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319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319B1
KR102359319B1 KR1020210141351A KR20210141351A KR102359319B1 KR 102359319 B1 KR102359319 B1 KR 102359319B1 KR 1020210141351 A KR1020210141351 A KR 1020210141351A KR 20210141351 A KR20210141351 A KR 20210141351A KR 102359319 B1 KR102359319 B1 KR 10235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ervice
user
displayed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282A (ko
Inventor
심정현
김창원
주가현
김진성
류종엽
이창현
임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45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8442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부,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UI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UI 화면은,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하나이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로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한 기능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HOME NETWORK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다양한 UI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통신 기술 및 홈 일렉트로닉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정 내의 기기 및 시스템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관리되는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가 등장하였고, 미래지향적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다.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가정 내의 모든 정보가전기기들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정 내의 모든 가전기기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제조사, 통신사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업종별로 제공하는 서비스 UX가 서로 달라, 여전히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에 새롭게 기기가 추가될 때마다 사용자는 새로운 디자인의 UI화면에 적응할 수밖에 없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없는 고정된 UI화면에 대한 불편함도 존재하였다.
또한, 가전 기기의 제어뿐만 아니라, 방법,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종래의 서비스 UI화면 만으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한눈에 파악하기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다양한 UI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부, 상기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UI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은,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로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한 기능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페이지에 종속되는 기능 영역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를 페이지 단위로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하나의 서비스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하나는 메인 페이지이며, 상기 메인 페이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 신규 디바이스가 추가되면, 신규 서비스 페이지 및 신규 기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촬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미디어 출력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 및 상기 복수의 기기를 홈 네트워크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모드 서비스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제어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기간별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파일의 관리를 위한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 실행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실행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모드 실행 메뉴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기기를 일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비스 서머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서비스 페이지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 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영역에 마련된 확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세 기능 영역으로 확대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각각 대응되는 오브젝트로 축소시켜 표시하며, 상기 축소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시 기능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페이지를 제1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페이지를 제2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레이아웃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정보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이아웃이고, 상기 제2 레이아웃은 상기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환경에 포함된 각 방(room)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제1 서비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에 연결된 제2 서비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 또는 상기 제2 서비스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 또는 상기 제2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로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페이지에 종속되는 기능 영역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신규 디바이스가 추가되면, 신규 서비스 페이지 및 신규 기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하나는 메인 페이지이며, 상기 메인 페이지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비스 서머리 영역 및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비스 페이지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 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영역에 마련된 확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세 기능 영역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각각 대응되는 오브젝트로 축소시켜 표시하며, 상기 축소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시 기능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상기 메인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메인 페이지를 제1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메인 페이지를 제2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UI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의 레이아웃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의 메인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 내지 도 5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4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1 내지 도 5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5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6 내지 도 5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6 서비스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0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설정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5 내지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제공하는 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8 내지 도 8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TV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 버튼, 마이크,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휴대폰, 랩탑 PC, 태블릿 PC, PDA, PC, TV, 홈네트워크 제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르게는 관리 장치,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홈 네트워크 관리란,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정 내의 기기 컨트롤, 기기의 상태 분석, 가정 내의 위험 상황 감지, 가족 구성원 간의 정보 교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은,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1 ~ 100-7) 중 하나의 서비스 페이지의 일부이다.
여기서 서비스 페이지란 서비스 서머리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의미한다.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각각은 서로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들은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페이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되는 기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비스 페이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 단위로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UI 화면은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에 방향을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중력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받는 중력 방향에 대응되게 UI 화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은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가로 방향은 표시된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이고, 세로 방향은 표시된 화면의 위쪽에서 아래쪽 또는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일 수 있다.
도 1에선 현재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에서 메인 페이지(100-1)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1)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상태이며,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메인 페이지(100-1)에 연결된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인 페이지(100-1)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120-1, 122-1, 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서비스 페이지를 도 1과 같이 명명하였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페이지의 배열 순서, 서비스 페이지의 종류, 디자인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성격의 UI 화면들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에 대해서는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서비스 화면들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에 대해서는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서비스 화면들 각각에 대해서도 제2 방향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UI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UI화면은 다양한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특성에 맞는 화면 디자인, 구성,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는 사용자 조작 방향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전체적인 UI 화면 구조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은 메인 페이지(100-1) 또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며,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는 메인 페이지(100-1)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것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세로 방향이 제2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방향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세로 방향이 제1 방향으로 설정되고, 가로 방향이 제2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대각선 방향인 제3 또는 제4 방향이 추가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20)의 표면을 직접 터치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플릭(flick)하거나 드래깅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조작의 유형도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화면을 변경할 수도 있고, 방향 버튼, 휠 버튼 등을 이용하여 화면 변경을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모션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UI 화면을 조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직접 터치하는 터치 조작 방식에 따라 UI가 변경되는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홈 네트워크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홈 네트워크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턴 온되어 부팅완료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메인 페이지(10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최근 이용된 서비스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메인 페이지(100-1)는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초기 페이지이며, 전반적인 홈 네트워크 상황이나, 시간, 날씨 등과 같은 환경정보, 외부 교통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메인 페이지(100-1)에는 홈 네트워크 관리와 관련하여 릴리즈되는 각종 정보나 업데이트 기능 소식, 위험 안내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페이지(100-1)는 다르게는 초기 페이지, 홈 페이지, 랜딩 페이지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는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 영역(110-1) 및 그 아래에 제2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124-1)을 포함한다.
메인 페이지(10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페이지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가 제1 방향을 따라 메인 페이지(100-1)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각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에는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 각각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 110-7) 및 그 아래에 제2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 복수의 기능 영역(120-2, 122-2, 120-3, 122-3, 120-4, 121-4, 120-5, 120-6, 122-6, 120-7, 122-7)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능 영역은 각 서비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직접적으로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3 서비스 페이지(100-4)가 가정 내 기기들에 대한 컨트롤 서비스에 관한 것이면, 제3 서비스 페이지(100-4)에 포함된 임의의 기능 영역은 TV 컨트롤 또는 에어컨 컨트롤을 위한 기능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TV 컨트롤 기능 영역이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는 TV 컨트롤 기능 영역을 통해 TV를 온, 오프시키거나, 볼륨 조정, 채널 조정 등을 바로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 각각은, 추가 메뉴(124-2, 1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 페이지 내에 새로운 기능 영역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는 제1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 UI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제1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드래깅이나 플릭을 하여, UI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페이지의 서머리 영역이 표시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기능 영역을 호출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페이지(100-2)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영역들은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터치 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하는 조작)에 따라 제1 서비스의 서머리 영역(110-2)으로 순차적으로 올라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서머리 영역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각 기능 영역들이 서머리 영역 상에 중첩되면서 표시될 수도 있고, 서머리 영역이 위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능 영역들이 위쪽으로 점진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위로 바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서머리 영역(110-2)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방향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면, 서머리 영역(110-2)이 바로 아래의 2개의 기능 영역(120-2, 122-2)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는, 선호 기능 영역이나 기능 영역은 마치 지갑에서 카드가 뽑히는 것처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능 영역은 카드, 태그, 기능 섹션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기재될 수도 있다. 도 1에 기재된 "card"라는 단어는 이러한 기능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재한 것임을 알려둔다.
기능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제2 방향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서머리 영역(110-2)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자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부(220) 상에 메인 페이지(100-1)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1 사용자 조작(10)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의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20-2)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정보 표시 영역(110-1)이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20-2)으로 바로 전환될 수도 있고, 또는 정보 표시 영역(110-1)이 좌측으로 밀리면서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20-2)이 좌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표시되는 형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는, 정보 표시 영역(110-1) 상에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20-2)이 오버레이되는 방식으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부(220) 상에 메인 페이지(100-1)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2 사용자 조작(20)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메인 페이지(100-1)의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124-1)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124-1)은 각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 중에서 즐겨찾기로 등록된 기능 영역에 대응된다.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제1 서비스 페이지(100-2) 내에서 대응되는 기능 영역(120-2, 122, 2)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페이지(100-1) 및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지(100-1 ~ 100-6)들 내에서 정보 표시 영역(110-1)이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 110-7)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선호 기능 영역이나 기능 영역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호 기능 영역이나 기능 영역이 표시될 때는, 하나의 화면 내에 복수 개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의 전체적 구조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서,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각 UI 화면의 레이아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는 메인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1),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130-1)에는 홈 네트워크의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다른 프로필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로 정해진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1)에는 예를 들어, Smart Home이라는 타이틀이 디폴트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프로필을 저장하면, 사용자 이름에 따라 타이틀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AA라는 사용자라면 AAA's Home 이라는 타이틀이 타이틀 영역(130-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1)은 메인 페이지의 메뉴 영역(132-1)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페이지의 메뉴 영역(132-1)이 선택되면, 메인 페이지(100-1)에서 제공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거나, 히스토리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15 내지 도 16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은 브리핑 내용을 표시하는 브리핑 영역(112-1), 메인 페이지(100-1)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페이지의 정보 영역(114-1) 및 하단에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124-1) 중 적어도 하나가 있음을 알리는 선호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6-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6-1)을 터치하여 위로 끌어올리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124-1)이 순차적으로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 ~ 100-6) 중에서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서비스 페이지들의 레이아웃도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와 유사하다.
