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908A -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2908A KR20170012908A KR1020150105546A KR20150105546A KR20170012908A KR 20170012908 A KR20170012908 A KR 20170012908A KR 1020150105546 A KR1020150105546 A KR 1020150105546A KR 20150105546 A KR20150105546 A KR 20150105546A KR 20170012908 A KR20170012908 A KR 201700129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device
- case
- portable terminal
- lid
- smart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고 휴대단말장치를 넣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일체형 케이스 구조를 가지며, 전체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을 열면 휴대단말장치를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휴대단말장치를 삽입한 다음 상기 뚜껑을 닫으면 내부면 전체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외부면과 밀착하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휴대단말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정 보호 필름과 케이스가 일체형으로 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는 파손되거나 긁히거나 흠집이 나면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게 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점착층이 도포된 얇고 투명한 액정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종래의 스마트폰 액정 보호 필름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된다. 그래야만 쉽게 디스플레이에 붙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액정 보호 필름을 디스플레이 크기에 딱 맞게 제작하면 부착시 약간의 틀어짐도 허용되지 않으므로 액정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액정 보호 필름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작게 하면 액정 보호 필름을 붙이기는 용이하지만,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때 액정 보호 필름이 붙어있지 않은 테두리 부분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액정이 파손될 수 있다. 액정 보호 필름을 붙였음에도 스마트폰 액정이 깨지는 이유는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테두리 부위의 영향이 크다.
또한, 액정 보호 필름은 두껍게 할수록 액정 보호력이 높아지고 액정 보호 필름에 긁힘이 적게 생기는 장점이 있으나, 액정 보호 필름을 두껍게 하면 부착된 액정 보호 필름 테두리 부분이 외부 물체에 쉽게 걸려서 보호 필름이 떨어져 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액정 보호 필름의 두께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은 본체의 보호를 위해 통상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씌워서 사용한다.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 뒷면을 감싸고 수첩 덮개처럼 액정 부분을 덮을 수 있는 구조의 플립케이스, 플립케이스 중 액정 덮개 부분이 없는 형태의 젤리 케이스 및 스마트폰의 테두리만 감싸는 형태의 범퍼케이스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 고유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얇은 투명막 형태로 제작하는 데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어서 두꺼우면서 탄력이 있는 젤리 케이스가 흔히 사용된다. 투명 젤리 케이스의 경우 사용 초기에는 투명도를 유지하다가 사용할수록 열과 자외선에 의한 황변 현상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불투명 젤리케이스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나, 불투명한 케이스 사용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이 무의미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 얇게 제작하면 액정 테두리부의 탄력이 저하되어 헐거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케이스가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있게 하기 위해서 탄력이 있는 소재를 선택하다보니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신 필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전신 필름은 스마트폰을 육면체라고 할 때 6개의 재단된 점착층이 있는 투명한 필름을 스마트폰 각 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전신필름은 장시간 사용 시 모서리 부분이 조금씩 벗겨지기 시작하여 지저분해지고, 재단면에 먼지가 붙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장치가 육면체라고 할 때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충력이나 긁힘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신 필름은 얇아서 충격에 대한 단말장치 보호력이 낮은데, 전신 필름을 얇게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전신 필름을 두껍게 만들수록 필름 테두리 부분이 외부에 쉽게 걸려서 전신 필름이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신 필름의 두께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액정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보호막을 편리하게 붙일 수 있으며 쉽게 이탈하지 않고 휴대단말장치 고유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고 휴대단말장치를 넣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일체형 케이스 구조를 가지며, 전체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을 열면 휴대단말장치를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휴대단말장치를 삽입한 다음 상기 뚜껑을 닫으면 내부면 전체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외부면과 밀착하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내부면들 중에서 휴대단말장치를 삽입하면 휴대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밀착되는 면에 액체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은 힌지식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뚜껑과 맞닿는 부분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밀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뻗도록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는 충격흡수용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의하면 종래의 액정 보호 필름과는 달리 디스플레이 테두리부에 붙여지지 않는 빈 공간이 없으며, 필름 자체를 두껍게 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 액정의 보호 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케이스 안쪽 액정이 밀착될 부위에 액체를 미리 도포하여 스마트폰을 밀어 넣는 경우 먼지가 유입될 공간이 작기 때문에 액정부 표면에 먼지가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액정 보호 필름은 점착층이 존재하므로 기포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먼지 유입이나 기포 유입 등으로 부착 실패할 경우 그대로 사용하거나 액정 보호 필름을 떼어서 폐기 후 새로운 액정 보호 필름을 부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점착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척 후 부착을 재시도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액정 보호 필름은 장시간 부착 후 떠어내면 액정 보호 필름의 점착층이 부분적으로 눌러 붙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은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 붙는 구조이므로 눌러 붙는 현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립 케이스의 경우 전체적으로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별도의 액정 보호 플립 커버가 없어서 케이스를 얇게 만들어도 되기 때문에 휴대성 및 그립감이 향상되고 슬림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립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마다 