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68B1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0868B1 KR102360868B1 KR1020170057448A KR20170057448A KR102360868B1 KR 102360868 B1 KR102360868 B1 KR 102360868B1 KR 1020170057448 A KR1020170057448 A KR 1020170057448A KR 20170057448 A KR20170057448 A KR 20170057448A KR 102360868 B1 KR102360868 B1 KR 102360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tisfied
- temperature condition
- temperature
- time
- laundry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건조 행정의 진행 중,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 및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시작 시점이 달라지는 후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이하 '포')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젖은 포를 건조시킨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공기 유로 및 포가 수용되는 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하는 팬을 구비한다.
포의 적절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서, 발열량(전력)이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포를 건조시키기 위해 포량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포를 건조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서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포의 건조 행정이 진행하는 기술에 따르면, 매 건조 행정의 실시마다 포의 최종 함수율(FMC)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포의 과건조가 발생할 확률 및 포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을 확률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포의 최종 함수율(FMC)의 균일성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경우에 따라 이미 충분히 건조가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히터 및 팬을 필요 이상 구동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장치의 소비전력 대비 포에서 증발된 수분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세탁물 처리장치의 건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매 건조 행정시 마다 달라지는 주변의 여러 가지 조건들의 편차(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의 편차, 세탁물 처리장치의 주변 습도의 편차, 및 공기 유로 상의 이물질 양 등에 따른 배기 저항의 편차 등)에 대한 고려가 없어, 포의 최종 함수율(FMC)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팬과,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포 또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건조 행정의 진행 중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시작 시점이 달라지는 후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경우의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한 경우의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 보다 빨라지게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시점이 빠를수록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빨라지게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후기 단계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후기 단계의 총 진행 시간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만족 시점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기 단계는,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종료 쿨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기 단계에서, 상기 추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종료 쿨링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추가 조건이 불만족하면 추가 건조 행정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포의 또는 상기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조건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근거로, 만족시 습도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게 기설정된 건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는,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to)의 이전 시점(ta)에서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 이후부터,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 이전까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0보다 큰 소정의 시작 시점과 상기 시작 시점보다 큰 소정의 종료 시점 사이의 구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는,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 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종료되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종료 시점에 종료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팬 및 상기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고,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서 감지된 상기 온도값을, 상기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온도 조건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고,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 m-1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1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1온도 조건, 및 제 m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온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제 m-1기준 온도값은 제 m기준 온도값보다 크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보게 기설정되고,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 m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게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해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팬과,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포 또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행정의 시작 후,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그 이후의 단계의 시작 시점이 달라지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건조 행정에서 포의 함수율이 작아지면 히터의 가열에 의한 포 또는 포를 거친 공기의 온도 상승률이 커지는데, 감지된 온도를 근거로 건조 행정을 제어함으로써, 포의 최종 함수율(FMC)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포의 과건조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포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을 확률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건조 행정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를 막음으로써, 상기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된 포량 또는 감지된 포의 함수율 감지 정보만을 근거로 하지않고, 보다 객관적인 감지값을 근거로 건조 행정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방법의 신뢰성 및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공기 유로의 유로 저항 편차, 공급되는 전압의 편차 및 세탁물 처리장치 주변의 습도 편차 등에 의해서, 같은 시간동안 건조 행정을 진행하더라도 포가 건조되는 수준이 달라질 수 있는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또는 만족 시점에 따른 제어를 통해 각 환경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포의 건조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구간을 소 시간 구간으로 나누거나 복수의 온도 조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상 후측의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을 상대적으로 작게 기설정함으로써, 시간상 후반으로 갈수록 더 낮은 기준 온도값에 도달해도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조건을 구비함으로써, 온도 조건에 따른 제어방법의 신뢰성을 더울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일측 사이드 커버(12)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4의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건조행정 진행 과정에서 시간(t)에 따라 변동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소비 전력(P)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소정의 시간 구간(Ts)에서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온도 조건을 만족 시점에 따라 건조 행정의 제어가 달라지는 각각의 시나리오(①, ②, ③, ④)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건조 행정의 제어 과정 및 각각의 시나리오(①, ②, ③, ④)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종래의 비교 대상예(O) 및 본 발명의 실시예(Q)에 따라 건조 행정이 제어될 때, 실험 결과에 따른 각각의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막대 그래프의 중간에 도시된 가로 선은 '중간값'을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의 중간에 도시된 원형의 포인트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의 비교 대상예(O) 및 본 발명의 실시예(Q)의 전체적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4는 공기 유로의 상태(Nor, Abn)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5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인가 전압(237.6V, 242.4V)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일측 사이드 커버(12)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4의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건조행정 진행 과정에서 시간(t)에 따라 변동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소비 전력(P)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소정의 시간 구간(Ts)에서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온도 조건을 만족 시점에 따라 건조 행정의 제어가 달라지는 각각의 시나리오(①, ②, ③, ④)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건조 행정의 제어 과정 및 각각의 시나리오(①, ②, ③, ④)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종래의 비교 대상예(O) 및 본 발명의 실시예(Q)에 따라 건조 행정이 제어될 때, 실험 결과에 따른 각각의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막대 그래프의 중간에 도시된 가로 선은 '중간값'을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의 중간에 도시된 원형의 포인트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의 비교 대상예(O) 및 본 발명의 실시예(Q)의 전체적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4는 공기 유로의 상태(Nor, Abn)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5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인가 전압(237.6V, 242.4V)에 따른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o)/후(Re)/좌(Le)/우(Ri)/상(Up)/하(Dw)”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및 도 4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류'와 '하류'는 공기 유로 내의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언어적/수학적으로 표현된 대소비교에 있어서, '작거나 같음(이하)'과 '작음(미만)'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크거나 같음(이상)'과 '큼(초과)'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고,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치환하여도 그 효과 발휘에 문제가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될 수 있고,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고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100')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순서도 도면들의 각 단계와 순서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제어부(30)에 구비된 컴퓨터(미니컴)에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순서도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등에 이용 가능 또는 판독 가능 기록매체(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방법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 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드럼(23)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12)와, 후측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를 통해, 포가 드럼(23)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드럼(23) 내의 포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5) 위에 일체로 형성된 케비닛(12, 13)이 설치된다. 케비닛(12, 13)은 전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커버(12) 및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탑 커버(14)는 케비닛(12, 13)의 상측에 배치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를 드럼(23) 내로 인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는 프론트 커버(11)에 형성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투입구(11a)를 여닫는 도어(18)를 포함한다. 도어(18)는 프론트 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8a)과, 도어 프레임(18a)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18b)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8a)은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18a)의 상기 홀에 도어 글래스(18b)가 설치된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23)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23)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1)의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 패널(16)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16)은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36)를 포함한다. 출력부(36)는 정보를 음성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6)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5)를 포함한다. 입력부(35)는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23)을 포함한다. 드럼(23)은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23)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드럼(23)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23)은 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드럼(23)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전면은 투입구(11a)와 연결된다.
