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51B1 -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751B1
KR102360751B1 KR1020210088768A KR20210088768A KR102360751B1 KR 102360751 B1 KR102360751 B1 KR 102360751B1 KR 1020210088768 A KR1020210088768 A KR 1020210088768A KR 20210088768 A KR20210088768 A KR 20210088768A KR 102360751 B1 KR102360751 B1 KR 10236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z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exhibition
authent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혜원
임현주
Original Assignee
독립기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립기념관 filed Critical 독립기념관
Priority to KR102021008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4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personal data, e.g. biometric data, records or p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체류한 시간을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를 맞추면 스탬프를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퀴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본인인증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는 카운트부,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위치정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하는 퀴즈부, 사용자 단말에서 퀴즈를 맞춘 경우 스탬프를 발급하는 발급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VISIT VERIFICATION SERVIC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시관 내 전시실을 방문할 때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퀴즈를 풀도록 하고 스탬프를 얻으면 방문확인증을 발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21세기의 박물관은 기관 안팎에서 관람자의 경험을 좀 더 다양하게 만들고 확장하고자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에서 일어나는 관람객과 전시물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기술을 매개로 한 해설 및 교육 프로그램들이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국립박물관 중장기발전계획에서 국립 박물관의 10대 핵심과제를 제안했는데, 그 중 소장품 정보 통합 아카이브 구축 및 미공개 소장품 조사연구의 활성화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통해 달라진 관람객의 문화 수용방식에 대응하여 관람객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계획은 정부의 주도하에 단계를 밟아가고 있고, 전국의 국공립 및 사립 박물관에서 ICT 기반으로, AR, VR, MR, XR 등을 이용하여 ICT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이때, 전시장, 박람회,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전시시설에서 각 위치에 매핑된 IoT 기반 비콘을 이용하여 안내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150446호(2016년12월30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0135호(2017년01월02일 공개)에는, 애플리케이션과 비콘을 포함하는 IoT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확인된 위치에 기 설정된 안내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과, 전시장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작품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고, 작품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면 스탬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전시장에서 전시하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기는 하지만, 사용자 단말을 실제로 사용자가 보는 것인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고, 후자의 경우에도 사은품이나 경품을 얻기 위해 스탬프를 받지만 실제 작품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박물관은 비공식 학습(Informal Learning)의 장이며, 공식 학습 환경과는 다르게 정해진 커리큘럼이나 시간, 참여의 강제성 등이 없다. 관람자는 자발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참여하며, 스스로 배움의 방식을 선택하고 자유롭게 구성해야 하며, 관람자와 작품 사이의 경험은 상호적으로 이루어지고 물리적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뛰어넘어야 한다. 이에, 선택과 통제의 권한을 관람자에게 주는 대신 자율적인 여정으로 학습을 가능하게 만들고 강화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등록 후 지정전시관에 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로부터 체류시간을 확인 및 인증받아 각 전시관별로 스탬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받고, 스탬프를 발급받을 때 기 저장된 퀴즈를 제공하여 맞춘 경우에만 스탬프를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전시관에서 전시물에 충실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모든 스탬프를 모두 발급받은 경우 방문확인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이후 기 설정된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택과 통제의 권한을 줌과 동시에 자율적인 여정으로 학습이 가능케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체류한 시간을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를 맞추면 스탬프를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퀴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본인인증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는 카운트부,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위치정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하는 퀴즈부, 사용자 단말에서 퀴즈를 맞춘 경우 스탬프를 발급하는 발급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등록 후 지정전시관에 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로부터 체류시간을 확인 및 인증받아 각 전시관별로 스탬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받고, 스탬프를 발급받을 때 기 저장된 퀴즈를 제공하여 맞춘 경우에만 스탬프를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전시관에서 전시물에 충실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모든 