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003B1 -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003B1
KR102361003B1 KR1020170113527A KR20170113527A KR102361003B1 KR 102361003 B1 KR102361003 B1 KR 102361003B1 KR 1020170113527 A KR1020170113527 A KR 1020170113527A KR 20170113527 A KR20170113527 A KR 20170113527A KR 102361003 B1 KR102361003 B1 KR 10236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cover
terminal cover
fro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056A (ko
Inventor
김성철
이종혁
심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03B1/ko
Priority to US16/031,928 priority patent/US10819380B2/en
Priority to EP18190133.1A priority patent/EP3449759B1/en
Priority to JP2018165287A priority patent/JP7384555B2/ja
Priority to TW107130987A priority patent/TWI794283B/zh
Priority to CN201811030211.4A priority patent/CN109428958A/zh
Priority to CN202310079579.4A priority patent/CN116170529A/zh
Publication of KR2019002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고,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 및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 표시부를 커버하고,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들을 보호하면서 측면 표시부들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COVER OF PORTABLE TERMINAL AND ELE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부면 뿐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표시부들을 갖는 전자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 중 전자 장치를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필요로 한다. 특히 최근 개발되고 있는 복수 개의 표시부들을 갖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표시부들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노출된 표시부들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커버에 대한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들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측면 표시부들을 보호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기 위한 투명한 측면부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여, 측면 표시부들에서 표시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의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고,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 표시부를 커버하고, 상기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는 4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측면부들은 상기 전면부의 4개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와 일체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투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상기 4개의 측면부들 중 인접한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들,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4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전면부로 정의된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모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면을 커버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덮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는 3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측면부들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3개의 측면부들로 정의된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3개의 측면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3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덮개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상기 3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덮개부는 투명하고, 상기 배면부는 불투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면을 커버하고, 상기 측면부들과 연결된 배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제3 모드에서 상기 상부면 표시부를 커버하고, 제4 모드에서 상기 전면부는 오픈되어 상기 상부면 표시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는 4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측면부들은 상기 배면부의 4 개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4개의 측면부들 각각은 상기 배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면 표시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상기 4개의 측면부들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배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면부는 배면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부 및 상기 4개의 측면부들로 정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주표시면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부표시면들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부표시면들을 커버하고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표시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부표시면들은 4개의 부표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4개의 부표시면들을 각각 커버하는 4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상부면 표시부, 및 상기 상부면 표시부에서 연장된 적어도 4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고 상기 측면 표시부들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투과시키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면 표시부를 커버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측면 표시부들의 표시면은 상기 상부면 표시부의 표시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측면부들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투명한 측면부들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커버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복수의 측면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는 투명한 측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사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b의 Ⅰ-Ⅰ' 및 Ⅱ-Ⅱ'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Ⅲ-Ⅲ'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b의 Ⅳ-Ⅳ'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일 실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1의 Ⅴ-Ⅴ'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Ⅵ-Ⅵ'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일측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MD)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를 휴대용 단말기(MD)에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DD)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도시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MD)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시부(SDP1, SDP2, SDP3, SDP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MD)는 상부면 표시부(TDP) 및 복수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각각은 상부면 표시부(TDP)의 일측에서 연장된 표시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MD)는 일 방향으로 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주표시면과 일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부표시면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MD)의 실시예에서 주표시면은 상부면 표시부(TDP)이고, 부표시면들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일 수 있다. 주표시면인 상부면 표시부(TDP)에서 주요 이미지(IM)를 표시하고, 부표시면들인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는 서브 이미지(SIM)들을 표시할 수 있다.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은 상부면 표시부(TDP)의 표시면과 평행하지 않는 표시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상부면 표시부(TDP)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연장된 표시 영역으로, 예를 들어 복수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은 벤딩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상부면 표시부(TDP)는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부면 표시부(TDP)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즉, 상부면 표시부(TDP)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에 대한 법선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제4 방향축(DR4)은 제3 방향축(DR3)과 반대로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축(DR3) 방향은 상부면 표시부(TDP)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향이고, 제4 방향축(DR4) 방향은 사용자가 상부면 표시부(TDP)를 바라보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은 제1 방향축(DR1), 제2 방향축(DR2), 및 제3 방향축(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측면 표시부는 제1 방향축(DR1), 제2 방향축(DR2), 및 제3 방향축(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미지를 제공하는 4개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 표시부들의 개수는 휴대용 단말기(MD)의 디자인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MD)는 4개 보다 많은 측면 표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은 상부면 표시부(TDP)에서 연장된 표시면으로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과 상부면 표시부(TDP)는 함께 제어되어 연결된 하나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과 상부면 표시부(TDP)는 동시에 제어되어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서 상부면 표시부(TDP)는 메인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은 서브 이미지(SIM)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 표시부(TDP)에는 주요 영상을 표시하고,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는 정보 제공을 위한 간단한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MD)는 코너부들(CDP)을 포함한다. 코너부들(CDP)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사이에 배치된다. 코너부들(CDP)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MD)의 상부면 표시부(TDP)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코너부(CDP)는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휴대용 단말기(MD)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으로 도시 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MD)는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게임기, PMP(Portable Media Player) 등일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위에서 내려다 본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방향의 사시도이다. 