드럼(23)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리프터(23a)가 구비된다. 리프터(23a)는 드럼(2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리프터(23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복수의 리프터(23a)가 드럼(23)의 회전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23)가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23a)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를 포함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된다. 전방 서포터(27)는 드럼(23)의 전단을 지지한다. 후방 서포터(28)는 드럼(23)의 후단을 지지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링 형태의 돌기 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가 형성된다. 드럼(23)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가이드와 맞물림으로써, 드럼(23)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에는 각각 드럼(23)을 지지하는 롤러(24)가 구비된다. 드럼(23)의 외주면이 롤러(24)와 접촉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모터(M)를 포함한다.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킨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킨다. 도 2를 참고하여,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기능 및 팬(5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양축 모터(M)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M1) 및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M2)를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터(M)는 어느 경우로 구비되든 무방하다. 모터(M)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모터(M)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베이스(15) 상에 고정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모터 지지부재(22)에 의해 지지된다.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양축 모터(M)는 팬(51)과 결합되는 팬 모터 축(51s)과, 드럼(23)에 감긴 벨트(29)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갖는 드럼 모터 축(23s)을 포함한다.
벨트(2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26)가 모터 지지부재(22)에 설치된다. 벨트(29)가 상기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26)에 걸린 상태로 드럼(23)의 외주면을 감싼다. 모터(M)의 회전시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벨트(29)가 이송되고, 벨트(29)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23)가 회전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드럼(23)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40)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는 드럼(23)에 대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한다.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41)를 포함한다. 급기 유로(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 또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를 드럼(23) 내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 유로(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케이싱의 내측면과 드럼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드럼(23) 내로 안내한다.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43)를 포함한다. 배기 유로(43)는 케이싱(10)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유로(43)는 드럼(23) 내의 공기를 케이싱(10)의 외부로 안내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유로는 드럼(23)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고 유출된 공기가 다시 드럼(23) 내로 유입되게 안내하도록,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가 연결된 순환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를 포함한다. 히터(53)는 급기 유로(41) 상에 배치된다. 히터(53)는 급기 유로(41)와 연결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히터(53)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재(53a)를 포함한다. 히터 지지부재(53a)는 베이스(15)에 고정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공기 유로(40) 상에 배치된 팬(51)을 포함한다. 팬(51)은 공기 유로(40) 상의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한다. 팬(52)은 급기 유로(41) 및 배기 유로(4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의 공기를 유출시켜 드럼(23) 내로 다시 유입시키는 순환 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팬(51)은 상기 순환 덕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51)은 배기 유로(43) 상에 배치된다. 팬(51)은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팬(51)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팬(51)은 모터(M)의 팬 모터 축(51s)에 결합된다. 팬(51)의 회전시 팬(51)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23) 내에 부압이 작용하여, 급기 유로(41)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23) 내로 유입된다. 도 2의 화살표 As를 참고하여,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급기 유로(41)의 히터 연결부(41a)로 유입된 후, 출구(41b) 및 급기구(28a)를 통해 드럼(23) 내로 공급된다.
팬(51)의 회전에 의해 드럼(23) 내의 공기가 배기 유로(43) 내로 유입된다. 전방 서포터(27)는 입구(27a)의 하측에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홀을 형성한다. 팬(51)의 작동시 드럼(23) 내의 공기가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배기 유로(43) 내로 유입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5)를 포함한다. 필터(55)는 공기 유로(40)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구비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의 후측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드럼(23)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드럼(23) 내로부터 배기 유로(43)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채집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배치되는 필터 마운트(55a, 55b)를 포함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필터 삽입구를 형성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 배치되는 전방 파트(55a)와 후방 파트(55b)를 포함한다. 전방 파트(55a)는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과 연결되고, 후방 파트(55b)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를 형성한다. 후방 파트(55b)에는 복수의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다. 필터(55)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체 필터부(55c)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삽입구는 상측을 향해 오픈(open)된다. 교체 필터부(55c)는 미세한 소공을 가지는 필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는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끌어 올려져 상기 필터 삽입구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가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팬(51)이 작동하면, 드럼(23)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 교체 필터부(55c) 및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 유로(43) 내로 유입된다.
