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821A -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821A
KR20230074821A KR1020237015998A KR20237015998A KR20230074821A KR 20230074821 A KR20230074821 A KR 20230074821A KR 1020237015998 A KR1020237015998 A KR 1020237015998A KR 20237015998 A KR20237015998 A KR 20237015998A KR 20230074821 A KR20230074821 A KR 2023007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state
display panel
sup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송 얀
푸 랴오
리웨이 딩
용펑 쟈오
홍치 호우
젱 리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7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1), 지지층(2) 및 회전축(3)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1)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시면 및 비표시면을 포함하며, 지지층(2)은 표시 패널(1)의 비표시면에 배치되고, 지지층(2)은 표시 패널(1)과 이격되는 제1면(21)을 가지며, 제1면(21)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형상부(22)가 배치되며, 회전축(3)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형상부(31)를 구비하며,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은 회전축(3)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1면(21)의 제1 형상부(22)와 회전축(3)의 제2 형상부(31)는 협동하며, 표시 패널(1)은 제1 상태(S1)의 부분과 제2 상태(S2)의 부분을 포함하고, 회전축(3)의 회전은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지지층(2)이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표시 패널(1)의 일부를 제1 상태(S1)와 제2 상태(S2) 사이에서 전환시킨다.

Description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본원은 2021년 1월 29일에 제출된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013072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원은 전자 제품 기술분 야에 속하며, 특히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현재 출시 및 전시되고 있는 전자기기들은 접이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2단 접이식(내측 접이, 외측 접이) 및 3단 접이식(더블 내측 접이, 더블 외측 접이, 내외측 접이) 등 형태로 나뉘고, 폴더블 화면 형식을 통해 수요에 따라 화면 크기를 전환하며, 사용 상태에서는 접이 부분을 전개하여 큰 화면을 얻을 수 있어 보기 편리하고, 비사용 상태에서는 접을 수 있기에 휴대하기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폴더블 화면은 접히는 위치에 주름이 생기기 쉬우며, 나아가 표시 화면의 표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화면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모듈 솔루션이 시급하다.
본원 실시예는 슬라이딩 슬립에 의해 표시 패널의 가시 면적의 변화를 구현하는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실시예의 일 양태는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바, 해당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지지층 및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시면 및 비표시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는 제1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형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형상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층과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 형상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2 형상부는 협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상태의 부분과 제2 상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은 협동하는 상기 제1 형상부와 상기 제2 형상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지지층이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킨다.
본원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표시 장치는 상술한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지지층 및 회전축을 포함하고, 회전축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형상부를 구비하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표시면과 비표시면을 포함하고, 지지층은 표시 패널과 이격되는 제1면을 가지며,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형상부가 배치되고, 지지층과 표시 패널은 회전축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1면의 제1 형상부와 회전축의 제2 형상부는 협동하며, 표시 패널은 제1 상태의 부분과 제2 상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협동하는 제1 형상부와 제2 형상부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할 때 협동하는 제1 형상부와 제2 형상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지지층이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표시 패널의 일부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킨다. 표시 패널에서 제1 상태의 부분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지지층의 배치로 인해, 회전축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표시 패널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표시 패널이 반복적인 사용으로 쉽게 주름지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에 협동하는 제1 형상부 및 제2 형상부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슬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협동하는 위치를 지지층에 위치시킴으로써, 운동 과정에서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힘이 표시 패널의 접이 부분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해당 위치의 표시 패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고, 표시 모듈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패널 및 지지층의 전개 상태에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표시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지지층의 