즉, 도 2a는 제4 방향축(DR4) 방향으로 내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올려다 본 사시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및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커버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전면부(FP)는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 표시부(TDP)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에서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부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한 것은 휴대용 단말기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도 50% 이상, 구체적으로 투과도 7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는 유리, 고분자 물질, 또는 고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강화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hrephthalte)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 또는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 등의 고무 재질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성을 갖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 또는 고무 물질 등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의 측면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일 수 있다.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 사용 중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이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커버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와 이미지들은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을 통하여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간접 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을 포함하고,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각각은 전면부(FP)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각각은 전면부(FP)의 측면에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전면부(FP)가 일체로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전면부(FP)와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이 일체로 형상을 이루며,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FP)와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투명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가 생략된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코너부(CDP)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가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및 전면부(FP)로 정의된 삽입 공간(OS1)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 공간(OS1)은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및 전면부(FP)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삽입 공간(OS1)은 휴대용 단말기(MD)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에서 삽입 공간(OS1)에 휴대용 단말기(MD)가 삽입되고 이때 휴대용 단말기(MD)의 하부면은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로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휴대용 단말기(MD)의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를 휴대용 단말기(MD)에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상부면 표시부(TDP)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가 휴대용 단말기(MD)를 커버하여 제공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의 도시를 참조하면, 투명한 재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가 포함된 상태의 전자 장치(DD)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전면부(FP) 뿐 아니라 측면부들(SP1, SP2, SP3, SP4)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MD)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커버를 오픈하지 않고도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b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휴대용 단말기(MD)와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DD)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잇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방향축(DR1)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단면상에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전면부(FP)와 측면부(SP1, SP2)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MD)의 상부면 표시부(TDP)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을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전면부(FP)와 측면부(SP1, SP2)는 일체로 제공되는 것이고,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는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이 오픈된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MD)의 하부면(BDP)이 노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4b는 도 3b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MD)의 코너부(CDP)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로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를 포함한 전자 장치(DD-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Ⅲ-Ⅲ' 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4b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와 비교하여 연결부(EP)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는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전면부(FP), 및 4개의 연결부들(E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에 있어서,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및 전면부(FP)에 대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는 투명한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및 4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연결된 전면부(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면부(FP)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연결부들(EP)은 각각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에서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전면부(FP), 및 연결부들(EP)은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1)를 참조하면, 연결부들(EP)은 휴대용 단말기(MD)의 코너부들(CDP)을 커버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들(EP)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들(EP)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에서 연결부들(EP)은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동일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연결부들(EP)은 투명한 재질이지만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상이한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들(EP)은 측면부들(SP1, SP2, SP3, SP4)에 비하여 고탄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a)에서 연결부들(EP)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들(EP)은 휴대용 단말기(MD)의 코너부(CDP)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충격성이 높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비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코너부(CDP)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에서 연결부들(EP)은 각각 발광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단일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미도시)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의 일체감을 위하여 이웃하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 유사한 색감의 색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연결부들(EP)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이거나, 또는 하나의 연결부가 다수의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은 휴대용 단말기(MD)에 의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1)에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미도시)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부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의 일체감을 위하여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 연결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부(EP)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1)에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MD)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1)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가 제공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1)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1)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터치 입력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MD)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 PC-2a)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를 제공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를 포함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2)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b의 Ⅳ-Ⅳ' 선에 대응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 PC-2a)는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부(RP), 전면부(FP)의 일측면에 연결된 덮개부(CP, CP-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는 투명한 제1 내지 제3의 측면부들(SP1, SP2, SP3), 제1 내지 제3의 측면부들(SP1, SP2, SP3)과 연결된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며 제1 내지 제3의 측면부들(SP1, SP2, SP3)과 연결된 배면부(RP), 및 전면부(FP)의 일측에 연결된 덮개부(C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8c에서는 제2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2, SP3, SP4), 제2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2, SP3, SP4)과 연결된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며 제2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2, SP3, SP4)과 연결된 배면부(RP), 및 전면부(FP)의 일측에 연결된 덮개부(CP-1)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a)를 도시하고 있다.
