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172B1 -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3172B1 KR102373172B1 KR1020200062319A KR20200062319A KR102373172B1 KR 102373172 B1 KR102373172 B1 KR 102373172B1 KR 1020200062319 A KR1020200062319 A KR 1020200062319A KR 20200062319 A KR20200062319 A KR 20200062319A KR 102373172 B1 KR102373172 B1 KR 102373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case
- wrinkle
- battery case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주름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1 주름부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1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2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2 주름부와,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봉성이 향상된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케이스 내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예컨대 차체 플로어의 하측에 배치된다. 배터리 케이스는 내력 및 외력에 대해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하우징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 케이스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강재를 적용하는 경우에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Drawing) 공정으로 플랜지가 있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형성하고, 이들 플랜지 간 볼팅을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다.
플랜지들 사이의 결합부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유체나 이물질의 침투를 막아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용된 배터리 셀의 누전,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랜지들 사이에 밀봉부재를 개재시킨다.
이와 더불어, 드로잉 후 면대면(Surface to surface)으로 결합하는 플랜지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평탄도를 확보해야 하지만,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 중에 재료의 유동 특성에 의해 미세한 주름이 생긴다. 미세한 주름은 밀봉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배터리 케이스에서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으며, 강재로 된 배터리 케이스의 사용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999-0019162 A
본 발명은 미세한 주름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1 주름부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1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2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2 주름부와,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코너부의 중심 또는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측 피크나 하측 피크에서 각 플랜지의 평탄부에 대한 진폭이 가장 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대형이고 제어 가능한 주름을 의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누수의 원인이 되는 플랜지 표면의 미세한 주름을 차단하여 밀봉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주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주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주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플랜지(12)를 갖춘 제1 케이스(10), 제2 플랜지(22)를 갖춘 제2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서 내부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는, 중공의 제1 본체(11)와,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중공의 제2 본체(21)와,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는, 제1 본체(11)의 개방면과 제2 본체(21)의 개방면이 서로를 향하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그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 중 어느 하나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중공의 본체를 가져 서로 합형됨으로써, 그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10, 20)의 결합은, 제1 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12)와 제2 본체(21)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22)가 서로 중첩된 후 볼트(31)와 너트(32)를 체결함으로써 볼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볼팅을 위해, 제1 플랜지(12)와 제2 플랜지(22)에는 복수의 관통홀(15, 2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볼팅시, 볼트(31)와 제1 플랜지(12) 또는 제2 플랜지(22)의 사이, 혹은 너트(32)와 제2 플랜지(22) 또는 제1 플랜지(12)의 사이에는 와셔(3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 또는 제2 케이스(20)는 각각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한 파손 내지 손상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 셀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각 케이스는 적당한 강도를 가진 강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로잉 공정에 의해 제1 케이스(10)를 성형할 때, 제1 본체(11)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에서는 금속으로 된 평판의 소재가 좁은 코너부로 유입(살몰림)되면서 소재에 압축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미세한 주름이 발생한다. 미세한 주름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필연적이다.
배터리 케이스는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미세한 주름도 최소화해야 한다. 이와 같은 미세한 주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코너부에서 살몰림에 의한 압축 응력을 없애주거나 인장 응력으로 변하도록 할 수 있는 플랜지의 형상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에 있는 코너부(13)는 제1 본체(1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1 주름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와 상응하게,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 있는 코너부(23)는 제2 본체(2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2 주름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가 결합할 때,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형상맞춤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할 때, 제1 주름부와 제2 주름부는 서로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각 코너부(13, 23)의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예를 들어 1 ~ 10개의 피크(Peak; 플랜지의 평탄부보다 돌출한 정점)를 가질 수 있다.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코너부(13, 23)의 중심 또는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측 피크(P)나 하측 피크(P')에서 각 플랜지의 평탄부(F)에 대한 진폭(A, A')이 가장 크다. 제1 주름부와 제2 주름부는 코너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진폭이 작아져(즉, 높이가 낮아져) 코너부로부터 벗어나는 부분에 이르러서는 평탄화되고, 각 플랜지의 평탄부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주름부(14) 또는 제2 주름부(24)의 최대 진폭은 적어도 플랜지가 갖는 두께의 2배를 초과한다.
