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996B1 -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996B1
KR102359996B1 KR1020200036076A KR20200036076A KR102359996B1 KR 102359996 B1 KR102359996 B1 KR 102359996B1 KR 1020200036076 A KR1020200036076 A KR 1020200036076A KR 20200036076 A KR20200036076 A KR 20200036076A KR 102359996 B1 KR102359996 B1 KR 10235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unit
row
ultrasonic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677A (ko
Inventor
정병용
이동희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9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차량의 후석 각 열에 초음파 모듈을 설치하되, 각 열의 초음파 모듈이 미리 설정된 비율로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하여, 초음파 모듈 하나 설치 시와 동일한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Rear passenger detection system of large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열 이상의 좌석을 가지는 대형 차량에서 후석 동승자를 감지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아 또는 유아를 뒷좌석에 태우고 차량 주행 후 하차 시 영아 또는 유아를 뒷좌석에 두고 하차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영아 또는 유아는 차량이 닫히거나 잠긴 상태에서 차량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차량 내부에 오래 방치되는 경우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영아 또는 유아가 차량 내부에 방치되더라도 부모에게 차량 내부에 방치된 동승자, 즉 영아 또는 유아가 있음을 빠르게 인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을 활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실내 감지 시스템을 활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차량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차량 실내에 설치된 초음파 모듈을 통해 차량 후석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차량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초음파 모듈은 차량 내 운전석 뒷 열의 시트 머리받이 위쪽의 헤드라이닝(Head Lining)에 초음파 발신기(Tx, 2ea) 및 수신기(Rx, 1e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초음파 모듈의 장착 구조가 복잡하며, 초음파 모듈의 초음파 센서 각도에 따른 실내 감지 영역에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최근 차량은 점점 더 넓어지는 추세이며 3열 이상의 차량(이하 "대형 차량"이라 함)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대형 차량의 경우, 종래와 동일하게 2열 헤드라이닝에 초음파 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2열의 동승자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감지가 가능하나, 3열의 동승자에 대해서는 감지가 잘 되지 않거나 작은 움직임의 감지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모듈을 2열과 3열 중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2열에 대한 감지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모듈을 2열과 3열 모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장착 구조가 복잡해지고,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전원만으로 동작하는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경우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3652호(2016.12.07.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차량의 후석 각 열에 초음파 모듈을 설치하되, 각 열의 초음파 모듈이 미리 설정된 비율로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하여, 초음파 모듈 하나 설치 시와 동일한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셋 이상의 열을 가지는 대형 차량의 운전석을 포함하는 열 이후의 후석 열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초음파가 방사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후석 열의 영역에 초음파를 방사하고 상기 해당 후석 열의 영역의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부; 및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교번하여 판단하고, 동승자의 검출 시 경보를 발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둘 이상의 후석 열을 초음파 방사 순서를 순차적으로 정의하되 각 열에서 해당 초음파 모듈의 초음파 방사에 의한 감지 횟수를 정의하는 교번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후석 동승자의 감지를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상기 교번 비율에 따라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동승자의 검출 시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교번 비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교번 비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 교번 비율을 저장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교번 비율을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교번 비율 및 사용자 교번 비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설정 교번 비율을 저장하는 모드 설정부;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 만족 시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는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부; 상기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둘 이상의 구동 제어부; 상기 설정 교번 비율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부를 교번하여 제어하는 교번 제어부; 상기 초음파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의해 해당 열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후석 동승자 판단부; 및 상기 후석 동승자 판단부를 통해 동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는, 상기 경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후석 동승자가 감지된 열에 대한 정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 교번 비율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형 차량의 열은 3열이되, 상기 초음파부는, 2개의 초음파 모듈을 포함하되, 2열의 동승자를 감지하는 제2 초음파 모듈은, 2열 시트의 레드레스트 위쪽 헤드 라이닝에 설치되고, 3열의 동승자를 감지하는 제3 초음파 모듈은, 트렁크 램프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트렁크 램프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은: 제어모듈이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 만족 시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는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과정; 상기 제어모듈이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 교번 동승자 감지 과정; 및 상기 제어모듈이 후석 열에서 동승자가 검출되면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모듈이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교번 비율을 입력 또는 선택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기준 교번 비율 및 사용자 교번 비율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설정 교번 비율로 저장하는 모드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 교번 동승자 감지 과정에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설정 교번 비율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경보 과정에서 후석 열에서 동승자가 검출되면 경보부를 통해 동승자가 감지된 열에 대한 정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대형 차량의 각 열에 초음파 모듈을 구비하므로 각 열의 동승자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감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각 열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키므로 초음파 모듈이 한 개인 경우와 동일한 전력만을 소모하므로 동승자 감지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각 열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키므로 각 열의 초음파 모듈이 방사하는 초음파 신호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각 열의 교번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동승자가 주로 사용하는 열의 감지 비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초음파 모듈 장착 예를 나타낸 대형 차량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초음파 모듈 장착 예를 나타낸 대형 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초음파 모듈 장착 예를 나타낸 대형 차량 투과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의 초음파 모듈 장착 예를 나타낸 대형 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대형 차량이 3열 차량인 경우, 2열 및 3열 각각에 초음파 모듈이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3열 좌석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투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은 제어모듈(100) 및 초음파부(200)를 포함한다.