도 8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덮개부(CP-1)의 연결 위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MD)의 단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덮개부(CP)를 갖는 것이고, 도 8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a)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장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덮개부(CP-1)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 PC-2a)는 전면부(FP)의 일측에 연결된 덮개부(CP, CP-1)를 포함하며, 제1 모드에서 덮개부(CP, CP-1)는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OS2)을 커버하고, 제2 모드에서 삽입 공간(OS2)이 노출되도록 오픈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를 휴대용 단말기(MD)의 제공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9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MD)는 오픈된 덮개부(CP)에 의해 노출된 삽입공간(OS2)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의 덮개부(CP)는 제1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MD)의 일측면을 커버하고, 제2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MD)의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에서 덮개부(CP)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측면 표시부들 중 제4 측면 표시부(SDP4)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의 삽입 공간(OS2)으로 휴대용 단말기(MD)가 제공되고 휴대용 단말기(MD)의 제1 내지 제3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은 각각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의 제 내지 제3 측면부(SP1, SP2, SP3)에 의해 커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덮개부(CP)는 제1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MD)의 제4 측면 표시부(SDP4)를 커버하고 제2 모드에서 제4 측면 표시부(SDP4)를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MD)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OS2)은 전면부(FP), 배면부(RP) 및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로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삽입 공간(OS2)은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부(RP), 및 전면부(FP)와 배면부(RP)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부(FP) 및 배면부(RP)의 3개의 측면과 각각 연결된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부(RP), 및 전면부(FP)와 배면부(RP)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은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각각은 전면부(FP)의 3개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부(RP)의 대응하는 3개의 측면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면부(FP)의 일측면에 연결된 덮개부(CP)는 전면부(FP), 전면부(FP)와 마주하는 배면부(RP), 및 전면부(FP)와 배면부(RP)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과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전면부(FP), 및 전면부(FP)에서 연장된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전면부(FP), 전면부(FP)에서 연장된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및 덮개부(CP)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배면부(RP)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전면부(FP), 배면부(RP),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및 덮개부(CP)는 동일한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전면부(FP) 및 3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은 배면부(RP) 보다 높은 투과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배면부(RP)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8c 에서 삽입 공간은 전면부(FP), 배면부(RP), 및 제2 내지 제4 측면부들(SP2, SP3, SP4)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도 8c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a)에 대하여는 덮개부(CP-1)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8a 및 도 8b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a)에서 제2 내지 제4 측면부들(SP2, SP3, SP4)은 각각 휴대용 단말기(MD)의 제2 내지 제4 측면 표시부들(SDP2, SDP3, SDP4)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덮개부(CP-1)는 제1 모드에서 제1 측면 표시부(SDP1)를 커버하고 제2 모드에서 제1 측면 표시부(SDP1)를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2)에서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MD)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측면부들(SP1, SP2, SP3) 및 전면부(FP)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2)에서 휴대용 단말기(MD)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간접 터치에 반응하여 동작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는 휴대용 단말기(MD) 전체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는 휴대용 단말기(MD)의 상부면 표시부(TDP),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및 하부면(BDP)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1 및 도 13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1의 Ⅴ-Ⅴ' 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3의 Ⅵ-Ⅵ' 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 PC-3a, PC-3b)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 PC-3a, PC-3b)에서 전면부(FP), 및 측면부들(SP1, SP2, SP3, SP4)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 PC-3a, PC-3b)는,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전면부(FP), 및 배면부(R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는 제1 내지 제4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는 전면부(FP)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배면부(RP)는 상부면 표시부(TDP, 도 1)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전면부(FP)와 마주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를 참조하면, 전면부(FP)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제2 측면부(SP2)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배면부(RP)의 일측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에서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배면부(RP)의 4개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배면부(RP)는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배면부(RP)의 일측으로부터 굴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배면부(RP)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상부면 표시부(TDP, 도 1)를 커버하는 전면부(FP) 방향으로 굴곡된 것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된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4a는 도 11의 Ⅴ-Ⅴ' 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로, 도 14a를 참조하면, 측면부들(SP1, SP2)은 배면부(RP)로부터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면부(SP2)는 전면부(FP)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4a는 제1 방향축(DR1)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단면에서도 측면부들(SP3, SP4)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된 것일 수 있다.
