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675B1 -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675B1
KR102360675B1 KR1020190057308A KR20190057308A KR102360675B1 KR 102360675 B1 KR102360675 B1 KR 102360675B1 KR 1020190057308 A KR1020190057308 A KR 1020190057308A KR 20190057308 A KR20190057308 A KR 20190057308A KR 102360675 B1 KR102360675 B1 KR 10236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iogenesis
brusonin
extract
composition
cyc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194A (ko
Inventor
서동완
김재현
오좌섭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6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그 증식을 억제하고 또 그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며, 맥관 형성 및 미세혈관 형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분자적 측면에서도 세포의 증식 및 분화 등 혈관신생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인 ERK, Akt 및 p70S6K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dependent kinase 4(Cdk4), cyclin D, cyclin E의 발현을 억제하며, 혈관신생관련 단백질인 vascular endothelial cadherin (VE-cadherin)의 분포 및 인산화를 제어함과 함께 integrin beta1 및 integrin-linked kinase(ILK)의 발현을 억제 활성을 가지는 브루소닌 A 및 브루소닌 B을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Angiogenesis Using an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 Containing Broussonin}
본 발명은 브루소닌 A 및 B를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은 새로운 혈관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과정으로 배아의 발생, 성장, 생식계통의 발생, 조직 재생 및 상처 치료 등에 관여하며 짧은 기간 내에 작동하고 종료 시 완전히 억제된다. 이 과정은 혈관신생 자극인자(성장인자), 세포 밖의 세포간극분자, 효소 및 다양한 세포유형의 광범위한 범위를 포함하는 작용이다(Am J Physiol Cell Physiol. 2014. 307(1):C25).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혈관신생 촉진인자의 자극에 의한 프로테아제의 분비 및 혈관 기저막의 분해가 일어나면서 시작된다. 이후 혈관내피세포가 이동(migration)하여 세포간 장벽인 세포외기질(ECM)에 부착(attachment)하고 침윤(invasion), 증식(proliferation), 혈관으로의 분화(tube 생성)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혈관신생을 일으킨다(J Biol Chem. 1992. 267(16):10931).
정상적인 상태의 생체에서는 혈관신생을 유도하는 인자들과 억제하는 인자들이 상호작용하며 성장, 발생 및 재생 과정을 엄격하게 조절, 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자들에 의한 조절이 제대로 안 될 경우에 질병이 발생하는데, 암,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혈관신생으로 인한 각막 질환, 망막변성, 각막 이식 거부,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등과 같은 질병에서 과도한 혈관 신생이 보고되어 있다(Nature. 2000. 407(6801):249; J Am Acad Dermatol. 1996. 34(3):486).
또한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도 신생혈관생성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종양은 크기가 1~3mm 정도까지는 스스로 성장할 수 있으나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영양분을 필요로 하는데 이때 계속적으로 모세혈관의 성장을 자극하는 것이다.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면 종양 사이에 혈관을 끼워 넣음으로써 통로를 제공하여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면서 종양은 성장할 수 있고 혈관을 따라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Acta Diabetol. 2013. 50(1):1).
혈관신생의 형성은 현재까지 20가지 이상의 혈관형성 촉진인자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중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VEGF-A)와 그 수용체인 VEGF receptor-2 (VEGFR-2)를 표적으로 하는 신생혈관에 의한 질환 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Nat Clin Pract Oncol. 2006. 3(1):24). VEGF는 많은 종류의 종양세포 및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며, 수용체와 결합하여 내피세포의 증식을 유발하고, 세포접합부의 VE-cadherin와 결합하여 접합부에서 VE-cadherin을 분리시켜 감소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Cancer Res. 2002. 62:2567) 종양 및 비만세포의 성장과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utr Rev. 2003. 61(11):384). 또한, 세포주기 진행을 위해서는 Cyclin의 형성과 retinoblastoma protein(pRb)의 인산화 과정이 필요하다(Nat Rev Cancer. 2009. 9(3):153).