초음파부(200)는 대형 차량의 열 수(n)에서 운전석열(1)을 뺀 후석 열(n-1) 수에 대응하는 초음파 모듈(2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형 차량이 3열의 차량이라면 초음파부(200)는 도 1과 같이 3-1=2개의 초음파 모듈(210)을 포함한다.
3열인 대형 차량에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제1 초음파 모듈(210-1)은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열 시트 머리받이의 위쪽 헤드라이닝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초음파 모듈(210-2)은 3열 천장 또는 트렁크 도어 상단부에 구성되는 트렁크 램프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트렁크 램프에 접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초음파 모듈(210)은 두 개의 초음파 송신부(Tx 2EA)와 한 개의 초음파 수신부(Rx 1EA)로 구성될 수도 있고, 탑승자가 많이 앉는 후석(열)과 그렇지 않은 후석(열)을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2개의 Tx 및 1개의 Rx로 구성되는 제1 초음파 모듈(210-1)이 대형 차량의 제2열(202)에 설치되고, 1개의 Tx 및 1개의 RX로 구성되는 제2 초음파 모듈(210-2)가 제3열(203)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모듈(100)은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도어락 시스템, 경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 시스템에 연결되어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은 차량 시동이 오프되고 도어가 잠긴 상태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210)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동승자의 검출 시 자체적인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거나 차량 시스템의 오디오 시스템 및 경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경보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모듈(100)은 제어부(10), 저장부(20) 및 네트워크 통신부(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 입력부(40) 및 경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0)는 모드 설정부(11),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부(12), 초음파 모듈(210)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는 구동 제어부(13), 교번 제어부(14), 후석 동승자 판단부(15) 및 경보 제어부(16)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의 상세 구성의 설명은 제어모듈(100)의 다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대형 차량이 운전석이 있는 제1열(201), 제1열 뒤의 좌석열인 제2열(202) 및 제2열 뒤의 좌석열인 제3열(203)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2열(202)에 제1 초음파 모듈(210-1)이 설치되고 제3열(203)에 제2 초음파 모듈(210-2)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하거나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교번 비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교번 비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 교번 비율 등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교번 비율은 제1 초음파 모듈(210-1) 및 제2 초음파 모듈(210-2) 각각이 몇 번씩 구동된 후 다음 초음파 모듈(210)로 천이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설정 교번 비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준 교번 비율일 수도 있고, 사용자 설정 교번 비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 교번 비율이 1:1이면 제1 초음파 모듈(210-1)과 제2 초음파 모듈(210-2) 각각은 한 번의 동승자 검출 동작 다음 초음파 모듈(210)로 순차적으로 천이한다.
다른 예로 교번 비율이 2:1이면 제1 초음파 모듈(210-1)이 두 번의 동승자 검출 동작을 수행한 후 제2 초음파 모듈(210-2)이 동작하고, 제2 초음파 모듈(210-2)이 한 번의 동승자 검출 동작을 수행한 후 제1 초음파 모듈(210-1)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어모듈(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입력부(40)는 사용자 교번 비율 설정, 설정 교번 비율 선택 등과 같은 다수의 기능을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부(50)는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차량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 네트워크는 국부 상호 연결 네트워크(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및 제어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망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 시스템은 BCM, 도어락 시스템, 경보 시스템, 계기판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경보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알람 및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상기 음성은 대형 차량에서 동승자가 검출되는 열을 알리는 음성일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0)의 구성 및 각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면, 모드 설정부(11)는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사용자 교번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입력부(40)를 통해 사용자 교번 비율을 입력받아 사용자 교번 비율을 저장부(20)에 저장하여 설정하며, 미리 설정된 기준 교번 비율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교번 비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제공하고, 입력부(40)를 통해 선택된 교번 비율을 설정 교번 비율을 설정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한다.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부(12)는 네트워크 통신부(50)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여 구동 제어부(13), 교번 제어부(14), 후석 동승자 판단부(15) 및 경보 제어부(16)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제1 구동 제어부(13-1)는 교번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제1 초음파 모듈(210-1)을 구동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 신호에 대한 초음파 정보를 교번 제어부(14) 및 후석 동승자 판단부(15)로 출력한다.
