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54B1 -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54B1
KR102360054B1 KR1020150055135A KR20150055135A KR102360054B1 KR 102360054 B1 KR102360054 B1 KR 102360054B1 KR 1020150055135 A KR1020150055135 A KR 1020150055135A KR 20150055135 A KR20150055135 A KR 20150055135A KR 102360054 B1 KR102360054 B1 KR 10236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water level
support plate
blow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933A (ko
Inventor
나오키 키타야마
에이지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186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23531B1/en
Priority to US14/882,537 priority patent/US9617680B2/en
Publication of KR2016005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드럼, 드럼에 연결된 공기 순환유로, 공기 순환유로 내에 설치된 증발기, 응축기 및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응축기와 송풍 장치 사이에는 공기 순환유로와 펌프실을 연통시키는 제 1 환기구가 마련되며,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에는 공기 순환유로와 받침 플레이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 홀 및 절개부가 마련되어, 응축수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CLOTH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에는 열교환기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켜 의류를 건조하는 순환식 의류 건조기가 있다.
이와 같은 순환식 의류 건조기에는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시켜서 제습하는 냉각 장치와, 냉각 장치를 통과하며 제습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 장치와,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기 순환유로를 포함하며, 냉각 장치, 가열 장치 및 송풍장치는 모두 공기 순환유로 내에 배치된다.
상술한 냉각 장치의 표면에서는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습기가 응축되므로 응축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에는 응축수의 회수를 위해 응축수 회수를 위한 응축수 용기가 마련되어 응축수 용기에 회수된 응축수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11-239817(특허문헌1)에는 냉각 장치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받침 플레이트에 포집하고, 받침 플레이트에 모인 응축수를 펌프에 의해 세탁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14-33849(특허문헌2)에 개시된 의류 건조기에서는 제습 수단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가 제습 수단 하부로 연장되는 회수 수로를 통해 제습 탱크로 회수되고, 상기 제습 탱크로 회수된 물이 펌프에 의해 의류 건조기 본체 상부에 배설된 저수탱크로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순환식 의류 건조기에서 응축수 용기가 냉각 장치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냉각 장치와 응축수 용기를 연결하는 수로를 통해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열교환기 하류 측에 송풍 장치를 설치할 경우, 공기 순환유로 내의 압력이 응축수 용기에 비해 저압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응축수 용기나 냉각 장치와 응축수 용기를 연결하는 수로 상의 응축수가 공기 순환유로로 역류할 수 있다. 응축수가 공기 순환유로 내로 역류할 경우, 응축수가 송풍 장치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와 함께 드럼 내의 의류에 비산되어 건조 동작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2에서는 응축수 용기(특허문헌 2에서는 제습 탱크)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 센서에 의해 응축수 용기 내의 응축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었을 때 펌프가 동작하며 응축수가 공기 순환유로 내(특허문헌 2에서는 히터 케이스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부압에 의해 응축수 용기 내의 응축수 회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위 센서를 통한 수위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펌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의류 건조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높은 풍량의 송풍 장치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높은 풍량의 송풍 장치를 사용하여 풍량을 증가시킬 경우, 송풍 장치 상류 측의 공기 순환유로 내의 압력은 더욱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응축수 역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기 순환유로(순환 덕트) 내의 압력은 풍량 증가 이전의 송풍 장치에 비해 더욱 낮아져므로 펌프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입에 따라 임펠러(impeller)가 설치된 펌프의 케이싱부에 내에 공기를 유입되어, 케이싱부 내에서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케이싱부 내에 기포가 발생할 경우, 펌프에 의해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럼 실(seal)의 불량 등에 의해 송풍 장치의 토출 측 순환 공기가 누설될 경우, 공기 순환유로 내(순환 덕트 내)의 압력이 통상보다 낮아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펌프를 동작시켜도 펌프실 수위가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할 경우, 응축수의 역류 및 비산(飛散)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송풍 장치의 풍량을 증대시킬 경우에도 응축수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된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공기 순환유로 내의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공기가 공기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응축수를 송출하는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실과,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실을 연통시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응축수를 상기 펌프실로 안내하고 서로 환기되도록 하는 물 순환유로와,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연통시켜 상기 냉각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 안내하는 연통로와, 상기 가열 장치와 상기 송풍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펌프실을 연통시키는 제 1 환기구와, 상기 냉각 장치와 상기 가열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연통 시키는 제 2 환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냉각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환기구 및 상기 제 2 환기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 사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환기구는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서 상기 가열 장치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의 환기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기 순환유로 내에 상기 건조용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V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V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V홈의 길이 방향의 중앙 측으로 진행하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절개된 개구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펌프실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 시작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고 상기 수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펌프에 의해 송출된 응축수를 받는 저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연결 수로를 통해 상기 저수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수로에는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펌프를 향한 방향으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펌프에 의해 송출된 응축수를 받는 저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응축수를 상기 저수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펌프 케이싱과, 상기 펌프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출력 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출력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임펠러는 상기 배출구 측이 상방이 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상기 가열 장치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는 상기 공기 순환유로를 상기 공기 순환유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펌프실과는 다른 공간으로 연통시키는 제3 환기구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3 환기구를 설정 조건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실은 역지 밸브를 통해 대기 측과 연결되고, 상기 역지 밸브는 상기 펌프실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설정 값 이상으로 낮아질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실 내로 대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프실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과, 상기 정상 회전보다 낮은 회전수의 저속 회전을 설정 시간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속 회전 시간 중에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이 시작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고 상기 수위 감지부의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과 상기 정상 회전 보다 낮은 회전수의 저속 회전을 설정된 시간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속 회전 시간 중에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펌프실의 하면은 상기 물 순환유로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감지 수위의 설정 임계 값은 상기 물 순환유로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물 순환유로의 내부 상면은 상기 연통로 및 상기 V홈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수위 감지부에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하고, 감지된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에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펌프 동작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수위 감지부를 통해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감지된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정상 회전수 보다 낮은 저속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감지된 수위가 설정 임계 값 미만일 때,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정상 회전수로 되돌리고,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설정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확인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팬을 정상 회전수 보다 낮은 저속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수위 감지부에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수위 감지부에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팬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회전수로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팬을 상기 저속 회전수 보다 더 낮은 저속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펌프를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팬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회전수로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팬을 상기 저속 회전수 보다 더 낮은 저속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위 감지부를 통해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었는지를 반복하여 확인한다.