비정상적으로 혈관이 생성되는 경우 혈관과 림프관 조직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기능에 이상이 일어나며 조직액 및 혈액이 정체되거나 혈관 파열이 쉽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혈관신생이 망막에 일어나는 경우 다양한 안질환이 발생하게 되는데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액 공급을 위한 혈관신생 및 이에 따른 망막 질환(당뇨병성 망막증)의 발생 빈도가 높다. 망막주변의 혈관 파열로 인한 후천적 망막질환은 부종, 황반변성, 망막박리 등의 증상을 거쳐 실명으로 진행되기도 하며, 실제로 후천적 실명의 원인 중 당뇨병성 망막증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치료 및 예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Diabetes Care 2004. 27:2540; JAMA 2003. 290:2057; Arch Ophthalmol 2008. 126:1740).
혈관신생 조절제는 보통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투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독성이 적고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어야 가장 이상적인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혈관신생 조절제로서 독성이 미비한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학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은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발견 및 합성된 신생혈관 유도 현상 억제제들은 나열하면, 혈소판 인자-4(Platelet factor-4, PF-4)와 이의 합성펩티드, 푸마길린(Fumagillin)과 이의 유도체인 AGM-1470, 우르솔산(Ursolic acid), 헤르비마이신 에이(Herbimycin A), 연골에서 유도된 억제제(Cartilage-derived inhibitor, CDI), 그리고 합성 억제제인 오바리신(Ovalicin),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미생물 이차 대사산물인 FR-111142 등이 있다.
한편, 브루소닌 A(Broussonin A; (2-[3-(4-hydroxyphenyl)propyl]-5-methoxyphenol)는 Broussonetia kazinoki, Broussonetia papyrifera, Anemarrhena asphodeloides 등을 포함하는 식물에서 추출되는 diphenylpropane물질로, 항바이러스(Chem Biodivers. 2007. 4(9):2231), 항염(Chem Biodivers. 2014. 11(5):749), 항비만(Bioorg Med Chem Lett. 2012. 22(8):2760), 에스트로겐 활성(Bioorg Med Chem Lett. 2010. 20(12):3764)등이 보고되었다. 브루소닌 B(Broussonin B; (4-[3-(4-hydroxyphenyl)propyl]-3-methoxyphenol)은 Broussonetia kazinoki, Anemarrhena asphodeloides 에서 추출되고, 항비만(Bioorg Med Chem Lett. 2010. 20(12):3764) 및 향신경 활성(Biol Pharm Bull. 2005. 28(9):1798)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브루소닌의 혈관신생관련 단백질을 억제하고, 맥관 형성 억제 및 미세혈관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루소닌을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브루소닌 A 및 B가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그 증식을 억제하고 또 그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며, 맥관 형성 및 미세혈관 형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분자적 측면에서도 세포의 증식 및 분화 등 혈관신생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인 ERK, Akt 및 p70S6K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dependent kinase 4(Cdk4), cyclin D, cyclin E의 발현을 억제하며, 혈관신생관련 단백질인 vascular endothelial cadherin (VE-cadherin)의 분포 및 인산화를 제어함과 함께 integrin beta1 및 integrin-linked kinase(ILK)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브루소닌 A 및 B는 그 IUPAC에 따른 명칭이 2-[3-(4-hydroxyphenyl)propyl]-5-methoxyphenol 및 4-[3-(4-hydroxyphenyl)propyl]-3-methoxyphenol인 아래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로서, 항바이러스(Chem Biodivers. 2007. 4(9):2231), 항염(Chem Biodivers. 2014. 11(5):749), 항비만(Bioorg Med Chem Lett. 2012. 22(8):2760) 활성 등이 보고되었다.
