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54B1 -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54B1
KR102360954B1 KR1020210143028A KR20210143028A KR102360954B1 KR 102360954 B1 KR102360954 B1 KR 102360954B1 KR 1020210143028 A KR1020210143028 A KR 1020210143028A KR 20210143028 A KR20210143028 A KR 20210143028A KR 102360954 B1 KR102360954 B1 KR 10236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rolling
head roller
rollable
reliability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422A (ko
Inventor
한관영
김영균
최윤기
윤경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디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57Densitometers using an image detector type detector, e.g. CC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6Combination of several types of applied forces
    • G01N2203/0028Rotation and 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롤링동작을 반복하면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자신의 외주면에 감았다 풀어주는 롤링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 상기 헤드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타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롤러의 롤링동작에 대응하여 진퇴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가변지지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광원의 반대편에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EVALUATION EQUIPMENT FOR EVALUATING THE ROLLING RELIABILITY OF ROLLABLE DISPLAYS WITH A HEAD ROLLER CAPABLE OF INSERTING AND SUPPORTING A DISPLAY SUBSTRATE IN A WINDING DIRE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롤링동작을 반복하면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가 발전하면서 평판형에서 곡면형, 폴더블형으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롤러블형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롤러블형으로 디스플레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용 도중에 디스플레이 기판이 손상되거나 크랙이 발생하여 광투과율이 감소하거나 화질이 흐려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업체, 필름 제조업체,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제작업체, OCA 제조업체 등에서는 평가장치를 구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반복적인 롤링동작에 따른 롤링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 OLED 플렉시블 기판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는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롤링 신뢰성을 본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장치는 없었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반복적으로 롤링하면서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5302호(2019.0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롤링동작을 반복하면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자신의 외주면에 감았다 풀어주는 롤링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 상기 헤드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타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롤러의 롤링동작에 대응하여 진퇴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가변지지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광원의 반대편에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롤러는 종방향으로 2분할된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되고 남은 부위에 서로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의 양측단부와 상기 제2평면부의 양측단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면서 체결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랜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헤드롤러의 제1접촉면에는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와 요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롤러의 제2접촉면에는 상기 제1접촉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요홈부와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는 돌출부와 요홈부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변지지대를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상기 가변지지대와 함께 진퇴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을 디스플레이 기판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기판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3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여 상기 광원과 카메라가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하여 광투과율 및 헤이지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롤링 횟수가 입력되면 제어기는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롤링시키면서 디스플레이 기판을 입력된 롤링 횟수만큼 감았다 풀어주도록 제어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롤링이 반복될 때마다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를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측정지점 좌표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입력된 좌표값의 측정지점을 추적하여 해당 측정지점의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를 반복하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롤러의 양단부에는 피니언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헤드롤러의 롤링동작에 의해 진퇴동작을 반복하는 래크를 구비하되, 상기 래크의 타단부에는 가변지지대가 결합되어 래크를 따라 함께 진퇴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롤링동작을 반복하면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헤드롤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헤드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변형된 헤드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가변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래크 앤 피니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롤링 횟수에 따른 광투과율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한 그래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롤링 횟수에 따른 헤이즈 수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한 그래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헤드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헤드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서 변형된 헤드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는 헤드롤러(110)와, 가변지지대(120), 광원(130a), 카메라(130b), 모터(140), 장치본체(15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이들 주요 구성요소들을 통해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RD)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롤링동작을 반복하면서 디스플레이 기판(RD)에 대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헤드롤러(110)는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기판(RD)을 자신의 외주면에 감았다 풀어주는 롤링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롤러(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종방향으로 2분할된 제1헤드롤러(110a)와 제2헤드롤러(11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헤드롤러(110a)와 제2헤드롤러(110b)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11a)와 요홈부(111b)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RD)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헤드롤러(110a)와 제2헤드롤러(110b)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돌출부(111a)와 요홈부(111b)가 형성되고 남은 부위에 서로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제1평면부(112a)와 제2평면부(112b)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면부(112a)의 양측단부와 상기 제2평면부(112b)의 양측단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면서 체결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랜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3)의 경우 볼트공을 구비하고 있어서 간단히 볼트체결을 통해 제1헤드롤러(110a)와 제2헤드롤러(110b)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같은 헤드롤러(110)의 구성에 따르면 제1헤드롤러(110a)와 제2헤드롤러(110b)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 각각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11a)와 그에 대응하는 요홈부(111b)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간단히 끼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에서 특히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 각각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11a)와 그에 대응하는 요홈부(111b)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할 때 헤드롤러(110) 외주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가 세워진 상태로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어느 정도 눕혀진 상태로 끼워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판(RD)을 헤드롤러(110)에 감을 때 일단부를 기점으로 급격히 절곡하지 않고 감기는 방향에 순응하여 손상 없이 자연스럽게 감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헤드롤러(110)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없이도 디스플레이 일단부를 간단히 끼워 지지할 수 있어서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사용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기판(RD)에 야기되는 예측하기 어려운 중량변화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헤드롤러(110)에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는 것에 따른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롤러(1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된 태극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로 대면하는 제1헤드롤러(110a)의 제1접촉면에는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11a)와 요홈부(111b)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롤러(110b)의 제2접촉면에는 상기 제1접촉면에 형성된 돌출부(111a)와 요홈부(111b)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요홈부(111b)와 돌출부(111a)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는 돌출부(111a)와 요홈부(111b)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RD)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다. 이같은 변형된 형태의 헤드롤러(110)의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변형 전 헤드롤러(110)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감을 수 있다는 점에서 대동소이하다.