또한 상기 수위 감지부에 설정 임계 값 미만의 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팬의 회전수를 상기 정상 회전수로 되돌리고,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냉각 장치 및 가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가 공기 순환유로와 받침 플레이트 사이를 구획하도록 하고, 받침 플레이트와 펌프실 사이를 연통수로로 연결하되, 공기 순환유로와 펌프실을 연통시키는 제 1 환기구와 공기 순환유로와 받침 플레이트를 연통시키는 제 2 환기구를 마련하여, 공기 순환유로 내로 물이 역류하기 전에 펌프를 동작시킬 수 있어, 응축수의 역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의류 건조기 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커버 베이스의 환기구 주변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의류 건조기 저부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는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는 펌프실에 덮개부를 부착한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펌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은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펌프 및 송풍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1는 펌프 및 송풍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도 12은 펌프 및 송풍장치의 다른 제어 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13은 의류 건조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의류 건조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은 도 10의 변형 예의 펌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6 및 도 7과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의류 건조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1는 도 16의 변형 예의 커버 베이스의 환기구 주변을 확대한 도 3과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2은 의류 건조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7 및 도 8의 변형 예의 펌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일례를 보이기 위한 것들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나 용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 의류 건조기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D)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세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를 포함한다.
본체(1)의 전면에는 전방측에서 볼 때 대략 원형 형태로 개구된 의류 투입구(2)가 마련되며, 의류 투입구(2)는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에 의해 개폐된다. 본체(1)의 내측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C)가 투입되는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4)의 내부는 의류 투입구(2)와 연통되어 도어(3)를 통해 의류 투입구(2)가 개방되었을 때 의류 투입구(2)를 통해 드럼(4) 내에 의류(C)를 투입하거나, 세탁이 완료된 의류(C)를 인출할 수 있다.
드럼(4)은 그 회전 축심이 전후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4)의 전면에는 의류(C)가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가 마련되고, 드럼(4)의 후면은 폐쇄된다. 드럼(4)의 개구는 의류 투입구(2)를 향해 배치되며, 드럼(4)의 후면에는 출력축으로 동작하는 샤프트(30)가 연결되어 드럼(4)이 샤프트(30)를 통해 후술할 복귀측 덕트(7)의 측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4)은 샤프트(3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 드럼(4)에는 의류(C)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순환용 배기구(31)와, 의류(C)의 건조에 사용될 공기가 흡입되는 순환용 흡기구(32)가 연결된다.
샤프트(30)는 본체(1) 내에 배치된 드럼 회전용 모터(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D)가 동작할 경우, 드럼 회전용 모터에 의해 샤프트(30)가 회전하면서 드럼(4)을 설정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드럼 회전용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벨트(미도시)를 통해 드럼(4)에 전달되어 드럼(4)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의 내부에는 일단이 순환용 배기구(31)와 연결되는 배기측 덕트(5)와, 일단이 순환용 흡기구(32)에 연결되는 복귀측 덕트(7)와, 배기측 덕트(5)의 타단 및 복귀측 덕트(7)의 타단을 연결하는 건조 덕트(6)와, 덕트(5, 6, 7)들에 의해 마련되어 공기가 드럼(4)을 순환하도록 하는 공기 순환유로(8)가 마련된다. 또한, 공기순환유로(6)에는 후술할 증발기(9a) 및 응축기(9b)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의류에서 발생한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29)가 설치된다. 따라서 의류(C)에서 발생한 린트를 린트 필터(29)를 통해 포집하고, 포집된 린트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기측 덕트(5)는 본체(1)의 내부 전방 측에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가 순환용 배기구(31)와 기밀한 상태로 연결된다. 건조 덕트(6)는 본체(1)의 내부 하측(드럼(4)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전방측의 단부가 배기측 덕트(5)의 하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된다. 복귀측 덕트(7)는 본체(1) 후방 측에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건조 덕트(6) 후단부와 기밀한 상태로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순환용 흡기구(32)와 기밀한 상태로 연결된다. 또 드럼(4)은 순환용 배기구(31) 및 순환용 흡기구(32)와 기밀하게 연결되면서도 회전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건조 덕트(6)와 복귀측 덕트(7)의 연결부, 즉 의류 건조기(D)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공기 건조 덕트(6)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송풍장치(10)가 설치된다. 송풍장치(10)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여 공기가 공기 순환유로(8) 및 드럼(4)을 통해 순환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b)과, 케이싱(10b)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날개를 갖는 팬(10a)를 포함한다. 케이싱(10b)에는 팬(10a)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된 흡기구(10c)와, 팬(10a)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배기구(10d)가 마련된다. 흡기구(10c)는 건조 덕트(6)의 후단과 연결되고, 배기구(10d)는 복귀측 덕트(7)의 하단과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송풍장치(10)에는 시로코 팬과 같은 원심 방식의 송풍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순환유로(8)에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 장치로 사용되는 증발기(9a)와,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증발기(9a)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로 사용되는 응축기(9b)가 배치된다. 증발기(9a) 및 응축기(9b)는 건조 덕트(6) 내에서 지지플레이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 베이스(6a) 상에 배치되어,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지지된다. 증발기(9a)는 공기 순환유로(8)의 상류 측(전방 측)에 배치되고, 응축기(9b)는 증발기(9a)의 하류 측(후방 측)에 일정 간격을 이격 배치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의류 건조기(D)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감압 장치를 본체(1) 내에 포함하며, 증발기(9a)와 응축기(9b)는 냉매관을 통해 압축기 및 감압 장치와 연결되어 히트 펌프 사이클을 형성한다.
