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045B1 -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045B1
KR102049045B1 KR1020180056534A KR20180056534A KR102049045B1 KR 102049045 B1 KR102049045 B1 KR 102049045B1 KR 1020180056534 A KR1020180056534 A KR 1020180056534A KR 20180056534 A KR20180056534 A KR 20180056534A KR 102049045 B1 KR102049045 B1 KR 10204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supervisor
reality content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Priority to KR102018005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 간을 연결하는 단계, 감독자 VR 장치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에서 실시간 공유되도록 스트리밍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감독자 VR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SYSTM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FOR REMOTE CO-PLAYING}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독자에 의해 설정된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협업하여 가상객체를 완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주고받는 기존의 시스템은 효과적 원격 협업 환경 지원을 위해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착용형 컴퓨팅(Wearable Computing) 기술 등과 융합되어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IT 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VR/AR은 미디어 공간과 시간을 확장하는 기술인데, VR/AR 기술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곳에 있는 사용자들이 가상의 공간을 공유하여 협업하거나 현실 공간 내에 증강된 정보나 가상 객체를 이용하여 협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재, 대부분의 VR/AR 콘텐츠는 1인 사용자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점차 2인 이상의 사용자들 사이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VR/AR 환경에 대한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때, 스마트폰과 실사카드를 이용하여 캐릭터들과 애니메이션을 증강현실로 구현하거나, 스마트폰을 HMD에 장착하여 VR를 구현한 장치가 공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0732호(2017년11월29일 공개)에는, 각각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캐릭터카드의 이미지를 감지하여 해당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 전송하는 캐릭터이미지감지 모듈, 캐릭터이미지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캐릭터 카드의 이동에 따라 캐릭터이미지를 트래킹하여 이동 정보 또는 놓여진 카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캐릭터이미지트래킹 모듈,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미리 저장된 3차원 정보를 감지된 이동 정보와 위치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의 UI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 캐릭터의 점수, 점수 게이지, 총합계 점수를 관리하여 최종 승자를 판단하여 게임 승패를 스마트폰의 UI에 표시하거나,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캐릭터 특성을 분석하는 연산을 제공하는 게임연산 모듈의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AR/VR 시장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하드웨어나 콘텐츠 위주로 개발 또는 출시되고 있어서 심각한 편향현상을 보이고 있어서 교육, 의료, 부동산, 커머스, 여행 등의 분야의 AR/VR 콘텐츠와 핵심 응용플랫폼을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가상현실 공간과 현실 세계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존재하지 않아 가상현실 콘텐츠로의 흥미가 지속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공간에서 유아 및 청소년에게 새로운 체험과 창의적인 생각이 가능하도록 실감형 간접체험의 기회를 부여하고, 감독자가 설정한 가상현실 환경과 선택한 콘텐츠에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관찰하기, 스스로 발견하기,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및 다른사람과 협동하여 체결하기의 일련의 사고 및 행동과정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증진시키며 경험세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 간을 연결하는 단계, 감독자 VR 장치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에서 실시간 공유되도록 스트리밍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감독자 VR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와 감독자 VR 장치는, 동등-역할 협업(Equal-role Collaboration) 또는 비등-역할 협업(Unequal-role Collaboration)으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고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공간에서 유아 및 청소년에게 새로운 체험과 창의적인 생각이 가능하도록 실감형 간접체험의 기회를 부여하고, 감독자가 설정한 가상현실 환경과 선택한 콘텐츠에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관찰하기, 스스로 발견하기,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및 다른사람과 협동하여 체결하기의 일련의 사고 및 행동과정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증진시키며 경험세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감독자 VR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감독자 VR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감독자 VR 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상에서 협업이나 태스크(Task)를 완수하는 사용자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감독자 VR 장치(400)로부터 설정된 가상환경 상에서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이 가상의 콘텐츠를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공유하고, 손동작 등의 모션으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한 노드에는 사용자 전신의 몸짓 또는 인체의 일부의 몸짓을 추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디오 투시형(Video see-through) HMD를 통하여 상대방의 아바타 등과 작업을 해야 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손동작을 이용하여 가상의 물건을 옮기거나 선택하는 작업을 원격의 사용자와 공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HMD를 통하여 보고 있는 화면으로 원격지의 사용자와 그 아바타, 그리고 손동작을 이용하여 게임이나 교육 콘텐츠에서 설정된 임무를 완성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공동 미션 수행을 한 결과물을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또는 직접 프린터와 연결하여 3D 객체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와 감독자 VR 장치(400)를 협업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제어하고,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설정된 환경이나 태스크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및 감독자 VR 장치(400)와 연결하여 공유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에 의해 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객체를 변형 및 변경하고, 감지된 