플립 커버를 열고 닫아야 하므로 불편하고, 통화시에도 플립커버가 덜렁거리는 불편함이 있으며, 플립 커버가 없는 일반 젤리 케이스의 경우 사용은 편리하지만 액정 보호 필름 테두리 빈 공간으로 인해 액정 보호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액정 보호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경우 소재의 탄력이 없어도 케이스가 쉽게 벗겨지는 구조가 아니므로 케이스의 소재 선택이 자유롭고, 스마트폰의 고유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얇고 투명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황변 현상이 없는 액정 보호용 필름과 동일한 소재로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충격을 강하게 받아도 케이스가 쉽게 벗겨질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2차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장착한 경우라도 버튼 사이, 액정 사이, 케이스 조립면 및 기타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어 스마트폰의 노후화 및 고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여서 스마트폰 내부로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6개로 재단된 필름을 부착하는 전신 필름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모서리 부분이 벗겨지기 시작하여 지저분하게 되고, 재단면에 먼지가 붙어 지저분해지고, 모서리 부분에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 생겨서 충격이나 긁힘에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종래의 전신 필름처럼 단말장치 고유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필름 두께를 높일 수 있어서 충격 및 긁힘에 대한 보호력은 종래의 전신필름보다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모든 면을 케이스가 감싸고 있어서 주기적으로 케이스만 벗겨서 세척을 하면 세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액정 보호 필름과 케이스 두 개를 모두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제품만 구입하면 되므로 소비자 입장에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가 장착된 스마트폰에 국부적으로 액체가 묻더라도 일체형 케이스에 의한 방수 효과가 있어서 액체 침투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양쪽 면에 장착된 휴대단말장치 또는 1면 이상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단말장치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후면부에 APU가 장착되어 있어서 고사양 스마트폰일수록 발열 문제가 있는데, 종래의 케이스는 대부분 후면부가 두껍기 때문에 보온 효과가 있어서 스마트폰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케이스 전체를 필름처럼 얇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보호하면서도 APU 보온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휴대단말장치를 넣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평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휴대단말장치에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에 휴대단말장치를 넣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평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휴대단말장치에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를 앞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와 뚜껑(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의 케이스 본체(10)와 상부의 뚜껑(2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케이스는 전체가 투명한 담뱃갑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즉, 뚜껑(20)은 전후 방향으로 넓게 펴진 평면으로 자를 때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도록 하면이 개구되고 하단 모서리 중 전단 모서리만 케이스 본체(20)의 상단 모서리에 결합되어 힌지식 뚜껑의 구조를 가지며, 힌지 운동을 함으로써 뚜껑(20)을 열고 닫을 수 있는데 뚜껑(20)을 열면 케이스 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이 상방으로 노출되어 개구부(30)를 형성하며, 개구부(30)을 통해 스마트폰을 집어넣거나 뺄 수 있다.
뚜껑(20)의 닫힌 상태에서의 케이스 본체(10)와 뚜껑(20)의 결합체는 바깥에서 볼 때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도 직육면체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 등 여섯 개의 면이 일체형으로 된 하우징 구조를 가지며, 상단부의 뚜껑(20)만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를 케이스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뚜껑(20)을 닫으면 케이스의 6개의 내부면 전체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의 6개의 외부면 전체와 일대일로 밀착하며 접하면서 케이스가 휴대단말장치 전체를 감싸도록 케이스의 형태 및 크기를 구성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의 케이스의 외곽은 직육면체가 되고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밀폐된 직육면체의 공간이 되지만, 케이스의 형태 및 구조는 스마트폰의 외형과 일치되어야 하므로 케이스가 직육면체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뚜껑(20)을 닫으면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휴대단말장치의 이어폰 단자 구멍이나 전원 단자 구멍 등과 통하는 관통 구멍이 케이스에 형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완전 밀폐는 아닐 수 있으나, 무선충전기술, 블루투스 이어폰 등 전자통신기술이 발전되고 상용화된다면 케이스의 완전 밀폐 및 방수 방진 기능도 적용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0)와 뚜껑(20)은 모두 투명 필름으로 제작하는데, 내부에 들어있는 스마트폰의 보호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소 두껍게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모서리들 중 휴대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밀착되는 면의 외곽 모서리를 따라 길게 뻗도록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는 충격흡수용 돌출부(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단면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인데, 도 4a 내지 도 4c의 경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모서리들 중 휴대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밀착되는 전면의 좌측단 모서리와 우측단 모서리 각각에 결합하여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길게 뻗는 충격흡수용 돌출부(11)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충격흡수용 돌출부(11)는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며, 충격흡수용 돌출부(11)가 구비되는 경우 보통 디스플레이면이 똑바로 지면과 부딪히지 않고 비스듬하게 떨어지는데, 이 경우 충격흡수용 돌출부(11)가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스마트폰 낙하에 따른 액정 파손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을 케이스 내부 공간에 완전히 끼워 넣은 다음 뚜껑(20)을 닫고 사용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 뒤편에 위치하는 뚜껑(20)의 후면 일부와 뚜껑(20)과 맞닿아서 다물어지는 부분의 케이스 본체(10)의 후면 일부에 동시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40)를 붙임으로써 뚜껑(20)이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20)을 열리지 않게 하는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접착 테이프(40) 이외에도 스티커, 벨크로, 스냅단추, 단추, 지퍼 등을 사용하거나 끈으로 결속해주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케이스에 휴대단말장치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의 내부면 중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과 접하게 될 케이스의 전면부 내측면에 액체(50)를 도포한다. 액체(50)는 물을 사용하면 된다.