건조 덕트(6)의 하측에는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받침 플레이트(11)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 플레이트(11)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받침 플레이트(11)의 상측은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커버 베이스(6a)는 건조 덕트(6)와 받침 플레이트(11) 사이를 구획한다.
커버 베이스(6a)에는 증발기(9a)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연통로로 사용되는 드레인 홀(6b)이 마련된다. 따라서 공기 순환유로(8) 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습 될 때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가 드레인 홀(6b)을 통해 받침 플레이트(11)로 배출된다. 이때 커버 베이스(9a)에 있어서 증발기(9a) 하측에 위치한 부위는 드레인 홀(6b)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드레인 홀(6b) 주변으로 낙하한 응축수(W)를 드레인 홀(6b)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 참조)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6a)에는 증발기(9a)와 응축기(9b) 사이에는 V홈(6c)이 마련된다. V홈(6c)은 커버 베이스(6a)에 있어서 증발기(9a)와 응축기(9b)의 사이의 부위가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볼 때 V자 형상의 오목부로 일체로 형성된다. V홈(6c)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V홈(6c)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중앙 측을 향해 절개되어 제 2 환기구로 동작하는 절개부(6d, 6d)가 형성된다. 각 절개부(6d)는 V홈(6c)의 길이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된 후, 폭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절개되어 개구된다. 따라서 절개부(6d)를 평면도의 시점으로 볼 때, 상기 V홈(6c)의 길이 방향 중앙 측으로 돌출한 오각형 형상으로 절개된다.
또, V홈(6c)의 하부(커버 베이스(6a))에는 그 길이 방향(좌우 방향) 및 폭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측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어 응축수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홀(6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의 일부가 증발기(9a)의 후방에 설치된 리브(6j)의 좌우 방향 양단부의 틈새(6k) 등을 통해 넘쳐, V홈(6c)으로 흘러 들어갈 경우에도, 응축수(W)는 절개부(6d, 6d) 및 드레인 홀(6e)을 통해 받침 플레이트(11)로 배출된다. 즉 절개부(6d, 6d) 및 드레인 홀(6e)은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를 받침 플레이트(11)로 안내하는 연통로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V홈(6c)의 후단부(응축기(9b) 근처 부위)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어 제 2 환기구로 동작하는 환기 홀(6f, 6f)이 형성된다. 여기서, 드레인 홀(6e) 및 환기 홀(6f)의 형상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태의 홀이나, 원 또는 타원 형태의 홀이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환기구는 절개부(6d, 6d) 및 환기홀(6f, 6f)을 포함한다.
받침 플레이트(11)에는 드레인 홀(6b, 6e) 및 절개부(6d, 6d)를 통해 응축수(W)가 회수된다.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11)의 하면(11a)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진행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11)에 회수된 응축수(W)는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11)는 후방으로 진행하며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응축수는 받침 플레이트(11)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모인다.
받침 플레이트(11)의 후단과 후술할 펌프실(16)의 전단 사이에는 물 순환유로로 사용되는 연통 수로(12)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11)에 모인 응축수(W)는 연통 수로(12)를 통해 펌프실(16)로 전달된다. 여기서 연통 수로(12)의 내부 상면(12a)(커버 베이스(6a)와 건조 덕트(6) 후측벽(6h)의 하단과의 연결부(12b)의 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홀(6b) 하단 및 V홈(6c)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11)의 응축수(W)가 연통 수로(12)을 통해 펌프실(16)로 회수될 경우에도 받침 플레이트(11)와 펌프실(16) 사이의 공기 출입은 연통 수로(1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받침 플레이트(11)와 펌프실(16) 사이에서는 압력차가 생기지 않게 된다.
펌프실(16)은 연통 수로(12)의 후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연통 수로(12)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W)를 수용한다. 펌프실(16)은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펌프실(16)의 개구(15)에는 개구(15)를 기밀한 상태로 폐쇄하는 덮개부(18)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덮개부(18)에는 펌프실(16)의 개구(15) 주위의 테두리에 감합될 수 있도록 감합 형상이 마련되어, 덮개부(18)를 개구(15)에 감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8) 외측 테두리에는, 고무, 연질 수지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미도시)가 장착되어, 덮개부(18)가 실링부재를 통해 개구(15)를 실질적으로 기밀한 상태로 폐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8)의 우측에는 펌프실(16)로 전달된 응축수를 송출하는 펌프(19)가 장착되고, 덮개부(18)의 좌측에는 펌프실(16)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로 동작하는 수위 센서(21)가 장착된다. 또한 덮개부(18) 후방측에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측에 호스 연결구(23)가 마련되고, 호스 연결구(23)에는 후술할 저수탱크(25)의 누수 방지를 위한 누수방지호스(24)가 액밀(液密) 형태로 삽입된다(도1 참조). 이때, 펌프(19), 수위 센서(21) 및 누수방지호스(24)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18)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19)는 급상식(汲上式) 수중 펌프로 구성된다. 펌프(19)는 흡입구(19a) 및 배출구(19f)를 갖는 펌프 케이싱(19b)과, 펌프 케이싱(19b)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출력축으로 동작하는 샤프트(19c)와, 샤프트(19c)를 회전시키는 모터(19d)와, 샤프트(19c)의 흡입구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19c)와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19e)를 포함한다. 그리고 펌프(19)는 흡입구(19a)가 펌프실(16)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고 배출구(19f)가 덮개부(18)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덮개부(18)에 고정된다. 펌프(19)가 동작함에 따라 펌프실(16) 내의 응축수(W)는 상측으로 퍼 올려져 후술할 저수탱크(25)에 전달된다. (도 7의 화살표(A10) 참조).
