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335B1 -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1335B1 KR102361335B1 KR1020200128563A KR20200128563A KR102361335B1 KR 102361335 B1 KR102361335 B1 KR 102361335B1 KR 1020200128563 A KR1020200128563 A KR 1020200128563A KR 20200128563 A KR20200128563 A KR 20200128563A KR 102361335 B1 KR102361335 B1 KR 102361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extruder
- range
- section
- pressure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6—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19—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14—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6—Measuring, detecting, monitoring, inspecting, con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 압출 공정에서 압출기 내부 구간 별 압력 변화 감지 알고리즘을 통하여, 압출 시 불량 구간을 자동으로 알람/표시하여 공정 전ㆍ후단에서의 불량 구간 구분/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양품의 트레드를 후공정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는, 투입되는 시트고무를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 바렐과, 상기 압출기 바렐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와, 상기 압출기 바렐 후단에 설치되는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색선을 도포하는 색선 도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는, 투입되는 시트고무를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 바렐과, 상기 압출기 바렐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와, 상기 압출기 바렐 후단에 설치되는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색선을 도포하는 색선 도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 압출 공정에서 압출기 내부 구간 별 압력 변화 감지 알고리즘을 통하여, 압출 시 불량 구간을 자동으로 알람/표시하여 공정 전ㆍ후단에서의 불량 구간 구분/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양품의 트레드를 후공정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트레드 압출 공정에서 시트 고무(Sheet Rubber)를 원하는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고 후공정에 공급하기 위하여 적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시트 고무(Sheet Rubber)(100)가 압출기(200) 투입구에 공급되어 일정한 프로파일(Profile)을 갖추어 압출되어 나오면 테이크 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Take Away & Shrinkage Conveyor)(300)를 통해 수축/이송된다. 그리고 고온 압출로 인한 프로파일(Profile) 변화와 블루밍(Bloom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물을 냉각/건조시키는 쿨링&드라잉 컨베이어(Cooling & Drying Conveyor)(400)를 통과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권취하거나 절단하여 적재부(500)에 적재하는 과정을 거친다.
압출 품질을 균일하게 하려면, 즉 일정한 프로파일(Profile)의 압출물을 연속적으로 생산해내기 위해선 공정이 멈추지 않고 같은 조건 하에 가동되어야 한다. 통상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정 상태를 지켜보면서 압출 불량 구간이 발생하면 운전 조건 변경이나 작업 중단을 통하여 불량 구간을 표시/제거한다. 하지만 자동 운전 중 작업자 부재 시 불량 구간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구간은 공정 후단으로 아무런 조치없이 흘려 보내지게 된다. 절단형 적재를 할 경우 후단의 작업자가 발견하면 제거할 수 있지만, 권취형 적재를 할 경우 공정 전단에서 선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중간에 절단이 불가하여 불량 구간과 정상 구간을 구분하기가 어려워 스크랩(Scrap) 대량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의 압출기(200)에서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서만 문제 상황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 구간을 선별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미리 인지할 수 없는 상황, 예를 들자면 압출기 내부에서 고무 공급 끊김, 이물질 등으로 발생한 고무 흐름 변화는 즉각적으로 선 조치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압출기 내부 압력 변화를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압출 불량이 예상될 시에 불량 구간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주고, 동시에 알람을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문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압출물 불량 구간 감소 및 목표 품질을 온전히 유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는, 투입되는 시트고무를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 바렐과, 상기 압출기 바렐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와, 상기 압출기 바렐 후단에 설치되는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색선을 도포하는 색선 도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색선 도포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정상신호 수신시 하강되고, 비정상신호 수신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는 특정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까지의 구간동안 압력 최고점, 압력 최저점, 압력 가변범위, 평균압력 가변범위,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특정시점에서의 측정압력이 상기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색선 도포장치에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는 다음의 수식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Prange는 압출기 회전시 하나의 압력센서에서의 압력변화범위, (Prange)avg.는 압출기(20)가 r회 회전시 하나의 압력센서에서의 r회 회전하는 동안의 평균 압력변화범위, m은 임의변수로 1 내지 25 사이 임의의 정수, Pk·st·high는 k번째 압력센서의 최고압력, Pk·st·low는 k번째 압력센서의 최저압력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구분 장치 및 방법은 압출기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불량 구간을 자동으로 선별해줌으로써 후단 공정에 양품의 트레드를 공급해줄 수 있으며, 트레드의 정상/불량 구간의 선별이 명확해짐에 따라 종래의 압출 불량/정상 혼재 구간을 대량으로 불량 처리하던 양도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압출 불량 스크랩(Scrap)의 절감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압출 공정 개략도.