액체(5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만 도포해두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이 개구부(30)를 통해 삽입되는 것과 함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이 액체(50)를 밀어내리면서 스마트폰 액정 전체에 물이 골고루 펴지게 되며 액체(50)의 표면 장력에 의해 케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가 스마트폰과 밀착된다.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한번 액정에 부착된 필름은 액정과 떨어지지 않는다.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해서 비닐 등을 부착시키는 기술은 자동차 선팅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창문에 선팅을 할 때 물만 이용하여 비닐을 부착하는데,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하면이 케이스의 바닥과 밀착될 때까지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삽입한 다음, 고무로 된 스퀴지(squeegee)로 케이스 표면을 문질러서 골고루 잘 붙게 한 다음, 뚜껑(20)을 덮은 다음 접착 테이프(40)를 뒷면에 붙여서 뚜껑(20)이 열리지 않게 고정한다.
스마트폰을 케이스에서 꺼낼 필요가 있을 때는 접착 테이프(40)를 떼고 뚜껑을 열어 스마트폰을 빼내면 되며, 종전의 액정 필름과 같은 끈적끈적한 점착층이 없으므로 반복적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주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되고, 휴대폰, PMP,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기, 네비게이션, 휴대용 의료기기, 태블릿PC 등 다양한 휴대 단말장치에 사용하는 케이스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본체
11: 충격 흡수용 돌출부
20: 뚜껑 30: 개구부
40: 접착 테이프 50: 액체
20: 뚜껑 30: 개구부
40: 접착 테이프 50: 액체
Claims (5)
-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고 휴대단말장치를 넣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일체형 케이스 구조를 가지며,
전체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을 열면 휴대단말장치를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휴대단말장치를 삽입한 다음 상기 뚜껑을 닫으면 내부면 전체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외부면과 밀착하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내부면들 중에서 휴대단말장치를 삽입하면 휴대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밀착되는 면에 액체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힌지식 뚜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뚜껑과 맞닿는 부분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밀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뻗도록 상기 휴대단말장치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는 충격흡수용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546A KR20170012908A (ko) | 2015-07-27 | 2015-07-27 |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546A KR20170012908A (ko) | 2015-07-27 | 2015-07-27 |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908A true KR20170012908A (ko) | 2017-02-06 |
Family
ID=5810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5546A KR20170012908A (ko) | 2015-07-27 | 2015-07-27 |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290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7056A (ko) * | 2017-09-05 | 2019-03-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5
- 2015-07-27 KR KR1020150105546A patent/KR201700129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7056A (ko) * | 2017-09-05 | 2019-03-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TWI794283B (zh) * | 2017-09-05 | 2023-03-01 | 南韓商三星顯示器有限公司 | 可攜式端子蓋及包含其之電子裝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92579C (en) |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 |
TWI580333B (zh) |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保護殼體結構 | |
US8326383B1 (en) |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TWI604347B (zh) | 用於手持式電子裝置之觸控螢幕保護器、用於保護手持式電子裝置之觸控螢幕的方法及手持式觸控螢幕電子裝置 | |
KR101027766B1 (ko) | 휴대용 단말기 보호방수용 패키지 | |
KR101718084B1 (ko) | 액정화면 보호필름 부착장치 | |
KR20120097805A (ko) | 휴대기기용 방수팩 | |
CN107770310B (zh) | 一种移动终端 | |
KR101348712B1 (ko) |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 |
TWM467350U (zh) | 防水密封式電子產品保護裝置 | |
KR20170012908A (ko) | 휴대단말장치 케이스 | |
JP2013201739A (ja) | 携帯電子機器用保護カバー | |
KR20170063278A (ko) |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 |
KR101921051B1 (ko) |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 |
JP2017046087A (ja) | 携帯端末ケース | |
CN204560071U (zh) | 电子产品屏幕保护装置 | |
CN210721307U (zh) | 一种移动终端设备功能壳 | |
JP2013156336A (ja) | 電子機器用の防水ケース | |
TW201441787A (zh) | 電子裝置保護殼 | |
KR101437680B1 (ko) | 휴대폰 케이스의 거울 장착구조 | |
CN216217021U (zh) | 一种可适配多种手机机型的手机壳 | |
KR101604767B1 (ko) | 스마트폰 케이스 | |
CN206060884U (zh) | 一种手机保护壳 | |
CN205920297U (zh) | 用于显示模组的框架组件及显示装置 | |
KR20210044612A (ko) |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