도 3를 참고하면, 제1 서비스 페이지(100-2)는 제1 서비스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2), 제1 서비스 페이지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2)은 예를 들어, Default로 "Smart Home"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프로필을 저장하면, "사용자이름's Home"으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비스 페이지의 타이틀 영역(130-2)은 제1 서비스 페이지의 메뉴 영역(13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비스 페이지의 메뉴 영역(132-2)이 선택되면,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서 제공 가능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은 제1 서비스 명을 표시하는 제1 서비스 타이틀 영역(112-2), 제1 서비스에 대한 설명 내용 또는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서비스 설명 영역(114-2),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서 제공하는 주요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서비스 정보 영역(11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비스 정보 영역(116-2)에는 표시된 정보에 대한 설명을 호출하는 tip 오브젝트(119-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tip 오브젝트(119-2) 선택시,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은 서비스 페이지 간 인디케이터(117-2) 및 하단에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124-2) 중 적어도 하나가 있음을 알리는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을 터치하여 제2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사용자의 제2 조작(20)이 입력될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이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에 겹쳐져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은 기능 영역의 제목과 부가적인 내용이 필요한 경우 서브 타이틀을 제공하는 타이틀 영역(1), 해당 기능 영역의 내용이 표시되는 정보 영역(4)을 포함하며, 즐겨찾기 메뉴(2) 및 확대 메뉴(3)를 포함할 수 있다. 즐겨찾기 메뉴(2)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 영역은 메인 페이지(100-1)의 새로운 선호 기능 영역으로 추가된다. 즉, 사용자는 제1 서비스 페이지(100-2)를 거치지 않고도, 즐겨찾기로 등록된 기능 영역을 메인 페이지(100-1)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 영역을 상세 기능 영역으로 확대시키면서, 해당 기능 영역의 세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2 방향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이 제2 방향으로 다 같이 이동되며, 이때 스크롤(6)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은 각 서비스에 대하여 통일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며, 또한 서비스 화면 간의 전환 및 서비스가 제공하는 세부 기능 호출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 구성은 사용자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연결되며, 홈서버(510) 및 홈서버(510)와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를 포함한다.
홈서버(510)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의 제어, 관리 및 연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서버(510)는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원격관리, 가정 내의 오디오, 비디오, 게임 및 디지털 방송 서버, 에너지 관리, 홈 자동화, 보안 서버 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홈 서버(510)는 독립적인 기기로 존재할 수 있고, 다른 기기에 탑재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홈서버(510)와 통신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전달하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의 각종 상태 정보 혹은 가정의 위험 상황 감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홈서버(510)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 또는 새로운 기능 영역 UI의 템플릿을 제공받아 UI 화면 구성을 사용자 기호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며 외부의 서버 장치(6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은 게이트웨이(530) 및 게이트웨이(530)와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30)는 가정 내의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 중재하는 장치로서, 가정 내의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들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53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외부 인터넷에 접속하여 VOD, 원격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웨이(530)는 외부의 서버 장치(600)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로 전송하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서버 장치(600)와 통신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전달하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 기기(520-1,520-2,520-3,,,520-6)의 각종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서버 장치(600)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 또는 새로운 기능 영역에 대한 UI 템플릿을 제공받아 UI 화면 구성을 사용자 기호에 맞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600)에 저장된 UI 템플릿은 서버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서버 장치(600)와 연결된 제2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700)과도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그의 부모님 집의 상태 정보를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부모님 집에 가스레인지가 장시간 동안 켜져 있다는 메시지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어 리포트 서비스에 대해선 이하 도 49 내지 도 50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7에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새로운 기기가 추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새로운 기기(520-7)가 추가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선 기기 추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홈서버(510) 또는 서버 장치(600)는 새로운 기기에 대한 메타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새로운 기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새로운 기기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새로운 기기에 대한 새로운 UI화면을 생성하거나, 기존 UI 화면 구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서버(510) 또는 서버 장치(600)는 기기의 메타 정보를 분석하여,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에 맞는 UI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UI 템플릿을 이용하여 새로운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새로운 기기(520-7)에 해당하는 신규 서비스 페이지(100-8)가 생성될 수 있고, 새로운 기기(520-7)가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복수의 기능 영역(A-2, C-1, C-2)이 기존 서비스 페이지(100-2,100-3) 또는 신규 서비스 페이지(100-8)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기기(520-7)가 카메라인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서는 카메라(520-7)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신규 서비스 페이지(100-8)를 UI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카메라(520-7)가 복수 개이고, 가정 환경 곳곳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520-7)가 설치된 각 영역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영역 별로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도 새로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신규 서비스 페이지(100-8)에는 안방 모니터링 기능 영역(C-1) 및 아기방 모니터링 기능 영역(C-2)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비스 페이지(100-2)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컨트롤 서비스라면,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 모니터링 카메라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영역(A-2)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기기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 상에서 등록 해제되는 경우, 그 기기에 관련된 서비스 페이지 또는 관련 기능 영역이 자동적으로 삭제되거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의 환경 변화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 구성이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선, 위와 같은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감지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에 신규 디바이스가 추가된 경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새로운 UI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상술한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UI 화면이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나 메뉴를 제공하여 주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의미한다. 도 1과 같이 UI 화면이 다양한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사이즈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230)는 터치 감지부(미도시) 및 회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는 다양한 기능의 실행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사용자의 터치들은 눌렀다 떼는 동작(Tap), 연속해서 두 번 눌렀다 떼는 동작(Double Tap), 일정 시간 이상 길게 눌렀다 떼는 동작(Long Tap), 한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다른 지점으로 끌어서 떼는 동작(Drag), 한 화면을 일정 방향과 속도로 쓸어내는 동작(Swipe), 2 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고 안으로 오므리는 동작(Pinch in), 2 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고 바깥으로 벌리는 동작(Pinch Out) 등으로 구별되어 감지될 수 있다.
회전 감지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감지부(230), 디스플레이부(220)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연동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부(230)에 의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그 사용자 조작 내용에 따라 UI 화면을 변경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1 사용자 조작(10)에 따라 메인 페이지(100-1) 및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100-3,100-4,,,100-7)를 페이지 단위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제2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2 사용자 조작(20)에 따라 복수의 기능 영역을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관리가 개시되면, 제어부(240)는 최초로 메인 페이지(10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인 페이지(100-1)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페이지(100-1)는 조명 버튼(114b-1), 온도 버튼(114c-1), 대기 전력 버튼(114d-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임의의 버튼이 선택된 경우, 세부 제어 창이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대기 전력 버튼(114d-1)이 선택되면, "댁내 대기 전력을 차단하시겠습니까?(모니터링 기기, 냉장고 제외됨)"과 같은 메시지 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메시지 창에 포함된 선택 버튼 선택시, 집안의 전력 차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을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는 가족 사용자 현황 영역에 각각의 가족에 대응되는 복수의 사용자 아이콘(114e-1, 114f-1, 114g-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아이콘(114e-1,114f-1,114g-1)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가족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팝업 창(114h-1)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화, 메시지, 채팅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미도시)에 있는 전화부에 기초하여 해당 가족에게 전화를 연결하거나,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창을 출력하거나, 채팅창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페이지(100-1)가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부(23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수직 회전이 감지되면, 제어부(240)는, 표시되던 메인 페이지(100-1)의 레이아웃과는 다른 레이아웃에 따라 메인 페이지(100-1)를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세로 방향(portrait)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메인페이지(100-1)를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 및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을 기준으로 제1 선호 기능 영역(120-1)이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이아웃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20)가 가로 방향(landscape)으로 세워진 상태에선, 제어부(240)는 메인페이지(100-1)를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환경에 포함된 각 방(room)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 영역(30,40,50)을 포함하는 레이아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회전 동작은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메인페이지(100-1)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레이아웃으로 표시된 경우, 예컨대 사용자는 제1 룸의 조명 버튼(31)을 선택하여 각 방의 조명을 on/off할 수 있으며, 조명이 on 또는 off인 경우에 따라 복수의 상태 정보 영역(30,40,50)의 배경 색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룸의 온도 버튼(32)를 선택하여 각 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룸의 온도 버튼(32)이 선택되면, 온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룸에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 영역(30)이 앞면에서 뒷면으로 전환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페이지(100-1)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은 각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영역 중, 즐겨찾기로 등록된 기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된다. 즐겨찾기 등록은 도 4를 통해 상술하였듯이, 각각의 기능 영역에 마련된 즐겨찾기 메뉴(2)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컨대 도 11을 참고하면, 제1 서비스 페이지(110-2)의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a)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조작(20)이 입력되면,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상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제2 사용자 조작(20)은, 복수의 기능 영역(120-2,122-2) 중 적어도 하나가 있음을 알리는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을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을 위로 드래그하면, 드래그 동작과 함께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이 순차적으로 서비스 제1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 각각에 마련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제1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을 제1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2)으로 확대시켜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표시할 수 있다(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와 같이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122-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a)에서, 핀치 제스쳐(30)가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복수의 제1 서비스의 기능 영역(120-2,122-2,122-3)을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제1 기능 영역 오브젝트(120'-2,122'-2,124'-2,126'-2,128'-2,129'-2)로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b).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기능 영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축소된 제1 기능 영역 오브젝트 중 하나가 도 12의(b)와 같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선택된 제1 기능 영역 오브젝트(120'-2)를 다시 제1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c).