감지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독자 VR 장치(400)는,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감독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감독자 VR 장치(400)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선택하고, 가상현실 콘텐츠의 환경을 설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로 과제나 태스크 등을 부여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각 협업관계가 동등해야 하는지, 데이터 방향은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등을 선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감독자 VR 장치(400)는, 사용자 VR 장치(100)와 기본적으로 기능이나 구성은 동일할 수 있으나, 제어권한이 주어져 있는 점만 다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사용자 VR 장치(100)와 중복으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감독자 VR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독자 VR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감독자 VR 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연결부(310), 스트리밍부(320), 제공부(330), 전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감독자 VR 장치(400)로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감독자 VR 장치(400)는, 빅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및 감독자 VR 장치(400)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에 따른 이벤트를 입력받아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출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가상현실 콘텐츠의 환경변수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와 감독자 VR 장치(400)는, 동등-역할 협업(Equal-role Collaboration) 또는 비등-역할 협업(Unequal-role Collaboration)으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고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협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위치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VR 작업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지, VR 공간을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지, 일부 사용자의 VR 공간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AR 공간으로 공유될 수 있는지 등을 각각 설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이외에 영상, 음성, 제스처뿐 아니라, 연결부(310)는, 현실에 있는 객체를 3차원 모델링하여 VR/AR 공간 상에 물리 속성을 갖는 가상 객체로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을 생성하고, VR/AR 협업 공간 내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감성 정보 공유 정도에 따라 원격 협업 기술을 구분할 수 있고, 협업에서 사람의 생체, 감성 등의 정보를 작업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교육 등의 콘텐츠 제공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정보들을 연결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부(320)는,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및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실시간 공유되도록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때, 감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체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는 마스터 서버와 등록을 위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주도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관찰자 입장 또는 참여자 입장에서 네트워크 통신에 참여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다른 네트워크 통신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가상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통신 참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 시간 지연으로 발생하는 불일치를 보정해야 하는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부(320)에서는 동기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초당 60 프레임(60 fps)으로 작동하며 이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면서 모든 작동의 동기화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1/60초(16ms) 내에 한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한 모든 사용자 입력 처리와, 물리 연산, 렌더링 등을 마무리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통신 시간 지연은 이 보다도 훨씬 크며 따라서 같은 가상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다중 사용자 사이에서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만약 나뭇잎 오브젝트를 생성한 사용자, 즉 감독자라면 나뭇잎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루틴이 실행되고, 사용자(학생)이라면 나뭇잎 오브젝트의 위치와 속도 정보를 감독자가 불러온 나뭇잎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을 적용하는 루틴을 실행하 수 있다. 이때, 실제 네트워크 통신 시간 지연으로 인한 불일치를 정확하게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동시에 같은 가상 공간을 공유하는 것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공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 출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감독자 VR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은, 감독자 VR 장치(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로의 다자간 단방향 데이터 전송, 감독자 VR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간의 다자간 양방향 데이터 전송, 및 감독자 VR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간의 다자간 다중방향 데이터 전송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부(340)는, 감독자 VR 장치(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다리는 참여자들이 현재 참여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가상환경에서 임무를 완성하며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생성하는지 등을 공유받을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예를 들어 나무를 완성하는 태스크가 주어졌다고 가정하면, 가상객체인 가상현실 콘텐츠 상에서 완성된 나무를, 현실세계, 예를 들어 3D 프린터 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생들이 스스로 관찰(Observation)하고 발견(Discovery)하며 생각(Deduction)하여 자발적으로 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 콘텐츠의 테마는 예술, 미술, 생물, 자연, 태양계, 과학, 기술, 문화, 여행, 역사, 체육, 운동 등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감독자 VR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입력 데이터가 저장 및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감독자 VR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간의 물리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가상현실공간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감독자 