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71B1 -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71B1
KR102359771B1 KR1020200062318A KR20200062318A KR102359771B1 KR 102359771 B1 KR102359771 B1 KR 102359771B1 KR 1020200062318 A KR1020200062318 A KR 1020200062318A KR 20200062318 A KR20200062318 A KR 20200062318A KR 102359771 B1 KR102359771 B1 KR 10235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ange
sealing member
battery cas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432A (ko
Inventor
정창균
위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6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시 발생되는 주름을 최소화하고 밀봉성 확보를 위해 함께 조립되는 밀봉부재에 더욱 높은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하는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상기 제1 본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오목한 채널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채널부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제1 플랜지의 결합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한 돌출부를 덮어씌우도록 배치된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케이스 {Battery case}
본 발명은 밀봉성이 향상된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케이스 내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예컨대 차체 플로어의 하측에 배치된다. 배터리 케이스는 내력 및 외력에 대해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하우징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강재를 적용하는 경우에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Drawing) 공정으로 플랜지가 있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형성하고, 이들 플랜지 간 볼팅을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다.
플랜지들 사이의 결합부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유체나 이물질의 침투를 막아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용된 배터리 셀의 누전,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랜지들 사이에 밀봉부재를 개재시킨다.
이와 더불어, 드로잉 후 면대면(Surface to surface)으로 결합하는 플랜지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평탄도를 확보해야 하지만,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 중에 재료의 유동 특성에 의해 미세한 주름이 생긴다. 이러한 주름은 밀봉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배터리 케이스에서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으며, 강재로 된 배터리 케이스의 사용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2018-0081670 A
본 발명은 성형시 발생되는 주름을 최소화하고 밀봉성 확보를 위해 함께 조립되는 밀봉부재에 더욱 높은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적어도 코너부에 형성되는 채널부; 및 상기 채널부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하는 상기 제1 플랜지의 결합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본체의 모서리에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코너부에서 벗어날수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덮는다.
본 발명은 누수의 원인이 되는 플랜지 표면의 주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조립되는 밀봉부재에 높은 집중 하중을 부여하여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채널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20),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서 내부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는, 중공의 제1 본체(11)와,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중공의 제2 본체(21)와,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는, 제1 본체(11)의 개방면과 제2 본체(21)의 개방면이 서로를 향하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그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 중 어느 하나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중공의 본체를 가져 서로 합형됨으로써, 그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의 결합은, 제1 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와 제2 본체(21)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22)가 서로 중첩된 후 볼트(51)와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볼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는 각각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한 파손 내지 손상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 셀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각 케이스는 적당한 강도를 가진 강재와 같은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로잉 공정에 의해 제1 케이스(10)를 성형할 때, 제1 본체(11)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에서는 금속으로 된 평판의 소재가 좁은 코너부로 유입(살몰림)되면서 소재에 압축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주름이 발생한다. 이러한 주름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필연적이다.
배터리 케이스는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미세한 주름도 최소화해야 한다. 이와 같은 주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코너부에서 살몰림에 의한 압축 응력을 없애주거나 인장 응력으로 변하도록 할 수 있는 플랜지의 형상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에서 적어도 코너부(13)에 형성되는 채널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부(31)는 제1 플랜지(12) 상에서 제1 본체(11)와 이격된 채로 제1 본체의 외주를 따라 제1 본체를 둘러싸도록 제1 플랜지 전체에 걸쳐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부(31)가 제1 플랜지(12)에 형성됨으로써 주름을 펴주는 효과가 있게 되는 한편,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와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결합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한 돌출부(32)가 생성된다. 채널부(31)는 채널부가 가진 형상으로 인해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오목부(33)를 형성한다.