스탬프를 모두 발급받은 경우 방문확인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이후 기 설정된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택과 통제의 권한을 줌과 동시에 자율적인 여정으로 학습이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시관에 방문하는 방문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민간인일 수도 있고 군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각 전시실에 배치된 IoT 기기(400)로부터 위치정보를 습득하고 위치정보를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때 헤더에 현재시각을 함께 전송하거나,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IoT 기기(400)로부터 얻은 시각을 파악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하나의 전시실 내에 머무른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를 풀 수 있는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퀴즈의 정답을 맞추는 경우 하나의 전시실 당 하나의 스탬프(Stamp)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기 설정된 필수 전시실에서 모두 스탬프를 득한 사용자 단말(100)은 방문확인증을 발급받을 수 있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연계 기관 서버(미도시)로 방문확인증을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시관 내 각 전시실에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를 배치해두고, 각 전시실의 고유식별코드와 IoT 기기(400)의 고유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각 전시실마다 퀴즈가 출력될 수 있도록 퀴즈 데이터도 함께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IoT 기기(400)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IoT 기기(400)가 무선인 경우 전원량을 체크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본인인증을 한 후 전시실 내 IoT 기기(400)로부터 위치정보를 얻는 경우, 위치정보를 얻은 시각부터 퀴즈 버튼을 활성화할 때까지 카운트를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운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IoT 기기(400)의 고유식별코드를 득하여 다른 위치정보를 보낸 경우, 카운트를 중지 또는 재시작하거나 초기화하여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를 시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퀴즈의 정답을 맞추는 경우 전시실의 스탬프를 발급하고, 필수 전시실에서 스탬프를 모두 받은 경우 방문확인증을 발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중이용시설 인원제한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방문예약을 받고 인원제한을 초과하는 경우 예약을 불가하도록 하거나 입장을 제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전시실 내 관람객의 수를 파악하고 밀집도나 혼잡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분산되도록 하고, 각 시간대별로 전시실 내 관람객 수를 통계화하여 수치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고유식별코드 및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IoT 기기(400)는 예를 들어 비콘(Beacon)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등록부(320), 카운트부(330), 퀴즈부(340), 발급부(350), 방문확인부(360), 연계알림부(370), 혼잡도알림부(380), 로그부(390), 설정부(391), 활성화부(393), 예약부(395) 및 길안내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로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퀴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일 수 있다.
등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본인인증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카운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운트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항상 화면을 켜놓아야 하며(시간 카운트), 블루투스를 켜야 비콘인 IoT 기기(400)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또, 카운트부(330)에서 다른 전시실의 비콘 위치정보를 얻는 경우 카운트가 제로세팅되는 등 정지 또는 중지되므로 이에 대한 안내문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퀴즈부(340)는,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위치정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발급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퀴즈를 맞춘 경우 스탬프를 발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400)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체류한 시간을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를 맞추면 스탬프를 발급받을 수 있다.
방문확인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급받은 스탬프의 종류 및 수가 기 설정된 스탬프의 종류 및 수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방문확인증을 지급할 수 있다.
연계알림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사용자 정보 중 소속을 추출하여 관계 기관 서버로 방문확인증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군휴가보상프로그램인 경우, 관계 기관은 국방부나 군인의 소속 사단일 수 있다.
혼잡도알림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을 포함하는 전시관에 시간당 인원제한이 존재하는 경우, 실시간 관람객의 수를 업데이트하여 실시간 관람객의 수가 시간당 인원제한에 도달한 경우 안내 문구를 업로드할 때, 예상대기시간을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로그부(39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머무른 시간, 퀴즈를 맞춘 후 스탬프를 발급받을 때까지의 시간 및 전체 관람 시간을 로그로 수집하여 통계 데이터로 누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다만, 모든 사람이 블루투스를 켜고 비콘 신호를 받아 퀴즈를 풀고 스탬프를 찍지는 않기 때문에, 정확한 사람 수 측정을 위해서는 IoT 환경에서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를 추정하기 위한 모델을 이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WiFi AP를 이용하여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로부터 실내 인원 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WiFi를 이용한 방식은 비이미지 기반으로 사생활 침해 우려가 없고 새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Channel State Information>
실내환경에서 WiFi 신호는 반사, 산란, 회절을 거쳐 다중경로신호로 수신기에 전송된다.