또, 펌프(19)의 배출구(19f)에는 연결 수로로 동작하는 급상 호스(20)(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일단이 연결된다. 급상 호스(20)의 타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부인 저수탱크(25)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19)에 의해 펌프실(16)에서 퍼 올려진 응축수(W)는 저수탱크(25)로 전달된다. 저수탱크(25)는 본체(1) 내부에 배치되되, 드럼(4)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본체(1)로부터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급상 호스(20)의 타단이 저수탱크(25) 외의 다른 곳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급상 호스(20)를 가정의 하수구 등에 직접 연결하여 응축수가 하수구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수탱크(25)는 받침 플레이트 형태의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 내에 설치되어, 저수탱크(25)에서 넘친 응축수(W)는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에 수용된다.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의 하부에는 누수방지호스(24)가 연결되어 저수탱크(25)에서 넘친 응축수(W)는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다시 펌프실(16)로 되돌아온다. 펌프실(16)의 내부는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 및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대기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상 호스(20) 및 누수방지호스(24)를 복귀측 덕트(7) 후방측에 도시하고 있으나, 급상 호스(20) 및 누수방지호스(24)는 복귀측 덕트(7)의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위 센서(21)는 덮개부(18)에 설치된다. 수위센서(21)는 덮개부(18)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된 관 형태의 스템(21b)과, 스템(21b)에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로트(21a)를 포함하여, 플로트(21a)의 높이에 따라 수위가 감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 센서(21)로 상기와 같은 플로트 방식의 센서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극 방식의 센서 등 여러 다른 방식의 수위 감지 수단들이 수위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6a) 후단이 연결되는 건조 덕트(6)의 후측벽(6h)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제 1 환기구(17)가 마련되어, 제 1 환기구(17)를 통해 펌프실(16) 내부와 송풍장치(10) 하류 측(응축기(9b)와 송풍장치(10) 사이)의 공기 순환유로(8) 내부가 연통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D)는 수위 센서(21)로부터 감지 신호(SD)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감지 신호(SD)를 기초로 제어 신호(SC1)를 발생시켜 송풍장치(10) 제어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또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를 제어한 후, 수위 센서(2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SD)를 기초로 제어 신호(SC2)를 발생시켜 다시 펌프(19)를 제어한다.
-의류 건조기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의 운전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의류 건조기(D)가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 송풍장치(10) 및 상기 히트 펌프 사이클이 동작한다. 송풍장치(10)가 동작함에 따라 공기 순환유로(8)에 있어서 송풍장치(10)의 상류 측(송풍장치(10)와 응축기(9b) 사이)은 부압이 되며, 송풍장치(10) 하류 측(송풍장치(10)와 순환용 흡기구(32) 사이)은 정압이 되어 압력 차가 발생한다. 일례로, 상기 송풍장치(10)의 상류 측 기압은 대기압보다 300Pa 이상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차에 따라 드럼(4) 내의 공기는 공기 순환유로(8) 내에서 순환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의 화살표(A1 및 A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4) 내의 건조용 공기는 순환용 배기구(31)를 통해 배기측 덕트(5) 내로 유입되고, 본체(1) 내의 전방 하측을 향해 유동한 후 건조 덕트(6)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1의 화살표(A2)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덕트(6) 내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덕트(6)를 따라 본체(1) 내의 하측 후방으로 유동한다. 건조 덕트(6) 내에는 그 하류 측에 증발기(9a)와 응축기(9b)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건조용 공기는 건조 덕트(6)의 통과하면서 증발기(9a)에 의해 먼저 냉각되어 제습된 후, 응축기(9b)에 의해 가열되어 의류(C)를 건조하기 적합한 상태가 된다.
건조 덕트(6)와 복귀측 덕트(7)는 송풍장치(10)의 흡기구(10c) 와 배기구(10d)가 각각 대향되므로 도 1의 화살표(A2 및 A3)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덕트(6)를 통과한 건조용 공기는 송풍장치(10)를 경유하여 복귀측 덕트(7)로 유입된다. 또한 도 1의 화살표(A3)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측 덕트(7)로 유입된 건조용 공기는 복귀측 덕트(7)를 따라 본체(1) 내의 후방 상측으로 유동한 후, 순환용 흡기구(32)를 통해 드럼(4)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의류 건조기(D)가 운전되는 동안 상기와 같은 순환 과정을 반복하며, 건조에 적합한 설정 습도 및 온도로 유지하므로, 드럼(4) 내의 의류(C)를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건조기(D)가 운전되는 동안에는 드럼 회전용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드럼(4)이 설정 속도로 회전하므로, 드럼(4) 내의 의류(C)는 교반되어 건조용 공기가 드럼(4) 내의 의류(C)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순환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증발기(9a) 표면에는 응축수(W)가 물방울 상태로 부착되고, 부착된 응축수(W)는 자중에 의해 하측의 커버 베이스(6a)로 낙하한다. 커버 베이스(6a)로 낙하한 응축수(W)는 경사진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드레인 홀(6b)로 안내되어, 드레인 홀(6b)을 통해 받침 플레이트(11)로 유입된다. 받침 플레이트(11)에 유입된 응축수(W)는 받침 플레이트(11)의 하면(11a)를 따라 후방 우측으로 이동하고, 연통 수로(12)를 통해 펌프실(16)로 전달되어 펌프실(16)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펌프실(16), 연통 수로(12) 및 받침 플레이트(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위는 상승한다. 그리고 펌프실(16) 내의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에 도달한 것이 수위 센서(21)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14)는 펌프(19)를 동작시킨다. 펌프(19)의 동작에 따라 펌프실(16) 및 받침 플레이트(11)에 수용된 응축수(W)는 급상 호스(20)를 통해 저수탱크(25)로 이송된다.