Figure 112019050006465-pat00001
Figure 112019050006465-pat00002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은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혈관신생 억제"는 아래에서 정의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개선(증상의 경감), 치료, 그러한 질환의 예방, 발병 억제 또는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은 혈관신생과 관련된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의 암,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혈관신생으로 인한 각막 질환, 망막 변성, 각막 이식 거부,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을 포함하여, 당뇨병성 황반 부종, 연령-관련 황반 변성(습윤형), 망막 정맥 폐쇄(중추 또는 분지), 안구 외상, 부종, 안구 허혈, 포도막염,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 과립화,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아테롬성 동맥경화,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성 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자가면역질환"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강직성 척추염, 항인지질 증후군, 자가면역 아디슨병(Morbus addisonii), 부신의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간염, 자가면역 난소염 및 고환염,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증, 베체트병, 수포성 유천포창, 심근병증, 복강 스프루우-피부염(celiac sprue-dermatitis), 만성 피로 면역 이상 증후군, 만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성 신경병증, 처그-스트라우스(Churg-Strauss) 증후군, 반흔성유천포창, CREST 증후군, 한냉 응집소 질환, 크론씨병, 원판성 낭창, 복태성복합한냉글로불린혈증, 섬유근통-섬유근염, 사구체신염, 그레이브스 질환, 귈레인 바레 증후군, 하시모토 갑상선염, 특발성 폐섬유화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IgA 신경염, 연소자성 관절염, 편평태선, 홍반성 루푸스, 메니에르병, 혼합성 연결 조직 질환,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또는 면역-매개 당뇨병, 중증근무력증, 심상성 천포창, 악성 빈혈, 결정성 다발동맥염, 다발연골염, 자가면역성 다선 증후군, 류마티스 다발성근통, 다발성 근염과 피부근염, 일차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일차성 담증성 간경변, 건선, 건선성 관절염, 레이노현상, 라이터 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사르코이드증, 공피증, 강직인간 증후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홍반성 루푸스, 다가야스 동맥염, 일시적 동맥염, 거대세포 동맥염, 궤양성 대장염, 포도막염, 백반증, 베게너 육아종증을 포함하는 의미이나, 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질환"이란 급성 염증 질환, 만성 염증 질환, 궤양성 염증 질환,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및 괴사성 염증 질환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구체적으로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나, 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암"은 뇌암, 신경 내분비 암,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부신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을 포함하는 의미이나, 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용도(적응증), 제형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관련 질환의 개선, 치료, 예방 등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치료 등의 목적상 필요한 기간 동안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 유효한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용량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용도(적응증), 제형에 따라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성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좌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식물성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로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은 기능성 음료 등의 건강 기능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식품의 형태는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여타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천연물 유래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 지치 분말 또는 추출물, 노근 분말 또는 추출물, 계피 분말 또는 추출물, 데커시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기타 식품의 유형이나 식품의 유형에 따라 사용의 필요성이 있는 첨가제 등과 관련하여서는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공전과 식품첨가물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브루소닌을 이용한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은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개선 등의 용도로 약품, 식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브루소닌의 혈관내피세포증식 억제 활성과 생존율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브루소닌의 세포주기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은 브루소닌이 세포주기 단백질(Cdk-4, Cyclin D, Cyclin E 및 pRB)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는 브루소닌의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및 침윤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5는 브루소닌의 맥관 형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은 브루소닌의 랫드 유래 흉부동맥의 미세혈관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7은 브루소닌의 VE-cadherin 분해 억제 및 tyrosine 인산화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8은 브루소닌의 혈관신생의 중요 신호전달 경로(ERK, Akt, p70S6K 및 ILK)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브로소닌 A와 B의 혈관신생 억제 활성