Figure 112021078097109-pat00001
N은 다중경로 신호 성분의 수, αi(t), Φi(t), τi(t)는 각각 i 번째 다중경로 성분의 진폭, 위상, 지연시간이다. 대부분의 WiFi 장치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을 사용하며 수학식 1에서 h(t)의 고속 푸리에 변환(FFT)은 OFDM 시스템의 채널 주파수 응답 또는 물리계층 CSI에 해당한다. OFDM의 CSI는 이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1078097109-pat00002
k 번째 서브 캐리어에 대한 CSI는 이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내며, 여기서 |Hi(n)|은 진폭, ∠Hi(n)은 위상이다.
Figure 112021078097109-pat00003
어떠한 장치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들의 활동을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WiFi 신호의 CSI로부터 원하는 활동 정보를 추출해내기 위한 피처 엔지니어링 기법과 ML 모델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여러 실내환경에서 WiFi 측정값과 사람 수를 포함하는 개방형 데이터(EHUCOUNT)를 이용할 수도 있다. OFDM 신호의 53 개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진폭과 위상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EHUCOUNT를 이용하여 사람 수 추정에 유용한 ML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 또, DNN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실내 인원 수의 추정 방식도 함께 이용하는데, Sigmoid를 활성화 함수로 이용하여 3 단 은닉층 레이어를 갖는 DNN 모델을 생성하고, 실제 실내에서 측정된 테스트 데이터로 그 성능을 검증할 수도 있다.
<사람 수 추정 DNN 모델>
DNN 모델은 입력층, 은닉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EHUCOUNT 데이터셋은 53개 서브캐리어의 진폭과 위상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DNN 모델의 입력층은 그에 따라 106 개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은닉층은 4 단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활성화 함수로 3 개의 레이어에는 Swish를, 네 번째 레이어에는 Relu를 이용할 수 있다. 출력층에서는 Softmax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학습률은 초기값을 설정한 후 Adam Optimizer를 사용할 수 있다. 손실함수는 Softmax Cross Entropy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이미지 기반의 지능형 CCTV를 이용하여 사람 수를 카운트하거나 개찰구와 같은 카운터를 각 전시실에 설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람 수를 셀 수도 있고 다른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설정부(391)는, 위치정보가 동일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퀴즈가 출력될 때, 서로 중복된 퀴즈가 제공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근 초등학교에서 견학을 온 경우 동일 학급 또는 동일 학년의 학생들끼리 정답을 공유할 수 있고, 스스로 배우기보다 정답만 받아 적고 시간만 보내고 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활성화부(393)는, 사용자 단말(100)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할 때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로 진입하는 버튼을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약부(395)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방문 날짜, 요일 및 시각을 설정받아 예약을 접수받을 수 있다. 이때, 예약부(395)는, 인원제한이 설정되고 예약인원이 인원제한에 도달한 경우, 예약인원이 인원제한보다 낮은 날짜, 요일 및 시각을 안내할 수 있다.
