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81B1 -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81B1
KR102359781B1 KR1020200095615A KR20200095615A KR102359781B1 KR 102359781 B1 KR102359781 B1 KR 102359781B1 KR 1020200095615 A KR1020200095615 A KR 1020200095615A KR 20200095615 A KR20200095615 A KR 20200095615A KR 102359781 B1 KR102359781 B1 KR 10235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crophone
waterproof
microphone modu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093A (ko
Inventor
정을곤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PCT/KR2020/0101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25378A1/ko
Publication of KR2021001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은 회로부 및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회로기판,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수용부와 차량 보디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통로와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수용부의 바닥면에 제1홀이 구비되는 하우징, 제1홀의 상단에 배치되는 방수필터, 및 통로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방수방진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Microphone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는 엔진 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운행 시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차량의 무음은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는 인위적인 엔진음을 생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자동차의 엔진음은 일정한 레벨로 고정되기 때문에 주변의 음향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보행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엔진음은 주변의 음향 레벨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있다.
주변의 음향 레벨을 획득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은 차량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마이크로폰은 외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그 성능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세차 등과 같이 고압의 물이 유입되거나 먼지가 유입되는 경우, 종래의 마이크로폰 모듈은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외부 환경의 열악한 조건에서도 차량 외부의 음향을 수음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10-2014-0076835 A (2014.06.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외부 환경의 열악한 조건에서도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이 외부와 연통하게 함으로써 음성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할 수 있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부 및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수용부와 차량 보디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와 상기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제1홀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1홀의 상단에 배치되는 방수필터; 및 상기 통로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방수방진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수필터는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방진 필터는 산란층, 방진층 및 방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란층은 격자 패턴을 갖는 메탈 메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층은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기재는 천,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은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방수필터는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기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하측에 제2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은 상기 수용부와 외측을 연통하는 에어벤트(air v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은 ECM(Electrets Condenser Microphone) 또는 MEMS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은 상기 산란층, 상기 방진층 및 상기 방수층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사출 보디 및 상기 산란층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응하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 상에 방수필터 및 방수방진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물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 음향의 수음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음향을 안정적으로 수음함으로써, 엔진음의 크기를 주변 음향 레벨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이 차량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차량 외부의 사용자 음성을 수음할 수 있어 부가적인 음성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이 적용된 전기 자동차의 주행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방수필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 방수방진 필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산란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의 방수방진 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의 방수방진 필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회로기판(120), 마이크로폰(130), 방수필터(140) 및 방수방진 필터(150)를 포함한다.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전기 자동차(10)는 엔진음(11)을 발생하여 보행자가 전기 자동차(10)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10)는 주변 음향과 무관하게 보행자가 엔진음(11)을 인식할 수 있도록 주변의 음향 레벨에 따라 엔진음(11)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동차(10)는 외부 음향을 수음하기 위해 트렁크, 범퍼 또는 도어 등에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을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의 음향 레벨이 큰 경우, 전기 자동차(10)는 엔진음(11)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의 음향 레벨이 작은 경우, 전기 자동차(10)는 엔진음(11)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자동차(10)는 주변 음향과 무관하게 어떠한 환경에서도 엔진음(11)을 통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10)는 보행자가 전기 자동차(10)를 인지하지 못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10)는 차량 외부의 운전자의 음성에 따라 도어나 트렁크를 개방하거나 시동을 거는 등과 같은 음성인식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동차(10)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을 통하여 운전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이를 신호처리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차량 외부의 음향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수음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량 보조 기능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음성을 더 정확하게 수음하기 위해 복수 개의 어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내부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차량 보디(12)에 형성된 관통홀(13)과 연통하는 통로(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통로(112)가 차량 보디(12)의 관통홀(13)과 일직선이 되도록 차량 보디(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10)은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 및 음성이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의 수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회로기판(120)이 장착되는 수용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회로기판(120), 마이크로폰(130) 및 회로부(132)를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통로(112)와 수용부(116)가 연통하도록 수용부(116)의 바닥면에 제1홀(114)이 구비된다. 제1홀(114)은 마이크로폰(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홀(114)은 마이크로폰(130)과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로(112)는 제1홀(114)로부터 차량 보디(12)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로(112)는 음파에 대한 고주파를 보상하기 위한 캐비티 공진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즉, 통로(112)는 캐비티 공진의 특성에 따라 그 길이 또는 폭 등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통로(112)는 제1홀(114)보다 차량 보디(12)의 반대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로(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통로(112)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하나 이사의 절곡부에 의해 다단으로 또는 구불구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은 2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수용부(116)가 구비되고, 하단은 통로(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통로(112), 제1홀(114) 및 수용부(116)를 통하여 음파가 전달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마이크로폰(130) 및 회로부(132)가 장착된다. 이때, 회로기판(120)은 수용부(116)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20)은 마이크로폰(130)이 장착되는 위치의 하측에 제2홀(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홀(122)은 수용부(116)의 제1홀(114)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홀(122)을 통하여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의 내측으로 입사된 음파가 효과적으로 마이크로폰(130)에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0)은 수음하기 위해 음파를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폰(130)은 ECM(Electrets Condenser Microphone) 또는 MEMS 마이크로폰일 수 있지만,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마이크로폰(130)은 공진 주파수 조절 및 SNR(신호 대 잡음비) 상승에 적합한 마이크로폰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공진 주파수 조정과 고감도 구현이 요구되며, 진동 충격에 대한 안정성의 보장이 요구되는 경우, ECM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MT 적용 및 습기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 MEMS 마이크로폰이 사용될 수 있다.