활성화된 제2 구동 제어부(13-2)는 교번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제2 초음파 모듈(210-2)을 구동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 신호에 대한 초음파 정보를 교번 제어부(14) 및 후석 동승자 판단부(15)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구동 제어부(13-1) 및 제2 구동 제어부(13-2)는 평상 시에는 간헐적으로 온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노멀(Normal)모드로 동작하고, 후석 동승자 판단부(15)를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면 노멀모드 보다 더 빈번하게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부스트(Boost) 모드로 동작한다.
교번 제어부(14)는 제1 구동 제어부(13-1) 및 제2 구동 제어부(13-2)를 저장부(20)에 설정된 설정 교번 비율 및 제1 구동 제어부(13-1) 및 제2 구동 제어부(13-2)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 정보에 따라 교번하여 동작시킨다.
후석 동승자 판단부(15)는 제1 구동 제어부(13-1) 및 제2 구동 제어부(13-2)로부터 입력되는 초음파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열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후석 동승자 판단부(15)는 노멀모드에서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부스트 모드에서 동승자 판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여 동승자 감지를 수행하고, 동승자 감지 시 경보 제어부(16)를 활성화시킨다.
경보 제어부(16)는 경보부(60) 또는 네트워크 통신부(50)를 통한 차량의 경보 시스템을 통해 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모듈(100)의 제어부(10)는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한다(S111).
차량상태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10)는 수집된 차량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113).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0)는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여 제1 초음파 모듈(210-1) 및 제2 초음파 모듈(210-2)을 구동시켜 동승자 감지를 개시한다(S115).
동승자 감지가 개시되면 제어부(10)는 제1 초음파 모듈(210-1)을 제어하여 초음파를 제2열(202) 영역으로 방사한다(S117).
제어부(10)는 제1 초음파 모듈(210-1)에 대한 초음파 신호가 획득되면 동승자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9). 물론 제어부(10)는 노멀모드와 부스트 모드를 거쳐 동승자를 감지할 것이나, 이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동승자가 감지되면 제어부(10)는 경보부(60) 및 시스템 경보 시스템을 통해 2열 동승자 감지 경보를 발생시킨다(S121).
반면, 2열에서 동승자가 감지되면 않으면 제어부(10)는 제1 초음파 모듈(210-1)의 구동 횟수를 카운트하고(S123), 제1초음파 모듈 구동 횟수가 제1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125). 상기 제1 기준횟수는 교번 비율에 따라 제1 초음파 모듈(210-1)이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횟수일 것이다. 예를 들어, 교번 비율이 2:1이라면 상기 제1 기준횟수는 2일 것이다.
제1 초음파 모듈 구동 횟수가 제1 기준횟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0)는 상술한 S117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제1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제2 초음파 모듈(210-2)을 구동하여 제2 초음파를 제3열(203)의 영역에 초음파를 방사한다(S127).
상기 초음파의 방사 후 제어부(10)는 동승자가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29), 동승자가 감지되면 경보부(60) 및 차량 시스템인 경보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3열 동승자 감지 경보를 발생시킨다(S131).
동승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제2 초음파 모듈 구동 횟수를 카운트하고(S133), 카운트된 제2 초음파 모듈 구동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할 것이다(S135). 상기 제2 기준횟수 또한 교번 비율에 따라 제2 초음파 모듈(210-2)이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횟수일 것이다. 상기 교번 비율 2:1의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제2 기준횟수는 1일 것이다.