도 2a는 종래의 통상적인 압출기에 있어서, 압출기 내부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구간 별 압력변화 예상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에 있어서, 내부 단면도.
도 3b는 도3a의 구간 별 압력변화 예상도.
도 4는 도3a의 압력센서 한 지점에서의 회전에 따른 압력변화 예상도.
도 5는 불량 압출물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알고리즘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물 불량구간 표시 방법에 대하여, 불량 구간 미감지 상태(정상 구간)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물 불량구간 표시 방법에 대하여, 불량 구간 감지 상태 예시도.
도 2a는 종래의 통상적인 압출기에 있어서, 압출기 내부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구간 별 압력변화 예상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에 있어서, 내부 단면도.
도 3b는 도3a의 구간 별 압력변화 예상도.
도 4는 도3a의 압력센서 한 지점에서의 회전에 따른 압력변화 예상도.
도 5는 불량 압출물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알고리즘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물 불량구간 표시 방법에 대하여, 불량 구간 미감지 상태(정상 구간)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물 불량구간 표시 방법에 대하여, 불량 구간 감지 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는, 투입되는 시트고무를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 바렐(10)과, 상기 압출기 바렐(10)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30)와, 상기 압출기 바렐(10) 후단에 설치되는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300)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210)로부터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색선을 도포하는 색선 도포장치(35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기 바렐(10) 내부에는 스크류(20)가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 바렐(10) 내부에서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투입된 시트고무가 일정한 프로파일을 갖추어 압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기 바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는 압력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30)는 압출기 바렐(10)의 고무투입 방향에서부터 압출될때까지의 압력을 구간별로 감지하여 압력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색선 도포장치(350)는 압출기(210)에서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압력의 이상유무를 색선 도포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210) 바렐(Barrel)(10) 내부에 복수개의 압력센서(Pressure Sensor)(30)(바람직하게는 최소 5개 이상)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압력센서들은 원재료 고무 투입 방향에서부터 토출 방향까지 순서대로 P1, P2, P3, …, Pn 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압출기 후단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Take Away & Shrinkage Conveyor)(300) 상에는 압출물 표면 상에 색선을 도포할 수 있는 색선 도포장치(350)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일정 신호에 따라 자동 상승/하강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색선 도포장치(350)가 하강하면 정상구간으로 색선이 도포가 되고, 불량이 감지되면 특정 신호에 의해 색선 도포장치(350)가 상승하면서 더 이상 색선이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는 압출 생산 라인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정상적으로 작업되고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적용된다. 