배기 유로(43)는 팬(51)의 상류측에 배치된 배기 시단부(43a)를 포함한다. 배기 시단부(43a)는 전방 서포터(27)의 전방에 배치된다. 배기 유로(43)는 팬(51)의 하류측에 배치된 배기 후단부(43b)를 포함한다. 배기 유로(43)는 팬(51)을 수용하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43c)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43c)은 배기 시단부(43a) 및 배기 후단부(43b)와 연결된다. 배기 후단부(43b)의 일단은 팬 하우징(43c)에 연결되고, 배기 후단부(43b)의 타단은 백 커버(13)의 배출홀(13a)에 연결된다. 도 2의 화살표 Ae을 참고하여, 드럼 내의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 시단부(43a), 팬 하우징(43c) 및 배기 후단부(4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동한다. 배기 유로(43)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홀(13a)을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 시단부(43a)는, 배기 시단부(43a)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입구(미도시)와, 배기 시단부(43a) 내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출구(미도시)를 형성한다. 배기 시단부(43a)의 상기 유입구는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에 연결된다. 배기 시단부(43a)의 상기 유출구는 팬 하우징(43c)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팬 하우징(43c)의 유출구는 배기 후단부(43b)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배기 후단부(43b)의 유출구는 백 커버(13)의 배출홀(13a)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건조 기능 및 세탁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물이 담기는 터브(21)를 포함한다. 터브(21)는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터브(21)는 베이스(미도시)에 고정된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고, 행거(미도시)에 의해 매달릴 수도 있다. 터브(2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23)이 배치된다. 드럼(23)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터브(21) 내의 물이 드럼(23)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터브(21)의 전방면은 오픈되어 포의 투입구를 형성한다. 터브(21)의 투입구와 프론트 커버(11)의 투입구 사이에는 가스켓(17)이 구비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M1)가 터브(21)의 후측에 배치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급기 유로(41) 상에 배치된 팬(51)을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 모터(M1)와 별도의 팬 모터(M2)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41)의 급기구는 터브(21)의 전방에 배치된다. 배기 유로(43)의 배기구는 터브(21)의 후측에 배치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터브(21) 내로 물이 유입되도록 물을 안내하는 급수 유로(61)를 포함한다. 급수 유로(61) 상에는 급수 밸브(63)가 구비된다. 급수 유로(61) 상에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세제 공급부(65)가 구비된다. 급수 유로(61)를 따라 흐르는 물은 세제 공급부(65)를 거쳐 터브(21) 내로 유입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터브(21) 내부로부터 케이싱(10) 외부를 물이 유출되도록 물을 안내하는 배수 유로(71)를 포함한다. 배수 유로(71) 상에는 물에 압렵을 가하는 펌프(73)가 구비된다.
도 4의 화살표 As를 참고하여, 외부의 공기가 급기 유로(41)를 통해 터브(21) 내로 공급된다. 도 4의 화살표 Ae을 참고하여, 터브(21) 내의 공기가 배기 유로(4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는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의 각 부품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입력부(35)의 입력 신호를 수신받는다. 제어부(30)는 출력부(36)의 동작을 제어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는 타이머(38)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38)는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타이머(38)는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e)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타이머(38)의 측정 시간을 이용하여 제어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는 포 또는 공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31)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31)은 드럼(23) 내의 포 또는 공기 유로(40) 상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32)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32)는 드럼(23) 내의 포 또는 포의 온도를 직접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포를 거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32)는 배기 유로(43) 또는 상기 순환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포를 거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온도 센서(32)의 감지 신호를 수신받는다.
센싱 모듈(31)은 드럼(23) 내의 포 또는 공기 유로(40) 상의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33)는 드럼(23) 내의 포의 함수율을 직접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포를 거쳐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습도 센서는 배기 유로(43) 또는 상기 순환 유로 상에 배치되어, 포를 거쳐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습도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습도 센서는, 드럼(23) 내의 포의 수분 양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이용하는 전극 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센서(33)는 드럼(23) 내로 노출된 양 극 사이의 저항값을 감지한다.
제어부(30)는 히터(5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모터(M)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드럼 모터(M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팬 모터(M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모터(M)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후술하는 제어방법에 따라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건조 행정의 시작 후,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서 온도 센서(32)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그 이후의 단계(Z, Z')의 시작 시점이 달라지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설명에서 '현재 시점'이란 건조 행정 시작 시점부터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 중 어느 한 특정 시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가 포를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본 설명에서 기술되는 '시점'은,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시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까지 진행되는 초기 건조 단계(S100)를 포함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상기 건조 행정에서 최초로 진행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까지 진행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이전에 진행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상기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부터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까지의 단계를 지칭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의 직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건조 행정이 제어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히터(53)의 작동을 제어한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팬(51)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초기 건조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팬 모터(M)의 작동을 제어한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쿨링(cooling) 과정 및 히팅(heating)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상기 쿨링 과정과 상기 히팅 과정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쿨링 과정은, 히터(53)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쿨링 과정은, 히터(53)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되 팬(51)을 작동시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쿨링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포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쿨링 과정은, 일시에 히터(53)에 공급되는 모든 전력을 차단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쿨링 과정은, 히터(53)에 공급되는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히터(53)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히팅 과정은, 히터(53)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히팅 과정은, 히터(53) 및 팬(51)을 동시에 작동시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히팅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가 포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히팅의 수준이 변경되게 제어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히터(53)에 공급하는 고수준 히팅 과정과,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을 히터(53)에 공급하는 저수준 히팅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상기 고수준 히팅 과정과 상기 저수준 히팅 과정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 전력(P)의 그래프는 히터(70)에 공급되는 전력과 모터 전력(Pm)을 합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 모터 전력(Pm)이란 모터(M)에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도 11에서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에 전력(Pm)이 공급되고 있는 시간 구간은, 히터(53)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모터(M)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쿨링 과정이 진행되는 구간이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100, 100')에 전력(P1, P2)이 공급되고 있는 시간 구간은, 히터(53) 및 모터(M)에 모두 전력이 공급되는 히팅 과정이 진행되는 구간이다. 히터(53)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수준 전력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전력(P2)를 공급하는 히터(53)의 발열량이 전력(P1)을 공급하는 히터(53)의 발열량 보다 크다.
상기 제어방법은, 초기 건조 단계(S100)이후 진행되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를 포함한다. 초기 건조 단계(S100)와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진행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초기 건조 단계(S100)의 종료와 동시에 시작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건조 행정이 제어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상기 건조 행정의 진행 중,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서 온도 센서(32)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온도 조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은, 0보다 큰 소정의 시작 시점(to)과 시작 시점(to)보다 큰 소정의 종료 시점(te) 사이의 구간으로 기설정된다. 종료 시점(te)은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보다 빠른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은 건조 행정의 특정한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은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이다.