도 11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배면부(RP)로 정의된 삽입 공간(OS3)을 제공한다. 삽입 공간(OS3)은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배면부(RP)로 둘러싸인 부분일 수 있다. 삽입 공간(OS3)에 휴대용 단말기(MD, 도 1)가 안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하부면(BDP, 도 1)이 배면부(RP)와 접하도록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가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각각 휴대용 단말기(MD)의 제1 내지 제4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도 1)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도 1)을 커버하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에서 배면부(RP)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배면부(RP)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면부(RP)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달리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배면부(RP)는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하부면(BDP, 도 1)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하부면(BDP, 도 1)이 탈착 가능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하부면(BDP, 도 1)을 대신하여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배면부(RP)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배면부(RP)가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하부면(BDP, 도 1)을 대신하여 사용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배면부(RP)는 휴대용 단말기(MD, 도 1)와 결합되는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에서 이웃하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코너부(CDP,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연결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의 전면부(FP)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FP)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하나의 측면부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11에서 전면부(FP)는 제2 측면부(SP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부는 제1 측면부(SP1), 제3 측면부(SP3), 또는 제4 측면부(SP4)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에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배면부(RP), 및 전면부(FP)는 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F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에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투명하고, 배면부(RP), 및 전면부(F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전면부(FP)는 투명하고, 배면부(R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는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와 달리 연결부(EP)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EP)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부(EP)는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코너부(CDP, 도 1)를 커버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EP)는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되고 배면부(RP)로부터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배면부(RP), 및 연결부(EP)는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전면부(FP)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하나의 측면부에 연결되고 이와 이웃하는 연결부(EP)의 일부와도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전면부(FP)가 제2 측면부(SP2) 및 제2 측면부(SP2)와 연결된 연결부(EP) 중 일부와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연결된 배면부(RP), 및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EP)로 정의되는 삽입 공간(OS4)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 공간(OS4)에는 휴대용 단말기(MD, 도 1)가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에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투명하고 이웃하는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E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불투명한 연결부(EP)는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배면부(R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으며, 불투명한 배면부(RP) 및 불투명한 연결부(EP)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불투명한 배면부(RP) 및 불투명한 연결부(EP)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연결부(EP)는 배면부(RP) 보다 탄성력이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에서 전면부(FP)는 보조 표시창(W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조 표시창(WP)은 전면부(FP)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FP)는 불투명하고, 전면부에 형성된 보조 표시창(WP)은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MD, 도 1)의 상부면 표시부(TDP, 도 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오픈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보조 표시창(WP)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보조 표시창(WP)은 불투명한 전면부(FP)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보조 표시창(WP)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조 표시창(WP)의 형상이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표시창(WP)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보조 표시창(WP)은 도시된 것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FP)가 커버된 상태에서도 상부면 표시부(TDP, 도 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는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제1 내지 제4의 측면부들(SP1, SP2-b, SP3, SP4)과 연결된 배면부(RP), 및 측면부들(SP1, SP2-b, SP3, SP4)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는 측면부들(SP1, SP2-b, SP3, SP4)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EP)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EP)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3에서, 전면부(FP)는 제2 측면부(SP2-b)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제2 측면부(SP2-b)의 일측은 배면부(RP)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면부(FP)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에서, 제1 측면부(SP1), 및 제3 내지 제4 측면부들(SP3, SP4)은 배면부(RP)로부터 연장되어 제3 방향(DR3)으로 굴곡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제2 측면부(SP2)는 제3 방향(DR3)으로 굴곡되어 고정되지 않으며 배면부(RP)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굴곡면이 없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면부(FP)는 제2 측면부(SP2-b)의 타측과 전체적으로 연결되며 다만 제2 측면부(SP2-b)와 이웃하는 연결부(EP)와는 연결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도 14b는 도 13의 Ⅵ-Ⅵ' 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는 도 1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와 비교하여 제2 측면부(SP2-b)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되어 고정되지 않고 전면부(FP)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같이 펼쳐지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3 및 도 1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는 제2 측면부(SP2-b)가 전면부(FP)와 같이 펼쳐지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전면부(FP)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a)는 전면부(FP)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제2 측면부(SP2)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굴곡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면부(FP)를 오픈한 상태에서도 휴대용 단말기(MD, 도 1) 제2 측면 표시부(SDP2)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 및 도 14b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2b)를 포함한 전자 장치(DD-3)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3)는 상부면 표시부(TDP, 도 1)와 적어도 4개의 측면 표시부(SDP1, SDP2, SDP3, SDP4, 도 1)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커버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 도 1)을 커버하고,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의 전면부(FP)는 상부면 표시부(TDP)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5a는 전면부(FP)가 오픈되어 상부면 표시부(TDP, 도 1)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5b는 전면부(FP)가 상부면 표시부(TDP, 도 1)를 커버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3)에서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모두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면부(FP)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커버(PC-3b)의 