VR 장치(400)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로 감독자 VR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공유하고,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설정한 환경변수값에 대응하도록 가상현실 콘텐츠를 변형하여 감독자 VR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VR 사용자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며, 감독자 VR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는, 감독자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감독자 VR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가상현실 콘텐츠 상의 소리나 원격지의 감독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헤드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센서로 가속도, 회전, 및 위치를 감지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컨트롤러, 및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가상현실 콘텐츠의 출력과 이벤트 입력을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이용해 콘텐츠의 객체와 상호작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머리, 눈 이외에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추적해 가상공간에 반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장갑형태가 사용되었지만 갈수록 정교해지며 손가락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술로까지 발전되었고, 초기 VR은 HMD를 이용하여 앉아있는 고정된 자세에서 머리 움직임의 방향을 추적하여 360도의 영상을 방향에 맞추어 보여주는 수준이었으나, 모션트래킹 기술과 3D스캔 기술 발달로 인해 실제 공간 안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들은, 얼굴에 착용하는 HMD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해, 실제 머리를 움직이는 데로 화면이 따라 움직이도록 하고, 기존에 눈앞의 화면만 보여주는 HMD와 달리 카메라 트래킹과 옵티컬 트래킹을 통해 시야각을 개선하여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양 손에 쥐는 입력 도구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VR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위치인식이 요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BLE의 거리에 따른 RSSI 값은 Wi-Fi에 비해 페이딩(Fading ) 현상에 나타나 오차가 많은 것처럼 보이나 BLE의 RSSI 값은 일정 거리 내 거리에 따른 정형적인 페이딩(Fading)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셀(Cell) 간 변화율에 신뢰성주어 안정적이며, 간략하다. 이를 이용하여, AHRS를 이용한 상대위치 인식방법과 BLE Fingerprint를 이용한 절대위치 인식 방법을 결합하는 위치인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대 위치 인식 방법인 관성센서 기반의 위치 인식 기법의 누적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절대위치 인식 방법으로 블루투스 RSSI 기반의 Fingerprint를 활용한 위치 인식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9축 센서 기반의 AHRS 디바이스를 부착한 사용자의 걸음 수, 보폭 등의 보행 정보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정보를 통한 상대위치 인식 방식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오차가 발생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BLE 핑거프린트 맵을 구축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와 보행 기반 위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물론, Wifi나 다른 네트워크의 사용이나 센서의 사용을 나열된 것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현실 콘텐츠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 또는 감독자 VR 장치(40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VR 장치 또는 감독자 VR 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값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육각형의 형상으로 한 면에 복수의 메뉴나 제어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나 감독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육각형의 메뉴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용자와 감독자가 동일한 가상공간을 공유하면서 가상객체를 선택하고 가상공간 내에 투사함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육각형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감독자나 사용자는 모든 축에 대하여 육각형의 인터페이스를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메뉴나 제어방법을 찾을 수 있다. (b) 이때, 다자간-단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수업진행 시 선생님과 학생들간 인터렉션 소통이 다자간-단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방식으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단방향으로 소통하는 공존현실 교육플랫폼 타입이고, 다자간-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수업진행 시 선생님과 학생들간 인터렉션 소통이 완벽한 다자간-다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방식(선생님-학생, 학생-학생)으로 가장 극대화된 공존현실 교육플랫폼 타입이며, 다자간-다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수업진행 시 선생님과 학생들간 인터렉션 소통이 다자간-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방식으로 선생님은 모든 학생들과 소통이 가능하지만, 학생간 소통은 불가능한 공존현실 교육플랫폼 타입일 수 있다.
(c) 또한, 실감체험형 공존현실 기반 VR 교육컨텐츠 및 운용 플랫폼은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서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도록 하며, 3D 블록이나 3D 드로잉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VR 장치(100)과 감독자 VR 장치(400)를 연결할 때 협업의 종류나 인터렉션 방법을 설정받아 동기화시키고(S4100),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가상 콘텐츠를 선택하면(S4200), 이를 감독자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실시간 네트워킹을 구현하고(S4300), 감독자 VR 장치(400)에서 환경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S4400), 사용자 VR 장치(10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S4500).
그리고,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10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S4600),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면서(S4700),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S4800),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클라이언트나 호스트가 보고 있는 화면을 중계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S4900), 참관자들이 실상황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협업과제가 완성되는 경우(S4910), 사용자 또는 감동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3D 프린터를 연결하여 완성된 가상객체를 프린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S4910), 완성 이벤트를 공유할 수 있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 간을 연결하고(S5100), 감독자 VR 장치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에서 실시간 공유되도록 스트리밍한다(S5200).