또한, 제어부(240)는 홈 네트워크에 신규 디바이스가 추가된 경우, 신규 서비스 페이지 및 신규 기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새로운 UI 템플릿을 이용하여, 신규 디바이스에 맞는 신규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신규 기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터치 감지부(231), 회전 감지부(233), 제어부(240),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칩(211), 블루투스 칩(212), 무선 통신 칩(213), NFC칩(21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11), 블루투스 칩(212), NFC 칩(214)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21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211)이나 블루투스 칩(2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1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클라이언트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에 신규 디바이스가 추가되면,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규 디바이스에 맞는 새로운 UI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홈서버(510)나 서버 장치(600)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화면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제공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에는 홈 화면, 아이콘 화면, 리스트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컨텐츠 재생 화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란 아이콘, 텍스트, 사진, 위젯 등과 같이 화면 내에 표시되는 각종 형상을 의미한다. 특히 본 디스플레이부(220)는 상술한 것과 같은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31)는 디스플레이부(220)에 대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31)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드로잉하면, 그 드로잉이 이루어지는 지점 및 그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31)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22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22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디스플레이부(22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감지부(231)는 사용자의 손가락 이외에도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이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터치 감지부(231)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조작뿐만 아니라 근접 조작, 즉, 호버링(hovering)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터치 감지부(231)는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제어부(240)로 통지한다. 가령,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화면상의 일 지점을 터치하였다면, 터치 감지부(231)는 터치 지점의 x, y 좌표 값을 제어부(240)로 통지한다. 사용자가 터치 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는 경우, 터치 감지부(231)는 변화되는 터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제어부(240)에 통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231)는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가까이 접근만 한 경우도 감지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한다.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값을 출력한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는 방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회전 감지부(23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면,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그 회전 상태에 따라 메인 페이지(100-1)의 레이아웃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50)에는 O/S(255)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과, 사용자 설정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50)에는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251)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251)을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하였다. 제어부(240)는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디폴트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저장부(240)에는 복수의 템플릿(253-1, 253-2,.., 253-n)이 저장될 수 있다. 템플릿이란 상술한 서비스 페이지나 기능 영역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아웃, 텍스트, 메뉴, 아이콘 등을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어부(240)는 복수의 템플릿(253-1, 253-2,.., 253-n)을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 신규 기기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신규 기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비스가 결정되면, 제어부(240)는 신규 기기에 해당하는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 UI를 템플릿 1(253-1)를 이용해 생성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기능 영역 UI를 템플릿 2(253-1)를 이용해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저장부(250)에는 홈서버(510) 또는 서버 장치(600)에서 업데이트된 템플릿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하거나, 기존의 템플릿을 저장부(250)에서 삭제함으로써 저장부(250)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40)는 RAM(241), ROM(243), CPU(245), GPU(Graphic Processing Unit)(247), 버스(249)를 포함한다. RAM(241), ROM(243), CPU(245), GPU(Graphic Processing Unit)(247) 등은 버스(249)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45)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255)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50)에 저장된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251) 또는 복수의 템플릿(253-1,253-2,..,253-n)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43)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45)는 ROM(243)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255)를 RAM(241)에 복사하고, O/S(255)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45)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41)에 복사하고, RAM(24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7)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부팅이 완료되면,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7)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20)으로 제공되어 표시된다.
그 밖에, 도 1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UI화면을 구체적인 도면들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페이지(100-1)>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페이지(10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인 페이지(100-1)는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초기 페이지이며, 전반적인 홈 네트워크 상황이나, 시간, 날씨 등과 같은 환경정보, 외부 교통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를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는 홈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각종 알림을 제공하는 브리핑 영역(112-1), 각 가족 사용자가 외출중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가족 사용자 현황 영역(118-1),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기기 이상 발생, 보안 문제 발생, 에너지 과소비 등과 같이 홈에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영역(114a-1), 다른 서비스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117-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페이지(100-1)의 표시 상태의 일 예로, 도 14의 (b)와 같이 디바이스인 로봇 청소기(R/C)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240)는 이상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영역(114a-1)에 로봇 청소기 아이콘 및 이상 상황을 설명하는 에러 메시지(1401)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안 문제와 기기 이상 문제가 함께 발생한 경우, 도 14의 (c)를 참고하면, 제어부(240)는 이상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영역(114a-1)에 침입자를 찍은 영상(1401)을 표시하며, n초 씩 번갈아가면서 "침입자 감지"와 "R/C 사용 중 이상 발생"과 같은 에러 메시지(1403)를 번갈아 가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페이지의 브리핑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를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의 브리핑 영역(112-1)이 선택되면, 그 하단에 브리핑 리스트(112a-1)가 표시되고, 브리핑 닫기 바(112b-1)가 위로 드래그되면, 브리핑 리스트(112a-1)가 닫힌다. 브리핑 리스트(112a-1)가 길 경우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핑 리스트(112a-1)가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리핑 리스트(112a-1)를 위 아래로 스크롤 할 수 있다.
브리핑 리스트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제어, 채널 알림, 업데이트 알림, 작업 수행 알림 등과 같은 각종 알림 메시지 및 사용자 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1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핑 리스트(112a-1)에서 에어컨을 가동 선택(1501)이 입력되면, 에어컨이 턴 온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 동안 브리핑 리스트(112a-1)에 대한 어떠한 선택도 입력되지 않으면, 브리핑 리스트(112a-1)는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페이지에서의 히스토리 화면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먼저 메인 페이지(100-1)의 히스토리 버튼(134-1)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홈 네트워크 모든 기기에 대한 사용 로그 리스트가 날짜별로 정렬된 히스토리 화면(1610)을 디스플레이한다. 히스토리 화면(1610)은 당일에 사용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1611) 및 이전일에 사용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1612)과 같이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히스토리 화면(1610)에서 제어하고 싶은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의 1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늘 사용한 이력이 있는 로봇 청소기가 선택(1613)되면, 제어부(240)는 화면(1610) 내에 다양한 옵션 메뉴(1621)를 추가로 표시한다(1620). 여기서 실행 메뉴(1622)가 선택되면, 로봇 청소기가 턴 온 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 로봇 청소기는 오늘 사용되었던 오토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1630).
한편, 사용자가 히스토리 화면(1610)에서 바로가기 메뉴(1623)를 선택한 경우,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 또는 모드 서비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세부 기능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1640). 세부 기능 영역은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세부 기능 영역에 대해선 이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히스토리 화면(1610)에스 삭제 메뉴(1633)가 선택되면, 해당 히스토리 리스트가 삭제된다(1650). 삭제 후, 스토리 리스트가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히스토리 화면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1660).
다시 메인 페이지(100-1)에서 히스토리 버튼(134-1)이 선택된 경우로 돌아와서, 도 17을 참고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히스토리 화면(1710)에서 Add to Mode 버튼(1711)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새로 생성할 모드에 포함될 기기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1720)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1720)의 기기 아이콘 옆에 마련된 박스를 체크하여 모드에 포함시킬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Going Away" 모드가 선택(1721)되면, "Going Away" 모드가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이 모두 체크된 상태로 표시되고, 여기서 사용자는 체크 해제(1722)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 추가할 모드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기기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다음 버튼(1723)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모드에 대한 이름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1730)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모드 네임 입력란(1731)에 원하는 모드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디바이스별로 마련된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모드 실행시의 기기 상태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17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01에 대한 편집 메뉴가 선택(1741)된 경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 중간에 편집 창(175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편집 창(1751)을 통해 TV01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고 저장(1752)하면, 모드 추가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화면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1760).