회로부(132)는 마이크로폰(130)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회로부(132)는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그에 수반되는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필터(140)는 수용부(116)의 제1홀(114)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방수필터(140)는 제1홀(114) 전체를 충분히 덮도록 제1홀(114)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수필터(140)는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일례로, 방수필터(140)는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기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수필터(140)는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하여 웹상의 고분자 물질층을 형성하여 고탄성의 기공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수필터(140)는 나노섬유(142)가 미세기공(144)을 갖도록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축적된 나노 섬유웹일 수 있다. 나노섬유(142)는 공기 중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섬유형성성분이 소수성의 특성을 갖는 고분자화합물일 수 있다. 일예로 나노섬유(142)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나노섬유(142)의 섬유형성성분은 후술하는 첨가제에 의해 수분에 대한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계 화합물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섬유형성성분은 나노섬유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고 공지된 재질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나노섬유(142)는 수분에 대한 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수제, 발유제 및 흡습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나노섬유(142)를 제조할 때 섬유형성성분과 함께 혼합되어 나노섬유(142)에 구비되거나, 나노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된 섬유웹의 외표면 또는 외표면과 내부 표면에 이들 첨가제가 처리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처리는 통상적인 코팅방법일 수 있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발수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파라핀 왁스나 알킬케텐 다이머 등을 줄 수 있다. 특히 불소계 발수제는 발수성뿐만 아니라 발유성도 부여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발수성이나 발유성을 부여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상기 발유제는 불소계, 실리콘계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습제는 수분 또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공지된 성분일 수 있고, 일예로 알루미나 등의 금속분말, 금속산화물, 금속염 또는 오산화인(P2O5) 등의 수분반응성 흡습제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또는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물리적 수분 흡습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안료, 염료, 및/또는 UV 차단제, 이온성물질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필터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방수방진 필터(150)는 통로(112)의 입구 측에 구비된다. 즉, 방수방진 필터(150)는 관통홀(13)과 연통하도록 차량 보디(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방진 필터(150)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과 차량 보디(12)의 경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방진 필터(150)는 통로(112)의 입구측을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방진 필터(150)는 통로(112)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수방진 필터(150)는 통로(112)의 입구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통로(112)의 입구측에 방수방진 필터(150)를 장착하기 위한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수방진 필터(150)는 산란층(152),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을 포함한다. 즉, 방수방진 필터(150)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란층(152)은 차량 보디(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산란층(152)은 격자 패턴을 갖는 메탈 메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산란층(152)은 일정한 패턴을 갖는 메탈라인(152a)에 의해 제작된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즉, 산란층(152)은 메탈라인(152a)에 의해 한정되는 미세 격자(152b)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산란층(152)은 메탈 메시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란층(152)은 미세 격자(152b)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산란층(152)은 메탈 메시의 다층 형성에 의해 미세 격자(152b)의 면적이 더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보디(12)의 관통홀(13)로 유입되는 고압의 물이 메탈라인(152a) 및 격자(152b)에 의해 산란될 수 있다. 따라서 산란층(152)은 방수방진 필터(150) 전체를 고압의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방진층(154)은 산란층(15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진층(154)은 산란층(152)보다 통로(1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방진층(154)은 산란층(152)과 방수층(15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진층(154)은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기재는 산란층(152)을 통과한 비교적 큰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다공성기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공성기재는 천,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고, 일예로 원사가 경편성된 트리코트(Tricot)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기재는 섬유에 종횡의 방향성이 없는 부직포일 수 있고,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공성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다공성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고분자 성분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방수층(156)은 방진층(15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층(156)은 방진층(154)보다 통로(1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방수층(156)은 방진층(154)을 기준으로 산란층(152)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수층(156)은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층(156)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기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방수층(156)은 방수필터(14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의해, 방수방진 필터(150)는 차량 보디(12)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먼지 등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환경이 열악한 조건에서도 마이크로폰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방진 필터(150)는 외부 음향의 수음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60)는 회로기판(12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60)는 진동 흡수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60)는 회로기판(120)이 수용부(116)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60)는 회로기판(120)이 하우징(110)의 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재(160)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재(160)는 전기 자동차(10)의 주행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로 유입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마이크로폰(13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은 에어벤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벤트(170)는 수용부(116)와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의 외측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벤트(17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수필터(140)와 같은 방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벤트(170)는 캡 타입 벤트일 수 있다. 