이때 연통 수로(12)의 내부 상면을 형성하는 연결부(12b) 하단은 드레인 홀(6b) 하단 및 V홈(6c)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응축수(W) 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도 펌프실(16)과 받침 플레이트(11) 사이는 환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실(16)과 받침 플레이트(11) 사이의 압력 차이를 줄일 수 있어, 펌프실(16) 내부와 받침 플레이트(11) 내부 사이의 응축수(W) 수위 차는 줄어든다. 그러므로 받침 플레이트(11)가 만수위가 되기 전에 펌프(19)를 동작시킬 수 있어 응축수(W)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에 연통된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외부로부터 대기가 유입될 경우에도 도 2의 화살표(A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 공기의 일부가 제1 환기구(17)를 통해 공기 순환유로(8) 내로 유입되므로 연통 수로(12)를 통과한 유입 공기가 받침 플레이트(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면을 흩트리지 않는다.
또한 유입 공기의 나머지는 화살표(A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6a)의 V홈(6c)을 향해 유동하여, V홈(6c)에 마련된 절개부(6d, 6d)의 후방 측 및 환기 홀(6f, 6f)을 통해 응축기(9b)로 유입된다.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송풍장치(10)의 구동 회전수를 올려 풍량을 증가시킬 경우,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가 증발기(9a) 후방에 구비된 리브(6j)의 좌우 방향 양단부의 틈새(6k) 등을 통해 넘쳐 V홈(6c)으로 흘러들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상기 응축수(W)는 절개부(6d, 6d)의 전방 측, 절개부(6d)(개구)의 중앙 측 단부 또는 드레인 홀(6e)을 통해 낙하하므로 이러한 응축수(W)가 상기 화살표(A5)로 나타난 유입 공기에 의해 비산되어 응축기(9b)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D)는 응축수(W)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높은 풍량을 가진 송풍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도 응축수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의류 건조기에 보다 높은 풍량을 갖는 송풍장치(10)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받침 플레이트(11)와 건조 덕트(6)는 증발기(9a) 및 응축기(9b)를 지지하는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증발기(9a)의 전방 측으로부터 받침 플레이트(11)로 유입되어 받침 플레이트(11)를 통해 송풍장치(10)로 유입되도록 흐르는 공기의 흐름(도 2의 화살표(A8) 참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의 화살표(A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6a)에 설치된 드레인 홀(6b) 및 커버 베이스(6a)의 V홈(6c)에 마련된 절개부(6d, 6d) 및 환기 홀(6f, 6f)을 통해 건조용 공기가 증발기(9a)로부터 드레인 홀(6b)을 통과하여 받침 플레이트(11)로 유입된 후, 받침 플레이트(11)에서 절개부(6d, 6d) 및 환기 홀(6f, 6f)을 통해 응축기(9b)로 유입되도록 유동시킬 수 있으며, 건조 공기의 유동에 따라 증발기(9a)에서 응축되고 커버 베이스(6a)에 낙하한 물방울은 효율적으로 받침 플레이트(11)에 배출된다.
또한, 예상하지 못한 상황으로 저수탱크(25)에서 응축수(W)가 넘치더라도 넘친 응축수(W)는 저수탱크(25) 하측에 설치된 저수탱크용 받침 플레이트(26)에 모이고,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펌프실(16)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 냉각 장치 및 가열 장치는 각각 히트 펌프 사이클의 증발기(9a) 및 응축기(9b)로 구성되어 있으나 증발기(9a) 대신 수냉형이나 공냉형 등의 다른 냉각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 응축기(9b) 대신 히터 등의 다른 가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측 덕트(7) 내에 히터(71)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펌프 및 송풍장치의 제어(1)-
다음으로 제어부(14)에 의한 펌프(19) 및 송풍장치(10)의 제어 예에 대해 도 10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장치(10)는 운전 시작 시, 정상 회전수(L0)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송풍장치(10)의 정상 회전수(L0) 및 송풍 장치(10)의 저속 운전시의 저속 회전수(L1, L2)는 L0>L1>L2의 관계이다. 운전 시작 시 펌프(19)는 정지되어 있다. 후술할 "펌프 및 송풍장치의 제어(2)"에서도 동일한 상태로 설명한다. 또한, 저속 회전수(L1)는 L0>L1의 관계를 만족한다. 일례로 저속 회전수(L1)는 정상 회전수(정격 회전수)의 50%의 회전수일 수 있다.
먼저, 상술한 순환 과정이 계속 진행되면, 펌프실(16) 및 받침 플레이트 (11)에 담긴 응축수(W)의 수위는 상승한다. 그리고 수위 센서(21)가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면(S11에서 YES),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부(14)가 펌프실(16)에 수용된 펌프(19)를 동작시킨다(S12).