또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고(S5300), 감독자 VR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가상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에 따른 이벤트를 입력받아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출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환경변수값을 설정하는 감독자 VR 장치; 및
    상기 감독자 VR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로 상기 감독자 VR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공유하고, 상기 감독자 VR 장치에서 설정한 환경변수값에 대응하도록 가상현실 콘텐츠를 변형하여 상기 감독자 VR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VR 사용자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감독자 VR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업데이트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와 감독자 VR 장치는, 동등-역할 협업(Equal-role Collaboration) 또는 비등-역할 협업(Unequal-role Collaboration)으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고 공유하는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자 VR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감독자 VR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로의 다자간 단방향 데이터 전송, 상기 감독자 VR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간의 다자간 양방향 데이터 전송, 및 상기 감독자 VR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간의 다자간 다중방향 데이터 전송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자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자 VR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상의 소리나 원격지의 감독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헤드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센서로 가속도, 회전, 및 위치를 감지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컨트롤러, 및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출력과 이벤트 입력을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또는 감독자 VR 장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VR 장치 또는 감독자 VR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값을 처리하는 것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7.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 간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감독자 VR 장치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및 감독자 VR 장치에서 실시간 공유되도록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서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VR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가상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와 감독자 VR 장치는, 동등-역할 협업(Equal-role Collaboration) 또는 비등-역할 협업(Unequal-role Collaboration)으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어하고 공유하는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감독자 VR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로부터 수집된 입력 데이터가 저장 및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상기 감독자 VR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VR 장치 간의 물리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가상현실공간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
  10.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56534A 2018-05-17 2018-05-17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204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34A KR102049045B1 (ko) 2018-05-17 2018-05-17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34A KR102049045B1 (ko) 2018-05-17 2018-05-17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045B1 true KR102049045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34A KR102049045B1 (ko) 2018-05-17 2018-05-17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397A (en) * 2020-02-27 2021-09-01 Daimler Ag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motion sickness of users in a moving vehicle
KR20210131830A (ko) * 2020-04-26 2021-1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의를 위한 가상현실 모델의 효과적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11380022B2 (en) 2020-10-22 2022-07-05 Sony Group Corporation Content modification in a shared session among multiple head-mounted display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191A (ko) * 2011-12-14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추적 기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4655A (ko) * 2014-06-17 2015-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객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191A (ko) * 2011-12-14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추적 기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4655A (ko) * 2014-06-17 2015-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객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397A (en) * 2020-02-27 2021-09-01 Daimler Ag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motion sickness of users in a moving vehicle
KR20210131830A (ko) * 2020-04-26 2021-1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의를 위한 가상현실 모델의 효과적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458109B1 (ko) * 2020-04-26 2022-10-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의를 위한 가상현실 모델의 효과적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11380022B2 (en) 2020-10-22 2022-07-05 Sony Group Corporation Content modification in a shared session among multiple head-mounted display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9692B2 (ja) 対話型拡張現実表示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媒体
LaViola Jr et al. 3D user interfaces: theory and practice
Toris et al. The robot management system: A framework for conducting human-robot interaction studies through crowdsourcing
US20180308377A1 (en) Mixed-Reality System
US20170084084A1 (en) Mapping of user interaction with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2049045B1 (ko) 원격지에서 공존 놀이 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75722A1 (en) Combined Virtual and Physical Environment
Stanney et al. Extended reality (XR) environments
Chatzidimitris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edutainment applications for cultural institutions
KR102109942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retto et al. Towards gesture-based multi-user interactions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Oyama et al.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behavior navigation system for telexistence remote assistance
Elsharkawy et al. A UWB-driven self-actuated projector platform for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11241624B2 (en) Location-based video gaming with anchor points
US20230162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chott et al. UniteXR: Joint Exploration of a Real-World Museum and its Digital Twin
Wei et al. Integrating Kinect and haptics for interactive STEM education in local and distributed environments
KR20070043945A (ko)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집회 및 시위 개최 시스템 및그 방법
KR20210119337A (ko) 로봇 아바타를 통한 실시간 vr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125536A (ko) 가상현실 사용자와 증강현실 사용자와의 상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동작방법
KR20200043611A (ko)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JP7050884B6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Bergé et al. Smartphone based 3D navigation techniques in an astronomical observatory contex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a software platform
Saghir Utilization of viewer location based projection effects on ODV video display in CAVE like environments
Cardoso et al. Interaction with large displays in a public space using the Kinec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