소정 시간 구간(Ts)의 상기 시작 시점(to)은,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흐른 이후의 어느 한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작 시점(to)은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62분이 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변동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도,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은 늦어도 소정 시간 구간(Ts)의 종료 시점(te)이 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이 될 수 있는 값 중, 최대한 빠른 값은 상기 시작 시점(to)이고, 최대한 늦은 값은 상기 종료 시점(te)이 될 수 있다.
소정 시간 구간(Ts)의 상기 종료 시점(te)은,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흐른 이후의 어느 한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상기 종료 시점(te)은 상기 시작 시점(te)보다 늦은 특정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소정 시간 구간(Ts)의 상기 종료 시점(te)은, 상기 시작 시점(to)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흐른 이후의 어느 한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종료 시점(to)은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66.5분이 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료 시점(to)은 상기 시작 시점(to)을 기준으로 4.5분이 흐른 시점이 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는 히팅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는 시점 및 소정 시간 구간(Ts)의 종료 시점(te) 중 빠른 시점까지, 계속해서 히팅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후술할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는, 상기 초기 건조 단계(S100)의 진행 중에 시작될 수도 있고,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진행 중에 시작될 수도 있다.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전에 진행될 수도 있고,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중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는 초기 건조 단계(S100)의 후반부에 시작된다. 도 11에 따른 일 시나리오에서,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의 시작 시점(ta)은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의 이전 시점이다.
일 예로, 상기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후기 단계(Z')의 서로 다른 복수의 과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후기 단계(Z')의 종료 쿨링 단계(S500) 및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시작 시점이 달라지는 후기 단계(Z, Z')를 포함한다. 후기 단계(Z, Z')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부터 건조 행정의 최종 종료 시점까지 진행되는 단계를 지칭할 수 있다. 후기 단계(Z, Z’)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의 직후부터 진행될 수 있다.
전체의 건조 행정 중,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시작 시점(to)의 이전 과정을 초기 건조 단계(S100)라 지칭할 수 있고,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종료 시점의 이후 과정을 후기 단계(Z, Z’)라 지칭할 수 있다.
후기 단계(Z, Z’)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후기 단계(Z, Z')의 종료 시점은 상기 건조 행정(초기 건조 단계, 온도 조건 판단 단계 및 후기 단계를 포함하는 전체의 과정을 의미함)의 종료 시점이다. 후기 단계(Z, Z')의 총 진행 시간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와 무관하게 설정된다. 후기 단계(Z, Z')의 총 진행 시간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시점과 무관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후기 단계(Z, Z')의 총 진행 시간이란,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부터 후기 단계(Z, Z')의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이 달라지고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경우의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이,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한 경우의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 보다 빨라지게 기설정된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의 어느 한 시점(te보다 빠른 시점)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그 후 후기 단계(Z, Z')가 시작된다.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의 종료 시점(te)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그 후 후기 단계(Z, Z')가 시작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도,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따라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달라지고,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시점이 빠를수록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빨라지게 기설정된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의 상대적으로 빠른 한 시점(t1st)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시점(t1st)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그 후 후기 단계(Z, Z')가 시작된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의 상대적으로 늦은 한 시점(t2nd)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시점(t2nd)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그 후 후기 단계(Z, Z')가 시작된다. 여기서, 시점들 간 다음의 관계가 성립된다. te ≤ t1st < t2nd ≤ te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후기 단계(Z, Z')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시점에,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는 동시에 후기 단계(Z, Z')가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만족 시점에 따라,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이 달라진다. 후기 단계(Z, Z')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후기 단계(Z, Z')의 시작 시점이 달라짐에 따라, 후기 단계(Z, Z')의 종료 시점도 달라진다.
후기 단계(Z, Z')는 쿨링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후기 단계(Z, Z')는 종료 쿨링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쿨링 단계(S500)는 상기 건조 행정의 가장 마지막 과정으로서 진행되는 쿨링 과정을 의미한다. 종료 쿨링 단계(S500)는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과정이다.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종료되면, 히터(53)는 물론 팬(51)의 작동까지 모두 정지하고, 상기 건조 행정이 종료된다.
후기 단계(Z, Z')는 히팅 과정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히팅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후기 단계(Z, Z')는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량이 상대적으로 다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후기 단계(Z, Z')에서 대부하의 포량을 위한 대부하 건조 행정이 진행될 수 있다.
후기 단계(Z, Z')에서는, 복수의 기설정된 과정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온도 센서(32)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 조건은 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기준 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온도 조건은 불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소정 시간 구간(Ts)은 복수의 소 시간 구간(Ts1, Ts2, …)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소 시간 구간(Ts1, Ts2, …)은 시간상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소정 시간 구간(Ts)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Ts1, Ts2, …, Tsn)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소정 시간 구간(Ts)은 구분 시점(td)에 의해서 복수의 소 시간 구간(Ts1, Ts2, …)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정 시간 구간(Ts)이 n개의 소 시간 구간(Ts1, Ts2, …, Tsn)으로 구분되기 위해, n-1개의 구분 시점(td1, …, tdn-1)이 기설정된다. 시작 시점(to)부터 제 1구분 시점(td1)까지의 구간이 제 1소 시간 구간(Ts1)으로 기설정된다. 제 n-1 구분 시점(tdn-1)부터 종료 시점(te)까지의 구간이 제 n소 시간 구간(Tsn)으로 기설정된다. 제 m-1 구분 시점(tdm-1)부터 제 m구분 시점(tdm)까지의 구간이 제 m소 시간 구간(Tsm)으로 기설정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도 1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 구간(Ts)은 제 1소 시간 구간(Ts1), 제 2소 시간 구간(Ts2) 및 제 3소 시간 구간(Ts3)으로 구분된다. 소정 시간 구간(Ts)은 2개의 구분 시점(td1, td2)에 의해 3개의 소 시간 구간(Ts1, Ts2, Ts3)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시작 시점(to), 제 1구분 시점(td1), 제 2구분 시점(td2) 및 종료 시점(te)은 각각 62분인 시점, 64분인 시점, 64.5분인 시점 및 66.5분인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이 경우,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제 1소 시간 구간(Ts1)은 62분부터 64분까지의 구간으로 기설정되고, 제 2소 시간 구간(Ts2)은 64분부터 64.5분까지의 구간으로 기설정되고, 제 3소 시간 구간(Ts3)은 64.5분부터 66.5분까지의 구간으로 기설정된다.