상기 S12에 따른 펌프(19) 동작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S13에서 YES), 제어부(14)는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4).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S14에서 YES), 제어부(14)는 펌프(19)에 의한 펌프실(16)로부터 저수탱크(25)에의 응축수(W) 송출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으로 낮춘다(S15). 상기의 설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나, 펌프(19)가 정상 동작할 경우,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미만이 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송출이 비정상이라는 판단은 펌프실(16) 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 펌프실(16)과 대기압의 압력 차가 설정 값 이상이 되어, 펌프(19)에 의한 응축수(W)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낮추면, 송풍장치(10)의 상류 측의 부압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대기압과의 압력 차를 완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차가 클 경우 동작하지 않게 된 펌프(19)를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5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로 낮춘 후,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지 않게 되면(S14에서 NO),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0로 되돌림과 동시에 펌프(19)를 정지시킨다(S16). 한편, 상기 S14에서 수위 센서(21)가 다시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 의류 건조기(D)는 송풍장치(10)를 회전수(L1)로 유지하거나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2로 더 낮추도록 제어한다(S15). 그리고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까지 S14~S15의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의 S15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2로 낮춰도 수위 센서(21)가 계속하여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2 보다 더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펌프 및 송풍장치의 제어(2)-
다음으로 펌프(19) 및 송풍장치(10)의 다른 제어 예에 대하여 도 11의 흐름도(flow chart) 및 도 12의 타이밍 차트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어예에서 제어부(14)는 설정 시간마다(정기적)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설정 시간마다 정상 회전시간(WT1)과 저속 회전시간(WT2)을 교대로 반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시간은 건조 단계에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 시간으로서, 건조 초기 및 건조 후기에서 건조 중기와 비교하여 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건조 중기에서 가장 짧은 시간마다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출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설정 시간 제어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의 건조 상태나 건조 시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유선 제어부(14)는 건조 시작부터 설정 시간(WT1)이 경과한 후(S21에서 YES)인 시간(T1)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으로 낮춘다(S22). 상기 S22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로 낮춘 후, 다음 시간(T2)에서 제어부(14)는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23).
그리고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S23에서 NO),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0로 되돌림과 동시에 펌프(19)의 정지상태를 유지한다(S25). 그리고 설정 시간(WT1)이 경과한 후(S21에서 YES)인 시간(T3)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로 낮춘다(S22).
다음으로 도 12의 시간(T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22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로 낮춰 설정 시간(WT2)이 경과한 후에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S23에서 YES),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를 회전수를 L1으로 유지하면서 펌프(19)를 ON으로 하여 응축수(W)의 송출을 시작한다(S24).
상기 S24에서 펌프(19)를 ON으로 하여 설정 시간(예를 들면, WT2)이 경과한 후(S26에서 YES)인 시간(T5)에서 계속하여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S23에서 YES), 제어부(14)는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2로 낮추도록 제어하고, 펌프(19)는 ON 상태를 유지한다(S24). 그리고 시간 T6에 나타낸 것처럼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S23에서 NO), 제어부(14)는 펌프(19) 및 송풍장치(10)를 정상 상태의 운전으로 되돌린다.
또한, 제어부(14)는 상기의 시간(T5)에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1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L2로 낮춰도 계속해서 수위 센서(21)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의 수위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14)는 상기 S24에서 의류 건조기(D)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저속 회전수(L2)에서 보다 더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펌프실(16) 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 양자의 압력 차가 설정 값 이상이 되어 펌프(19)에 의한 응축수(W)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도 제어부(14)가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낮춤으로써 일시적으로 송풍장치(10) 상류 측의 기압을 높여 펌프(19)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펌프(19)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펌프(19)로부터 저수탱크(25)에의 응축수(W)의 송출을 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W)의 역류 및 응축수(W)의 공기 순환유로(8) 내에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의류 건조기(D)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순환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송풍장치(10)의 송풍 능력을 향상시켜도 펌프(19)에 의한 펌프실(16)로부터의 응축수(W)의 배출은 용이해진다. 또, 드럼 실(seal)의 불량 등에 의해 공기 순환유로(8) 내(각 덕트 내) 및 펌프실(16) 내의 압력이 통상보다 낮아질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펌프(19)에 의한 펌프실(16)로부터의 응축수(W) 배출은 용이해진다.
또한, 제어부(14)에 의한 펌프(19) 및 송풍장치(10)의 제어는 상기 "펌프 및 송풍장치의 제어(1), (2)"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단계별로 낮추는 것이 아니라, 수위 센서(21)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수위 저하를 감지한 회전수로 송풍장치(10)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송풍장치(10) 회전수의 저하량을 보다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개조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예 및 아래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의류 건조기(D)에서 도 2와 다른 점은 펌프(19)와 저수탱크(25)를 연결하는 급상 호스(20)에 저수탱크(25)로부터 펌프(19)로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41)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다. 역지 밸브(41)에 의해 저수탱크(25)로부터 펌프(19)의 배출구(19f)를 통해 펌프 케이싱(19b)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임펠러(19e) 주변에 공기가 모여 기포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펌프(19)를 통해 응축수(W)를 정상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의류 건조기(D)에서 도 2와 다른 점은, 펌프 케이싱(19b)의 흡입구(19a) 및 임펠러(19e)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19)의 모터(19d), 샤프트(19c), 임펠러(19e) 및 이것을 수용하는 펌프 케이싱(19b)의 일부 및 흡입구(19a)는 배출구(19f) 측이 상측이 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저수탱크(25)로부터 배출구(19f)를 통해 펌프 케이싱(19b) 내로 공기가 유입(역류)할 경우에도 도 15의 화살표(A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 흡입구(19a)의 상단부 측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임펠러(19e)의 주변에는 공기가 모이지 않아 임펠러(19e)가 수몰(水沒)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펌프(19)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펌프(19)에 의한 응축수(W)의 배출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9e) 및 펌프 케이싱(19b)의 흡입구(19a) 등은 수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연직 방향)까지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케이싱(19b)의 배출구(19f)를 통해 유입된 유입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19g)를 펌프 케이싱(19b)의 내부 상부에 설치하되 배출구(19f)와 임펠러(19e)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19g)는 임펠러(19e) 회전 시에는 물 흐름에 의해 닫히며(도 23의 화살표(A12) 참조), 공기 유입 시에는 열려서 유입된 공기를 펌프 케이싱(19b) 밖으로 배출(도 24의 화살표(A13) 참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임펠러 주변에는 공기가 모이지 않아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제 4 실시예
도 16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의류 건조기(D)가 도 2와 다른 점은 응축기(9b)와 송풍장치(10) 사이에 건조 덕트(6)의 상부 플레이트(6i)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공기 순환유로(8)와 의류 건조기(D) 내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3 환기구(51)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는 상기 제3 환기구(51)를 일정 조건에 의해 개폐하는 개폐 밸브(52)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밸브(52)의 제어는 제어부(14)가 제어할 수 있다.