이와 같이 설정된 "User mode 01"는 후술할 Mode 서비스 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새로 생성된 "User mode 01"가 실행되는 환경에선, Living room에 있는 TV01은 CH15로 턴-온되고, Living room에 있는 로봇 청소기(R/C)의 자동 청소 기능이 실행되며, Living room에 있는 TV02은 CH15로 턴-온 된다. 즉 이 모든 기기에 대한 제어가 "User mode 01"의 실행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 서비스에 대해선 이하 도 26 내지 도 34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메인 페이지(100-1)를 통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서비스페이지에 진입하지 않아도 각 서비스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에선, 메인 페이지(100-1)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페이지 중,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서비스 페이지(100-2)-Monitoring>
이하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 중 촬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비스 페이지(100-2)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1 서비스를 모니터링 서비스로 지칭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의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의 상단엔 현재 모니터링 상태별로 다른 내용의 문구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작동 중인 모니터링 카메라의 갯수, 모니터링 카메라의 위치, 침입자가 감지된 방(room) 이름 등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상단에 메시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에선 침입자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선 이 기능을 세이프티 가드(Safety Guard) 서비스라고 지칭한다. 세이프티 가드 서비스는, 사용자의 부재시 집안에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거나, 외부로부터의 강압적인 침입이 감지된 경우, 감지된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자동 녹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이하 도 19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의 하단은 자주 사용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선 이하 도 20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는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아래에 연결된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19와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모니터링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모니터링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2)을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은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2)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의 기능 영역은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에 설치된 CCTV에서 촬영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 메뉴가 각 방 별로 다른 기능 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고, 실시간 촬영 데이터의 제공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능 영역에는 영상 녹화, 화면 캡쳐를 위한 메뉴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능 영역에선 CCTV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고, 기기가 이동 가능한 것이면(예를 들어 카메라가 달린 로봇 청소기), 기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선 도 19를 참고하여, 모니터링 서비스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일 예로, 상술한 세이프티 가드 기능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현재 세이프티 가드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이프티 가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134-2)를 선택하면, 모니터링 서비스 서머리 영역 상단의 문구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의 1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 가드 서비스가 작동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부재시 모니터링 카메라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 카메라는 자동 녹화 또는 자동 캡쳐를 수행하며, 캡쳐된 사진이나 녹화된 비디오는 자동 저장되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1940). 사용자가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 상단에 표시된 녹화 비디오 또는 캡쳐 화면(1941)을 선택하면, 제어부(240)는 그 파일 형태에 따라 플레이어 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한다(1950).
한편, 도 19의 1910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는 자주 사용된 모니터링 카메라가 표시되는 자주 사용된(Frequently used) 영역(14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를 참고하면, 자주 사용된 영역(140-2)에서 거실(living room) 화면(141-2)이 선택되면, 거실에 대한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은 기능 영역에서 바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1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의 복수의 기능 영역 중,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의 확대 메뉴(3)가 선택된 경우,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이 디스플레이부(220)의 전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1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에서 즐겨찾기 메뉴(2)가 선택되면,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은 메인 페이지(100-1)의 선호 기능 영역에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영역이 메인 페이지(100-1)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개별 서비스 페이지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메인 페이지(100-1)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 영역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2)에서 녹화 버튼(120a-2)이 선택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2은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의 또 다른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2 기능 영역(120-4)은 녹화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2 기능 영역(120-4)의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시간 순으로 정렬된 녹화된 파일 리스트를 보여주는 상세 기능 영역으로 확대되어 표시되며, 녹화된 파일 중 하나가 선택되면, 파일 형태에 따른 플레이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의 표시로 돌아와서, 도 2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은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을 차지하며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며,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에서 복수의 방향키(150a-2,150b-2,150c-2)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향으로 카메라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4는 상세 모니터링 화면(150-2)의 세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버튼(A)이 선택되면 모니터링을 끄기위한 명령이 클라이언트 기기, 이 경우엔 로봇 청소기로 전달된다. 캡쳐 버튼(B)이 선택되면,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화면이 캡쳐되고 하단 녹화 파일 리스트 영역(152-2)에 캡쳐 화면이 추가된다. 녹화 버튼(C)이 선택되면 녹화가 개시되며, 녹화가 완료되면 녹화 파일 리스트 영역(152-2)에 녹화된 파일이 추가된다. 녹화 파일 리스트 영역(152-2)에 마련된 스크롤(152b-2)을 이동시켜 더 많은 녹화 파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보기 버튼(152a-2)이 선택되면, 세부 녹화 파일 리스트 화면이 출력된다.
세부 녹화 파일 리스트 화면(154-2)은 도 25를 참고해 설명하도록 한다. 접기 버튼(154a-2)이 선택되면, 'IP Cam in Living Room' 영역이 닫히면서, 아래에 있던 'Porch IP Cam 1 in Room1'영역의 녹화된 파일들이 위로 올라와 표시될 수 있다. 메뉴 버튼(154b-2)이 선택되면, 리프레시(Refresh), 정렬(Sort by) 및 삭제 메뉴가 팝업 창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렬 메뉴를 선택하여 녹화 파일들을 날짜별로 또는 기기 명칭별로 정렬할 수 있다. 삭제 메뉴가 선택되면, 녹화 파일 아이콘(154c-2)의 일 영역에 체크 박스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삭제할 녹화 파일에 해당하는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삭제 완료 버튼(미도시)를 선택하여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집의 상황을 점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되는 즉각적인 알림을 확인하여 내부 침입자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2 서비스 페이지(100-3)-Mode>
이하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를 홈 네트워크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2 서비스 페이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2 서비스를 모드 서비스로 지칭한다.
모드 서비스에선,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해둔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의 복수의 디바이스를 한꺼번에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특정 모드가 실행된 경우, 그 모드에 관련된 복수의 기기들이 한꺼번에 턴-온 되거나, 모드 설정시 기기별로 설정 값을 달리한 경우, 모드 실행시 각 기기들은 설정 값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시들을 통해 모드 실행에 따른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50)에 저장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모드를 디폴트로 제공하며, 디폴트 모드의 종류에는 예컨대 'Going Away', 'Coming Home', 'Sleep', 'Vac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디폴트로 제공된 모드 외에도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3)의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은 스케쥴된 모드 영역(2601) 및 자주 사용하는 모드 영역(2602)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된 모드 영역(2601)에서 스케쥴 확인 버튼(110a-3)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스케쥴 확인 팝업을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모드 실행 버튼(110b-3)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모드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이에 대해선 이하 도 27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3)는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 아래에 연결된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을 포함한다.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26과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모드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3)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모드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3)을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은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제공하는 모드 실행을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예컨대 사용자가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3)의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에서 'Going Away' 모드 실행 버튼(110b-3)을 선택하면, 'Going Away' 모드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가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2720). 이 경우 선택된 모드는 바로 실행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드 실행 취소 버튼(110c-3)이 표시된다. 기 설정된 시간(N sec) 동안 모드 실행 취소 버튼(110c-3)의 선택이 없으면, 선택된 모드의 실행이 완료되면서, 해당 모드는 컬러로 표시되는 등, 다른 모드의 표시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드가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실행 버튼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2701)된다.
구체적으로, 모드가 실행되면 해당 모드에 포함된 기기들의 제어 상태가 설정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Going Away' 모드 실행시, 집 안의 냉장고 및 보일러를 제외한 모든 기기가 턴 오프 되도록 'Going Away'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드의 실행 중에 어떤 기기가, 설정된 모드대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모드 전체가 중단되는 것이 아닌, 그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기기들은 해당 모드에 따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새로운 모드 추가를 위한 UI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2)에서 사용자가 메뉴 버튼(132-3)을 선택하면, 메뉴 화면(2811)이 메뉴 버튼(132-3)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드 추가 메뉴(2812)를 선택하면, 제어부(240)는 새로운 모드의 이름을 입력받기 위한 창(2821)을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2822)를 선택하면, 제어부(240)는 새로운 모드 추가를 위한 상세 화면(2830)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상세 화면(2830)은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며, 하단 영역(2832)은 새로운 모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기가 표시되는 영역이고, 상단 영역(2831)은 선택된 기기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 경우, 하단 영역(2832)에서 선택된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상단 영역(2831)에서 표시됨과 동시에, 하단 영역(2832)에선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 상단 영역(2831)에서 기기의 아이콘(2841)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그 기기에 대한 설정 값을 입력받기 위한 창(2841)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그 창(2841)을 통해 구체적인 설정 값을 입력한 뒤, 저장(2842)할 수 있다. 완료 버튼(2843)이 선택되면 새로운 모드 추가가 완료된다(2860).