상기 가변지지대(120)는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헤드롤러(110)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기판(RD)의 타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롤러(110)의 롤링동작에 대응하여 진퇴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도 5b와 같이 상기 헤드롤러(110)가 정방향으로 롤링하여 디스플레이 기판(RD)을 감아주면 상기 가변지지대(120)는 헤드롤러(110)측으로 전진하고 반대로 도 5a와 같이 헤드롤러(110)가 역방향으로 롤링하여 감겨있던 디스플레이 기판(RD)을 풀어주면 상기 가변지지대(120)는 헤드롤러(110)측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가변지지대(1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눕혀진 사각기둥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상부몸체(120a)와 하부몸체(120b)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몸체(120a)와 하부몸체(120b)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판(RD)의 타단부를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변지지대(120)의 상부몸체(120a)와 하부몸체(120b)는 양단부에 볼트공이 구비되어 간단히 볼트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변지지대(120)의 진퇴동작을 위해서 가변지지대(120)를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상기 가변지지대(120)와 함께 진퇴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부재(161b)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161b)의 양측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61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161b) 및 가변지지대(120)의 진퇴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의 경우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거나,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경우 중간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벨트, 체인, 폴리, 기어 등의 일반적인 동력 전달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이같은 구동수단의 경우 공지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변지지대(120)의 진퇴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래크(170b) 앤 피니언(170a) 구조를 이용한 독창적인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헤드롤러(110)의 양단부에는 피니언(170a)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래크(170b)는 상기 피니언(170a)과 치합되어 헤드롤러(110)의 롤링동작에 의해 진퇴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래크(170b)의 타단부에는 가변지지대(120)가 결합되어 진퇴동작하는 래크(170b)를 따라 함께 진퇴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래크(170b) 앤 피니언(170a) 조합을 통해 헤드롤러(110)와 가변지지대(120)가 연결되면 별도의 구동수단을 추가 설치할 필요 없이 헤드롤러(110)를 롤링시켜 주는 모터(140) 하나만으로 가변지지대(120)까지 진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광원(130a)과 카메라(130b)는 디스플레이 기판(RD)을 중심으로 하측과 상측에 설치되어 광원(130a)이 디스플레이 기판(RD)을 향해 빛을 조사하면 그 반대편에서는 카메라(130b)가 촬영하여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130a)을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162)과, 상기 카메라(130b)를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3가이드레일(163)을 더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광원(130a)과 카메라(130b)가 각각 제2가이드레일(162)과 제3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이동하여 진퇴동작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광원(130a) 및 카메라(130b)가 헤드롤러(110)에 감기고 풀리면서 변위되는 디스플레이 기판(RD)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특정 좌표값의 측정지점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반복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광원(130a)과 카메라(130b)가 각각 진퇴동작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구동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광원(130a)과 카메라(130b)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경우에도 가변지지대(120)를 진퇴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마찬가지로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거나,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경우 중간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벨트, 체인, 폴리, 기어 등의 일반적인 동력 전달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이같은 구동수단의 경우 공지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본체(150)는 구조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구성요소들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본체(150)는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롤러(110) 및 모터(140), 제1가이드레일(161a)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 지지체(153a)와 상기 제3가이드레일(163)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프레임 어셈블리(153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150)에는 장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제어기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입력 가능한 터치패널로 구비된 표시창(151)과 조작버튼(152)이 설치된다. 이같은 장치본체(150)의 표시창(151)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판(RD)에 대한 롤링 횟수를 입력하면 제어기가 모터(14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헤드롤러(110)의 롤링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RD)을 입력된 롤링 횟수만큼 감았다 풀어주게 된다. 이때 광원(130a)과 카메라(130b)는 진퇴동작을 반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RD)의 지정된 좌표 지점을 추적하여 이동하면서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를 측정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해당 디스플레이 기판(RD)에 대해 측정된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 이미지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표시창(151)을 통해서는 롤링 횟수와 그에 해당하는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 변화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실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의 신뢰성 특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이때 사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은 고분자필름과 UTG(Ultra Thin Glass)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평가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롤링 횟수를 10,000회부터 100,000회까지 변화시켜가면서 그 사이에 디스플레이 기판의 변화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였다. 첫 번째로는 롤링 횟수에 따른 광투과율을 측정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롤링 횟수에 따른 헤이즈(HAZE) 수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광투과율은 롤링 횟수가 60,000까지는 변화 없이 95% 이상을 유지하다가 70,000회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여 91~93% 수준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롤링 횟수 70,000회부터 디스플레이 기판의 UTG에 마이크로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하거나 고분자필름과 UTG 사이에 들뜸과 같이 광투과율을 저해하는 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서 헤이즈 수치도 롤링 횟수 70,000회부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고분자필름 내부 또는 고분자필름과 UTG를 접합하는 접착층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현미경 500배로 검사한 결과 고분자필름과 UTG 사이의 접착층에서 변화가 왔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롤링 횟수 70,000회부터 양면테이프로 구비된 접착층이 중간에서 롤링동작 반복에 따른 인장력과 수축력을 견디지 못하고 접착기능이 떨어지면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악화시킨 것이다. 이렇게 광투과율이 문제가 된 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보면 고분자 필름과 UTG 사이가 부풀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롤링 횟수를 입력하여 세팅하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롤링 횟수에 따른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롤링 신뢰성 평가를 정밀하면서도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헤드롤러 111a: 돌출부