복수의 소 시간 구간(Ts1, Ts2, …)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n개의 소 시간 구간(Ts1, Ts2, …, Tsn)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Ts1, Ts2, …, Tsn)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제 1소 시간 구간(Ts1)에 대응하는 제 1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된다. 제 n소 시간 구간(Tsn)에 대응하는 제 n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된다. 제 m소 시간 구간(Tsm)에 대응하는 제 m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시간상 인접하는 2개의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기준 온도값은 서로 다르게 기설정된다. 시간상 인접하는 2개의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기준 온도값의 차이는 약 0.5 내지 1.5도 차이가 나게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준 온도값은 서로 다르게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은 서로 다르게 기설정될 수 있다.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제 m-1기준 온도값은 제 m기준 온도값보다 크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시간상 늦은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이, 시간상 빠른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보다 작게 기설정된다.
도 1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 1소 시간 구간(Ts1), 제 2소 시간 구간(Ts2) 및 제 3소 시간 구간(Ts3)에 각각 대응하는 제 1기준 온도값, 제 2기준 온도값 및 제 3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기준 온도값, 제 2기준 온도값 및 제 3기준 온도값은 각각 46도, 45도 및 44도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Ts1, Ts2, …, Tsn)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상기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과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은 복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 따라 제 1 내지 n 온도 조건이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 1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1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1온도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 n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n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n온도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 m-1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1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1온도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 m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온도 조건을 포함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현재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을 비교하여, 온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소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 1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보게 기설정된다. 상기 제 1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 이후로는, 더 이상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소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 1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이후 제 2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게 기설정된다.
상기 제 m-1소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현재 시점이 제 m-1소 시간 구간에 속한 상태에서, 제 m-1온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보게 기설정되고,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이 후 상기 제 m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게 기설정된다. 상기 제 n소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현재 시점이 제 n소 시간 구간에 속한 상태에서, 제 n온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n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보게 기설정되고, 상기 제 n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종료 시점(te)까지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계속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m은 2이상 n이하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상기 추가 조건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근거로 만족시 습도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게 기설정된 건조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는 전극 센서(3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 조건은 전극 센서(33)에서 감지된 저항값이 소정 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센서(33)가 계속해서 저항값을 측정하고, 전극 센서(33)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측정되는 복수의 저항값이 소정 값 이상이 되는 누적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이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는,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의 이전 시점(ta)에서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시점(ta)에서 전극 센서(33)가 측정한 저항값을 근거로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한 본 실시예에서. 시작 시점(to)의 이전 시점인 시점(ta)에서부터 전극 센서(33)에서 감지된 저항값들을, 상기 건조 조건의 판단 근거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을 기준으로 60분이 지난 시점(ta)에서 전극 센서(33)가 감지한 저항값을 근거로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점(ta)에서부터 계속적으로 복수의 저항값을 감지하여, 저항값들 중 200옴 이상이 된 횟수가 누적하여 50회 이상시, 상기 건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100, 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진행된다.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에서,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종료되고,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시작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 후, 후기 단계(Z)가 진행된다. 후기 단계(Z)에서,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진행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면 곧바로 종료 쿨링 단계가 진행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100, 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소정의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진행된다.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에서,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종료되고,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시작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 후, 후기 단계(Z')가 진행된다. 후기 단계(Z')의 시작 전에,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가 진행된다. 도 7에서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후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가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는 후기 단계(Z') 이전에만 완료되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전에 진행되거나,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진행 중에 진행될 수 있다.
후기 단계(Z')에서, 상기 추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진행된다. 후기 단계(Z')에서, 상기 추가 조건이 불만족하면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가 진행된다. 종료 쿨링 단계(S500)에서 상기 쿨링 과정만 진행된다. 추가 건조 행정 단계(Z400)는 상기 히팅 과정을 포함한다. 추가 건조 행정 단계(Z400)는 상기 히팅 과정뿐만아니라 상기 쿨링 과정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기 단계(Z')에서, 상기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종료 쿨링 단계(S500) 및 기설정된 추가 건조 행정(S4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진행되는 중, 현재 시점이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80, S320)이 진행될 수 있다.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진행되는 중 현재 시점이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 있게 되면, 온도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이 진행된다. 어느 한 시점에 감지된 상기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히팅을 계속하면서 이후의 시점에 감지된 상기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온도 조건을 만족하면, 후기 단계(Z, Z')가 진행된다.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상태에서도, 현재 시점이 종료 시점(te)을 초과하면 후기 단계(Z, Z')가 진행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초기 건조 단계(S100) 시작 후, 현재 시점(t)을 시작 시점(to)과 비교하는 과정(S180)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18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시작 시점(to)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S18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시작 시점(to) 이하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진행된다. 상기 과정(S18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시작 시점(to)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 건조 단계(S100)가 종료되고,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시작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시작 후, 현재 시점(t)을 종료 시점(te)과 비교하는 과정(S320)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2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종료 시점(te)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S32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종료 시점(te)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 S370a, S370b, S370c)이 진행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는, 소정의 전력으로 히터(53) 및 모터(M)를 작동시켜 히팅 과정을 진행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팬(51) 및 히터(5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S320) 및 상기 과정(S370, S370a, S370b, S370c)의 진행 중에는, 계속해서 히팅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70, S370a, S370b, S370c)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의 히팅 과정(S380)이 계속 진행된다. 이후, 상기 과정(S320)이 다시 진행된다.
상기 과정(S370, S370a, S370b, S370c)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후기 단계(Z, Z')가 시작된다.