길안내부(397)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방문확인증을 발급받은 후, 리워드를 지급받기 위한 안내소 위치를 출력하고, 길안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국군휴가프로그램에서는 방문확인증만 가지면 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보여주고 이후 안내소에서 도장을 받아간 후 이를 복귀하여 제출해야 한다. 이에, 어디에 안내소가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길안내 서비스를 네비게이션 형태로 도보를 기준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전시관에서 제스처 인터랙션(Gesture Interaction)을 통하여 전시관 내 3D 콘텐츠 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움직이는 등의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전시관 내부는 대부분 어둡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에서 가능한 제스처 인터랙션의 구성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제스처 인터랙션의 경우 대부분은 손을 이용한 제스처 인터랙션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손이 사용자가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Leapmotion은 높은 손 탐색 능력을 이용해 컴퓨터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화면을 이동시키는 등 마우스나 키보드 없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스처 인터랙션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손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손을 찾는 모델중에 높은 성능을 내는 모델들은 대부분 손의 색인 살구색을 찾고 그 외의 것은 회색으로 처리하여 손의 찾기 때문에 높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는 손의 색이 살구색이 아닌 회색이나 검정색같이 다른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손을 제대로 탐색하기 어렵다. 때문에 오직 깊이 정보만을 이용해야하는데, 깊이 정보만을 이용해서 손을 찾기 위해서는 전처리가 필요하면 이것들을 적용한 후에, 손을 탐색해야 정확하게 손을 찾아낼 수 있다. 손을 찾은 후에는 제스처를 정확하게 정의해야한다. 이때, 제스처는 누구나 배우기 쉬운 직관적이고 쉬운 제스처로 정의해야 한다. 제스처를 정의 하고나면, 제스처간의 중복을 피하기 위한 여러 조건을 붙이고, 제스처사이의 중복이 존재하지 않게 해야한다.
대부분의 높은 성능을 내는 손 탐지 모델의 경우 컬러 정보를 사용한다. 하지만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환경에서는 색상 정보를 쓸 수 없다. 때문에 깊이(Depth) 정보만을 이용하여 배경제거(Background Subtraction)와 ROI(Region of Interest)를 이용하여 필요한 깊이 정보만을 가져와서 손을 검출하고, 검출한 손의 관절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정의하고, 그에 맞는 제스처 동작을 취했을 때 그 제스처를 인식하고 출력한다. 제스처 간의 딜레이(Delay)를 1 초를 주고 동작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배경제거>
주변의 다른 구조물과 주변의 불필요한 배경을 지우기 위해 배경제거를 이용할 수 있다. Azure Kinect를 통해 들어온 첫 번째 깊이(Depth) 영상과 이후에 사용자가 등장하는 프레임들의 깊이 차이를 계산하고 임계값(Threshold)을 넘는 깊이 정보들만 영상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손 탐지>
배경제거로 주변 구조물의 깊이를 지우고, 사용자의 깊이 정보만을 이용해서 ROI 안에서 CrossInfoNet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손을 찾는다. CrossInfoNet은 깊이 정보를 이용해 손의 관절정보를 찾는 모델이다. 모델의 학습은 NYU Hand Dataset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손바닥 중심을 포함한 손의 14개의 관절 정보의 x, y, z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제스처 인식>
손 탐지를 통해 얻은 손의 14 개의 관절 정보들의 상대적인 위치, 손가락 마디의 내적 및 거리를 계산하여 각각의 제스처를 정의할 수 있다. 제스처의 종류는 상, 하, 좌, 우, 확대, 축소 그리고 연속회전하는 좌, 우가 있다. 상, 하, 좌, 우 제스처는 손 중심을 기준으로 검지, 중지의 끝의 상대적인 거리가 임계값을 넘으면 해당 방향으로의 제스처가 출력된다. 확대, 축소 제스처의 경우 엄지와 검지 사이의 거리를 Heap 구조에 저장하는데, Heap 구조에 저장하는 거리 값이 임계값 이상으로 커지면 확대, 줄어들면 축소 제스처가 출력된다. 마지막으로 연속회전 좌, 우 제스처는 모든 손가락의 끝이 손 중심으로부터 임계값 이상으로 벗어나면 해당 방향으로 제스처가 출력된다. 이때 기본 회전 좌, 우 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손가락의 내적 값을 계산하여 제스처간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형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 Azure Kinect를 설치하고, Azure Kinect와 정면으로 바라보는 위치에서 손은 카메라로부터 40cm~50cm 정도로 유지한 채, 8 개의 제스처를 각각 총 N 명의 사람이 1 개의 제스처마다 10 번씩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제스처 한개마다 100 번씩 시도하고, 8 개의 제스처에 대한 800번의 시도 중에 오탐지와 미탐지의 경우를 포함하여 정확도를 계산할 수 있다.
