(400)에서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시킨 뒤(S130) 다시 건조부(300)로 전달한다.
세척 단계(S130)에서 세척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R3)을 다시 건조부(300)를 통과시키면서 세척액을 건조한다(S140). 그 후, 포장용 리본은 절단부(500)로 전달된다.
세척액 건조 단계(S140)에 의해 세척액이 건조된 포장용 리본(R4)을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시킨 뒤(S150), 절단된 포장용 리본(R5)을 적재함(520)에 적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제조 방법이 수행되는 리본 제조 장치(1)의 각각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아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 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리본 제조 장치
100; 권출부
200,200-1; 염색부
300,300-1; 건조부
400; 세척부
500; 절단부

Claims (6)

  1. 포장용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체결되고, 권취되어 있는 포장용 리본을 권출 가능한 권출부;
    염료를 이용하여 상기 권출부로부터 권출되는 포장용 리본을 염색하는 염색부로서,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액상의 염료를 공급하는 염료탱크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을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에 침지(浸漬)시켜 염색하는 염색부;
    포장용 리본을 세척액이 담긴 수조를 통과시키면서 염색 후 남은 염료를 제거하는 세척부;
    상기 염색부에 의하여 염색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염료를 건조시키거나, 상기 세척부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아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세척액의 건조가 완료된 포장용 리본을 공급받고,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한 후 적재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염료에 잠길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포장용 리본이 걸리며, 양단이 상기 바스켓의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로드의 표면 상에 부착되고 포장용 리본과 접촉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걸림바로서, 포장용 리본이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에 진입하는 방향에서 포장용 리본이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를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포장용 리본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걸림바; 및
    상기 걸림바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바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이 이송될 때 상기 걸림바와 상기 교반날개는 이동되는 포장용 리본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에 담긴 염료를 교반하는 리본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를 포함하고, 포장용 리본이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의 온도를 이용하여 염료 또는 세척액을 건조하는 리본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는 상하 방향의 지그 재그 형태로 교차 배치되고,
    포장용 리본은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를 따라 상하 지그재그로 방향이 변경되며 이송되는 리본 제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염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과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은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의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히터 드럼 롤러 각각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염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과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 리본을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리본 제조 장치.

KR1020210114756A 2021-08-30 2021-08-30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KR10236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56A KR102362225B1 (ko) 2021-08-30 2021-08-30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KR1020220016075A KR102598300B1 (ko) 2021-08-30 2022-02-08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56A KR102362225B1 (ko) 2021-08-30 2021-08-30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75A Division KR102598300B1 (ko) 2021-08-30 2022-02-08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25B1 true KR102362225B1 (ko) 2022-02-14

Family

ID=802543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756A KR102362225B1 (ko) 2021-08-30 2021-08-30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KR1020220016075A KR102598300B1 (ko) 2021-08-30 2022-02-08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75A KR102598300B1 (ko) 2021-08-30 2022-02-08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2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15A (ko) 2001-03-12 2001-07-13 김석한 단색섬유 염색장치
KR20140142946A (ko) * 2013-06-05 2014-12-15 강윤수 대마제품 가공장치
KR102236999B1 (ko) * 2020-01-0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엔씨 투 칼러 리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리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776B1 (fr) * 2014-05-12 2016-05-27 Dehondt Tech Dispositif continu pour impregner en une seule etape des meches ou des rubans de fibres naturelles, en particulier de l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15A (ko) 2001-03-12 2001-07-13 김석한 단색섬유 염색장치
KR20140142946A (ko) * 2013-06-05 2014-12-15 강윤수 대마제품 가공장치
KR102236999B1 (ko) * 2020-01-0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엔씨 투 칼러 리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리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300B1 (ko) 2023-11-06
KR20230032833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4103B2 (ja) 超臨界液で繊維物質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5734872B (zh) 绞盘染色装置以及绞盘染色方法
KR102362225B1 (ko)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EP2025791B1 (en) Apparatus for dyeing delicate garments with double basket
Perkins A Review of Textile Dyeing Processes.
US1825478A (en) Method and means for treating textile fabrics
US11846057B2 (en) Stabilizer for a rotatable drum
CN106192270A (zh) 一种单纱染色方法及系统
US3308639A (en) Apparatus for the fluid treatment of fabrics in rope form
JPS5855267B2 (ja) チエ−ンレス・マ−セライジング機
KR20240057891A (ko) 체크 무늬 리본 제조 장치 및 체크 무늬 리본 제조 방법
KR102236999B1 (ko) 투 칼러 리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리본
US21513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igdyeing fabrics
KR100489246B1 (ko) 지거 염색기에 있어서, 순환펌프의 압력을 받은 염액이타공롤러 내부로 강제 순환되면서 염액을 분사하여 원단을염색하는 염색기
US1131270A (en) Method of treating fabrics.
US2505657A (en) Continuous processing machine for textile fabrics
US2194877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extiles
US1396456A (en) Washing-machine
KR20180051791A (ko) 직물원단의 연속 염색 및 코팅장치
US1568959A (en) Process of treating warp in long chain or rope form
KR910006533B1 (ko)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27889A (ko) 원단 텀블러장치
US1779831A (en) Method of finishing yarns or fabrics
US1644460A (en) Apparatus for piece dyeing
US2045874A (en) Oscillating dye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