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057B1 -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057B1
KR101462057B1 KR1020120091693A KR20120091693A KR101462057B1 KR 101462057 B1 KR101462057 B1 KR 101462057B1 KR 1020120091693 A KR1020120091693 A KR 1020120091693A KR 20120091693 A KR20120091693 A KR 20120091693A KR 101462057 B1 KR101462057 B1 KR 10146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na
layer
media
displaye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708A (ko
Inventor
김규백
오연순
한용희
이운식
이혜민
김휴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057B1/ko
Priority to CN201380044444.9A priority patent/CN104620213B/zh
Priority to PCT/KR2013/007506 priority patent/WO2014030929A1/ko
Publication of KR2014002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057B1/ko
Priority to US14/629,152 priority patent/US100316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Abstract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Pull-down Pop-up)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Sharing Media content in Home-Network}
본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의 미디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PC, TV, 셋톱박스, 모바일 기기,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 보일러, 조명, 가스 밸브, 현관문 등 댁내에 구비되는 각종 기기들을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 관련 표준화를 위한 규약으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부각되고 있는데, DLNA는 각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DLNA는 UPnP(Universal Plug-and-Play) 기술을 근간으로 하며,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를 포함하고 있다. DLNA는 가전 제품, PC, 무선 기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P, HTTP, UPnP, Wi-Fi 등의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가이드 라인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DLN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기기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댁내의 각종 기기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서로 공유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을 더욱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DLNA는 홈 네트워크상에서 미디어 공유와 제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클래스로서 디지털 미디어 서버(Digital Media Server; 이하 'DMS'라고 칭함),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이하 'DMP'라고 칭함),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igital Media Renderer; 이하 'DMR'라고 칭함)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Digital Media Controller; 이하 'DMC'라고 칭함)를 정의한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DMS 디바이스는 로컬 콘텐츠를 네트워크에 등록 및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DMP 디바이스는 DMS 디바이스가 등록한 콘텐츠를 찾아 이를 DMP 자체의 재생기에서 재생한다. DMR 디바이스는 DMC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하며, DMC 디바이스는 DMS가 등록한 콘텐츠를 찾아 DMR에 재생을 위한 설정을 하고, DMR과 DMS간 연결을 유지시킨다.
DLNA 표준안에서는 기본적인 DLNA 서비스와 관련하여 3가지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있다. DLNA 서비스 시나리오는 2-Box Push, 2-Box Pull 및 3-Box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도 1은 기본적인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에 예시된 2-Box Push 시나리오는 해당 기기(110)의 콘텐츠를 다른 기기(120)에서 재생하는 시나리오로서, 해당 기기(110)는 DMS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의 (b)에 예시된 2-Box Pull 시나리오는 다른 기기(110)의 미디어를 해당 기기(130)에서 재생하는 시나리오로서, 해당 기기(130)는 DMP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의 (c)에 예시된 3-Box 시나리오는 해당 기기(140)를 통해 다른 기기(110)의 미디어를 또다른 기기(120)에서 재생시키는 시나리오로서, 해당 기기(140)는 DMC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해 각 멀티미디어 기기 제조사 등에서 DLNA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DLNA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DLNA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위 3가지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면서도 직관적인 스타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출 필요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DLNA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전환되는 스타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Box 시나리오를 실행하기 위해 미디어 서버 선택 단계, 미디어 콘텐츠 선택 단계, 미디어 재생기 선택 단계를 위한 작업 영역을 별개의 페이지로 구현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3-Box 시나리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상 여러 페이지를 넘겨야 하므로 시나리오 구성을 직관적으로 표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페이지가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전 선택사항을 기억에 의존해야 하며, 이전 단계(이전 페이지)로 되돌아 갈 경우 기 선택 사항이 초기화될 위험이 있다.