<테이블탑형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실제 물체를 보듯이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시차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객체 재현을 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처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XGA급 정방형 홀로그램 컬러 영상을 수평 512시점의 30fps로 디스플레이 할 때, 압축처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 27Gbps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고 FHD급인 경우에는 약 54Gbps의 고속 데이터 스트리밍 전송이 필요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HDMI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송속도면에서 한계가 있고, SDI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케이블의 Form Factor에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HDMI 및 SDI 방식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므로 송신부에서 수신 DMD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상태 정보 전달용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단일 서버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구조와 전송 속도 및 Form Factor를 고려하여, 광케이블의 SFP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홀로그램 데이터 전송 서버>
서버에서 고속으로 스토리지의 파일을 Read하기 위하여 RAID로 구성된 SSD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고, DMA 기반 데이터 스트리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PCIe 드라이버, 고속 스트리밍용 전송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로 서버의 출력을 구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용 전송 보드는 PCIe 기반 DMA 모듈과 Xilinx Aurora 기반 광통신 전송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SFP+(Samall Form-factor Pluggable plus)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부의 각 RGB 컴포넌트로서의 DMD 수신 인터페이스 각각의 보드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Aurora기반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홀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DMD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DMD 각 컴포넌트 별로 필요한 데이터 속도는, 1080x1080 해상도에 30fps의 Frame Rate와 수평방향 512시점의 시공간 다중화를 하게 되므로 최소 18Gbps가 필요하고, 전송 서버의 전송용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컬러 재현에 필요한 RGB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페클 저감을 위한 다중화를 위해 RGB 2세트의 DMD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총 108G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요구된다.
홀로그램 데이터 스트리밍 서버는 시스템 제어 PC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는 홀로그램 인터랙션 정보나 동공추적장치의 동공 위치 정보를 Ethernet을 통해 수신하여 홀로그램 객체에 대해 손 동작에 의한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공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수직 시차 제공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서버 내 고속 데이터의 Read 동작을 위해 OS는 Ubuntu 18.04를 사용할 수 있고, 메모리는 NVMe 970PRO SSD, PCIe Gen3가 지원되는 서버에서 DMA로 데이터를 읽어 PCIe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1TB의 SSD를 4 개 사용하여 총 4TB 용량의 SSD를 RAID-0로 구성할 수 있고, RAID 컨트롤러인 High Point 7101A-1는 PCIe Gen-3의 8-lane을 사용하며 128Gbps의 최대 전송속도를 갖는다.
범용 OS 상의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DMA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DMA 모듈 구동용 별도의 드라이버가 필요하므로, Linux 기반 DMA용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고, 드라이버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단의 가상 메모리 주소를 DMA에 물리적 메모리 주소로 변환하여 전달하고, 인터럽트 방식을 통해 DMA 모듈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단에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FP+의 경우 포트(Port) 당 10Gbps 성능을 가지며, QSFP+는 포트 당 광케이블 4개의 전송 채널을 사용하므로 총 40Gbps의 전송 성능을 가진다. 또한 Rx/Tx Port가 별도로 있으므로 양방향 송수신도 가능하다.