도 3은 채널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장치는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형 다이(1), 블랭크 홀더(2), 및 하형 펀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형 다이와 블랭크 홀더는 프레스로 가압할 때 금속으로 된 평판의 소재에 채널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의 홈(4)이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도 단순한 드로잉 공정으로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에 채널부(31)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부(31)는 플랜지의 코너부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주름을 펴주는 작용을 하는 반면에, 그만큼 소재의 유입을 방해하므로 가공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채널부(31)는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의 중심에서 제1 본체(11)의 모서리에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코너부에서 벗어날수록 제1 본체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코너부에서의 채널부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드로잉 높이(또는 깊이)나 소재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밀봉부재(40)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와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밀봉부재는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과 같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며, 링 모양과 같이 폐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40)는, 채널부(31)의 형성으로 인해 제1 플랜지(12)의 결합면에 생성된 돌출부(32)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부재(40)의 일측면에는 돌출부(3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돌출부와 형상맞춤될 수 있는 오목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에 의해 밀봉부재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40)가 제1 플랜지(12)와 제2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플랜지의 돌출부(32)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 사이의 밀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주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코너부에 채널부가 적용되어 미세한 주름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코너부와 코너부 사이의 평탄부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밀봉부재에 대한 압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어,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20),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는, 중공의 제1 본체(11)와,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중공의 제2 본체(21)와,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케이스는 적당한 강도를 가진 강재와 같은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 제2 본체(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오목한(아래에서 바라볼 때) 채널부(31)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와 결합하는 제2 플랜지(22)의 결합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한 돌출부(32)가 생성된다. 채널부(31)는 채널부가 가진 형상으로 인해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오목부(33)를 형성한다.
따라서, 조립시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 형성된 돌출부(32)와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 사이에 배치된 밀봉부재(40)는 돌출부에 의해 압착되게 됨으로써 그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 채널부(31)는 제2 플랜지(22) 상에서 제2 본체(21)와 이격된 채로 제2 본체의 외주를 따라 제2 본체를 둘러싸도록 제2 플랜지 전체에 걸쳐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부(31)는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서 적어도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부(31) 및 이로 인한 돌출부(32)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 혹은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케이스의 제1 플랜지와 제2 케이스의 제2 플랜지에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제1 케이스(10)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케이스(20)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케이스가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케이스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주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코너부에 채널부가 적용되어 미세한 주름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코너부와 코너부 사이의 평탄부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밀봉부재에 대한 압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어,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2 케이스(20)의 구성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배터리 케이스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케이스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20),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는, 중공의 제1 본체(11)와, 이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는 적당한 강도를 가진 강재와 같은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판재(23)와, 이 판재를 둘러싼 측면 프레임(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의 판재는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바닥재로 작용할 수 있고, 측면 프레임은 제2 케이스의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판재와 측면 프레임은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로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케이스는 판재의 주위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 내에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측면 프레임(24)은, 내장되는 배터리 셀의 크기에 따라 높이 치수가 연동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4개의 측면 프레임이 판재(23)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각 측면 프레임의 양단부는 소정의 각도(예컨대 45도)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대응되는 다른 측면 프레임과 각각 양에서 접한 다음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는, 제1 본체(11)의 개방면이 제2 케이스(20)의 중공부를 향하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그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의 결합은, 제1 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와 측면 프레임(24)이 서로 중첩된 후 볼트(51)를 체결함으로써 볼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 채널부(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2) 상에서 제1 본체(11)와 이격된 채로 제1 본체의 외주를 따라 제1 본체를 둘러싸도록 제1 플랜지 전체에 걸쳐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부(31)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에서 적어도 코너부(13)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부(31)가 제1 플랜지(12)에 형성됨으로써 주름을 펴주는 효과가 있게 되는 한편, 제2 케이스(20)의 측면 프레임(24)과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결합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한 돌출부(32)가 생성된다. 채널부(31)는 채널부가 가진 형상으로 인해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오목부(33)를 형성한다.
밀봉부재(40)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와 제2 케이스(20)의 측면 프레임(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40)가 제1 플랜지(12)와 측면 프레임(24)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플랜지의 돌출부(32)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 사이의 밀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주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코너부에 채널부가 적용되어 미세한 주름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코너부와 코너부 사이의 평탄부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밀봉부재에 대한 압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어,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 해석을 실시하였다.
드로잉 공정에 의해 성형된 케이스 중 본체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플랜지의 코너부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종래의 코너부와 본 발명의 채널부가 형성된 코너부의 주름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종래의 코너부에서는 주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주름 지수(Wrinkle index)가 0.323을 기록했는데, 통상 0.1 이상이면 제품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완전히 동일한 코너부에 본 발명의 채널부가 적용되면, 성형성이 충분히 확보됨은 물론, 주름 지수도 0 ~ 0.04 정도의 수준으로 대폭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비를 통해,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는 그 핵심적인 기능 중의 하나인 밀봉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밀봉을 위한 밀봉부재와 관련하여, 채널부의 형성으로 인해 생성된 돌출부의 유무에 따른 밀봉부재의 압착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볼팅에 의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될 때, 종래의 플랜지들 사이에서 예컨대 고무로 된 밀봉부재가 그 두께방향으로 25%로 압축될 때 밀봉부재가 받는 압축 응력은 약 15kPa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측 플랜지의 결합면에 본 발명의 채널부에 의한 돌출부가 적용되면, 플랜지들 사이에서 완전히 동일한 밀봉부재가 그 두께방향으로 25%로 압축될 때 밀봉부재가 받는 압축 응력은 약 80kPa로 나타났다.