전개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지지층 부분의 접이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지지층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을 프레임에 장착한 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또 다른 표시 모듈을 프레임에 장착한 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을 프레임에 장착한 후의 배면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관계 용어는 하나의 실체 또는 작업을 다른 실체 또는 작업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러한 실체 또는 작업 간에 임의의 어떤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또한, 용어 "포함”, "함유”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체는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고 또한 이런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는 비배타적 포함을 의미한다. 추가 제한이 없는 한 "????포함”라는 표현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11과 결합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실시예는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바, 해당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1)을 포함하고, 해당 표시 패널(1)은 절곡 변형 능력을 갖는 플렉시블 패널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에서 노출되는 화면 면적의 크기는 접이, 슬립 등 조작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1)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시면 및 비표시면(11)을 가지며, 표시 모듈은 지지층(2)을 포함하고, 지지층(2)은 표시 패널(1)의 비표시면(11)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1)을 지지한다. 지지층(2)은 표시 패널(1)과 이격되는 제1면(21)을 가지며, 제1면(21)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형상부(22)가 배치된다. 표시 모듈은 회전축(3)을 포함하고, 회전축(3)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형상부(31)가 배치되며,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은 회전축(3)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1면(21)의 제1 형상부(22)는 회전축(3)의 제2 형상부(31)와 협동한다. 표시 패널(1)은 제1 상태(S1)의 부분과 제2 상태(S2)의 부분을 포함하며, 회전축(3)의 회전은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지지층(2)이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표시 패널(1)의 일부를 제1 상태(S1)와 제2 상태(S2) 사이에서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상태(S1)는 볼 수 있는 가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상태(S2)는 보이지 않는 수납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3)의 회전에 의해,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가 서로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표시 패널 중 가시 상태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수납 상태 부분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1)의 화면 면적이 커지게 하거나, 또는 가시 상태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수납 상태에 있는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켜 표시 패널(1)의 화면 면적이 작아지게 한다. 또한, 제1 상태(S1)를 볼 수 있는 가시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더하여, 제2 상태(S2)의 일부 표시 패널에는 적어도 일부가 볼 수 있는 부가적인 가시 부분을 더 배치할 수 있어, 표시 패널(1)의 가시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형상부가 배치되고, 회전축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형상부가 배치되며, 제1면(21)과 회전축(3)에 각각 배치되는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형상부(22)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랙일 수 있으며, 인접하는 랙들 사이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제2 형상부(31)는 회전축(3)의 외측 벽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일 수 있으며, 복수의 기어와 회전축(3)은 일체로 성형되어 기어축을 형성하고, 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랙 사이의 오목한 위치에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어, 기어와 랙을 결합시키고, 표시 패널(1)은 기어축에 의해 제1 상태(S1)의 부분과 제2 상태(S2)의 부분으로 구획되며, 기어축은 지지층(2)을 회전시켜 일부 표시 패널(1)을 제1 상태(S1)와 제2 상태(S2)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는 회전축(3)에 의한 지지층(2)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협동하는 돌기 및 오목부과 같은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모듈에서,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과정에서, 지지층(2)의 배치로 인해 회전축(3)의 주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표시 패널(1)이 반복 사용 시 쉽게 주름지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2)에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을 배치하여 표시 패널(1)이 슬립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가 협동하는 위치는 지지층(2)과 회전축(3) 사이에 위치하므로, 회전축(3)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이 표시 패널(1)의 회전축(3) 주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의 회전축(3) 주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1)의 손상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1)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켜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은 회전축(3) 주위에 배치되며, 회전축(3)은 하나 또는 여러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3)이 하나만 배치될 경우, 지지층(2)은 제1 방향(L)의 일측에서 회전축(3)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제1면(21)에 