배면부(RP)와 연결부(EP)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3)에서는 4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포함하여 상부면 뿐 아니라 측면으로도 이미지를 제공하며, 투명한 측면부들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여 측면 표시부들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측면 표시부들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전면부(FP)는 투명하고 배면부(RP)는 불투명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면부(FP)와 배면부(RP)는 모두 불투명한 것이거나, 또는 전면부(FP)와 배면부(RP)는 모두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4)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4)는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연결된 배면부(RP), 및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FP)는 제4 측면부(SP4)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4)에서 전면부(FP)가 일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면부(FP)는 완전히 오픈될 경우 제1 측면부(SP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제5 방향축(DR5)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전면부(FP)가 제2 측면부(SP2)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도 16a에서는 전면부(FP)가 제4 측면부(SP4)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FP)는 제1 측면부(SP1) 또는 제3 측면부(SP3)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의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18b는 도 1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를 포함한 전자 장치(DD-4)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a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의 상부면이 주로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의 하부면이 주로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는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와 연결된 전면부(FP), 및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과 연결된 배면부(RP-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는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EP-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의 복수 개의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을 커버하고, 전면부(FP)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 표시부(TDP)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전면부(FP)와 측면부들(SP1, SP2, SP3, SP4)은 모두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에서 연결부(EP-5)는 발광 소자(L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에서 배면부(RP)는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소자(LP)는 단일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LP)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의 일체감을 위하여 이웃하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 유사한 색감의 색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소자(LP)에서 방출되는 광은 휴대용 단말기(MD)에 의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에서 발광 소자(LP)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즉, 연결부(EP-5)의 발광 소자(LP)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배면부(RP-5)에 포함될 수 있다.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단일 색의 광 또는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의 일체감을 위하여 이웃하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 유사한 색감의 색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선택한 기호, 문자, 색상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에서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즉, 배면부의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LP) 및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부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소자(LP)는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의 일체감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MD)에서 제공되며, 측면 표시부들(SDP1, SDP2, SDP3, SDP4)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와 연결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부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에서 발광 소자(LP) 및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휴대용 단말기(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MD)에 의해 제어되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DD-4)에서 휴대용 단말기 커버(PC-5)에 포함된 발광 소자(LP)와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는 이미지가 제공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코너부(CDP) 또는 하부면에서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여 전자 장치(DD-4)가 다양한 표시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연결부(EP-5)에 포함된 발광 소자(LP)가 측면 표시부(SDP1, SDP4)와 상부면 표시부(TDP)에서 표시된 색과 동일한 색상을 구현하도록 하여 표시 장치(DD-4)가 제공하는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a에서 상부면 표시부(TDP)에서 표시된 중요 이미지(MIM)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면 표시부(TDP)와 측면 표시부들과 연결부(EP-5)의 발광 소자(LP)에서는 유사한 색감을 갖도록 제어하여 중요 이미지(MIM)를 보다 현실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8b는 전자 장치(DD-4)의 하부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8b에서는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구현하는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b에서 배면 발광 소자들(BLP, BLP-L) 중 "BLP-L"는 광을 발생시키는 소자들이고, "BLP"는 동작하지 않는 발광 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b에서는 예시적으로 "s"자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DD-4)는 하부면에서 다양한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을 배면 발광 소자(BLP, BLP-L)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투명한 측면부를 가짐으로써 측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표시부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측면 표시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4면 이상의 측면 표시부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측면 표시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투과시키는 투명한 측면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DD-1, DD-2, DD-3, DD-4 : 전자 장치
PC, PC-1, PC-2, PC-3, PC-4, PC-5 : 휴대용 단말기 커버
MD : 휴대용 단말기

Claims (24)

  1.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 표시부 전체를 커버하고 투명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4개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복수 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며 투명한 4개의 측면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4개의 측면부들은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측면부들 중 인접한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들,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4개의 측면부들 및 상기 전면부로 정의된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주표시면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부표시면들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주표시면을 커버하고 투명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표시면들을 커버하고 투명한 복수 개의 측면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들은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시면들은 4개의 부표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4개의 부표시면들을 각각 커버하는 4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22. 상부면 표시부, 및 상기 상부면 표시부에서 연장된 적어도 4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상부면 표시부 전체를 커버하고 투명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4개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4개의 측면 표시부들을 커버하며 투명한 4개의 측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4개의 측면부들은 일체의 형상을 이루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표시부들의 표시면은 상기 상부면 표시부의 표시면과 평행하지 않은 전자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커버는 상기 4개의 측면부들 중 이웃하는 측면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되는 전자 장치.