1. 시약
브루소닌(broussonin) A와 B는 천연물질인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로부터 자체적으로 분리·동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p-ERK(T202/Y204), 항-p-Akt(S473), 항-p-p70S6K (T421/S424), 항-p-p38, 항-p-pRb(S780), 항-p-pRb(S807/S811)은 Cell Signaling(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였고, 항-p-tyrosine은 BD Biosciences(Bedford, MA, USA)에서 구입하였고, 항-VE-cadherin, 항-integrin β1, 항-ILK, 항-ERK, 항-Akt, 항-p70S6K, 항-p38, 항-Cdk4, 항-Cdk2, 항-cyclin D, 항-cyclin E, 항-Actin 항체, 마우스 및 토끼 IgG-HRP 결합체(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s)는 Santa Cruz Biotechnology(Santa Cruz, C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세포 배양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를 Lonza(Walkersville, MD,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endothelial cell growth medium-2(EGM-2) BulletKit media(Lonza)로 배양하였고, 4~6 계대 사이의 세포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2 세포 증식 및 생존율 분석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 assay)
혈관내피세포를 6-well plates(1×105 cells/well)에 분주하고, 1% FBS가 포함된 기본 endothelial cell growth basal medium-2(EBM-2) 배지로 세포들을 G1/G0 phase로 동기화(14시간)한 후, 브루소닌 A와 B(0.1-10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VEGF-A, 10 ng/mL)로 24시간 동안 자극 및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trypsin-EDTA로 세포를 수확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H 7.4)으로 세척,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획득한 후, trypan blue dye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직접 계수함으로써 세포 증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useTM cell viability reagent로 반응시킨 후, MuseTM cell analyzer(Merck Millipore, Billerica, MA, USA)로 분석하였다.
2.3 세포주기 분석 (Cell cycle analysis)
세포주기 분석실험은 세포 생존율 및 세포 증식 실험과 동일하게 처리한 후, MuseTM cell cycle reagent로 반응시킨 후, MuseTM cell analyzer(Merck Millipore, Billerica, MA, USA)로 분석하였다.
2.4 세포 이동 분석 (Cell migration assay)
세포 이동 변화는 monolayer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관내피세포를 48-well plates(4x104 cells/well)에 배양한 후, 200 ㎕ pipette-tip으로 중앙부분을 일직선으로 상처를 내고 1 % FBS가 포함된 기본 EBM-2 배지로 교환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기본 EBM-2 배지로 교환한 후, 브루소닌 A 및 B(0.1-10 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EGF-A(10 ng/ml)로 16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세포는 PBS로 세척하고 methanol로 10분간 고정한 후, Giemsa staining 용액(Sigma-Aldrich, St. Louis, MO, USA)으로 염색하고 세포 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2.5 세포 침윤 분석 (Cell invasion assay)
Matrigel(1 mg/ml)-coating trans-well insert 위에 혈관내피세포를 (5x105 cells/ml) 100 ㎕를 분주한 후, 1 % FBS가 포함된 기본 EBM-2 배지로 교환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기본 EBM-2 배지로 교환한 후, 브루소닌 A 및 B(0.1-10 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EGF-A(10 ng/ml)로 16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세포는 PBS로 세척하고 methanol로 10분간 고정한 후, trans-well insert를 통과하여 insert 아랫면에 부착한 세포를 Giemsa 용액으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2.6 맥관 형성 분석 (Tube formation assay)
Matrigel(10.4mg/ml, BD Sciences, Bedford, MA, USA)을 하루동안 4℃에서 용해한 뒤 24-transwell에 200 μL씩 coating하고 37℃에서 30분간 방치하여 굳혔다. 혈관내피세포를(4x104 cells/well) 씩 Matrigel이 coating 되어 있는 well에 분주하고 1% FBS가 포함된 기본 EBM-2 배지로 2시간 동안 G1/G0 phase로 동기화 한 후, 다시 기본 EBM-2배지와 함께 브루소닌 A 및 B(1-10 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EGF-A(10 ng/mL)로 6시간 동안 자극하고 맥관 형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2.7 면역형광법 (Immunofluorescence assay)
Gelatin coating된 cover glass에서 배양한 혈관내피세포에 브루소닌 A 및 B(10 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EGF-A(10 ng/mL)로 30분 동안 자극하였다. 30분 자극 후, PBS로 세척하고 3.7% paraformaldehyde으로 세포 고정한 뒤 1차 항체(VE-Cadherin), 2차 항체(FITC-conjugated antibody)를 차례로 부착시켰다. 끝으로 DAPI staining 과정과 mounting 과정을 거쳐 형광현미경 (Carl Zeiss Microscope, Axio Imager.M2)으로 분석하였다.