개폐 밸브(52)는 일정 조건, 예를 들면 건조 운전의 초기 단계(응축수가 별로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3 환기구(51)를 폐쇄하고, 응축수가 모이면 제 3 환기구(51)를 개방하도록 한다. 또는, 수위 센서(21)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어부(14)가 펌프(19)를 동작시킬 경우에만 개폐 밸브(52)가 제 3 환기구(51)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건조 덕트(6)에 제3 환기구(51)를 마련함으로써 송풍장치(10)의 상류 측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져 압력 차가 커지고, 펌프실(16)이 부압으로 되어 펌프(19)에 의한 응축수(W)의 배출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폐 밸브(52)를 마련함으로써 제3 환기구(5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어, 송풍장치(10) 상류 측의 기압과 대기압 사이의 기압 차를 최적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52)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설치하지 않아도 펌프(19)에 의해 응축수(W)를 정상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5 실시예
도 17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의류 건조기(D)에서 도 2와 다른 점은 펌프실(16)의 덮개부(18)에 역지 밸브(61)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펌프실(16)은 역지 밸브(61)를 통해 대기 측에 연결되어, 펌프실(16)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 양자의 압력 차가 설정 값 이상(예를 들면, 300Pa 이상)이 될 때에 역지 밸브(61)가 열려 펌프실(16) 내에 대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펌프실(16) 내를 일정한 부압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공기가 저수탱크(25)에서 펌프(19)의 배출구(19f)를 통해 펌프실(16) 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펌프(19)를 통한 응축수(W)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6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의류 건조기(D)가 도 2와 다른 점은 수위 센서(21)가 펌프실(16) 대신 받침 플레이트(11) 내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받침 플레이트(11)의 응축수(W) 수위가 공기 순환유로(8)에 역류나 비산되지 않을 수위인지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즉, 연통 수로(12)가 받침 플레이트(11)의 하부와 펌프실(16)의 하부를 연통시킨 경우(도 18의 가상선 참조)에는 받침 플레이트(11)와 펌프실(16)과의 수위가 다르므로 더욱 유용하다. 또한, 수위 센서(21)를 펌프실(16) 내부와 받침 플레이트(11) 내부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 제 7 실시예
도 19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의류 건조기(D)가 도 2와 다른 점은 펌프실(16)의 하면(16a)이 연통 수로(1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펌프실(16) 내에 배치된 수위 센서(21)의 감지 수위의 설정 임계 값(펌프(19)가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하는 설정 임계 값)이, 연통 수로(1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응축수(W)가 펌프실(16)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면은 전후로 고저 차가 생기므로, 한 번 펌프실(16)에 유입된 응축수(W)가 압력차의 영향을 받아 받침 플레이트(11)로 역류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응축수(W)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 제 8 실시예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의류 건조기(D)가 도 2와 다른 점은 커버 베이스(6a)에 V홈(6c)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증발기(9a)와 응축기(9b) 사이가 평평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9a)와 응축기(9b) 사이에 있어서 커버 베이스(6a)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절개부(6d, 6d)들 대신, 그 중앙 측을 향해 직사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환기구로 동작하는 절개부(6m, 6m)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환기 홀(6e, 6f)을 대신하여 환기 홀(6h)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환기 홀(6h)의 형상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환기 홀(6h)은 증발기(9a)와 응축기(9b)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태일 수도 있고, 복수의 원 형태의 홀 또는 타원 형태의 홀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증발기(9a)에서 생긴 응축수(W) 일부가 증발기(9a) 후방에 설치된 리브(6j) 좌우 방향의 양단부 틈새(6k) 등으로 넘칠 경우에도 응축수(W)가 절개부(6m, 6m)를 통해 받침 플레이트(11)로 배출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상기의 틈새(6k) 등으로 흘러 나온 응축수(W)가 도 20의 화살표(A5)로 도시한 유입 공기로 인해 비산하여 응축기(9b) 내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D: 의류 건조기 4: 드럼
8: 공기 순환유로 6a: 커버 베이스(지지 플레이트)
6b: 드레인 홀 6c: V홈
6d: 절개부 6f: 환기 홀
9a: 증발기 9b: 응축기
10: 송풍장치 11: 받침 플레이트
12: 연통 수로 14: 제어부
16: 펌프실 17: 제1 환기구
19: 펌프 19a: 흡입구
19b: 펌프 케이싱 19c: 샤프트
19d: 모터 19e: 임펠러
19f: 배출구 21: 수위 센서
25: 저수탱크 41, 61: 역지 밸브
51: 제3 환기구 52: 개폐 밸브 

Claims (20)

  1.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된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공기 순환유로 내의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공기가 공기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응축수를 송출하는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실과,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펌프실을 연통시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응축수를 상기 펌프실로 안내하고 서로 환기되도록 하는 물 순환유로와,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연통시켜 상기 냉각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 안내하는 연통로와,
    상기 가열 장치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 장치와 상기 송풍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펌프실을 연통시키는 제 1 환기구와,
    상기 냉각 장치와 상기 가열 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연통 시키는 제 2 환기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냉각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환기구 및 상기 제 2 환기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 사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환기구는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서 상기 가열 장치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 순환유로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의 환기를 가능하도록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기 순환유로 내에 건조용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V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V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V홈의 길이 방향의 중앙 측으로 진행하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절개된 개구가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 시작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고 상기 수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송출된 응축수를 받는 저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연결 