배열되는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방향(L)이며, 회전축(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은 회전축(3)에 의해 제1 상태(S1)의 부분과 제2 상태(S2)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제2 상태(S2)의 부분은 제1 상태(S1)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회전축(3)은 자체의 축선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회전축(3)의 다른 제2 형상부(31)를 다른 제1 형상부(22)와 협동하도록 하며, 회전축(3)은 회전 과정에서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 상태(S2)의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제2 상태(S2)의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회전축(3)이 두 개로 배치되고 지지층(2)이 제1 방향(L)의 양측에서 각각 대응하는 두 개의 회전축(3) 즉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둘러싸며 배치될 경우,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제1면(21)에 배열되는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방향(L)이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은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에 의해 제1 상태(S1)의 부분과 제2 상태(S2)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제2 상태(S2)의 부분은 제1 상태(S1)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각각 자체의 축선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되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협동에 의해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 상태(S2)의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제2 상태(S2)의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전축(3)이 두 개 이상으로 배치될 경우, 지지층(2)은 제1 방향(L)의 적어도 일측에 회전축(3)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도 있고, 지지층(2)은 제2 방향(W)의 적어도 일측에 회전축(3)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1 방향(L)으로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배열될뿐만 아니라, 제2 방향(W)으로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배치되고, 제1 방향(L)은 제2 방향(W)과 교차하므로, 서로 다른 방향, 다른 위치의 회전축(3)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대응 위치에 있는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협동을 통해, 회전축(3)이 회전할 때,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제1면(21)에서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은 제2 형상부(31)의 개수, 배열 방법 및 조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층(2)의 제1면(21)은 협동 영역(D1) 및 접합 영역(D2)을 포함하고, 접합 영역(D2)은 회전축(3)에 수직인 축방향을 따라 협동 영역(D1)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제1 형상부(22)는 협동 영역(D1)에 배치되고, 접합 영역(D2)의 표면은 평평하다. 접합 영역(D2)의 평평한 표면을 통해 지지층(2)을 해당 위치에 접합 고정하여 표시 패널(1)의 장착 고정을 구현하고, 표시 패널(1)이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강조해야 할 점은, 배치된 회전축(3)과 지지층(2)의 협동 구조에 따라, 제1면(21)에 구획된 협동 영역(D1)과 접합 영역(D2)을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접합 영역(D2)이 회전축(3)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협동 영역(D1)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면(21)이 표시 패널(1)을 고정 연결할 수 있는 평평한 접합 영역(D2)을 가지도록 하여 연결 강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을 조정하여 응력 집중이 표시 패널(1)의 사용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1면(21)에 구비된 협동 영역(D1)에 해당 위치의 회전축(3)에 따라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형상부(22)를 대응하여 배치하기만 하면 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의 비표시면(11)에 배치되는 지지층(2)은 강판과 같이 변형 능력과 일정한 강도를 갖는 구조이다. 따라서 플렉시블한 표시 패널(1)에 지지력을 부여하여,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 크기를 조정할 때 표시 패널(1)이 국부적으로 쉽게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지층(2)에는 복수의 제2 형상부(31)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형상부(22)를 배치하여 회전축(3)의 회전력이 지지층(2)에 작용하여 표시 패널(1)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층(2)은 회전축(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층(2)의 양호한 변형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층(2)에는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균일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23)이 있다. 지지층(2)의 변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층(2)에 복수의 제1 관통홀(23)을 배치할 때, 복수의 제1 관통홀(23)은 협동 영역(D1)에 적어도 균일하게 배치되고, 이에 더하여 협동 영역(D1)에는 복수의 제1 형상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형상부(22)가 복수의 제1 관통홀(23)을 갖는 협동 영역(D1)에 연결될 경우, 제1 형상부(22)가 표시 패널(1)에서의 정투영 방향과 제1 관통홀(2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경우가 있다. 즉 상기 제1 형상부의 상기 협동 영역 상에서의 정투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관통홀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형상부(22)와 지지층(2)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1 관통홀(23)을 협동 영역(D1)에 균일하게 배치할 경우, 제1 관통홀(23)은 제1 형상부(22)의 일부를 더 관통할 수 있으며, 여기에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가 결합되는 기어 및 랙인 경우, 복수의 랙은 접합 영역(D2)과 협동 영역(D1)의 배치 방향을 따라 협동 영역(D1)에 배치되며, 복수의 랙의 단면은 물결 모양을 가진다. 