2.8 단백질 발현 분석 (Western blotting)
혈관내피세포를 6-well plates(1x105 cells/well)에 분주하고, 1% FBS가 포함된 기본 EBM-2 배지로 세포들을 G1/G0 phase로 동기화(14시간)한 후, 브루소닌 A 및 B(10 μM)를 30분 전처리하고 VEGF-A(10 ng/mL)로 15분(ERK, Akt, p70s6k 및 p38MAPK의 효소 활성 변화 측정용), 30분(VE-Cadherin 활성 변화 측정용), 24시간(cyclin-dependent kinases (Cdks), cyclins, pRb, integrin beta1, integrin-linked kinase(ILK) 발현 변화 측정용) 동안 자극 및 배양하였다.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실험 조건에 따라 처치한 후, lysis buffer(50 mM Tris-HCl(pH 7.4), 150 mM sodium choloride, 10% glycerol, 1% Triton X-100, 1 mM EDTA, 100 μg/mL 4-(2-aminoethyl)benzene-sulfonyl fluoride, 10 μg/mL aprotinin, 1 μg/mL pepstatin A, 0.5 μg/mL leupeptin, 80 mM β-glycerophosphate, 25 mM sodium fluoride, and 1 mM sodium orthovanadate)로 융해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융해물을 획득하여 단백질 발현과 활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2.9 랫드의 흉부대동맥의 혈관신생 분석 (Rat aortic ring assay)
8-9주령의 웅성 Sprague-Dawley 랫드로부터 적출한 흉부대동맥을 1 mm 두께의 ring으로 자르고, Matrigel(10.4mg/ml)-coated plate에 이식하고 다시 Matrigel로 덮은 후, 브루소닌 A 및 B(10 μM)를 전처리하고 VEGF-A(500 ng/mL)에 의한 미세혈관 생성 변화를 7일간 관찰하였다.
2.10 통계 처리
실험 결과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Student's t test로 분석하였으며, p value 가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p < 0.05; **p < 0.01).
3. 실험 결과
3.1 브루소닌에 의한 세포증식 제어와 생존율 분석
브루소닌은 용량 의존적으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도 1의 A), 실험에 사용한 최고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이나 세포사멸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도 1의 B). 이에, 브루소닌 A 및 B는 세포독성 없이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브루소닌에 의한 세포주기 분석
VEGF-A로 24시간 자극된 세포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Control)와는 다르게, G1기의 세포가 감소함에 따라, S기와 G2/M기로의 진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브루소닌 A 및 B를 처리한 세포는 S기와 G2/M기세포 증가의 억제 및 G1기 세포의 감소를 억제하였다(도 2).
또한 브루소닌은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dependent kinase-4(Cdk-4), Cyclin D 및 cyclin E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망막모세포종 단백질(pRb)의 인산화를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므로, 세포주기 조절을 통한 증식억제 효능을 갖는 것임을 확인하였다(도 3).
3.3 브루소닌에 의한 세포이동 및 침윤 제어 분석
브루소닌은 용량 의존적으로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및 침윤 현상을 억제하였다(도 4).
3.4 브루소닌에 의한 맥관 형성 및 미세혈관 형성 제어 분석
브루소닌은 용량 의존적으로 맥관 형성을 억제하였으며(도 5), 랫드 유래 흉부대동맥의 미세혈관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였다(도 6).