수로를 통해 상기 저수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수로에는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펌프를 향한 방향으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가 설치되는 의류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송출된 응축수를 받는 저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응축수를 상기 저수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펌프 케이싱과, 상기 펌프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출력 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출력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임펠러는 상기 배출구 측이 상방이 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의류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는 상기 공기 순환유로를 상기 공기 순환유로, 상기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펌프실과는 다른 공간으로 연통시키는 제3 환기구가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환기구를 설정 조건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은 역지 밸브를 통해 대기 측과 연결되고,
    상기 역지 밸브는 상기 펌프실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설정 값 이상으로 낮아질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펌프실 내로 대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의류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과, 상기 정상 회전보다 낮은 회전수의 저속 회전을 설정 시간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속 회전 시간 중에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이 시작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고 상기 수위 감지부의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장치의 회전수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팬을 정상 회전과 상기 정상 회전 보다 낮은 회전수의 저속 회전을 설정된 시간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속 회전 시간 중에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한 감지 수위가 설정 임계 값 이상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의 하면은 상기 물 순환유로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감지 수위의 설정 임계 값은 상기 물 순환유로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되는 의류 건조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유로의 내부 상면은 상기 연통로 및 상기 V홈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의류 건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55135A 2014-11-19 2015-04-2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6574.8A EP3023531B1 (en) 2014-11-19 2015-09-23 Clothes dryer
US14/882,537 US9617680B2 (en) 2014-11-19 2015-10-14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4346 2014-11-19
JP2014234346A JP6630474B2 (ja) 2014-11-19 2014-11-19 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933A KR20160059933A (ko) 2016-05-27
KR102360054B1 true KR102360054B1 (ko) 2022-02-09

Family

ID=5607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135A KR102360054B1 (ko) 2014-11-19 2015-04-2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30474B2 (ko)
KR (1) KR102360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9669A (zh) * 2018-12-03 2019-02-19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基于侧向通风结构的空气源热泵果蔬干燥机
JP7457492B2 (ja) * 2019-12-10 2024-03-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20230399790A1 (en) * 2020-10-05 2023-12-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6623408A (zh) * 2022-06-22 2023-08-22 湖北美的洗衣机有限公司 风道壳组件和衣物处理装置
KR20240010843A (ko) * 2022-07-18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089A (ja) 2007-07-13 2009-01-29 Toshiba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977Y2 (ko) * 1987-01-09 1992-10-22
JP4817816B2 (ja) * 2005-11-24 2011-11-16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2008055077A (ja) * 2006-09-04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8183304A (ja) * 2007-01-31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2008183307A (ja) * 2007-01-31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4937041B2 (ja) * 2007-08-27 2012-05-23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用ドレインポンプ
JP2009285281A (ja) * 2008-05-30 2009-12-10 Toshiba Corp 洗濯機
JP5044501B2 (ja) * 2008-08-01 2012-10-10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2011087623A (ja) * 2009-10-20 2011-05-06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11092329A (ja) * 2009-10-28 2011-05-1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EP2458074A1 (en) * 2010-11-29 2012-05-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eat pump laundry dryer
JP5948608B2 (ja) * 2012-07-19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14083275A (ja) * 2012-10-25 2014-05-12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JP2014140439A (ja) * 2013-01-23 2014-08-07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JP6276012B2 (ja) * 2013-12-03 2018-02-0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089A (ja) 2007-07-13 2009-01-29 Toshiba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6885A (ja) 2016-05-30
KR20160059933A (ko) 2016-05-27
JP6630474B2 (ja)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3531B1 (en) Clothes dryer
KR102360054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3299513B1 (en) Clothes dryer
US11591746B2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76291B2 (ja) 衣類乾燥装置
KR20170021117A (ko) 건조기
CN106917221B (zh) 衣物烘干机
US202003926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JP4625120B2 (ja) 空調ユニット
JP2010064020A (ja) 空調ユニット
JP6276012B2 (ja) 乾燥機
JP2014033849A (ja) 衣類乾燥機
JP5965848B2 (ja) 洗濯乾燥機
JP6545935B2 (ja) 衣類乾燥機
JP2015016186A (ja) 衣類乾燥機
KR101241899B1 (ko) 건조기의 습식 회전 디스크 필터를 이용한 린트 프리 모듈
JP2007215833A (ja) 洗濯乾燥機
CN101671941B (zh) 空调单元
JP6700675B2 (ja) 衣類乾燥機
KR101241901B1 (ko) 회전 베인 이용한 린트 프리 및 콘덴싱 모듈
JP2008073089A (ja) 衣類乾燥機
JP2021129957A (ja) 衣類乾燥機
CN112941856A (zh) 衣物类干燥机
JP2010063690A (ja) 空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