KR1020170113527A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6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27A KR102361003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031,928 US10819380B2 (en) 2017-09-05 2018-07-10 Cover of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8190133.1A EP3449759B1 (en) 2017-09-05 2018-08-22 Cover of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8165287A JP7384555B2 (ja) 2017-09-05 2018-09-04 携帯用端末機カバー及びこれを含む電子装置
TW107130987A TWI794283B (zh) 2017-09-05 2018-09-04 可攜式端子蓋及包含其之電子裝置
CN201811030211.4A CN109428958A (zh) 2017-09-05 2018-09-05 便携式终端盖和包括该盖的电子设备
CN202310079579.4A CN116170529A (zh) 2017-09-05 2018-09-05 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27A KR102361003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56A KR20190027056A (ko) 2019-03-14
KR102361003B1 true KR102361003B1 (ko) 2022-02-11

Family

ID=6336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27A KR102361003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9380B2 (ko)
EP (1) EP3449759B1 (ko)
JP (1) JP7384555B2 (ko)
KR (1) KR102361003B1 (ko)
CN (2) CN109428958A (ko)
TW (1) TWI794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4981B2 (en) * 2015-08-14 2021-05-04 Tap Dispensary Technology, Llc Static and dynamic display dispenser for in-line fluid flow with novel accessories, apparatu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20210011306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3966908A (zh) * 2021-11-25 2022-01-25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设备的多功能放置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69B1 (ko) 2013-01-24 2014-07-23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6087Y1 (ko)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170063423A1 (en) 2015-08-24 2017-03-02 Cery Perle Novel Protective Cell Phone Cas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852A (en) * 1989-04-24 1990-02-20 Motorola, Inc. Protective cover for a pager
GB2328139B (en) * 1995-01-13 1999-06-16 Radley Smith Philip John Bracelet
JP3047512U (ja) * 1997-09-25 1998-04-14 忠士 勝井 携帯電話機用キャリングケース
JP3072881U (ja) * 2000-04-28 2000-11-02 城東工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等の収納ケース
JP2001358814A (ja) 2000-06-12 2001-12-26 Tookado:Kk 携帯電子機器のカバー構造
US20020086711A1 (en) * 2000-12-29 2002-07-04 Gateway, Inc. Portable phone with auxiliary display
US20050024341A1 (en) * 2001-05-16 2005-02-03 Synaptics, Inc.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JP2004004281A (ja) * 2002-05-31 2004-01-0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で用いられる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US6935761B2 (en) * 2003-06-25 2005-08-30 Carl R. Vanderschuit Lighted hat
CN200959612Y (zh) * 2006-10-09 2007-10-10 纪少钦 塑胶手机套
US20080214252A1 (en) 2006-10-13 2008-09-04 Remzi Oten Handheld electronic keypad access case
US7912508B2 (en) * 2006-12-15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US20120052929A1 (en) * 2010-08-31 2012-03-01 Khamvong Thammasouk Interactive phone case
CN202206947U (zh) * 2011-08-22 2012-05-02 孙胜利 一种智能手机保护套
US8665236B2 (en) *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8547695B2 (en) 2011-12-19 2013-10-01 Steve Schroeder Apparatus for protecting a smart device
US8915360B2 (en) 2012-04-11 2014-12-23 Imagine Management, Llc. Case for holding portable digital devices
US8583198B1 (en) * 2012-04-18 2013-11-12 Thomas E. Coverstone A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9300347B1 (en) * 2012-04-18 2016-03-29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A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40008487A (ko) * 2012-07-10 2014-01-21 여창기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US20140162729A1 (en) * 2012-12-10 2014-06-12 Bensussen Deutsch & Associates, Inc Mobile device accessory having a low power drain electronic display