반면에, 미세한 주름의 최대 진폭 크기는, 제1 주름부(14) 또는 제2 주름부(24)와 달리, 플랜지가 갖는 두께의 2배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코너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외측 단부에서 각 플랜지의 평탄부(F)에 대한 진폭(A, A')이 가장 크다. 제1 주름부와 제2 주름부는 각 케이스의 본체에 인접할수록 진폭이 작아져(즉, 높이가 낮아져) 평탄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코너부(13, 23)의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케이스의 본체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거리는 성형성 확보를 위한 것으로, 소재의 두께와 플랜지의 폭(본체로부터 외측 단부까지의 방사상 거리)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는 제1 본체(11)와 제1 주름부(14)를 연결하는 제1 평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22)의 코너부(23)는 제2 본체(21)와 제2 주름부(24)를 연결하는 제2 평탄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름부와 해당 케이스의 본체 사이의 평탄부의 폭(S; 또는 이격 거리)은 해당 케이스가 갖는 플랜지의 폭(W)의 1/6 이상으로 될 수 있다. 평탄부의 폭(또는 이격 거리)이 플랜지의 폭의 1/6 미만으로 되면, 예를 들어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서 소재가 다이와 펀치 사이로 빨려들어갈 때 균일한 표면을 가진 본체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때, 케이스의 본체와 플랜지 사이에 곡률을 가진 이음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이음부는 케이스의 본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결국, 평탄부의 폭(S; 또는 이격 거리)은 플랜지의 폭(W)에서 평탄한 표면이 차지하는 길이로 될 수 있다.
각 케이스의 코너부에 상하의 곡률을 가진 주름부, 즉 필연적인 주름보다 상대적으로 대형인 주름 형상을 의도적으로 형성하고 살몰림 부위에 걸리는 압축 응력을 인장 응력으로 변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는 미세한 주름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프레스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형 다이(1), 블랭크 홀더(2), 하형 펀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형 다이의 코너부와 블랭크 홀더의 코너부에는 프레스로 가압할 때 금속으로 된 평판의 소재에 주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파 형상의 요철부(4)가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도 단순한 드로잉 공정으로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에 제1 주름부(14)를 성형하고,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의 코너부(23)에 제2 주름부(24)를 성형할 수 있다.
다만, 제1 주름부(14)를 성형하는 상형 다이(1)와 블랭크 홀더(2)의 요철부(4)와 제2 주름부(24)를 성형하는 상형 다이와 블랭크 홀더의 요철부는 산과 골의 배치가 서로 반대이다.