정상 작업 중에 바렐 내부로 투입 고무가 제대로 공급이 안되거나 충진이 덜 된 상태로 진행되면 기포, 에어포켓,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는 또한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정상의 경우와 기포, 이물질이 포함됐을 경우, 압출기 내부에서의 각 압력 센서 위치 별 예상 압력 변화를 도 2b와 도 3b에서 예시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기포, 에어포켓,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이 포함되면 압력 센서(30)의 한 지점에서는 일정한 싸이클(Cycle)을 가지고 변화하던 압력 패턴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정한 싸이클이라함은 압력 센서(30) 한 지점에서의 압력이 압력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영역대를 반복적으로 왕복해가며 변화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같은 싸이클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도 4에 예시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색선 도포장치(350)는 상기 압력센서(30)로부터 정상신호 수신시 하강되고, 비정상신호 수신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30)는 특정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까지의 구간동안 압력 최고점, 압력 최저점, 압력 가변범위, 평균압력 가변범위,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30)로부터 측정된 특정시점에서의 측정압력이 상기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색선 도포장치(350)에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정상적인 압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가정하면 이 압력 변화 싸이클 영역은 큰 변화 없이 압력 가변 범위 내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일 것이다. 하지만 공급 고무에 기포, 에어포켓,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이 포함되게 된다면 압력은 기존의 압력 변화 싸이클과 다른 움직임을 보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포착해내어 작업자에게 인지시켜줌과 동시에 압출물의 불량구간을 자동으로 선별해낼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는 다음의 수식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Prange는 압출기 회전시 하나의 압력센서에서의 압력변화범위, (Prange)avg.는 압출기(20)가 r회 회전시 하나의 압력센서에서의 r회 회전하는 동안의 평균 압력변화범위, m은 임의변수로 1 내지 25 사이 임의의 정수, Pk·st·high는 k번째 압력센서의 최고압력, Pk·st·low는 k번째 압력센서의 최저압력이다)
이 알고리즘의 첫 단계는 P1, P2, P3, …, Pn-1 의 압력센서 중 한 곳에서 정상 작업 시의 압력 변화 싸이클을 이탈한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도 4의 그림을 참조로 각 항목이 의미하는 바를 정의해주면 다음과 같다.
① 압력 고점(Phigh): 압출기 스크류(20) 1회전 중 압력이 가장 높아지는 지점
② 압력 저점(Plow): 압출기 스크류(20) 1회전 중 압력이 가장 낮아지는 지점
③ 압력 가변 범위(Prange): 압출기 회전 시 압력 센서 한 지점에서의 압력 변화 범위
※ 평균 압력 가변 범위((Prange)avg.): 압출기 r 회전 시 압력 센서 한 지점에서의 r 회 평균 압력 변화 범위
④ 최대 허용 압력 가변 범위((Prange)avg.) ± m %): 평균 압력 가변 범위의 최대 허용 범위
정상 작업 중의 한 지점에서의 압력 변화 싸이클은 ①압력 고점과 ②저점 사이의 영역에서 압력이 상승/하강을 반복하는데, 이때 기포,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을 포함하게 된다면 이 압력은 ③가변 범위를 이탈하게 된다. 한 싸이클의 가변 범위 데이터는 신뢰성이 부족하므로 현재 측정 시점 기준으로부터 일정시간 전까지(예를 들어, 측정시점 기준 1분 전까지의 기간)의 누적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균을 구한 평균 압력 가변 범위의 개념을 적용시킨다. 정상 작업 중인 경우에도 고점과 저점을 이탈할 경우가 생길 수 있어 어느정도 허용 공차를 두기 위해 ④최대 허용 압력 가변 범위를 설정한다.
각 압력 센서(30) 별 연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스크류(20) 1 ~ r 회전의 개념은 스크류(20)가 r회전했을 시, 현재 시점 r회전 기준 1분 전 첫 1회전 시작지점까지의 구간이며, 이 구간의 압력 정보(저점,고점,가변 범위 등)는 각 압력 센서(30) 별로 계속 저장되고 최신화 되는 구간을 뜻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1 ~ r 회전 동안 각 회전 당 최고 압력은 아래와 같다.
※ P1st·high는 압력 센서 한 지점에서 1회전 때의 압력 고점을 뜻한다
1 ~ r 회전 동안 각 회전 당 최저 압력은 아래와 같다.
스크류(20) 1회전 시의 압력 가변 범위는 아래와 같다.
1 ~ r 회전 동안의 평균 압력 가변 범위는 아래와 같다.