또한, 도 2의 (b)에 예시된 UI는 하나의 페이지에 모든 단계(미디어 서버 선택, 미디어 콘텐츠 선택, 미디어 재생기 선택)를 수행할 수 있도록 3개의 프레임으로 각각의 작업 영역을 정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UI 스타일의 경우 각 영역이 정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가장 많은 공간을 통해 식별하기 좋게 제공되어야 할 콘텐츠 선택 영역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은 단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DNLA 시스템에서 DMC 혹은 DMP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검색하여 원하는 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페이지에 슬라이딩 메뉴로 구성된 작업 영역을 배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Pull-down Pop-up)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상기 메인 레이어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한 쌍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상기 메인 레이어 위에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메인 레이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레이어를 비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레이어의 색조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S(Digital Media Serv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Digital Media Render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이하 '로컬 DLNA 디바이스'라고 칭함)는, DMC, DMS 및 DMP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LNA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MS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로컬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MR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로컬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상에 표시된 상기 DMS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해당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표시된 콘텐츠 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재생목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되, 제1섹션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하고, 제2섹션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 및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을 표시하며, 제3섹션에는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에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렌더링하고, 상기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에는 상기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에 렌더링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트롤러 G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 표시된 DMR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DMR 디바이스로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DMS 디바이스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레이어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하나에 한 쌍의 토글바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토글바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인 레이어 위에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음성인식센서 또는 터치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DLNA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구비한 제어용 DLNA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DLNA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감지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풀다운 팝업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페이지에 슬라이딩 메뉴로 구성된 작업 영역을 배치하는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컨트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DLNA 디바이스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슬라이딩 메뉴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각 선택 작업의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수집되는 미디어 콘텐츠 정보(예를 들면 위치정보, 미디어 콘텐츠 목록 등)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통합관리되는 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미디어 재생기)가 홈네트워크 상의 다른 미디어 서버가 제공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신속/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여러 형태의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동일한 선택 작업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동일한 방식의 선택 작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기본적인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DLNA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도 6은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도 8은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미디어 재생기 선택 후 콘텐츠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서 기능하는 DLNA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앞서 기술한 DLNA 서비스 시나리오(2-Box Push, 2-Box Pull 및 3-Box 시나리오)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별개로 구분하지 않는다. 즉, 3-Box 시나리오에서 DMC 디바이스의 역할(DLNA 네트워크에서 DMS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파악해, 재생시킬 DMR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역할)과 유사한 일련의 과정(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 미디어 컨텐츠 선택 과정, 미디어 재생기 선택 과정)을 통해 위 세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위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DLNA 디바이스는 DLNA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서 컨트롤 포인트로서 동작한다. 컨트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본 DLNA 디바이스는 유/무선의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DLNA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한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디바이스는 DMS, DMP, DMR, DMC 중 둘 이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서 동작하는 DLNA 디바이스는 DMC, DMS, DMP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해당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DLNA 디바이스 자신도 DLNA 네트워크상의 DMS 디바이스로서 인식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DMS 디바이스로 선택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우선,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각 DLNA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클래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DMS 디바이스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AV 영역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DMP 디바이스 또는 DMR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MS 디바이스는 DMC 디바이스가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 미들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DMS 역할은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P 디바이스는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DMP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제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DMP의 역할은 모바일 기기, TV, 개인용 컴퓨터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R 디바이스는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DMR 역할은 TV, AV 수신기, 스테레오 스피커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C 디바이스는 DMS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가 DMR 디바이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DMC 디바이스를 통해 DMS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여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찾고, DMS 디바이스가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DMR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DMC 역할은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 등이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이 나타나 있지만, DLNA 디바이스(300)는 기기의 종류, 성능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300)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20),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30),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40) 및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통신부(34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으며, DLNA 디바이스(300)의 구성,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DLNA 디바이스(300)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인 경우 입력부(330)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음성인식센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스마트폰의 경우 입력부(330)와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선택명령을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한편, GUI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은 입력부(330)가 마우스로 구현될 경우 해당 GUI 요소에 대한 '클릭', '드래그', '마우스 오버' 등의 이벤트일 수 있고, 입력부(330)가 터치스크린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탭핑', '드래그', '플릭킹', '프레스' 등의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 오버(Mouse over) 이벤트란 특정 오브젝트 위에 마우스 커서를 일정 시간 동안 위치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탭핑(Tapping) 이벤트는 선택된 오브젝트(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띄는 동작으로서, 일반 PC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입력을 말한다. 드래그(Drag) 이벤트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누른(터치)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띄는 동작으로서, 누른 상태에서 이동된 오브젝트는 이동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한 후 띄는 동작에서 고정된다. 플릭킹(Flicking) 이벤트는 터치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중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으로서, 플릭킹 이벤트의 동작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특정 동작의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서, 플릭킹 이벤트는 페이지를 넘기는 듯한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한다. 프레스(Press) 이벤트는 터치 후 접점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하며, 해제 이벤트는 터치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에 대한 이벤트를 말한다.