상기 과정(S320)에서 현재 시점(t)이 상기 종료 시점(te)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되고, 후기 단계(Z, Z')가 시작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에서,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 특정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한다. 매 시점마다 온도 센서(32)가 온도값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그 다음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과정(S370, S370a, S370b, S370c)이 진행될 수 있다. 어느 한 특정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어느 한 특정 시점 이후의 다른 특정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온도 센서(32)는 시간상 연속적으로 온도값을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도값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이 계속해서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 시점이 상기 종료 시점(te)이 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종료되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 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의 종료 시점(te)에 종료된다.
도 8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과정(S100), 과정(S180), 과정(S320), 과정(S370) 및 과정(S380)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 1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거나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더라도 종료 시점(te)이 도과되면, 곧바로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진행된다.
도 9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과정(S100), 과정(S180), 과정(S320), 과정(S380) 및 과정(S500)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 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실시예에서, 소정 시간 구간(Ts)은 복수의 소 시간 구간(Ts1, Ts2, ...)으로 구분된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현재 시점이 복수의 소 시간 구간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330a, 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현재 시점을 구분 시점(td1, td2)과 비교하는 과정(S330a, S330b)을 포함한다. 현재 시점이 속하는 어느 소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지 판단되면, 상기 속하는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과 현재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온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과정(S320)에서 현재 시점이 종료 시점(te) 이전이면, 현재 시점이 제 1구분 시점(td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30a)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30a)에서 현재 시점과 제 1구분 시점(td1) 이하이면, 제 1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a)이 진행된다. 상기 제 1온도 조건은, 현재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1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만족된다.
상기 과정(S330a)에서 현재 시점이 제 1구분 시점(td1)을 초과하면, 현재 시점이 제 2구분 시점(td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30b)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30b)에서 현재 시점과 제 2구분 시점(td2) 이하이면, 제 2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b)이 진행된다. 상기 제 2온도 조건은, 현재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2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만족된다.
상기 과정(S330b)에서 현재 시점이 제 2구분 시점(td2)을 초과하면, 제 3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0c)이 진행된다. 상기 제 3온도 조건은, 현재 시점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3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만족된다.
상기 과정(S370a)에서 제 1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계속 히팅 과정(S380)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70a)에서 제 1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다시 상기 과정(S320)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370b)에서 제 2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계속 히팅 과정(S380)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70b)에서 제 2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다시 상기 과정(S320)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370c)에서 제 3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계속 히팅 과정(S380)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370c)에서 제 3온도 조건이 불만족하면, 다시 상기 과정(S320)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370a)에서 제 1온도 조건이 만족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다. 상기 과정(S370b)에서 제 2온도 조건이 만족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다. 상기 과정(S370c)에서 제 3온도 조건이 만족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종료된다.
제 2실시예에서, 상기 제 1온도 조건, 제 2온도 조건 또는 제 3온도 조건이 만족되거나 상기 제 1 내지 3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더라도 종료 시점(te)이 도과되면, 곧바로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진행된다.
도 10을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과정(S100), 과정(S180), 과정(S320), 과정(S370) 및 과정(S380)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 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거나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더라도 종료 시점(te)이 도과되면, 곧바로 종료 쿨링 단계(S500) 또는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는 상대적으로 많은 포량을 위한 대부하 건조 행정 단계(S400a)일 수 있다. 추가 건조 행정 단계(S400)에서 추가적인 히팅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추가 조건 판단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조건은 상기 건조 조건일 수 있다. 후기 단계(Z')의 시작 전에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00a)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200a)에서 상기 건조 조건이 만족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후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진행되다. 상기 과정(S200a)에서 상기 건조 조건이 불만족되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 이후 대부하 건조 행정 단계(S400a)가 진행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일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서, 좌표의 가로축은 상기 건조행정의 시작 시점을 0으로 하는 시간축을 나타내고, 좌표의 세로축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P)을 나타낸다. 세탁물 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은 모터(M) 및 히터(53)에 공급될 수 있다. 가로축에서, t1, t2, t3, t4, t5, t6 및 t7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정 시점의 눈금을 나타내고, t1, t2, t3, t4, t5, t6 및 t7은 순서대로 10분 간격을 가진 값이다. 또한, 본 시나리오에서 건조 조건 판단을 위한 기준 시점(ta)은 t6인 시점으로 기설정된다. 세로축에서 Pm, P1 및 P2는 각각 모터 전력, 제 1수준의 전력 및 제 2수준의 전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수준 전력(P1)은 2700W이고, 제 2수준 전력(P2)는 5400W이다.
도 11에서,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 이전까지의 과정은 초기 건조 단계(S100)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과정(S101) 내지 과정(S111)은 초기 건조 단계(S100)를 나타낸다. 초기 건조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에따라 진행된다. 초기 건조 단계(S100)에서, 먼저, 모터 전력(Pm)으로 5분의 쿨링 과정(S101)이 진행된다. 그 후, 제 1수준 전력(P1)으로 10분의 히팅 과정(S102)이 진행된다. 그 후, 모터 전력(Pm)으로 4분의 쿨링 과정 및 제 1수준 전력(P1)으로 2.5분의 히팅 과정이, 번갈어 2회씩 반복되어 진행된다. (S103) 그 후, 모터 전력(Pm)으로 3.5분의 쿨링 과정 및 제 1수준 전력(P1)으로 2.5분의 히팅 과정이, 번갈아 2회씩 반복되어 진행된다. (S104) 그 후, 모터 전력(Pm)으로 3분의 쿨링 과정 및 제 1수준 전력(P1)으로 2.5분의 히팅 과정이, 번갈아 2회씩 반복되어 진행된다. (S105) 그 후, 제 1수준 전력(P1)으로 1.5분의 히팅 과정(S106)이 진행된다. 그 후, 제 2수준 전력(P2)으로 3.5분의 히팅 과정(S107)이 진행된다. 그 후, 제 1수준 전력(P1)으로 1.5분의 히팅 과정(S108)이 진행된다. 그 후, 제 1수준 전력(P1)으로 1.5분의 히팅 과정(S108)이 진행된다. 그 후, 모터 전력(Pm)으로 1.5분의 쿨링 과정(S109)이 진행된다. 그 후, 제 1수준 전력(P1)으로 1.5분의 히팅 과정(S110)이 진행된다. 그 후, 제 2수준 전력(P2)으로 1.5분의 히팅 과정(S111)이 진행된다. 상기 히팅 과정(S111)이 종료되면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62분이 되는 상기 시작 시점(to)이 된다. 한편, 상기 과정(S110)이 진행되는 동안 60분이 되는 시점(ta)에서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본 시나리오에서 상기 건조 조건이 만족된다는 가정하에 이하의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소정 시간 구간(Ts)의 시작 시점(to)부터 온도 조건 판단 단계가 진행된다. 본 시나리오에서, 상기 시작 시점(to)부터 제 1수준 전력(P1)으로 히팅 과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71)이 진행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상기 제 1 내지 3 온도 조건중 어느 것을 만족하였는지 및 모두 불만족 하였는지에 따른, 4가지 다른 경우(①, ②, ③, ④)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제 1경우(①)의 시나리오는, 제 1소 시간 구간(Ts1) 내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진행되는 중에, 제 1온도 조건이 만족된다. (S372) 제 1소 시간 구간(Ts1) 중 제 1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종료됨과 동시에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시작된다. 종료 쿨링 단계(S500)에서, 모터 전력(Pm)으로 쿨링 과정이 진행된다.