3.5 브루소닌에 의한 신호전달 경로 변화
일반적으로 VEGF-A로 자극받은 세포는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인자인 vascular endothelial(VE)-cadherin을 b-catenin와 plakoglobin로부터 분리시켜, 세포간 연결을 분리시킨다(Blood. 2012. 120(13):2745). 브루소닌 A 및 B는 세포연결에서 VE-cadherin 분리를 억제하였다(도 7A). 또한 브루소닌 A 및 B가 VEGF-A에 의한 티로신(tyrosine)의 인산화 억제 결과를 보였다(도 7B). 이는 브루소닌이 VE-cadherin 조절을 통해 초기 혈관생성을 억제함을 의미한다.
3.6 브루소닌에 의한 혈관신생관련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브루소닌은 세포의 증식 및 분화 등 혈관신생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인 ERK, Akt 및 p70S6K 효소의 인산화 활성 억제 및 integrin beta1 및 integrin-linked kinase(ILK) 등의 발현을 억제하였다(도 8).

Claims (4)

  1. 아래 화학식 1의 브루소닌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87397348-pat00011

  2. 아래 화학식 1의 브루소닌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132579789-pat00012

  3. 아래 화학식 2의 브루소닌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1087397348-pat00013

  4. 아래 화학식 2의 브루소닌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1132579789-pat00014
KR1020190057308A 2019-05-16 2019-05-16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KR10236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08A KR102360675B1 (ko) 2019-05-16 2019-05-16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08A KR102360675B1 (ko) 2019-05-16 2019-05-16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94A KR20200132194A (ko) 2020-11-25
KR102360675B1 true KR102360675B1 (ko) 2022-02-08

Family

ID=7364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08A KR102360675B1 (ko) 2019-05-16 2019-05-16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990B1 (ko) 2020-12-02 2023-12-13 주식회사 에이치피바이오 Esm-1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na 앱타머 및 상기 rna 앱타머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977A2 (en) 2007-02-14 2008-08-21 N.V. Organon Carbamates therapeutic release agents as amidase inhibitors
KR100856335B1 (ko) 2007-06-08 2008-09-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742B1 (ko) * 2009-04-16 2011-10-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5645B1 (ko) * 2010-12-30 2013-12-03 상주시 오디를 이용한 음료 및 그 음료 제조방법
KR101320631B1 (ko) * 2011-10-25 2013-10-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한국산 오디 유래의 다당류 및 이를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977A2 (en) 2007-02-14 2008-08-21 N.V. Organon Carbamates therapeutic release agents as amidase inhibitors
KR100856335B1 (ko) 2007-06-08 2008-09-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26(12) 1721-1724(2003) 1부.*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2) 3764-3767 (2010.6.1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94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n et al. The anti-obesity effect of quercetin is mediated by the AMPK and MAPK signaling pathways
KR102217440B1 (ko) 콩제비꽃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360675B1 (ko) 브루소닌 a 및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KR20200060305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
JP2017082014A (ja) 皮下脂肪蓄積抑制剤
JP5999957B2 (ja) Apj活性化剤
US20060246157A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KR20180135567A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2727B1 (ko) 골담초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
KR101481709B1 (ko) Sac-1004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6976A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파라-쿠마르산을 이용한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1283562B1 (ko) 천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중약물내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28328B1 (ko) 스컬캅플라본 ⅱ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 고발현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39750B1 (ko) 한라봉 과육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119307B1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16857B1 (ko) 삿갓사초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862135B1 (ko) 신규한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68656B1 (ko)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34267A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
KR20170010249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 신생 억제용 조성물
WO2009005329A2 (en) Composition comprising starch or dietary fiber from gramineae pla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KR20170011314A (ko) 한라봉 과육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286049B1 (ko) 라파토시드 a를 이용한 췌장암에 대한 항암 조성물
KR101762736B1 (ko) 클라우세나 엑스카바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