통신부(340)는 다양한 유선/무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DLNA 네트워크 상의 타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310)는 중앙처리장치(CPU)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DLNA 디바이스(300)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10)는 DLNA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DLNA 디바이스(300)가 DMC, DMP 또는 DM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20)에 현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DLNA 디바이스 중 DMS와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DLNA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부(320)에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DMS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여 원하는 DMR 디바이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DLNA 시나리오 정보로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DLNA 시나리오 정보를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340)를 통해 DLNA 네트워크 상의 타 DLNA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310)는 GUI제어모듈(311), 통신제어모듈(312), 입력처리모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DLNA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31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부(310)에 포함된 GUI제어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구현되고 그 동작이 제어되나,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 GUI 요소를 제어하는 주체(GUI제어모듈: 311)를 언급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은 크게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에서는 이러한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400),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500)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800)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서브 레이어(500) 및 제2 서브 레이어(8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Pull-down Pop-up)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400)의 일부에 표시된다. '풀다운 팝업 방식'이란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일시적으로 표시되는 방식을 말한다.
도 4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영역을 구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도 4에 예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크게 애플리케이션의 제목이 표시되는 상단 인디케이터(Indicator; 430),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하단 인디케이터(4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메인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에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400)와 메인 레이어(4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한 쌍의 토글바(410, 420)를 포함하는 GUI 객체가 표시되어 있다. 한 쌍의 토글바(410, 420)는 메인 레이어(400)의 가로/세로 비율에 따라 메인 레이어(40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 형태가 아닌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 한 쌍의 토글바(410, 420)는 제1 서브 레이어(500) 및 제2 서브 레이어(800)의 표시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GUI 객체의 예시이다.
토글바(410, 420)는 제1 서브 레이어(500) 및 제2 서브 레이어(800)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클릭'이나 '드레그' 이벤트인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메인 레이어(400)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메인 레이어(400)의 좌우측면)에 행해지는 '마우스 오버' 이벤트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위 토글바(410, 4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토글바(410, 420)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설명한다.
메인 레이어(400)에는 선택된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 목록이 표시되는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에는 초깃값으로 로컬 DLNA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 목록이 표시되거나, 가장 최근에 접근한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 목록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레이어(400)에 표시되는 콘텐츠 목록은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메인 레이어(400)에 콘텐츠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탭 메뉴(402a~402c)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둠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동영상, 디지털 음원, 디지털 이미지별로 분류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목록은 디렉토리(Directory) 방식 또는 전체 목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콘텐츠는 썸네일(Thumbnail), 제목, 아이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 토글바(410, 420)에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각각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서브 레이어와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서브 레이어가 표시된다. 각 서브 레이어는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풀다운 방식으로 메인 레이어(400) 위에 슬라이딩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미디어 서버 선택 영역이 표시되는 서브 레이어를 '제1 서브 레이어'라고 칭하고, 미디어 재생기 선택 영역이 표시되는 서브 레이어를 '제2 서브 레이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메인 레이어(400)에 표시된 콘텐츠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콘텐츠는 이후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된 DMR 디바이스에서 렌더링될 재생목록에 포함된다.