압축 응력은 밀봉부재가 플랜지를 밀어내는 힘으로서, 이 압축 응력과 밀봉 성능은 비례관계에 있다. 따라서, 플랜지에 본 발명의 채널부에 의한 돌출부가 적용되어 압착된 밀봉부재는, 종래의 돌출부가 없는 플랜지들 사이의 밀봉부재에 비해, 약 5배 이상의 압축 응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써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당한 수준으로 밀봉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비를 통해,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는 핵심적인 기능 중의 하나인 밀봉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측 플랜지의 코너부에 채널부를 형성함으로써, 성형시 발생되는 주름을 최소화하고 밀봉성 확보를 위해 함께 조립되는 밀봉부재에 더욱 높은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를 통해 강재로 제조되면서 경쟁력이 있고 구조적으로 더 강건한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술되고 도해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상형 다이 2: 블랭크 홀더
3: 하형 펀치 4: 홈
10: 제1 케이스 11: 제1 본체
12: 제1 플랜지 13: 코너부
20: 제2 케이스 21: 제2 본체
22: 제2 플랜지 23: 판재
24: 측면 프레임 31: 채널부
32: 돌출부 33: 오목부
40: 밀봉부재 41: 오목홈
51: 볼트 52: 너트

Claims (7)

  1.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적어도 코너부에 형성되는 채널부; 및
    상기 채널부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하는 상기 제1 플랜지의 결합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면의 반대측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본체의 모서리에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코너부에서 벗어날수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덮는 배터리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1 본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결합면은 상기 제2 플랜지와 결합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판재와, 상기 판재를 둘러싼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결합면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오목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에서는 주름 지수(Wrinkle index)가 0.04 미만인 배터리 케이스.
KR1020200062318A 2020-05-25 2020-05-25 배터리 케이스 KR10235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18A KR102359771B1 (ko) 2020-05-25 2020-05-25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18A KR102359771B1 (ko) 2020-05-25 2020-05-25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32A KR20210145432A (ko) 2021-12-02
KR102359771B1 true KR102359771B1 (ko) 2022-02-08

Family

ID=7886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18A KR102359771B1 (ko) 2020-05-25 2020-05-25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140B2 (ja) * 2009-12-10 2012-08-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ケース
KR101698770B1 (ko) * 2012-03-23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100676B1 (ko) * 2017-02-23 2020-04-16 (주)엘지하우시스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32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5205A1 (en) Sealing plate
JP2009533834A (ja) ポーチ型バッテリー
JP2009533834A5 (ko)
US10340482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60305548A1 (en) Metal gasket
US20160036103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2359771B1 (ko) 배터리 케이스
KR102271654B1 (ko) 배터리 모듈
WO2016203926A1 (ja) 燃料電池用電極構造体、金属セパレータ、上記燃料電池用電極構造体と金属セパレータとを用いた燃料電池セル、及び上記燃料電池用電極構造体作製用金型
US20220029224A1 (en) Battery case
JP6412904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CN107148693B (zh) 燃料电池用衬垫
KR101590688B1 (ko) 휴대형 전자 기기 및 방수 커버
KR101850190B1 (ko) 연료 전지 케이스
KR102373172B1 (ko) 배터리 케이스
KR102348074B1 (ko)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JP2007107870A (ja) 圧接接合式ヒート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81232B2 (ja) ガスケット
US5388719A (en) Fitting structure of partition plates to structure
JP6512118B2 (ja) 燃料電池
CN218039460U (zh) 电池壳及电池
CN210537151U (zh) 一种防水钣金电气箱
CN219371225U (zh) 电池箱体及电池装置
CN111250587B (zh) 一种水涨成型模具
JPH0763470A (ja) 貯蔵庫の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