이하에선 모드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모드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 실행 메뉴를 포함하고, 제어부(240)는, 모드 실행 메뉴가 선택되면, 모드 실행 메뉴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기기를 일괄 제어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9에는 모드 서비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모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영역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에서 즐겨찾기 메뉴(2)가 선택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은 메인 페이지(100-1)의 선호 기능 영역에 등록된다. 즉, 메인 페이지(100-1)에서도 모드 서비스 페이지(100-3)의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을 찾아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9를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에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을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에서, 설정한 기기의 설정 값 실행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9를 참고하면, 기존엔 'Going Away' 모드 실행 시, TV의 OFF가 실행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사용자가 이러한 TV의 OFF의 실행을 원치않는다면, 사용자는 TV 아이콘(120a-3)을 선택하여 TV의 OFF의 실행을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모드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3)에서, 일 예로 'Going Away'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0을 참고하면, 'Mode 실행'버튼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Mode 실행'버튼이 'Mode 취소'버튼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다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Going Away 모드가 실행된다. 또한 도 30을 참고하면, 예약 버튼이 선택되면, 스케쥴 예약 화면이 팝업되며 OFF된 상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OFF를 해제하면, 스케쥴 예약 설정 값 입력이 가능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제공하는 모드 삭제를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의 메뉴 버튼(132-3)을 선택하면, 메뉴 버튼(132-3) 아래로 옵션 메뉴(3121)가 표시된다(3120). 이 중에서 사용자가 모드 삭제(Mode Delete) 버튼(3122)을 선택하면, 제어부(240)는 모드 삭제를 최종 승인 받기 위한 창(3131)을 표시한다. 여기서 삭제 승인 버튼(3132)이 선택되면, 삭제가 완료되고, 제어부(240)는 모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도 31의 3120 화면으로 돌아와서, 모드명 변경(Rename) 버튼(3123)이 선택되면, 해당 모드의 새로운 이름을 입력받기 위한 창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기화(Reset) 버튼(3124)이 선택된 경우엔, 해당 모드가 초기화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제공하는 모드 예약 설정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에서 예약 설정 버튼(3211)이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스케쥴 설정 화면(3221)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스케쥴 설정 화면(3221)을 통해 모드 스케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드가 자동적으로 실행될 날짜, 시간, 모드 실행 반복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을 완료한 이후, 설정 저장 버튼(3231)이 선택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의 하단에 스케쥴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3240). 예컨대, 도 32의 3240에서와 같이 모드 예약이 OFF된 경우, 제어부(240)는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 상단에 "No Schedule"(324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3은 모드에 포함된 각 기기에 대한 설정을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고하면, 모드에 포함된 기기들 중, 사용자가 한 기기의 설정을 변경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 기기의 아이콘(3311)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의 아이콘(3311)을 길게 누르는 동작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40)는 선택된 기기에 대한 옵션 메뉴(3321)를 표시한다. 옵션 메뉴(3321)는 기기 편집 메뉴(3322) 및 기기 삭제 메뉴(3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편집 메뉴(3322)가 선택된 경우, 편집 화면(3331)이 표시될 수 있다. 편집 화면(3331)에서 사용자는 해당 기기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쥴 on/off 버튼(3332)이 선택되어, 스케쥴이 off된 경우, 편집 화면(3340)은 암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저장 버튼(3341)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값이 적용된 화면(3350)이 표시된다. 도 33의 3350을 참고하면, 해당 기기의 아이콘 아래에, 스케쥴이 off되었음을 알리는 문구(3351)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33을 참고하여, 기기 삭제 메뉴(3323)가 선택된 경우, 그 기기는 해당 모드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4를 참고하면, 모드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26-3)에서 추가버튼(3411)이 선택되면, 선택 가능한 기기에 해당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한 화면(3420)이 표시된다. 이 화면(3420)은 현재 모드에 포함된 기기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상단 영역(3421) 및 추가 가능한 기기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하단 영역(342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기기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추가할 기기의 아이콘(3423)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기존의 추가버튼이 위치했던 영역(3431)에 선택된 새로운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대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 아이콘(3432)을 선택하면, 그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기에 대한 모드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344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 버튼(3442)을 선택하면, 설정이 완료된다. 이후 설정된 내용으로 해당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3431)에 포함된 문구가 변경된다.
이상과 같은 모드 서비스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복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기에 대한 개별적인 설정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한 개의 모드만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기기에 대한 실행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3 서비스 페이지(100-4)-Control>
이하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제3 서비스 페이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3 서비스를 컨트롤 서비스로 지칭한다.
컨트롤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상태 확인 및 전원 on/off 기능을 제공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을 참고하면,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의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은 스케쥴된 기기 영역 및 자주 사용하는 기기 영역을 포함한다. 스케쥴된 기기 영역에서 스케쥴 확인 버튼(110a-4)이 선택되면, 스케쥴 확인 팝업이 호출된다. 기기 전원 버튼(110b-4)이 선택되면, 해당 기기가 on되거나 off된다. 이에 대해선 이하 도 36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는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 아래에 연결된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을 포함한다.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35와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컨트롤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4)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컨트롤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4)을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은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에서의 예약 기기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고하면, 스케줄 확인 버튼(110a-4)이 선택되면, 스케줄 확인을 위한 화면(3621)이 표시된다. 여기서 재설정 버튼(3622)이 선택되면, 해당 기기에 대한 동작 예정 요일, 시간, 반복 주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3631)이 표시된다. 여기서 예약 해제 버튼(3623)이 선택된 경우, 해당 기기에 대한 예약이 해제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다음 버튼(3641)을 선택하면, 기기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3651)이 표시된다. 예컨대 기기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 자동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모드, 정해진 스팟만 청소하는 스팟 모드, 청소 강도가 최대인 맥스 모드 또는 사용자가 청소 자리, 청소 강도 등을 지정할 수 있는 매뉴얼 모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모드 설정 후 저장 버튼(3652)이 선택되면, 스케쥴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컨트롤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4)의 하단에 표시되며, 스케쥴된 기기를 표시하는 영역(3661)에 변경된 설정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에선 다양한 기기에 대한 컨트롤 UI화면을 제공한다. 이하에선 일 예로, TV, 에어컨(A/C), 로봇 청소기, 세탁기, 조명, 오븐, 플러그에 대한 컨트롤 UI화면들을 설명한다.
이하에선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컨트롤 서비스의 기능 영역은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4)을 TV 컨트롤 카드(120-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30-4)을 TV 상세 컨트롤 카드(130-4)로 지칭하겠다.
도 37을 참고하면, TV 컨트롤 카드(120-4)는 볼륨 조절, 전원, 인풋(외부 입력), 홈, 채널 조절 버튼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TV 상세 컨트롤 카드(130-4)로 전환되며, TV 상세 컨트롤 카드(130-4)는 TV 컨트롤 카드(130-4) 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일 예로, Navigation 탭이 선택된 경우, 도 38을 참고하면, 네비게이션 터치 패드 영역 등이 제공된다. 예약 목록 탭이 선택된 경우, TV의 on/off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예약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C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2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2 기능 영역(121-4)을 A/C 컨트롤 카드(121-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2 상세 기능 영역(131-4)을 A/C 상세 컨트롤 카드(131-4)로 지칭하겠다.
도 39를 참고하면, A/C 컨트롤 카드(121-4)는 현재 온도 영역, 온도 조절, 풍향 조절 버튼을 포함한다. 이때, 최고 혹은 최저 온도에 도달하면, + 또는 - 버튼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A/C 상세 컨트롤 카드(131-4)로 전환되며, A/C 상세 컨트롤 카드(131-4)는 A/C 컨트롤 카드(131-4)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일 예로, 운전 탭이 선택된 경우, 아열대 쾌적, 냉방, 제습, 청정, 난방 등의 운전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으며, 예약 목록 탭이 선택된 경우, A/C의 on/off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예약을 추가할 수도 있다. Vertical Swing 선택시, 도 40을 참고하면, 운전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람 방향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3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3 기능 영역(122-4)을 로봇 청소기 컨트롤 카드(122-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3 상세 기능 영역(132-4)을 로봇 청소기 상세 컨트롤 카드(132-4)로 지칭하겠다.
도 41를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 컨트롤 카드(122-4)는 동작 상태,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로봇 청소기 상세 컨트롤 카드(132-4)로 전환되며, 로봇 청소기 상세 컨트롤 카드(132-4)는 로봇 청소기 컨트롤 카드(132-4) 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일 예로, 운전 탭이 선택된 경우, 동작 상태 버튼, 방향 제어 버튼, 마이크, 라이트, 카메라 버튼 등이 제공된다. 일 예로 카메라 버튼이 선택된 경우, 로봇 청소기에 달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4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4 기능 영역(123-4)을 세탁기 컨트롤 카드(123-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4 상세 기능 영역(133-4)을 세탁기 상세 컨트롤 카드(133-4)로 지칭하겠다.
도 42를 참고하면, 세탁기 컨트롤 카드(123-4)는 정보 스크린, 상태 창 또는 시작 버튼 등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세탁기 상세 컨트롤 카드(133-4)로 전환되며, 세탁기 상세 컨트롤 카드(133-4)는 세탁기 컨트롤 카드(133-4)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3을 참고하면, 상태 창(133a-4)이 선택된 경우, 물 온도, 헹굼, 탈수 등의 세탁 요소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5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5 기능 영역(124-4)을 조명 컨트롤 카드(124-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5 상세 기능 영역(134-4)을 조명 상세 컨트롤 카드(134-4)로 지칭하겠다.