기어축이 회전할 때 서로 다른 기어와 랙이 결합하여 전환되는 힘을 절약하여, 결합 운동의 효과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랙은 지지층(2)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배치된 제1 관통홀(23)이 랙과 지지층(2)의 협동, 랙과 기어축의 치형 결합 및 접합 영역(D2)의 접합 고정 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1 관통홀(23)은 모두 협동 영역(D1)에 균일하게 배치되고, 제1 관통홀(23)이 배치되는 위치는 랙과 간섭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관통홀(23)은 인접하는 랙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위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제1 관통홀(23)은 협동 영역(D1) 중 복수의 랙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형상부(22)는 협동 영역(D1)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로 직접 배치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관통홀은 협동 영역(D1)에 어레이로 배열되고, 복수의 제2 형상부(31)는 회전축(3)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로 배치되며, 어레이로 배열되는 제2 관통홀과의 협동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는 회전축(3)의 원주방향의 외면에 도트 어레이 배열됨으로써, 회전축(3)이 회전하는 과정에 서로 다른 돌기가 대응하는 제2 관통홀과 협동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양자의 협동에 의해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의 운동을 구현하며, 동시에, 지지층(2)에 제2 관통홀을 배치함으로써, 지지층(2) 자체의 변형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표시 패널(1)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표시 패널(1)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축(3)이 하나만 배치되는 경우 지지층(2)이 회전축(3)의 제1 방향(L)의 일측에 둘러싸며 배치되는 구조를 예로 표시 모듈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은 제1 프레임(5) 및 제2 프레임(6)을 더 포함하며, 제2 프레임(6)은 제1 프레임(5)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은 적어도 제1 윈도우(D4)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의 내부는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데 사용되고,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어 제1 윈도우(D4)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은 제1 윈도우(D4)에 배치되어 제1 상태(S1)의 부분이 가시 부분이 되도록 하고, 제2 상태(S2)의 부분은 기어축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항상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의 내부에 있도록 하여 제2 상태(S2)의 부분이 보이지 않는 수납 부분이 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에 있어서 표시 패널(1)의 제2 상태(S2)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윈도우(D5)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의 제2 상태(S2)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윈도우(D5)를 통해 부분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표시 패널(1)의 일부를 다른 방향에서 가시할 있도록 하여 사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식은 다양한 바,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에 각각 레일과 슬라이더를 배치하고, 외력의 작용 하에 제2 프레임(6)을 구동하면 제2 프레임(6)이 제1 방향(L)을 따라 제1 프레임(5)에 가깝거나 멀어지게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양자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윈도우(D4)의 면적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표시 패널(1), 지지층(2), 회전축(3)을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에 배치할 경우, 제1 프레임(5)은 회전축(3)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틀(51)을 포함하고, 제2 프레임(6)은 회전축(3)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틀(61)을 포함하며, 제1 틀(51)과 제2 틀(61)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축(3)이 배치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6)은 제1 프레임(5)에 대해 제1 방향(L)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으며, 접합 영역(D2)은 지지층(2)의 제1 방향(L)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 프레임(5)과 접합하여 고정하는 데 사용되며, 다른 일측은 회전축(3)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지지층(2) 중의 접합 영역(D2)은 제1 프레임(5)과 고정 연결되고, 회전축(3)은 제2 틀(6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회전축(3)은 제2 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프레임(6)을 조작하여 제1 프레임(5)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회전축(3)은 제2 프레임(6)을 따라 제1 방향(L)에서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5)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축(3)이 제1 방향(L)으로 슬리이딩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축(3)은 회전할 수 있어, 회전력에 의해 그 위의 제2 형상부(31)가 지지층(2)에서 협동하는 제1 형상부(22)에 작용하여, 서로 다른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결합을 구현하고, 나아가 제1 윈도우(D4)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동시에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도 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표시 패널(1)의 일부분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층(2)은 제1면(21)에 위치하는 안내 영역(D3)을 더 포함하고, 안내 영역(D3)은 안내면을 가지며, 협동 영역(D1)의 제1 방향(L)의 양측에는 각각 안내 영역(D3)과 접합 영역(D2)이 있으며, 지지층(2)과 표시 패널(1)이 회전축(3)을 둘러싸며 배치될 때, 안내 영역(D3)과 접합 영역(D2)은 회전축(3)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2 프레임(6)에는 제한부가 배치되고, 제한면을 가지며, 지지층(2)의 안내 영역(D3)의 적어도 일부는 제한부로 삽입되어 안내 영역(D3)의 안내면과 