FPGA 기반의 전송 보드는 전송 서버로부터 받은 R,G,B 홀로그램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고, 데이터 수신 보드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DDR3 Controller를 버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송 보드에서 R,G,B 컴포넌트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하며, 각 컴포넌트의 프레임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신호가 SFP+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보드는 데이터 전송 기능 외에 CPU에서 FPGA 모듈을 제어하고 상태 정보를 체크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파일을 사용하며, 수신 제어를 위하여 SFP+ 레지스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홀로그램 데이터 전송용 서버의 기본 기능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소자인 DMD 모듈로 홀로그램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것이므로, 전송 서버는 H/W 인터페이스 및 광케이블로 수신단과 연결되는데, 서버 내부에서는 SSD RAID내 데이터를 DMA 기반으로 고속 Read 하는 기능이 있으며, PCIe I/F와 SFP+ 광케이블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고속 전송 데이터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홀로그램 데이터 전송용 서버는 최종적으로 DMD 2세트의 RGB 6채널, 1080x1080 해상도, 518시점, 30fps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FHD급 DMD로 구성된 RGB SLM(Spatial Light Modulator) 모듈에 대해 60Gbps급 홀로그램 데이터의 고속 스트리밍 기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전송 서버는 제어 PC와 통합 제어기와 함께 19인치 Rack에 장착될 수 있다. 홀로그램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테이블탑형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이는 각 전시관 내의 전시객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국군휴가보상 프로그램에 적용된 일 실시예와 그 절차를 도시한다. 물론 국군휴가보상 프로그램 외에도 방문이나 각 전시실에서 얻어야 하는 지식 등을 확인해야 하는 기관, 학교, 단체, 기업 등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충시설 기념관에 이용되었지만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전체 프로세스는 시작->정보등록->메인화면->전시실관람->퀴즈->스탬프발급->확인증받기->확인증 발급으로 이루어진다.
도 4a와 같이 시작 전 가이드를 보여주고 블루투스의 온(On) 지시와 최소 몇 분 이상 전시실에서 머물러야 하는지, 스탬프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미션을 수행해야 하는지 등을 안내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이름, 이메일, 부대명, 군번, 계급 등을 입력하고, 도 4c와 같이 본인인증 및 등록이 완료되면 메인화면에서 스탬프 받기를 시작한다. 도 4d와 같이 어떠한 전시실을 가야하는지, 퀴즈풀기는 몇 분 후에 나오는지 실시간으로 카운트가 되며, 10 분을 채운 경우 도 4e와 같이 퀴즈풀기 버튼이 활성화된다. 도 4f와 같이 퀴즈가 제공되고, 도 4g와 같이 퀴즈 정답을 맞춘 경우 스탬프를 발급받을 수 있다. 도 4h와 같이 확인증 받기를 신청할 수 있고, 도 4i와 같이 확인증서가 발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퀴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본인인증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한다(S5200).
그리고,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고(S5300),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위치정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한다(S5400).
또,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퀴즈를 맞춘 경우 스탬프를 발급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시관 내 각 전시실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체류한 시간을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시간인 전시실 내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를 맞추면 스탬프를 발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의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퀴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본인인증절차를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운트를 시작하는 카운트부, 상기 카운트된 시간인 전시실 내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하는 퀴즈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퀴즈를 맞춘 경우 맞춘 퀴즈의 제공이 이루어진 전시실에 대응하는 상기 스탬프를 발급하는 발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방문확인증을 발급하는 방문확인부, 리워드를 지급받기 위한 안내소 위치를 출력하고 길안내 서비스를 시작하는 길안내부, 및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위치정보가 동일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퀴즈가 출력될 때 정답 공유 방지를 위해 서로 중복된 퀴즈가 제공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스탬프는 전시관 내 각 전시실에 있어서, 하나의 전시실 당 하나의 스탬프가 제공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퀴즈 데이터에 대응하는 퀴즈는 전시관 내 각 전시실마다 제공되는 전시물 관련 퀴즈이고,