TW201503793A (zh) 2013-03-29 2015-01-16 Toshiba Machine Co Ltd 蓋構件
US9223346B2 (en) * 2013-08-27 2015-12-29 Wimo Labs LLC Mobile device case
MY171500A (en) 2013-10-14 2019-10-15 Chee Tieng Wong A functional flip cover protective case with physical keypad for smart phone devices
US20150156143A1 (en) 2013-12-02 2015-06-04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de display on a multi-display mobile device
US20150311937A1 (en) 2014-04-23 2015-10-29 Jason Jin Chel Lee Sliding Front Cover Cases for Smart phone & Tablet
KR102152733B1 (ko)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60750B1 (en) 2014-06-27 2019-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24161B1 (ko) 2014-06-27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5671181B1 (ja) 2014-08-14 2015-02-18 光一 上石 携帯型電子機器用プライバシー保護機能付きクレードル
US10509439B2 (en) *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14151B2 (en) * 2014-09-26 2017-11-07 Nlu Products, L.L.C. Mobile electronic device faceplate border and related methods
KR101620780B1 (ko)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KR101620781B1 (ko)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보안창을 갖는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TW201630500A (zh) * 2015-02-02 2016-08-16 Ge-Chang Zhang 具嵌卡式彈性緩衝片之保護套
JP5841681B1 (ja) * 2015-02-26 2016-01-13 株式会社パワーサポート 保護具
US20160254835A1 (en) * 2015-02-27 2016-09-01 M-Edg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73192B2 (en) * 2015-03-10 2016-10-18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having cover with opaque and transparent regions
CN204669459U (zh) * 2015-05-29 2015-09-23 东莞颠覆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带侧面触摸板的手机
KR20170012908A (ko) * 2015-07-27 2017-02-06 하정구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US9882596B2 (en) * 2015-08-19 2018-01-30 Pelican Products, Inc.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DE202016101134U1 (de) * 2016-03-02 2017-06-06 Thomas Haug Schutz-/Bedienungsaufnah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69B1 (ko) 2013-01-24 2014-07-23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6087Y1 (ko)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170063423A1 (en) 2015-08-24 2017-03-02 Cery Perle Novel Protective Cell Phon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9759B1 (en) 2022-05-18
EP3449759A1 (en) 2019-03-06
TWI794283B (zh) 2023-03-01
US20190074859A1 (en) 2019-03-07
CN116170529A (zh) 2023-05-26
CN109428958A (zh) 2019-03-05
JP2019047499A (ja) 2019-03-22
US10819380B2 (en) 2020-10-27
TW201921217A (zh) 2019-06-01
JP7384555B2 (ja) 2023-11-21
KR20190027056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003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77570B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keys with coherent fiber bundles
KR20230019903A (ko) 정보 처리 장치
KR102118766B1 (ko) 투명 커버를 갖는 전자-광학 디스플레이 조립체
CN109073926B (zh) 具有弯曲边缘的无边界显示器
KR102650172B1 (ko) 표시장치
KR20100092220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08617116A (zh) 电子装置
EP3671703A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CN102376748A (zh) 外挂式触摸屏面板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结构
CN105700728A (zh) 电子显示模块及电子装置
WO1994022069A1 (en) Extended touch screen
CN107195248A (zh) 光学组件和显示装置
CN109116561B (zh) 头戴式显示系统
KR20240000441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0310645B2 (en) Display window with light steering
KR102383915B1 (ko) 표시 장치
CN110099149B (zh) 面板组件、显示模组及电子装置
US20080284732A1 (en) Computer mouse bearing personalized and replaceable graphical indicia
KR20170111557A (ko) 커버창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KR102556543B1 (ko) 전자 장치
CN105093621A (zh) 一种抗破片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20210019637A (ko) 표시 장치
US20200150498A1 (en) Display,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KR10243170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