도 44를 참고하면, 조명 컨트롤 카드(124-4)는 정보 스크린,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조명 상세 컨트롤 카드(134-4)로 전환되며, 조명 상세 컨트롤 카드(134-4)는 조명 컨트롤 카드(134-4)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조명 상세 컨트롤 카드(134-4)에서 조도 탭이 선택되면, 조도 조절이 가능하며, 특정 무드가 선택되면 조도는 해당 무드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45를 참고하면, 조명 상세 컨트롤 카드(134-4)에서 Smart Care 탭이 선택되면, 다양한 케어 모드를 제공한다. 일 예로, Baby Care에선 아기 울음소리 감지되면, 지정된 LED가 자동 디밍(Dimming)되며, Night Care에선 취침중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지정된 LED가 자동 디밍(Dimming)되며, Missed Call Care에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부재중 통화 있을 시 기 설정된 시간 후 지정된 LED가 자동으로 깜빡여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확인하게끔 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6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6 기능 영역(125-4)을 오븐 컨트롤 카드(125-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6 상세 기능 영역(135-4)을 오븐 상세 컨트롤 카드(135-4)로 지칭하겠다.
도 46을 참고하면, 오븐 컨트롤 카드(125-4)는 정보 스크린,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오븐 상세 컨트롤 카드(135-4)로 전환되며, 오븐 상세 컨트롤 카드(135-4)는 오븐 컨트롤 카드(135-4)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오븐 상세 컨트롤 카드(135-4)에서 운전 탭이 선택되면, 복수의 오븐 기능 버튼과 온도 조절 및 선택 시작 버튼 등이 제공된다.
도 47을 참고하면, 오븐 상세 컨트롤 카드(135-4)에서 복수의 오븐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제공할 수 있는 리스트(135a-4)가 표시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서비스의 제7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 서비스의 제7 기능 영역(126-4)을 플러그 컨트롤 카드(126-4)로 지칭하며, 컨트롤 서비스의 제7 상세 기능 영역(136-4)을 플러그 상세 컨트롤 카드(136-4)로 지칭하겠다.
도 48을 참고하면, 플러그 컨트롤 카드(126-4)는 정보 스크린,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플러그 상세 컨트롤 카드(136-4)로 전환되며, 플러그 상세 컨트롤 카드(136-4)는 플러그 컨트롤 카드(136-4)보다 더 많은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플러그 상세 컨트롤 카드(136-4)는 꺼짐 예약/켜짐 예약에 대한 예약 목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집안의 기기를 사용자 단말장치(200) 하나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4 서비스 페이지(100-5)-Care Report>
이하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타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4 서비스 페이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4 서비스를 케어 리포트 서비스로 지칭한다.
케어 리포트 서비스는 케어 대상으로 등록한 가구(house)의 기기 사용 로그를 기반으로 이상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리포트 서비스 페이지(100-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를 참고하면, 케어 리포트 서비스 페이지(100-5)의 케어 리포트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5)은 현재 모니터링 상태에 따라 다른 내용의 문구를 제공하며, 케어 대상으로 등록한 가구의 최근 사용 기기 로그 정보 영역을 포함한다.
케어 대상으로 등록한 가구의 최근 사용 기기 로그 정보 영역에서 전화 버튼(110a-5)이 선택되면, 해당 가구로 전화를 연결한다.
또한 케어 리포트 서비스 페이지(100-5)는 케어 리포트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5) 아래에 연결된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5)을 포함한다. 케어 리포트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5)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49와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5)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5)을 케어 리포트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5)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5)은 케어 리포트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5)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5)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5)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리포트 서비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0은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5)의 다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0을 참고하면, 예컨대 케어 대상 가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케어 리포트 서비스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30-5)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Call버튼이 선택되면 케어 대상 가구로 전화가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케어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집뿐만 아니라 다른 집에 대한 상황 정보를 자신의 단말 장치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제5 서비스 페이지(100-6)-Energy>
이하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제5 서비스 페이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5 서비스를 에너지 서비스로 지칭한다.
에너지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기기의 상세 전력 사용 량 측정 및 전력 사용량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100-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을 참고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100-6)의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은 에너지에 대한 설명 문구, 현재 사용 중인 전력량과 목표된 전력량을 표시한 막대그래프(110b-6),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기기 중 전력 소비량이 가장 많은 3 개의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100-6)는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 아래에 연결된 에너지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6)을 포함한다.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51과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에너지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6)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에너지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6)을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에너지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6)은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에너지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6)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에너지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6)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52를 참고하면,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에 마련된 편집 메뉴(110a-6)가 선택되면, 홈 네트워크의 기기별 에너지 목표 값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에 마련된 막대그래프(110b-6)가 선택되면, 현재 사용 중인 전력량과 목표된 전력량을 상세히 표시한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월별 그래프 영역을 좌우로 Swipe 하여 스크롤 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6)에 마련된 상세 보기 버튼(110c-6)이 선택되면,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기기 중 전력 소비량이 가장 많은 기기 3개 기기를 포함하여, 등록된 다른 기기들에 대한 에너지 소비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도 53 내지 도 5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는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1 기능 영역(120-6)(Energy Goal Card),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2 기능 영역(122-6)(Monthly Energy Usage Card) 및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3 기능 영역(124-6)(Energy Usage Rate Card)을 제공한다.
먼저 도 53을 참고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1 기능 영역(120-6)(Energy Gaol Card)에 마련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도 53과 같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30-6)이 표시된다.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1 상세 기능 영역(130-6)은 사용자가 설정한 에너지 목표치가 표시되며, 목표치까지 남은 양 또는 목표치 초과량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54를 참고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2 기능 영역(122-6)(Monthly Energy Usage Card)에 마련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도 54와 같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2 상세 기능 영역(132-6)이 표시된다.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2 상세 기능 영역(132-6)에선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꺽은선 그래프로 표시하며, 월별로 전력 소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전력 소비량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월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월별 에너지 소비 차이 계산 결과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5를 참고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3 기능 영역(124-6)(Energy Usage Rate Card)에 마련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도 55와 같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3 상세 기능 영역(134-6)이 표시된다.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제3 상세 기능 영역(134-6)에선 각 기기별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각 기기에 대한 월별 에너지 소비량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에너지 사용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에너지 목표치를 설정하여 계획적인 에너지 소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제6 서비스 페이지(100-7)-Media>
이하에선,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 중 미디어 출력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6 서비스 페이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선 제6 서비스를 미디어 서비스로 지칭한다. 미디어 서비스란 최근에 재생된 컨텐츠 및 최근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확인 및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100-7)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을 참고하면,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100-7)의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은 최근 재생된 컨텐츠 정보 및 최근 업데이트된 파일 정보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100-7)는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 아래에 연결된 미디어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7)을 포함한다.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선, 도 56과 같이 아래에 기능 영역이 존재함을 알리는 미디어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7)만이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다. 에너지 서비스의 기능 영역의 cue 영역(118-7)을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미디어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7)은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미디어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7) 아래에 또 다른 기능 영역들이 있으면, 이들도 역시 미디어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20-7)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디어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7)에 표시된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콘(5711)을 길게 누르는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240)는 재생 가능 기기 리스트(110a-7)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동 가능해진 컨텐츠 아이콘(5712)을 끌어다 놓는 동작으로 재생 가능 기기 중 하나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7의 5730을 참고하면, 사용자 자신의 기기(My Phone), 거실의 TV, 다른 사용자의 기기(Den's), 침실의 TV 중 하나의 기기 중에서 사용자 자신의 기기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기기로 선택되었다. 도 57의 574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기기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기기(Den's)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의 기기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일 수 있다. 이후,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기기에서 해당 컨텐츠가 재생됨을 알리는 메시지(5751)가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100-7)의 기능 영역은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기기 중 적오도 하나에 저장된 파일의 관리를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8에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100-7)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영역들을 도시하였다.
도 58을 참고하면, 미디어 서비스의 제1 기능 영역(102-7), 미디어 서비스의 제2 기능 영역(122-7), 미디어 서비스의 제3 기능 영역(124-7), 미디어 서비스의 제4 기능 영역(126-7)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기능 영역은 'Movie, 'Music', 'Photo' 또는 'Recently Updated'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기능 영역에 마련된 확대 메뉴(3)가 선택되면, 해당되는 상세 기능 영역이 디스플레이부(220) 전면에 표시된다.
도 59는 미디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상세 기능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 기능 영역에는 도 59의 5910과 같이 섬네일 형태로 컨텐츠들이 정렬되어 표시되거나,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옵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 버튼(5911)이 선택되면, 메뉴 버튼(5911) 아래에 정렬 메뉴(592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렬 메뉴(5921)를 선택하면, 정렬 기준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5931)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날짜순, 크기순, 알파벳 순 등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알파벳 순 정렬이 선택(5932)되면, 도 59의 59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들이 알파벳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메뉴 버튼(5911)을 선택하여 정렬 기준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에 의하면, 사용자는 저장된 컨텐츠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다른 기기들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선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선,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각종 설정 화면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0을 참고하면 설정 UI 화면(400)은 계정 관리, 기기 관리, 브리핑 설정, 청결 가이드 설정, 카드 관리 메뉴를 포함한다.