도 6은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도 6은 메인 레이어(400)의 좌측에 위치한 토글바(4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메인 레이어(400) 위에 표시되는 제1 서브 레이어(500)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서브 레이어(500)에는 미디어 서버 선택 영역이 표시된다. 미디어 서버 선택 영역은 DLNA 네트워크 상의 DMS 디바이스의 목록(501a, 501b 참조)이 제공된다. 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DLNA 디바이스(300)가 DMS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DMS 디바이스의 목록에 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DLNA 디바이스(300) 자신도 포함될 수 있다.
제1 서브 레이어(500)가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는, 메인 레이어(400)가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레이어(400)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비활성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메인 레이어(400)의 색상 속성 즉, 색조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메인 레이어(400) 상에 비활성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1 서브 레이어(500) 상에 제공된 DMS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해 선택을 완료하면, 제1 서브 레이어(500)가 메인 레이어(400)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사라지고, 메인 레이어(400)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메인 레이어(400)에는 선택된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의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콘텐츠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이미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되었거나 이후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되는 DMR 디바이스에서 렌더링될 재생목록에 포함된다.
한편,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500)에는 라이브러리(Library) 버튼(502)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라이브러리 버튼(502)을 선택하는 경우 메인 레이어(400)에는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모든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의 통합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통합 목록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수집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주기적으로 수집하거나, 사용자가 라이브러리 버튼을 선택한 때에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메인 레이어(400)의 우측에 위치한 토글바(420)를 선택하는 경우, 미디어 재생기 선택 영역이 표시된 제2 서브 레이어(800)가 활성화된다. 제2 서브 레이어(800)는 메인 레이어(400) 상에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풀다운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레이어(500)와 제2 서브 레이어(800)는 동시에 나타나지 않고 어느 한 쪽이 선택되어 나타날 경우 다른 한 쪽은 사라지게 된다.
도 8은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메인 레이어(400)의 우측에 위치한 토글바(42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메인 레이어(400) 위에 표시되는 제2 서브 레이어(800)를 예시하고 있다. 제2 서브 레이어(800)에는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DLNA 네트워크 상에서 DMR 기능을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의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목록에 포함된 DLNA 디바이스는 DMR 기능뿐만 아니라 DMC, DMS, DMP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DLNA 디바이스가 제1 서브 레이어(500)에 표시되는 목록과 제2 서브 레이어(800)에 표시되는 목록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미디어 재생기 선택 이후 나타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예이다.
예시된 제2 서브 레이어(800)는 3개의 섹션(900, 910, 9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섹션(900)에는 앞서 도 8에 예시한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DLNA 네트워크 상에서 DMR 기능을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의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목록에 포함된 DLNA 디바이스는 DMR 기능뿐만 아니라 DMC, DMS, DMP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DLNA 디바이스가 제1 서브 레이어(500)에 표시되는 목록과 제2 서브 레이어(800)에 표시되는 목록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섹션(910)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911) 및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912)이 표시된다.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911)에는 제3섹션(920)에 표시된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렌더링된다.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912)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911)에 렌더링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렌더링 컨트롤러 GUI 요소가 표시된다.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는 DMR 디바이스에서 렌더링되는데, 사용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911)을 통해 DMR 디바이스에서 렌더링되는 화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912)에 제공되는 렌더링 컨트롤러 GUI 요소를 통해 DMR 디바이스에서 렌더링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DLNA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별개로 구분하지 않고,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 미디어 컨텐츠 선택 과정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과정을 통해 위 세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목록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게 된다. 재생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콘텐츠는 컨트롤 포인트로 기능하는 본 DLNA 디바이스(300)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도 있고, DLNA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DMS 디바이스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재생목록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의 선택을 완료하면, 본 DLNA 디바이스(300)는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DMR 디바이스로 명령하고 DMR 디바이스는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해당 DMS 디바이스에게 요청한다.