제한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 협동하여, 회전축(3)이 회전할 때 안내면이 제한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회전축(3)의 양측에 있는 표시 패널(1) 부분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되어, 회전축(3)이 회전할 때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의 협동 효과를 높여 표시 패널(1)에 부분적인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은,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 검출 장치(7); 회전축(3)과 연결되어 회전축(3)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장치(4); 및 거리 검출 장치(7)와 구동 장치(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거리 정보에 따라 구동 장치(4)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배치된 거리 검출 장치(7)에 의해 제2 프레임(6)이 제1 프레임(5)에 대해 슬라이딩 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기에 피드백하여 제어기가 피드백된 정보에 따라 구동 장치(4)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회전축(3)의 회전 또는 회전의 정지를 제어하여, 표시 패널의 제1 상태(S1)의 부분의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의 자동적인 조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거리 검출 장치(7)는 제1 검측부(71) 및 제2 검측부(72)를 포함하며, 제1 검측부(71)는 제1프레임(5)에 배치되고, 제2 검측부(72)는 제2프레임(6)에 배치되며, 제1 검측부(71)와 제2 검측부(72)는 회전축(3)에 수직인 축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구동 장치(4)는 모터일 수 있으며, 모터의 출력축은 회전축(3)의 일측에 동축으로 고정 연결되고, 모터의 기동에 의해 회전축(3)은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운동 상태, 일시정지 상태 및 인장 상태를 포함한다. 운동 상태에서,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회전축(3)은 지지층(2)을 회전시켜 표시 패널(1)의 일부가 제1 상태(S1)와 제2 상태(S2)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일시정지 상태에서,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 사이의 거리는 변하지 않으며, 회전축(3)은 회전을 일시정지한다. 운동 상태에서 일시정지 상태로 전환할 때, 제2 프레임(6)과 제1 프레임(5) 사이의 거리는 일시정지 상태의 거리로 유지되며, 회전축(3)은 지지층(2)을 사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을 인장하게 하여, 표시 모듈을 인장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2 프레임(6)이 제1 프레임(5)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도 11 참조),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이 둘러싸서 형성한 제1 윈도우(D4)의 면적이 가장 작을 때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의한다. 이 초기 상태에서, 제2 프레임(6)으로 하여금 제1 방향(L)을 따라 제1 프레임(5)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하도록 외력이 존재할 경우, 거리 검출 장치(7)는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검출하고, 제1 검출 신호를 형성하며, 해당 제1 검출 신호를 제어기에 피드백하고, 제어기는 제1 검출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 장치(4)가 기동하도록 제어하며, 회전축(3)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며, 회전축(3)은 제2 프레임(6)과 함께 제1 프레임(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동시에 회전축(3)의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제2 형상부(31)가 지지층(2) 상의 서로 다른 제1 형상부(22)와 협동하여 상대적인 운동을 일으켜, 지지층(2) 상에 있는 표시 패널(1)의 일부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표시 패널의 제1 상태(S1)의 가시 부분의 면적은 증가하고, 제2 상태(S2)의 비가시 부분의 면적은 감소되게 한다. 제1 상태(S1)의 가시 부분의 면적이 원하는 면적만큼 증가하면 외력을 없애고, 제2 프레임(6)은 제1 프레임(5)에 대한 거리 변화를 멈추고, 양자는 일시정지 상태가 되며, 이 때 거리 검출 장치(7)는 제1 프레임(5)과 제2 프레임(6) 사이의 거리 변경 정지를 검출하고, 제2 검출 신호를 형성하며, 해당 제2 검출 신호를 제어기에 피드백하고, 제어기는 제2 검출 신호를 수신한 후, 먼저 표시 모듈을 인장 상태로 하고, 즉 구동 장치(4)를 계속 기동하도록 제어하며, 회전축(3)은 이 때에 지지층(2)을 사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 패널(1)의 제1 상태(S1)의 부분에 대해 전개력을 제공하여, 표시 패널(1)을 평평하게 하고, 화면 표면을 작은 주름 없이 인장 상태로 만든다. 다시 표시 모듈을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하고, 즉 인장 상태를 통해 표시 패널(1)을 전개한 후, 제어기는 구동 장치(4)를 제어하여 운동을 정지하고, 회전축(3)에 대한 작용력이 소실되면, 제1 형상부(22)와 제2 형상부(31)는 이 협동 상태를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표시 패널의 제1 상태(S1) 부분의 면적은 이 때의 크기를 유지한다(도 10 참조). 마찬가지로, 제2프레임(6)으로 하여금 제1 방향(L)을 따라 제1프레임(5)에 가까워지는 운동을 하도록 외력이 존재할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원리인 바,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인장 상태에 들어갈 때, 회전축(3)이 지지층(2)을 회전시키는 사전 설정된 각도는 1도에서 3도 사이일 수 있으며, 이의 목적은 표시 패널(1)에 전개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설정된 사전 설정된 각도는 실제 표시 패널(1) 자체의 유연성 등 요인과 관련되며, 여기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 실시예는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해당 표시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해당 표시 장치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의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배치된 표시 모듈에 의해 원하는 화면 전개 부분의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를 구현한다.

Claims (20)

  1. 표시 모듈에 있어서,
    표시 패널, 지지층 및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시면 및 비표시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는 제1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형상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형상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층과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 형상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제2 형상부는 협동하며,