여기서 계정 관리 메뉴(400a)가 선택된 경우, 계정 관리 UI 화면(410)이 표시된다. 도 6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정 관리 UI화면(410)에서 My Profile 메뉴(410a)가 선택되면, 내 계정의 대표 사진, 이름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한편, 계정 관리 UI 화면(410)에서 가족 목록 메뉴(410b)가 선택된 경우, 도 62를 참고하면, 등록된 가족 멤버 리스트(430)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등록된 가족 멤버 각각에 대하여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 또는 대표 사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멤버의 추가 또는 삭제도 가능하다.
도 63은 등록된 가족 멤버 리스트(430)에서 가족 멤버의 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3을 참고하면, 등록된 가족 멤버 리스트(430)에서 기기 추가 메뉴(6311)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동일 네트워크 내에 있는 사용자를 검색하며, 검색 중임을 UI화면에 표시한다(6320). 이후, 사용자가 검색된 가족 리스트가 표시된 후, 리스트에 마련된 체크 박스를 선택(6331)하고, 추가를 완료하기 위한 추가 버튼(6341)을 선택하면, 도 63의 63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멤버가 등록된 가족 멤버 리스트(430)에 추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족 멤버의 추가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저장부(250)에 저장된 연락처 목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60으로 돌아와서, 기기 관리 메뉴(400b)가 선택된 경우, 기기 관리 UI화면(420)이 표시된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기 관리 UI화면(420)에서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기기들의 이름, 기기의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관리 메뉴(400b)에서 '기기 추가'가 선택되면, 네트워크에 검색되는 디바이스 및 검색되지 않은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제공된 리스트에서 추가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검색되지 않은 디바이스도 추가될 수 있다. 도 66을 참고하면, 기기 추가 메뉴(6611)가 선택되면, 네트워크에 검색된 기기를 표시하는 영역(6631) 및 네트워크에 검색되지 않은 기기를 표시하는 영역(6632)를 포함하는 기기 추가를 제공하는 화면(6630)이 표시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검색되지 않은 기기들에 대해선 사용자가 직접 AP(Access Point) 정보 등을 입력하여 그 기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500)에 등록시킬 수 있다(6640).
다시 도 60으로 돌아와서, 브리핑 설정(400c)이 선택된 경우, 브리핑 설정 UI화면(430)이 표시된다. 도 67을 참고하면, 브리핑 설정 UI화면(430)에선 메인 페이지(100-1)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110-1)에 마련된 브리핑 영역(112-1)에서 표시될 다양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브리핑 설정 UI화면(430)에서 '자동 온도 컨트롤'이 선택 해제되면, 메인 페이지(100-1)의 브리핑 영역(112-1, 도 15 참조)에선 더 이상 온도에 대한 알림이 표시되지 않는다.
다시 도 60으로 돌아와서, 청결 가이드 설정(400d)이 선택된 경우, 청결 가이드 설정 UI화면(440)이 표시된다. 도 68을 참고하면, 청결 가이드 설정UI화면(440)에서 사용자는 청결 지수를 설정하거나 청결 가이드 내용을 볼 수 있다.
다시 도 60으로 돌아와서, 카드(기능 영역) 관리(400e)가 선택된 경우, 카드 관리 UI화면(440)이 표시된다.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드 관리 UI화면(440)을 통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100-3,100-4,100-5,100-6,100-7)에 포함된 기능 영역(카드)을 삭제하거나, 삭제된 기능 영역(카드)를 복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UI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70 내지 도 7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락 스크린(lock screen) 화면(800)에서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락 스크린 화면(800)이란, 예컨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ON 되었을 때 처음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락 스크린 화면에선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인증이 수행된 경우에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0을 참고하면, 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락 스크린(lock screen)화면(800)은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의 간략 정보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홈 네트워크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70에 도시된 것처럼, 케어 서비스 또는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알림이 락 스크린 화면(8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퀵 패널(quick panel)에서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퀵 패널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기본 배경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의 복수의 가장자리 중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하여 끌어내리는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퀵 패널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간략한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1을 참고하면, 퀵 패널(810)에선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100-3,100-4,100-5,100-6,100-7)에 포함된 기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주요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젯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젯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기본 배경 화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바로가기를 위한 오브젝트이다.
도 72를 참고하면, 복수의 위젯(820a, 820b, 820c, 820d)은 해당 서비스 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위젯은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100-3,100-4,100-5,100-6,100-7)에 마련된 옵션 메뉴에서 선택하여 등록될 수 있다.
한편, 본 위젯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100-2,100-3,100-4,100-5,100-6,100-7)에서 제공하는 기능 영역의 레이아웃이 그대로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4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에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7410).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복수의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고, 여기서 제1 서비스 페이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로, 메인페이지이거나 최근에 탐색한 서비스 페이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론, 바로 이전에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서비스 페이지가 있는 경우, 다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바로 전에 이용되었던 서비스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서비스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제1 서비스 페이지에 연결된 제2 서비스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7420). 제2 페이지는 상술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이고, 예를 들어 각 방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 모드 서비스, 홈 네트워크 내의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한 컨트롤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일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의 배열 순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르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제1 서비스 페이지 또는 제2 서비스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1 서비스 페이지 또는 제2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430).
이러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서비스 페이지 및 기능 영역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실시 예들에서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UI 화면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체 페이지의 구조를 한눈에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맵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맵 정보란 전체 페이지를 축소시켜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그 전체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현재 탐색 중인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75 내지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맵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현재 사용자가 탐색 중인 서비스 페이지의 특정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5는 총 7개의 서비스 페이지로 구성된 UI 화면 내에서, 사용자가 현재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의 일부를 탐색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100-4)의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UI 화면의 구조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부(220) 내에 전부 표시된다. 또한, 전체 UI 화면 내에서 현재 탐색 중인 영역의 위치를 알려주는 그래픽 객체(7600)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맵 정보를 보고, 현재 페이지가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 내의 기능 영역(control card 1)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맵 정보를 제거하면, 제어부(240)는 다시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 내의 기능 영역(control card 1)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하면, 제어부(240)는 모드 서비스 페이지를 표시하고, 우측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하면 케어 서비스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맵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은 맵 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임의의 조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세로 방향으로 잡고 서비스 페이지 탐색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사용자가 탐색 중이던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맵 정보가 도 75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기 설정된 속도로 움직이는 동작, 흔드는 동작 등이 감지된 경우에도 맵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서비스 페이지 탐색 중에 맵 정보로 이동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맵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맵 정보의 표시 여부는 사용자의 옵션 설정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서비스 페이지의 배열 방향과 기능 영역의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배열 방향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도록 서비스 페이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77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이해는 도 77을 도 1과 비교하면 쉬울 것이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선 각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들(메인 페이지인 경우 선호 기능 영역)이 서비스 서머리 영역 아래에 연결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 영역들은 서비스 서머리 영역들이 배열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마치 한 방향으로 배열된 페이지와 같으므로, 이하에선 기능 영역을 기능 영역 페이지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7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페이지에 대한 제1 기능 영역 페이지(715)가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의 일 측에 생성되면서, 서비스 서머리 영역(110-3)을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사용자 조작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두 손가락을 동시에 드래그하는 핀치 투 줌(pinch to zoom(in or out)), 더블 터치(Double touch) 등과 같이 다양한 조작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능 영역(771)이 표시된 상태에서 페이지를 옆으로 넘기는 것과 같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2 기능 영역 페이지(772)가 표시된다. 도 77에선 두 개의 기능 영역 페이지만 도시하였으나, 도 1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기능 영역 페이지는 한 개 일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제2 기능 영역 페이지(772)가 표시된 상태에서, 페이지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플릭(flick)하거나 드래깅하는 사용자 조작이 더 입력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서머리 영역(110-6)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 영역 페이지(771) 또는 제2 기능 영역 페이지(772)가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 투 줌 등과 같은 조작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의 서머리 영역 (110-3)으로 돌아올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능 영역 페이지(771) 또는 제2 기능 영역 페이지(772)가 사라지거나 축소되는 애니메이션이 추가될 수 있다.