이와 같이,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상형 다이(1)와 블랭크 홀더(2)에 의해 성형되는 외도된 형상부이지만, 미세한 주름은 드로잉 공정 등과 같은 가공 중에 발생하는 의도치 않은 불량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상형 다이(1)와 블랭크 홀더(2)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미리 설계된 정형화된 형상부로서, 미세한 주름과 같이 재료의 유입으로 형성되는 불규칙한 형상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주름부(14)와 제2 주름부(24)는 배터리 케이스의 형상에 관한 성형 설계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에, 미세한 주름은 배터리 케이스의 품질을 결정하는 품질 평가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와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재(40)는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과 같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며, 링 모양과 같이 폐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40)가 제1 플랜지(12)와 제2 플랜지(22) 사이에 배치되고, 미세한 주름 없이 형상맞춤되는 제1 플랜지의 제1 주름부(14) 및 제2 플랜지의 제2 주름부(24)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 사이의 밀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미세한 주름이 생길 수밖에 없는 각 케이스의 코너부에 주름부가 의도적으로 적용되어, 미세한 주름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리테이너(50)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배터리 케이스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케이스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에서,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를 결합할 때 주름부의 만곡 형상으로 인해 볼트(31)의 헤드나 너트(32), 또는 와셔(33)가 주름부에 안착될 수 없어 볼팅시 플랜지의 변형이나 조임력의 불균일함 등에 의해 밀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의 코너부(13) 또는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의 코너부(23)에 설치되어, 플랜지의 손상 없이 균등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리테이너(Retainer; 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50)는, 제1 케이스(10)의 제1 플랜지(12)에 있는 제1 주름부(14) 또는 제2 케이스(20)의 제2 플랜지(22)에 있는 제2 주름부(24)에서, 대응되는 플랜지의 주름부와 결합하는 결합면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할 때 체결되는 볼트(31)나 너트(32)의 고정된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리테이너(5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측면에는 평탄면(51)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제1 주름부(14) 또는 제2 주름부(24)에 대응되는 굴곡면(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50)는 각 주름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놓일 수 있으며, 굴곡면(52)은 주름부와 형상맞춤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리테이너(5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리테이너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케이스의 하나의 코너부에 대해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테이너가 채용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50)에는 볼트(31)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5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테이너(50)는,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를 결합할 때 제1 케이스의 제1 플랜지(12)에 있는 제1 주름부(14) 및 이에 밀착되는 제2 케이스의 제2 플랜지(22)에 있는 제2 주름부(24)에 각각 굴곡면(52)이 밀착하도록 위치된 후, 관통공(53)을 통해 볼트(31)가 일측 리테이너로부터 타측 리테이너까지 삽입 및 관통하고 이 볼트의 단부에 너트(32)가 체결되어 볼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50)는 볼트(31)와 제1 플랜지(12) 또는 제2 플랜지(22)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너트(32)와 제2 플랜지(22) 또는 제1 플랜지(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는, 미세한 주름이 생길 수밖에 없는 각 케이스의 코너부에 주름부가 의도적으로 적용되어 미세한 주름이 차단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에 의해 플랜지의 손상 없이 균등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 해석을 실시하였다.
드로잉 공정에 의해 성형된 케이스 중 본체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플랜지의 코너부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종래의 코너부와 본 발명의 주름부가 형성된 코너부의 주름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종래의 코너부에서는 주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주름 지수(Wrinkle index)가 0.323을 기록했는데, 통상 0.1 이상이면 제품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완전히 동일한 코너부에 본 발명의 주름부가 적용되면, 성형성이 충분히 확보됨은 물론, 주름 지수도 0 ~ 0.042 정도의 수준으로 대폭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비를 통해,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는 그 핵심적인 기능 중의 하나인 밀봉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한 주름의 발생 원리를 역으로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대형이고 제어 가능한 주름을 의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누수의 원인이 되는 플랜지 표면의 미세한 주름을 차단하여 밀봉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할 때 리테이너를 채용하여, 플랜지의 손상 없이 균등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 케이스 전체에 걸처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상형 다이 2: 블랭크 홀더
3: 하형 펀치 4: 요철부
10: 제1 케이스 11: 제1 본체
12: 제1 플랜지 13, 23: 코너부
14: 제1 주름부 15, 25: 관통홀
16: 제1 평탄부 20: 제2 케이스
21: 제2 본체 22: 제2 플랜지
24: 제2 주름부 26: 제2 평탄부
31: 볼트 32: 너트
33: 와셔 40: 밀봉부재
50: 리테이너
3: 하형 펀치 4: 요철부
10: 제1 케이스 11: 제1 본체
12: 제1 플랜지 13, 23: 코너부
14: 제1 주름부 15, 25: 관통홀
16: 제1 평탄부 20: 제2 케이스
21: 제2 본체 22: 제2 플랜지
24: 제2 주름부 26: 제2 평탄부
31: 볼트 32: 너트
33: 와셔 40: 밀봉부재
50: 리테이너
Claims (12)
-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1 주름부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1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의 코너부는, 상기 제2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하의 곡률을 가진 제2 주름부와,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주름부를 연결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코너부의 중심 또는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측 피크나 하측 피크에서 각 플랜지의 평탄부에 대한 진폭이 가장 큰 배터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서로 형상맞춤되는 배터리 케이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코너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진폭이 작아져 평탄화되는 배터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코너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외측 단부에서 각 플랜지의 평탄부에 대한 진폭이 가장 큰 배터리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인접할수록 진폭이 작아져 평탄화되고,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2 본체에 인접할수록 진폭이 작아져 평탄화되는 배터리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의 폭은 상기 제1 플랜지의 폭의 1/6 이상이고,
상기 제2 평탄부의 폭은 상기 제2 플랜지의 폭의 1/6 이상인 배터리 케이스.