만일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DMS 디바이스와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된 DMR 디바이스가 동일한 DLNA 디바이스라면, 해당 DLNA 디바이스는 DMS 기능과 DMR 기능을 모두 갖는 DLNA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이때, 해당 DLNA 디바이스는 로컬로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즉, 자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콘텐츠를 자신의 렌더링 화면에 렌더링한다.
만일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DMS 디바이스와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된 DMR 디바이스가 모두 로컬 DLNA 디바이스가 아니고 별개의 DLNA 디바이스라면, 이때에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 중 3-Box 시나리오가 수행된다.
만일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DMS 디바이스가 로컬 DLNA 디바이스이고,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된 DMR 디바이스가 별개의 DLNA 디바이스라면, 이때에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 중 2-Box Push 시나리오가 수행된다.
만일 미디어 재생기로 선택된 DLNA 디바이스가 본 DLNA 디바이스(300)이고, 재생목록에 포함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DMS 디바이스가 별개의 DLNA 디바이스라면, 이때에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 중 2-Box Pull 시나리오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DLNA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함에 있어서,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디바이스 중에서 어떠한 DLNA 디바이스가 DMS 디바이스로 기능 하는지, DMR 디바이스로 기능 하는지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어떤 디바이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어떤 디바이스에 재생한다는 인식만이 요구될 뿐, 각 DLNA 디바이스가 DMC, DMS, DMR 및 DMP 기능 중 어떠한 기능을 갖는지, 각 DLNA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DMC, DMS, DMR 및 DMP 역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로 어떠한 DLNA 디바이스를 지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필요치 않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제어용 DLNA 디바이스 310: 제어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입력부
340: 통신부 400: 메인 레이어
410: 토글바 420: 토글바
430: 상단 인디케이터 440: 하단 인디케이터
500: 제1 서브 레이어 800: 제2 서브 레이어
900: 제1섹션 910: 제2섹션
911: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
912: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 920: 제3섹션

Claims (21)

  1.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Pull-down Pop-up)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되, 제1섹션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 디바이스의 목록이 표시되고, 제2섹션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 및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이 표시되며, 제3섹션에는 상기 메인 레이어에서 재생목록으로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의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메인 레이어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레이어를 비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레이어의 색조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S(Digital Media Serv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Digital Media Render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이하 '로컬 DLNA 디바이스'라고 칭함)는 DMC 및 DM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LNA 디바이스이고,
    상기 DMS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로컬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이하 '로컬 DLNA 디바이스'라고 칭함)는 DMC 및 DMP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LNA 디바이스이고,
    상기 DMR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로컬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상에 표시된 상기 DMS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해당 DMS 디바이스에 포함된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표시된 콘텐츠 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재생목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에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렌더링하고,
    상기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에는 상기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에 렌더링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트롤러 GUI 요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 표시된 DMR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DMR 디바이스로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DMS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상기 메인 레이어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한 쌍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상기 메인 레이어 위에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레이어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하나에 한 쌍의 토글바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토글바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인 레이어 위에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음성인식센서 또는 터치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6.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DLNA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레이어 및 제2 서브 레이어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풀다운 팝업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되, 제1섹션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 디바이스의 목록이 표시되고, 제2섹션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 및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이 표시되며, 제3섹션에는 상기 메인 레이어에서 재생목록으로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의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레이어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S(Digital Media Serv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Digital Media Renderer) 디바이스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이하 '로컬 DLNA 디바이스'라고 칭함)는 DMC, DMP 및 DM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LNA 디바이스이고,