제1 기능 영역 페이지(771) 또는 제2 기능 영역 페이지(772)가 닫힌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의 서머리 영역(110-3)에서 옆쪽으로 플릭 또는 드래깅 같은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서머리 영역(110-6)이 표시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기능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세부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74를 통해 설명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TV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8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TV로 구현된 경우에 메인 페이지(10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을 참고하면, 메인 페이지(100-1)는 TV의 디스플레이부(900)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메인 페이지(100-1)의 각종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메인 페이지(100-1)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컨의 터치패드를 좌우 플릭(Flick)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TV로 구현된 경우에 있어선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된 경우보다 디스플레이부 크기의 제약이 적다. 따라서 메인 페이지(100-1)의 풀 스크린 전환 메뉴(901)가 선택되면,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은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리모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호 기능 영역들을 좌우로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도 79를 참고하면, 복수의 선호 기능 영역(120-1,122-1)과 함께 집안 내 상황 정보(902)가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된 경우와 다르게, 카테고리 영역(90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다른 서비스에 대한 기능 영역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0에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기능 영역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였다. 카테고리 영역(903)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이 어떤 카테고리의 서비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앞선 실시 예에선 제1 또는 제2 방향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 간의 전환 또는 기능 영역의 호출이 수행되었다면, TV의 경우, 리모컨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통하여 유사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리모컨에 마련된 상,하,좌,우 방향키가 그와 같은 동작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TV로 구현된 경우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7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비스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100-2)를 도 81에 도시하였다.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UI가 TV로 구현되었을 경우에도, 앞서 도 1 내지 도 73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화면 구성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9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른 일부 레이아웃의 변화는 도 78 내지 도 81을 통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리모컨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과 관련한 변형 실시 예들도,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UI는 제공되는 서비스 성격 및 제공되는 정보의 성격에 맞게 디자인된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홈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알맞게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연하게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UI를 변경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 또는 기호에 맞는 통합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부분에서는 복수의 축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속성의 다양한 UI 화면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반드시 홈 네트워크 관리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비스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경우, 그 서비스 및 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UI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복합기 등)를 관리하여야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상술한 방식으로 UI 화면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또는 UI 화면 표시 방법 등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00: 사용자 단말 장치 210: 통신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감지부
240: 제어부

Claims (19)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선호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제1 방향의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호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영역 중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는 기능 영역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제2 방향의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선호 기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페이지 단위로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현재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기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규 기기와 통신이 설정되면, 새로운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촬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미디어 출력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 및
    상기 복수의 기기를 홈 네트워크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모드 서비스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제어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기간별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미디어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파일의 관리를 위한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서비스 페이지의 기능 영역은,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 실행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드 실행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모드 실행 메뉴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기기를 일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은, 서비스 서머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서비스 서머리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방향의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기 서비스 서머리 영역 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영역에 마련된 확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기능 영역을 상세 기능 영역으로 확대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 영역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을 각각 대응되는 오브젝트로 축소시켜 표시하며, 상기 축소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시 기능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아웃은,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정보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 영역이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레이아웃이고,
    상기 제2 레이아웃은 상기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환경에 포함된 각 방(room)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영역에 대한 북마크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북마크된 기능 영역을 상기 선호 기능 영역에 추가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선호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제1 방향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호 기능 영역은,
    상기 선호 기능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영역 중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는 기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제2 방향의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선호 기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새로운 기기와 통신이 설정되면, 새로운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영역에 대한 북마크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북마크된 기능 영역을 상기 선호 기능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141351A 2013-06-18 2021-10-2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359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6251P 2013-06-18 2013-06-18
US61/836,251 2013-06-18
KR1020140074580A KR102318442B1 (ko) 2013-06-18 2014-06-1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80A Division KR102318442B1 (ko) 2013-06-18 2014-06-18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82A KR20210131282A (ko) 2021-11-02
KR102359319B1 true KR102359319B1 (ko) 2022-02-08

Family

ID=5210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351A KR102359319B1 (ko) 2013-06-18 2021-10-2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92968B2 (ko)
KR (1) KR102359319B1 (ko)
CN (2) CN105474580B (ko)
WO (1) WO2014204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2009B2 (en) 2014-09-02 2020-02-04 Apple Inc. Stopwatch and timer user interfaces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20200270871A1 (en) 2019-02-27 2020-08-27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Fire-resistant manufactured-wood based siding
CN113168274A (zh) * 2018-11-20 2021-07-23 拉奇股份有限公司 与虚拟环境进行的居住者和客人交互
KR20240049648A (ko) 2019-05-31 2024-04-16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904029B2 (en) *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US11079913B1 (en) 2020-05-11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status indicators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3088A1 (en) 2001-11-20 2003-06-05 Universal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20130113284A1 (en) 2009-07-30 2013-05-09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System Providing Manual Override of An Energy Savings Mod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978A (ko) * 2003-02-07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US7047092B2 (en) 2003-04-08 2006-05-16 Coraccess Systems Home automation contextual user interface
US20040260407A1 (en) 2003-04-08 2004-12-23 William Wimsatt Home automation control architecture
KR100559025B1 (ko) 2003-05-30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050014629A (ko) * 2003-05-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8963713B2 (en) 2005-03-16 2015-02-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network with security alarm signaling system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100736090B1 (ko) * 2005-09-28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1245477B1 (ko) * 2006-01-23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44400B1 (ko) 2006-03-0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에서 빠른 메뉴 제공 방법 및장치
KR20080077477A (ko) 2007-02-20 2008-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90100380A1 (en) 2007-10-12 2009-04-16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through content
US8245155B2 (en)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US20100122215A1 (en) 2008-11-11 2010-05-13 Qwebl, Inc. Control interface for home automation system
JP2010250554A (ja) 2009-04-15 2010-11-04 Sony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7083B1 (ko) 2009-05-1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3838B1 (ko)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7764A (ko)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26592B1 (ko) 2009-12-16 2019-03-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154269A1 (en) 2009-12-22 2011-06-23 General Electric Company Home energy management screensaver
CN101834768B (zh) * 2010-04-16 2012-04-18 中山大学 数字家庭网络设备间互发现方法
US9241064B2 (en) 2010-05-28 2016-01-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mart method and device for adaptive user interface experiences
WO2012011640A1 (en) *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KR20120011254A (ko) 2010-07-28 201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57122B1 (ko) 2010-09-15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375118B2 (en) 2010-11-18 2013-02-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mart home device management
KR20120073892A (ko) 2010-12-27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메뉴 표시방법
US9953278B2 (en)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US20120291068A1 (en) 2011-05-09 2012-11-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ome device control on television
KR101349278B1 (ko) 2011-06-07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335921B2 (en) 2011-06-10 2016-05-10 Amx Llc Providing subpages in a touch panel user interface
CN103023681B (zh) * 2011-09-22 2016-03-02 北京天成信宇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控制设备、更新方法
JP6091829B2 (ja) 2011-09-28 2017-03-08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54705A1 (en) 2012-03-20 2013-09-26 Wimm Labs, Inc. Multi-axis user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US20140059496A1 (en) 2012-08-23 2014-02-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fied mobile approvals application including card display
CN102882752A (zh) * 2012-10-19 2013-01-16 天津光宏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及安卓系统的智能家居系统及控制方法
CN103019208A (zh) * 2012-12-17 2013-04-03 福建求实智能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的电子设备双控模块
CN106455272B (zh) 2013-02-20 2019-03-0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终端的控制方法和程序以及记录介质
US9568902B2 (en) 2013-03-15 2017-02-14 Vivint, Inc. Home security system with touch-sensitive control panel
US10564813B2 (en) 2013-06-18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9930519B2 (en) 2013-11-21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US10032364B2 (en) 2014-05-15 2018-07-24 Savant Systems, Llc Standalone wireless lighting application
US9876652B2 (en) 2014-05-20 2018-01-23 Savant Systems, Llc Automatic configuration of control device user interface in a home automation system
CN104486416B (zh) 2014-12-16 2018-01-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智能家居服务规则的综合利用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3088A1 (en) 2001-11-20 2003-06-05 Universal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20130113284A1 (en) 2009-07-30 2013-05-09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System Providing Manual Override of An Energy Savings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4580A (zh) 2016-04-06
US11592968B2 (en) 2023-02-28
WO2014204222A1 (ko) 2014-12-24
CN109739412A (zh) 2019-05-10
CN109739412B (zh) 2021-10-26
US20220027025A1 (en) 2022-01-27
CN105474580B (zh) 2019-02-15
KR20210131282A (ko) 2021-11-02
US20230161461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31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31844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US1056481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75103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03471B2 (en) Selectively coordinated audio player system
CN202548818U (zh) 信息处理设备
KR101364849B1 (ko) 방향성 터치 원격 제어장치
KR10203746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102391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ied Experience Across Different Devices
KR10146205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TWI655572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401333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CN107066171A (zh) 触屏终端的多窗口切换方法和系统
KR20140133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30079515A (ko)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기법
KR20120012115A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545633B2 (en) Imag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
KR101803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JP6254945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操作端末、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88190A (zh) 智能交互平板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0772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03286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7369690A (zh) 显示设备和文件快捷访问方法
CN114816047A (zh) 一种跨设备迁移任务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