    여기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상태의 부분과 제2 상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은 협동하는 상기 제1 형상부와 상기 제2 형상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지지층이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것인, 표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상기 제1면은 협동 영역 및 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협동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형상부는 상기 협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접합 영역은 표면이 평평한 것인, 표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에는 균일하게 분포되는 제1 관통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영역에는 균일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상기 제1 관통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형상부의 상기 협동 영역 상에서의 정투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것인, 표시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영역에는 균일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상기 제1 관통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형상부와 상기 지지층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1 형상부의 일부를 관통하는 것인, 표시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제1 형상부가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형상부는 상기 접합 영역과 상기 협동 영역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협동 영역에 배열되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는 복수의 상기 제2 형상부가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형상부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랙과 협동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형상부의 단면은 물결 모양을 가지는 것인, 표시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제1 형상부가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형상부는 상기 협동 영역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는 복수의 상기 제2 형상부가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형상부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 관통홀과 협동하는 돌기인 것인, 표시 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개수는 하나이고, 상기 회전축은 자체의 축선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면에 위치하는 안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영역과 상기 접합 영역은 각각 상기 협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층과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배치될 때, 상기 안내 영역과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인, 표시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상기 회전축은 각각 자체의 축선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두 개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되고, 두 개의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상기 지지층과 상기 표시 패널은 두 개의 상기 회전축에 의해 제1 상태의 부분과 제2 상태의 부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상태의 부분은 상기 제1 상태의 부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인, 표시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은 적어도 제1 윈도우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제1 윈도우의 면적을 변경시키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상태의 부분은 상기 제1 윈도우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상태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윈도우가 더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상태의 부분에는 부가적인 가시 부분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는 각각 협동하는 레일과 슬라이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틀과 상기 제2 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는 거리 검출 장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거리 검출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표시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검출 장치는 제1 검출부와 제2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출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검출부와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인, 표시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운동 상태와 일시정지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층을 회동시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고,
    상기 일시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변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축은 회전을 일시정지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인장 상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 상태에서 상기 일시정지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시정지 상태의 거리로 유지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층을 사전 절성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표시 패널 중 상기 제1 상태의 부분을 인장하는 것인, 표시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각도는 1도 내지 3도인 것인, 표시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강판인 것인, 표시 모듈.