제 2경우(②)의 시나리오는, 제 1구분 시점(td1)까지 제 1소 시간 구간(Ts1) 내에서 제 1온도 조건이 불만족되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제 2소 시간 구간(Ts2)의 시작 시점(td1) 이후 까지 진행된다. 제 2소 시간 구간(Ts2) 내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진행되는 중에, 제 2온도 조건이 만족된다. (S373) 제 2소 시간 구간(Ts2) 중 제 2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종료됨과 동시에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시작된다. 종료 쿨링 단계(S500)엑서, 모터 전력(Pm)으로 쿨링 과정이 진행된다.
제 3경우(③)의 시나리오는, 제 2구분 시점(td2)까지 제 2소 시간 구간(Ts2) 내에서 제 2온도 조건이 불만족되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제 3소 시간 구간(Ts3)의 시작 시점(td2) 이후 까지 진행된다. 제 3소 시간 구간(Ts3) 내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가 진행되는 중에, 제 3온도 조건이 만족된다. (S374) 제 3소 시간 구간(Ts3) 중 제 3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종료됨과 동시에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시작된다. 종료 쿨링 단계(S500)엑서, 모터 전력(Pm)으로 쿨링 과정이 진행된다.
제 4경우(④)의 시나리오는, 소정 시간 구간(Ts)의 종료 시점(te)까지 제 3소 시간 구간(Ts3) 내에서 제 3온도 조건이 불만족되어,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종료 시점(te)까지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온도 조건은 불만족된다. (S375) 종료 시점(te)에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S300)는 종료됨과 동시에 종료 쿨링 단계(S500)가 시작된다. 종료 쿨링 단계(S500)엑서, 모터 전력(Pm)으로 쿨링 과정이 진행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도 11 및 도 12의 일 시나리오 및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른 결과치는 Q로 도시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 대상예의 제어방법에 따른 결과치는 O로 도시한다. 비교 대상예(O)는, 도 11 및 도 12의 일 시나리오에서 온도 조건의 판단없이 62분이 되는 시점(to)부터 65.5분이 되는 시점까지 제 1수준 전력(P1)으로 3.5분의 히팅 과정 진행후, 종료 쿨링 단계가 진행된다. 비교 대상예(O)의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0분)부터 62분이 되는 시점까지의 행정은 본 실시예(Q)의 초기 건조 단계(S100)와 동일하다.
본 설명에서 언급하는 ‘최종 함수율(FMC)’은 건조 행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포의 무게에 대한 포에 남아있는 수분 무게의 비율을 의미한다. 최종 함수율(FMC)이 작을수록 포의 건조도가 더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종 함수율(FMC) 1.8%는 충분한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값으로서, 최종 함수율(FMC)이 1.8% 미만이 되면 건조가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Q)와 비교 대상예(O)에서, 각기 많은 회수의 건조행정을 진행시키고, 각 건조 행정의 결과 포의 최종 함수율(FMC)을 측정하여, 각각의 결과치를 종합하여 산포(막대 그래프의 세로 길이), 중간값 및 평균치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다.
도 13을 참고하여, 비교 대상예(O)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o)에 비해, 본 실시예(Q)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q)가 약 1/2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매회의 건조 행정마다 포의 균일한 수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 최소의 건조 조건이 불만족하는 건조 불량 상태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실시예(Q) 및 비교 대상예(O)에서 각각 덕트 상태(Ds)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다. Nor는 정상적인 덕트 상태를 나타내며, Abn는 비정상적인 덕트 상태로서 본 실험예에서 배기 유로(43)의 배출구에 이물질을 두어 유로 저항을 증가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 대상예(O)에서 덕트 상태(Ds) 조건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1o)에 비해, 본 실시예(Q)에서 덕트 상태(Ds) 조건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1q)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 대상예(O)에서 덕트 비정상 상태(Abn)의 평균 최종 함수율(FMC)은 1.68%이고 덕트 정상 상태(Nor)의 최종 함수율(FMC)은 0.90%로 평균 편차(E1o)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Q)에서 덕트 비정상 상태(Abn)의 평균 최종 함수율(FMC)은 1.57%로서 비교 대상예(O)에 비해 감소하고, 본 실시예(Q)에서 덕트 정상 상태(Nor)의 최종 함수율(FMC)은 1.11%로서 비교 대상예(O)에 비해 증가하며, 이에 따른 평균 편차(E1q)가 현저히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덕트 상태(Ds) 조건이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포의 균일한 수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Q) 및 비교 대상예(O)에서 각각 세탁물 처리장치에 인가되는 전압(V)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다. 237.6V와 242.4V는 실효 전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압이 공급되는 가정에 따라 약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한 실험 조건이다.