-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가 서로 중첩된 후 볼팅에 의해 결합하는 배터리 케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제1 플랜지에 있는 제1 주름부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제2 플랜지에 있는 상기 제2 주름부에서 결합면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면에는 평탄면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제1 주름부 또는 상기 제2 주름부에 대응되는 굴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볼트의 체결을 위해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코너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의 코너부에서는 주름 지수(Wrinkle index)가 0.04 이하인 배터리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2319A KR102373172B1 (ko) | 2020-05-25 | 2020-05-25 | 배터리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2319A KR102373172B1 (ko) | 2020-05-25 | 2020-05-25 | 배터리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5433A KR20210145433A (ko) | 2021-12-02 |
KR102373172B1 true KR102373172B1 (ko) | 2022-03-10 |
Family
ID=788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2319A KR102373172B1 (ko) | 2020-05-25 | 2020-05-25 | 배터리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317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1080B2 (ja) * | 1994-06-09 | 2003-04-28 |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フランジ付きフレー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698770B1 (ko) * | 2012-03-23 | 2017-0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2100676B1 (ko) * | 2017-02-23 | 2020-04-16 | (주)엘지하우시스 |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
-
2020
- 2020-05-25 KR KR1020200062319A patent/KR102373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5433A (ko) | 2021-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38406B2 (en) | Gasket | |
US5720790A (en) | Filter element | |
US3885701A (en) | Valance molding for equipment cases | |
US8268032B2 (en) | Gasket for providing a seal between two objects | |
US20160305548A1 (en) | Metal gasket | |
MX2010008413A (es) | Armazon de superficie de transicion con unidad de compresion integrada. | |
US5507500A (en) | Expandable compression ring with locking members | |
KR102373172B1 (ko) | 배터리 케이스 | |
CN1328522C (zh) | 组件上的密封装置 | |
US8439367B2 (en) | Molded deformable shape gasket for molding large gaskets in a deformed shape | |
JP2004515733A (ja) | シール装置 | |
KR101433968B1 (ko) | 위생분야용 과압 벤트 구조체용 씰 | |
EP0955489A2 (en) | Metal gasket with different surface pressure portions | |
EP3923368A1 (en) | Seal structure | |
KR20140004253A (ko) | 개스킷 및 밀봉구조 | |
KR102359771B1 (ko) | 배터리 케이스 | |
KR101850190B1 (ko) | 연료 전지 케이스 | |
CN101566230A (zh) | 孔洞的密封装置 | |
CN221897109U (en) | Sealing element, sealing structure and industrial equipment | |
CN215995748U (zh) | 用于水平板框式过滤器的过滤隔膜 | |
SU1758388A1 (ru) | Пакет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 |
US20060005372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gasket | |
CN213125365U (zh) | 一种高压充气柜加强筋结构 | |
JP2003042295A (ja) | メタル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 |
EP0397230A2 (en) | Gask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