즉, 에어벤트(170)는 캡 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방수시트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를 캡으로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캡 하우징의 순환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통과할 때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벤트(170)는 수용부(11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벤트(17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116)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벤트(170)는 교체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16)가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의 외부와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벤트(17)는 수용부(116)의 내부 발열 등의 환경 변화에도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수방진 필터(150')는 지지체(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58)는 산란층(152),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체(158)는 산란층(152),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158)는 사출로 형성된 보디일 수 있다. 이때, 지지체(158)는 "L"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158)는 차량 보디(12)의 관통홀(13) 측으로 배치되는 산란층(152)이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체(158)는 산란층(152)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수방진 필터(15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수방진 필터(150')가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수방진 필터(150")는 지지체(15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59)는 산란층(152),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체(159)는 산란층(152),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159)는 산란층(15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체(159)는 메탈 메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59)는 산란층(152)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방진층(154) 및 방수층(156)은 지지체(159)와 산란층(152)에 의해 형성되는 보디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수방진 필터(150")는 별도의 부가수단 없이 산란층을 이용하여 지지체를 구성하여 방수방진 필터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10 : 하우징
112 : 통로 114 : 제1홀
116 : 수용부 120 : 회로기판
122 : 제2홀 130 : 마이크로폰
132 : 회로부 140 : 방수필터
142 : 나노섬유 144 : 미세기공
150, 150', 150" : 방수방진 필터 152 : 산란층
154 : 방진층 156 : 방수층
158, 159 : 지지체 160 : 지지부재
170 : 에어벤트 10 : 전기 자동차
11 : 엔진음 12 : 차량 보디
13 : 관통홀

Claims (15)

  1. 보행자가 인지하도록 인위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차량에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외부 음향의 레벨에 따라 상기 엔진음의 레벨을 조정하도록 상기 차량의 외부 음향을 수음하는 마이크로폰 모듈로서,
    회로부 및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수용부와 차량 보디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와 상기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제1홀을 구비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폰 측으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는 하우징;
    상기 제1홀의 상단에 배치되는 방수필터;
    상기 통로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방수방진 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폰 모듈의 외부를 상기 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에어벤트(air vent);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벤트는 방수시트 및 캡 타입 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수용부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 모듈의 외부의 통기성을 제공하여 상기 수용부에서의 내부 발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터는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방진 필터는 산란층, 방진층 및 방수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격자 패턴을 갖는 메탈 메시로 이루어진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층은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기재로 형성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기재는 천,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기공성 기재 및 탄성을 갖는 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방수필터는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기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하측에 제2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과 일렬로 배치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ECM(Electrets Condenser Microphone) 또는 MEMS 마이크로폰인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 상기 방진층 및 상기 방수층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사출 보디 및 상기 산란층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KR1020200095615A 2019-08-07 2020-07-31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KR10235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0105 WO2021025378A1 (ko) 2019-08-07 2020-07-31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65 2019-08-07
KR20190095865 201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093A KR20210018093A (ko) 2021-02-17
KR102359781B1 true KR102359781B1 (ko) 2022-02-08

Family

ID=7473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15A KR102359781B1 (ko) 2019-08-07 2020-07-31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2141B (zh) * 2012-11-21 2018-02-1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声膜和具备透声膜的电子设备
KR20140076835A (ko) 2012-12-13 2014-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리기반 핸즈프리 트렁크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EP3059125A4 (en) * 2013-10-15 2017-01-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icro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58B1 (ko) * 2016-12-22 2018-01-10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차량용 멤스 지향성 마이크로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093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5378A1 (ko)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JP4043674B2 (ja)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KR101580756B1 (ko) 통기 부재
KR20080077281A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KR101896367B1 (ko) 방수 통기 시트
CN109565623B (zh) 扬声器装置和搭载有该扬声器装置的移动体装置
KR20080077371A (ko) 통기 부재
JP6721978B2 (ja) 通気部材、ランプ
US9332662B2 (en) Ventilation member
KR20100134092A (ko) 통기 부재
US9242198B2 (en) Ventilation member
JP6132615B2 (ja) 通気部材
KR102359781B1 (ko) 차량용 마이크로폰 모듈
US9978352B2 (en) Acoustic insulator and wiring harness with acoustic insulator
ES2630677T3 (es) Construcción textil multicapa de protección y blindaje contra campo magnético
JP2006190656A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および電装部品
WO2018074474A1 (ja) 防音構造体、および防音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5349362A (ja) 通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通気部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筐体。
JP7032032B2 (ja) 吸音フェルト
JP5710359B2 (ja) 通気部材
JP2010048234A (ja) 吸気ダクト
KR20160055505A (ko) 소수성 및 소유성 멤브레인과 그의 제조 방법
KR200348263Y1 (ko) 콘덴서 마이크로폰용 부직포 구조
EP2785161A2 (en) Ventila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