  20.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KR1020237015998A 2021-01-29 2021-10-28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KR20230074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130722.9A CN112767840B (zh) 2021-01-29 2021-01-29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202110130722.9 2021-01-29
PCT/CN2021/126918 WO2022160821A1 (zh) 2021-01-29 2021-10-28 显示模组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821A true KR20230074821A (ko) 2023-05-31

Family

ID=7570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998A KR20230074821A (ko) 2021-01-29 2021-10-28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4278A1 (ko)
EP (1) EP4224459A4 (ko)
JP (1) JP7480437B2 (ko)
KR (1) KR20230074821A (ko)
CN (1) CN112767840B (ko)
WO (1) WO202216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1114A1 (zh) * 2020-08-28 2022-03-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调节边框和可折叠显示装置
CN113870710B (zh) * 2021-09-29 2023-08-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3936560B (zh) * 2021-11-05 2023-11-0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689A (ja) * 2001-12-28 2003-07-11 Nagai:Kk 携帯電話機
CN2718972Y (zh) * 2004-06-21 2005-08-17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动滑轨机构
US8711566B2 (en)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2306540B1 (ko) * 2015-04-30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06448465A (zh) * 2016-10-11 2017-02-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595848B1 (ko)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206100100U (zh) * 2016-10-19 2017-04-12 上海雷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中适用于柔性显示屏的支撑结构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207817576U (zh) * 2017-12-26 2018-09-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三屏笔记本
CN108932908B (zh) 2018-08-28 2019-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屏折叠移动终端
CN209708516U (zh) * 2019-03-22 2019-11-29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115940A (ko)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9543792U (zh) * 2019-04-10 2019-10-25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电子显示设备
WO2020209425A1 (ko)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1318B1 (ko) 2019-04-18 2023-08-2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스플레이 장치
CN210015397U (zh) * 2019-06-21 2020-02-04 江苏布奇信息技术有限公司 防潮多媒体触摸终端
CN110493396A (zh) * 2019-08-12 2019-11-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204456B1 (ko) * 2019-11-04 2021-01-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CN110910767B (zh) * 2019-11-29 2020-12-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1669455A (zh) 2020-05-28 2020-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667760B (zh) * 2020-06-05 2022-05-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833743B (zh) * 2020-07-02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862822A (zh) * 2020-08-25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滑卷方法
CN111862825A (zh) * 2020-08-31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0821A1 (zh) 2022-08-04
US20230244278A1 (en) 2023-08-03
CN112767840A (zh) 2021-05-07
JP2023549282A (ja) 2023-11-22
EP4224459A1 (en) 2023-08-09
CN112767840B (zh) 2023-01-20
EP4224459A4 (en) 2024-04-17
JP7480437B2 (ja)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4821A (ko)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US11343361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EP3731059B1 (en)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CN110894851B (zh) 滑动式铰链及具有其的电子装置
EP3316072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EP3712875B1 (en) Structure of extending-type display screen
US20190324499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141255A (ko)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KR20170136060A (ko) 롤러블 표시장치
JP2009277238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N112153180A (zh) 一种显示屏伸缩机构及移动终端
CN112788162A (zh) 一种折叠屏弯折机构及移动终端
CN110476419A (zh) 显示装置
CN111669455A (zh) 电子设备
WO2019090942A1 (zh) 一种可曲面变形的显示器装置
KR102252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0017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54008A1 (zh) 电子装置
CN110160888A (zh) 一种柔性屏折叠测试装置
US11526198B1 (en) Rollable displays with tension controls
JP2022091705A (ja) 軟性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14406U (ko) 피디피 티브이의 벽고정 장치
CN110469755A (zh) 一种显示装置
JP2024047888A (ja) 磁気消去システム
CN110737310B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