도 15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 대상예(O)에서 전압(V) 조건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2o)에 비해, 본 실시예(Q)에서 전압(V) 조건에 따른 최종 함수율(FMC)의 산포도(D2q)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 대상예(O)에서 237.6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평균 최종 함수율(FMC)은 1.15%이고 242.4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최종 함수율(FMC)은 1.43%으로 평균 편차(E2o)가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Q)에서 237.6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평균 최종 함수율(FMC)은 1.26%로서 비교 대상예(O)에 비해 증가하고, 본 실시예(Q)에서 242.4V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최종 함수율(FMC)은 1.42%로서 비교 대상예(O)에 비해 감소하며, 이에 따른 평균 편차(E2q)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전압(V) 조건이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포의 균일한 수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실시예(Q) 및 비교 대상예(O)에서 각각 세탁물 처리장치의 주변의 습도 조건 등 다른 조건의 편차를 고려하더라도, 본 발명을 통해 포의 균일한 수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만족 시점을 통하여, 히팅 과정의 길이를 조절하고, 각 환경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포의 건조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100, 100' : 세탁물 처리장치 10 : 케이싱
23 : 드럼 M : 모터
40 : 공기 유로 51 : 팬
53 : 히터 30 : 제어부
32 : 온도 센서 33 : 전극 센서
S100 : 초기 건조 단계 S300 : 온도 조건 판단 단계
S200 : 추가 조건 판단 단계 Z, Z' : 후기 단계
S500 : 종료 쿨링 단계 S400 : 추가 건조 행정 단계
Ts : 소정 시간 구간 to :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
te : 소정 시간 구간의 종료 시점 td, td1, td2 : 구분 시점
Ts1, Ts2, Ts3 : 소 시간 구간
23 : 드럼 M : 모터
40 : 공기 유로 51 : 팬
53 : 히터 30 : 제어부
32 : 온도 센서 33 : 전극 센서
S100 : 초기 건조 단계 S300 : 온도 조건 판단 단계
S200 : 추가 조건 판단 단계 Z, Z' : 후기 단계
S500 : 종료 쿨링 단계 S400 : 추가 건조 행정 단계
Ts : 소정 시간 구간 to :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
te : 소정 시간 구간의 종료 시점 td, td1, td2 : 구분 시점
Ts1, Ts2, Ts3 : 소 시간 구간
Claims (20)
-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팬과,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포 또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조 행정의 진행 중,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조건 판단 단계; 및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시작 시점이 달라지는 후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고,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온도 조건은,
제 m-1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1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1온도 조건; 및
제 m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온도 조건을 포함하고,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제 m-1기준 온도값은 제 m기준 온도값보다 크도록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경우의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한 경우의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 보다 빨라지게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한 시점이 빠를수록 상기 후기 단계의 시작 시점이 빨라지게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후기 단계가 시작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기 단계의 총 진행 시간은,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 및 만족 시점과 무관하게 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기 단계는,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종료 쿨링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추가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기 단계에서,
상기 추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건조 행정의 종료 전에 포를 쿨링하는 종료 쿨링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추가 조건이 불만족하면 추가 건조 행정 단계가 진행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포의 또는 상기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조건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근거로, 만족시 습도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게 기설정된 건조 조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to)의 이전 시점(ta)에서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근거로 판단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행정의 시작 시점 이후부터,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 이전까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히터 및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0보다 큰 소정의 시작 시점과 상기 시작 시점보다 큰 소정의 종료 시점 사이의 구간으로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는,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 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종료되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내에서 상기 온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의 종료 시점에 종료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온도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온도 조건 판단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팬 및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고,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서 감지된 상기 온도값을, 상기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현재 시점이 속한 소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온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보게 기설정되고,
상기 제 m-1온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 m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게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팬;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포 또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건조 행정의 시작 후,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을 근거로 소정의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그 이후의 단계의 시작 시점이 달라지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구간은 시간순으로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고,
제 1 내지 n 소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온도 조건은,
제 m-1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1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1온도 조건; 및
제 m소 시간 구간내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제 m기준 온도값 이상인 제 m온도 조건을 포함하고,
제 1 내지 n 기준 온도값 중, 제 m-1기준 온도값은 제 m기준 온도값보다 크도록 기설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448A KR102360868B1 (ko) | 2017-05-08 | 2017-05-08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448A KR102360868B1 (ko) | 2017-05-08 | 2017-05-08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351A KR20180123351A (ko) | 2018-11-16 |
KR102360868B1 true KR102360868B1 (ko) | 2022-02-08 |
Family
ID=6456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7448A KR102360868B1 (ko) | 2017-05-08 | 2017-05-08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086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17915A (ja) * | 2010-04-08 | 2011-11-04 | Rinnai Corp | 衣類乾燥機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4495B1 (ko) * | 2003-12-31 | 2005-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
KR101020427B1 (ko) * | 2008-06-03 | 2011-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05-08 KR KR1020170057448A patent/KR1023608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17915A (ja) * | 2010-04-08 | 2011-11-04 | Rinnai Corp | 衣類乾燥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351A (ko) | 201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09987B2 (en) |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535270B1 (ko)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EP1778909B1 (en) | Controlling methof for automatically drying | |
KR20110080620A (ko)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JP6486037B2 (ja) | 洗濯乾燥機 | |
JP2010042118A (ja) | 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 |
CN111809340B (zh) | 烘干控制方法及装置、烘干设备 | |
KR20180103515A (ko) |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00102311A (ko) |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 |
KR20090126138A (ko)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05177478A (ja) | 洗濯機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2360868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79797A (ko) |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2099177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616492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JP6460308B2 (ja) | 洗濯乾燥機 | |
KR20180106475A (ko) | 세탁물 건조장치 | |
KR20200105026A (ko) |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585175B1 (ko) | 건조기의 제어 방법 | |
KR102373022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36700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19037896A (ja) | 洗濯乾燥機 | |
US10753035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90057659A (ko) | 건조기의 제어 방법 | |
JP2019187613A (ja) | 衣類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