제2 초음파 모듈 구동 횟수가 제2 기준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술한 S127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제2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S117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제어부 11: 모드 설정부
12: 차량상태정보 수집부 13: 교번 제어부
14: 제1구동 제어부 15: 제2구동 제어부
16: 후석 동승자 판단부 17: 경보 제어부
20: 저장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입력부 50: 네트워크 통신부
60: 경보부 200: 제1 초음파 모듈
300: 제2 초음파 모듈

Claims (9)

  1. 셋 이상의 열을 가지는 대형 차량의 운전석을 포함하는 열 이후의 후석 열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초음파가 방사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후석 열의 영역에 초음파를 방사하고 상기 해당 후석 열의 영역의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부; 및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교번하여 판단하고, 동승자의 검출 시 경보를 발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둘 이상의 후석 열의 초음파 방사 순서를 순차적으로 정의하되, 각 열에서 해당 초음파 모듈의 초음파 방사에 의한 감지 횟수를 정의하는 교번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후석 동승자의 감지를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상기 교번 비율에 따라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동승자의 검출 시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교번 비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교번 비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 교번 비율을 저장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교번 비율을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교번 비율 및 사용자 교번 비율 중 사용자 교번 비율을 선택받아 상기 설정 교번 비율을 저장하는 모드 설정부;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 만족 시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는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부;
    상기 후석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둘 이상의 구동 제어부;
    상기 설정 교번 비율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부를 교번하여 제어하는 교번 제어부;
    상기 초음파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의해 해당 열에 동승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후석 동승자 판단부; 및
    상기 후석 동승자 판단부를 통해 동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제어부는,
    상기 경보부 및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후석 동승자가 감지된 열에 대한 정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차량의 열은 3열이되,
    상기 초음파부는,
    2개의 초음파 모듈을 포함하되,
    2열의 동승자를 감지하는 제2 초음파 모듈은,
    2열 시트의 머리받이 위쪽 헤드라이닝에 설치되고,
    3열의 동승자를 감지하는 제3 초음파 모듈은,
    트렁크 램프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트렁크 램프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7. 제어모듈이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조건 만족 시 동승자 감지 모드를 설정하는 동승자 감지 모드 설정 과정;
    상기 제어모듈이 동승자 감지 모드에서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대형 차량의 각 후석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 교번 동승자 감지 과정;
    상기 제어모듈이 후석 열에서 동승자가 검출되면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과정; 및
    상기 제어모듈이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교번 비율을 입력 또는 선택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기준 교번 비율 및 사용자 교번 비율 중 사용자 교번 비율을 선택받아 설정 교번 비율로 저장하는 모드 설정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열 교번 동승자 감지 과정에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설정 교번 비율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초음파 모듈을 교번하여 동작시켜 상기 대형 차량의 각 열에 대해 교번하여 동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경보 과정에서 후석 열에서 동승자가 검출되면 경보부를 통해 동승자가 감지된 열에 대한 정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방법.
KR1020200036076A 2020-03-25 2020-03-25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5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76A KR102359996B1 (ko) 2020-03-25 2020-03-25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76A KR102359996B1 (ko) 2020-03-25 2020-03-25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77A KR20210119677A (ko) 2021-10-06
KR102359996B1 true KR102359996B1 (ko) 2022-02-09

Family

ID=7807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076A KR102359996B1 (ko) 2020-03-25 2020-03-25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82B1 (ko) * 2017-12-29 2019-08-07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52B1 (ko) 2015-10-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차량 침입 감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254081B1 (ko) * 2015-12-09 2021-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입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침입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1953566B1 (ko) * 2016-11-11 2019-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실내 침입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591877B1 (ko) * 2018-09-03 2023-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82B1 (ko) * 2017-12-29 2019-08-07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77A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2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driver of possible rear seat passengers or objects
EP2439715B1 (en) Method of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US7696859B2 (en)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242282B2 (en) Wireless anti-lockout system
US7511610B2 (en) Multiple passenger vehicle seat belt notification system with force feedback
US20070120644A1 (en) Smart entry system and warning method thereof
GB2546141A (en) Child se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5082729B2 (ja) 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7196006A (ja) 助手席用乗員検知システム
US20160031342A1 (en) Back seat occupant detector and alarm
JP3880771B2 (ja) 自動車在室センサーシステム用の直線状に配列された超音波変換器
JP2007039983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4072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tems have been left in vehicles
US89656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rming a potentially unintended command given to a vehicle
CN104933781A (zh) 车辆自动锁闭系统及方法
KR102639082B1 (ko)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및 실내 침입 경고 시스템,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승객 감지 및 침입 경고 방법
CN112078539A (zh) 人离车智能锁车方法、系统以及车辆
KR102359996B1 (ko) 대형 차량의 후석 동승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3072441A (ja) 座席の占有状態を検出する装置
US20230410574A1 (en) Self-diagnosis apparatus and self-diagnosis system
JP2007038887A (ja)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JPH063114Y2 (ja) 車輌用無線式施解錠装置
JP2006257767A (ja) 車両用ドア開閉リモコン装置
JP2002201838A (ja) 車両用電子キー装置及び記録媒体
KR101964682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