111b: 요홈부 112a: 제1평면부
112b: 제2평면부 120: 가변지지대
130a: 광원 130b: 카메라
140: 모터 150: 장치본체

Claims (7)

  1.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롤링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로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자신의 외주면에 감았다 풀어주는 롤링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 상기 헤드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타단부를 붙잡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롤러의 롤링동작에 대응하여 진퇴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가변지지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광원의 반대편에서 광투과율 및 헤이즈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롤러는 종방향으로 2분할된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일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롤러와 제2헤드롤러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되고 남은 부위에 서로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의 양측단부와 상기 제2평면부의 양측단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면서 체결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랜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변지지대를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상기 가변지지대와 함께 진퇴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디스플레이 기판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기판의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3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여 상기 광원과 카메라가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하여 광투과율 및 헤이지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롤링 횟수가 입력되면 제어기는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롤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롤링시키면서 디스플레이 기판을 입력된 롤링 횟수만큼 감았다 풀어주도록 제어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롤링이 반복될 때마다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를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판의 측정지점 좌표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입력된 좌표값의 측정지점을 추적하여 해당 측정지점의 광투과율과 헤이즈 수치를 반복하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롤러의 양단부에는 피니언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헤드롤러의 롤링동작에 의해 진퇴동작을 반복하는 래크를 구비하되, 상기 래크의 타단부에는 가변지지대가 결합되어 래크를 따라 함께 진퇴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KR1020210143028A 2020-06-08 2021-10-25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KR10236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28A KR102360954B1 (ko) 2020-06-08 2021-10-25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63A KR102360943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KR1020210143028A KR102360954B1 (ko) 2020-06-08 2021-10-25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63A Division KR102360943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422A KR20210152422A (ko) 2021-12-15
KR102360954B1 true KR102360954B1 (ko) 2022-02-14

Family

ID=788657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63A KR102360943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KR1020210143028A KR102360954B1 (ko) 2020-06-08 2021-10-25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63A KR102360943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09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079B1 (ko) 2014-06-25 2016-05-04 (주)에이치피케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302B1 (ko) * 2011-05-13 2017-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기판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1961222B1 (ko) 2017-07-06 2019-03-22 (주)에이엔에이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KR102086705B1 (ko) * 2018-05-14 2020-03-09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JP6541856B1 (ja) * 2018-10-02 2019-07-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079B1 (ko) 2014-06-25 2016-05-04 (주)에이치피케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422A (ko) 2021-12-15
KR102360943B1 (ko) 2022-02-10
KR20210152276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2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CN107545849B (zh) 柔性显示装置
US10347160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CN110006739B (zh) 用于柔性装置的测试设备
US9980373B2 (en) Foldable display
CN110534024A (zh) 可卷曲的显示装置
CN108829187B (zh) 显示系统
CN108665812B (zh) 一种弯曲装置及显示设备
CN110178011A (zh)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KR2016000092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161807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CN113112920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529776A (ja) 巻くことができる電子パネル装置
CN113129758B (zh) 显示装置
CN110580858A (zh) 滑板式支撑结构及柔性显示装置
KR20130111786A (ko) 유연 기판과 유연 표시소자의 벤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2360954B1 (ko) 디스플레이 기판을 감기는 방향으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롤러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CN210324969U (zh) 滑板式支撑结构及柔性显示装置
KR20230119242A (ko) 플렉시블 스크린 지지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86705B1 (ko)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KR1016808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CN109724999A (zh) 玻璃基板检测装置
KR20230074821A (ko)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KR20200028647A (ko) 케이블 병렬 로봇의 손상케이블 자가 복구 시스템
KR102348742B1 (ko)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롤링장치 및 평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