압력 가변 범위의 허용 오차를 두기 위해 ± m % ( 1 ~ 25 % ) 를 적용하면,
1 ~ r 회전 동안의 최대 허용 압력 가변 범위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현재 측정 압력이 이러한 최대 허용 압력 가변 범위를 벗어나면 비정상 신호로 간주한다. 여기서 사용자 지정 임의 변수 m 은 본 발명자의 경험을 토대로 정상 압력으로 간주될 수 있는 범위를 1에서 25 사이의 정수로 지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알고리즘의 두 번째 단계는 비정상 압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압출기 내부 어느 지점에서 기포,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이 발생하게 되면 그것들이 밖으로 나오기 까지는 압출기 헤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흘러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각 압력 센서(30) P1, P2, P3, …, Pn-1의 어느 한 지점에서 비정상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그 다음 압력센서에서도 감지된다는 것이다. 신호를 처음 감지한 압력 센서부터 연산을 시작하여 다음 압력 센서로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최종적으로 압출기 헤드에서까지도 감지하게 되면 시스템은 기포, 에어포켓,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40)이 포함되어 불량 구간의 시작을 알리는 확정적인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은 연산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 도 6이다.
마지막 단계는 피드백 단계이다. 시스템은 이렇게 비정상 신호를 받아 압출기 헤드 부에서의 마지막 연산을 통해 확정 신호를 받게 되면 도 5와 같은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340)을 포함한 불량 압출물의 선별을 위해 색선 도포장치(350)를 상승시킨다. 이는 색선 도포장치가 더 이상 압출물 표면 상에 정상구간이라는 마킹(Marking)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구간은 불량구간이라는 것을 작업자들에게 손쉽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경광등 알람을 작동시켜 줌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색선 도포장치의 설치 위치와 종류는 압출 규격을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통상적인 장치와 같으며, 앞서 언급된 피드백 신호를 통해 자동 상승/하강 기능만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선 도포장치의 동작을 도 7a, 도 7b에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도7a는 불량구간에서 정상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의 예시도이고, 도 7b는 정상구간에서 불량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의 예시도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시트고무
200, 210 : 압출기
300 :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
400 : 쿨링&드라이 컨베이어
500 : 적재부
10 : 바렐
20 : 스크류
30 : 압력센서
40 :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
340 : 불량표면
350 : 색선 도포장치
200, 210 : 압출기
300 :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
400 : 쿨링&드라이 컨베이어
500 : 적재부
10 : 바렐
20 : 스크류
30 : 압력센서
40 : 기포, 에어포켓, 이물질
340 : 불량표면
350 : 색선 도포장치
Claims (5)
- 투입되는 시트고무를 반제품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 바렐;
상기 압출기 바렐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
상기 압출기 바렐 후단에 설치되는 테이크어웨이&쉬링키지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압출물 표면에 색선을 도포하는 색선 도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압력센서 각각은 특정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까지의 구간동안 압력 최고점, 압력 최저점, 압력 가변범위, 평균압력 가변범위,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측정하며,
상기 복수개의 압력센서는 상기 압출기 바렐의 내부로 시트고무의 투입 후 일정시점부터 압출될 때까지의 압력을 구간별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선 도포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정상신호 수신시 하강되고, 비정상신호 수신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특정시점에서의 측정압력이 상기 최대허용압력 가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색선 도포장치에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563A KR102361335B1 (ko) | 2020-10-06 | 2020-10-06 |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563A KR102361335B1 (ko) | 2020-10-06 | 2020-10-06 |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1335B1 true KR102361335B1 (ko) | 2022-02-11 |
Family
ID=8026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563A KR102361335B1 (ko) | 2020-10-06 | 2020-10-06 |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133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4976A (ja) * | 1993-04-22 | 1994-11-01 | Toshiba Mach Co Ltd | プラスチック成形機の樹脂溶融状態検出方法及びその 装置並びにプラスチック成形方法及び成形機 |