    상기 방문확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급받은 스탬프의 종류 및 수가 기 설정된 스탬프의 종류 및 수와 일치하여 전시실 내 기 설정된 필수 전시실에서 제공되는 스탬프를 모두 획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문확인증을 발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시실 내 각 전시실에서 전송되는 퀴즈 데이터에 대응하는 퀴즈를 맞춤으로써 스탬프를 발급받되, 기 설정된 필수 전시실에서 제공되는 스탬프를 모두 획득한 경우 방문확인증을 발급받고, 상기 방문확인증의 발급 이후 상기 길안내부에서 제공하는 안내소 위치에 대응하는 안내소의 도장을 제공받은 경우 리워드를 지급받는 것인,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한 사용자 정보 중 소속을 추출하여 관계 기관 서버로 상기 방문확인증을 전송하는 연계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을 포함하는 전시관에 시간당 인원제한이 존재하는 경우, 실시간 관람객의 수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실시간 관람객의 수가 상기 시간당 인원제한에 도달한 경우 안내 문구를 업로드할 때, 예상대기시간을 함께 업로드하는 혼잡도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고,
    상기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시실에 머무른 시간, 퀴즈를 맞춘 후 스탬프를 발급받을 때까지의 시간 및 전체 관람 시간을 로그로 수집하여 통계 데이터로 누적하는 로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퀴즈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퀴즈로 진입하는 버튼을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활성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문 날짜, 요일 및 시각을 설정받아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부;
    를 더 포함하고,
    인원제한이 설정되고 예약인원이 인원제한에 도달한 경우, 예약인원이 인원제한보다 낮은 날짜, 요일 및 시각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삭제
KR1020210088768A 2021-07-06 2021-07-06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8A KR102360751B1 (ko) 2021-07-06 2021-07-06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8A KR102360751B1 (ko) 2021-07-06 2021-07-06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751B1 true KR102360751B1 (ko) 2022-02-14

Family

ID=8025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768A KR102360751B1 (ko) 2021-07-06 2021-07-06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7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050A (ko) * 2016-06-22 2016-08-12 (주) 준코토미컴퍼니 비콘을 이용한 전시장 운영시스템
KR101819148B1 (ko) * 2016-02-17 2018-01-16 원종혁 방문예약 사전등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20200112251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8B1 (ko) * 2016-02-17 2018-01-16 원종혁 방문예약 사전등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6050A (ko) * 2016-06-22 2016-08-12 (주) 준코토미컴퍼니 비콘을 이용한 전시장 운영시스템
KR102069139B1 (ko) * 2017-12-27 2020-01-22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20200112251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605B2 (en) Sharing link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0984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dance in a virtual environment
CN104184655B (zh) 信息推送的方法、系统与平台
US20170012821A1 (en) Personal working system available for dynamic combination and adjustment
Cadavieco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learning to optimize students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KR102092285B1 (ko) 전자 기기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CN103091844A (zh) 将头戴式显示连接到外部显示和其他通信网络
US20220124143A1 (en) System for providing synchronized sha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real time across multiple devices
Cocciolo et al. Does place affect user engagement and understanding? Mobile learner perceptions on the streets of New York
CN109050102A (zh) 一种智能共享推拉黑板
KR20180035304A (ko) IoT환경에서 관람객의 활동 기반 전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509529B (zh) 自助导游方法
CN109272592A (zh) 考勤管理方法、装置、服务器和基站
Koucheryavy et al. Applications of augmented reality traffic and quality requirements study and modeling
WO2016116783A1 (en) Personal working system available for dynamic combination and adjustment
Tripathy et al. Significance of IoT in education domain
KR102360751B1 (ko) Ict 기반 전시관 관람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Larabi Marie-Sainte et al. From mobile to wearable system: a wearable RFID system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US20210158576A1 (en) Boundary map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Saraubon et al. System Design of Mobile Augmented Book.
KR102013909B1 (ko) 라이프 로그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
CN106326328A (zh) 图像发送系统、图像发送装置和图像发送方法
KR10111732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94792A (ko) 증강현실 포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259551B1 (ko) 멘토링을 이용한 게임 커뮤니티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