WO2004091876A1 (de) * | 2003-04-15 | 2004-10-28 | Wienerberger Ziegelindustrie Gmbh |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pressdruckes in anlagen zur herstellung von stranggezogenen hintermauerziegeln, klinkern, drainagerohren, spaltplatten, dachziegeln und anderen keramischen produkten |
KR20060015155A (ko) | 2004-08-13 | 2006-02-16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지능 구조형 압출다이를 가지는 압출기 |
KR101015182B1 (ko) * | 2005-08-22 | 2011-02-17 | 스미도모 고무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공기 타이어의 제조 방법 |
KR20120017180A (ko) * | 2010-08-18 | 2012-02-28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제조를 위한 압출물 중량 부적합품 표시장치 |
KR101432081B1 (ko) * | 2013-04-29 | 2014-08-20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압출물의 중량편차 감소장치 |
-
2020
- 2020-10-06 KR KR1020200128563A patent/KR1023613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4976A (ja) * | 1993-04-22 | 1994-11-01 | Toshiba Mach Co Ltd | プラスチック成形機の樹脂溶融状態検出方法及びその 装置並びにプラスチック成形方法及び成形機 |
WO2004091876A1 (de) * | 2003-04-15 | 2004-10-28 | Wienerberger Ziegelindustrie Gmbh |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pressdruckes in anlagen zur herstellung von stranggezogenen hintermauerziegeln, klinkern, drainagerohren, spaltplatten, dachziegeln und anderen keramischen produkten |
KR20060015155A (ko) | 2004-08-13 | 2006-02-16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지능 구조형 압출다이를 가지는 압출기 |
KR101015182B1 (ko) * | 2005-08-22 | 2011-02-17 | 스미도모 고무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공기 타이어의 제조 방법 |
KR20120017180A (ko) * | 2010-08-18 | 2012-02-28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제조를 위한 압출물 중량 부적합품 표시장치 |
KR101432081B1 (ko) * | 2013-04-29 | 2014-08-20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압출물의 중량편차 감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138690A1 (en) | Method for producing profile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 |
US7354538B2 (en) | Container manufacturing inspection and control system | |
JPS59199230A (ja) | 一種類或いは多種類の異るゴム混合物或いは合成物質混合物から成形物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押出し加工装置 | |
KR101870015B1 (ko) | 스크류 제조 설비용 스크류 불량 유무 감별장치 | |
KR102361335B1 (ko) | 트레드 압출상태 불량구간 감지 및 구분 장치 및 방법 | |
CN111601696B (zh) | 用于运行挤出设备的方法和挤出设备 | |
US5843349A (en) | Multi-component extruder method | |
KR101032759B1 (ko) | 타이어용 반제품 압출 제어 장치 및 그 압출 제어 방법 | |
EP33075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xtrusion of a semifinished product in a tyre building process | |
KR102036699B1 (ko) | 알루미늄 압출 공정의 출구측 광학 감지 장치 | |
US11141904B2 (en) | Method for monitoring a film quality and film machine | |
US1130547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plastic film | |
KR102036700B1 (ko) | 알루미늄 압출 공정의 출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6234651A (zh) | 状态判定装置及状态判定方法 | |
KR100452932B1 (ko) | 타이어 제조를 위한 압출 작업시 압출고무의 교체 감지장치 | |
KR20120017180A (ko) | 타이어 제조를 위한 압출물 중량 부적합품 표시장치 | |
CN105629912A (zh) | 一种砖瓦行业用全自动挤出切割成型智能控制系统 | |
CN116234674A (zh) | 状态判定装置及状态判定方法 | |
JP2023032725A (ja) | 未加硫のゴム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 |
CN106862099A (zh) | 一种用于电容器壳体抗压性能检测的自动化检验筛选线 | |
JP4951390B2 (ja) | 押出成形品の検査方法と装置、及び製造方法と装置 | |
CN209937606U (zh) | 一种基于深度学习的注塑机监控装置及注塑机 | |
JP7302362B2 (ja) | ゴム押出物の製造装置およびゴム押出物の形状予測方法 | |
CN112790423B (zh) | 一种滤棒成型机的滤条检测装置 | |
WO2021002144A1 (ja) | ゴムシート監視装置、ゴムシート監視方法およびゴムシート成形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