    상기 DMS 디바이스 목록 및 상기 DMR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로컬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표시된 콘텐츠 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재생목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서브 레이어에 표시된 DMR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DMR 디바이스로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상기 재생목록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DMS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21.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DLNA 네트워크 상의 DLNA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구비한 제어용 DLNA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DLNA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메인 레이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명령을 감지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미디어 서버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1 서브 레이어 및 미디어 재생기 선택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제2 서브 레이어를 풀다운 팝업 방식으로 상기 메인 레이어의 일부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서브 레이어는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며, 제1섹션에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DMR 디바이스의 목록이 표시되고, 제2섹션에는 제어용 미디어 렌더링 패널 및 미디어 렌더링 컨트롤러 패널이 표시되고, 제3섹션에는 상기 메인 레이어에서 재생목록으로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의 목록이 표시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91693A 2012-08-22 2012-08-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6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93A KR101462057B1 (ko) 2012-08-22 2012-08-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201380044444.9A CN104620213B (zh) 2012-08-22 2013-08-21 提供用于在家庭网络中共享媒体内容的用户界面的装置和记录程序的记录介质
PCT/KR2013/007506 WO2014030929A1 (ko) 2012-08-22 2013-08-21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4/629,152 US10031655B2 (en) 2012-08-22 2015-02-23 Device for performing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service scenar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93A KR101462057B1 (ko) 2012-08-22 2012-08-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708A KR20140025708A (ko) 2014-03-05
KR101462057B1 true KR101462057B1 (ko) 2014-11-17

Family

ID=5015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93A KR101462057B1 (ko) 2012-08-22 2012-08-22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31655B2 (ko)
KR (1) KR101462057B1 (ko)
CN (1) CN104620213B (ko)
WO (1) WO2014030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7B1 (ko) * 2012-08-22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D752078S1 (en) * 2013-10-03 2016-03-22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2630S1 (en) * 2013-12-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1888S1 (en) * 2014-03-28 2017-03-21 Jan Magnus Edma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250663B2 (en) 2015-07-14 2019-04-02 Arris Enterprises Llc Gateway streaming media to multiple client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streaming media protocols
KR102399791B1 (ko) * 2015-08-18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탐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534983A (zh) * 2016-11-30 2017-03-22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视频列表中多视频的播放系统及播放方法
CN108667900A (zh) * 2018-03-29 2018-10-16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远程设置智能设备的控制面板的方法及装置
US10817153B2 (en) 2019-03-01 2020-10-27 Bose Corporation Augmented audio development
US10959036B2 (en) * 2019-08-13 2021-03-23 Bose Corporation Augmented audio development to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996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KR20120058051A (ko) * 2010-11-29 201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브라우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906B1 (en) * 1999-07-15 2002-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arch selection tool on a browser
US6727921B1 (en) * 2000-03-20 2004-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xed mode input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data processing system
US20050021245A1 (en) * 2002-06-12 2005-01-27 Yoshinori Furuno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construction machine
JP4575445B2 (ja) * 2005-06-08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Gui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63448B1 (ko) * 2005-12-0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의 3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07179207A (ja)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コンテンツ探索方法
JP5121234B2 (ja) * 2007-01-12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08117586A1 (ja) * 2007-03-28 2008-10-02 Access Co.,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39239B1 (en) * 2007-07-23 2012-08-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workflow access based on user action
JPWO2009028103A1 (ja) * 2007-08-31 2010-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0878B1 (ko) * 2008-01-04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JP4569649B2 (ja) * 2008-03-19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282447B2 (ja) * 2008-05-29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90327241A1 (en) * 2008-06-27 2009-12-31 Ludovic Douillet Aggregating contents located o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servers on a home network
KR20100117396A (ko) * 2009-04-24 2010-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US8836648B2 (en) *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KR101624904B1 (ko) * 2009-11-09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엔엘에이를 이용하여 멀티 사운드 채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063429A (zh) * 2009-11-16 2011-05-18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支持侧边栏快速访问文件系统的操作方式
KR101642310B1 (ko) * 2009-11-23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1690232B1 (ko) * 2010-05-28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20151006A1 (en) * 2010-12-13 2012-06-14 Motorola Mobility, Inc. Content sharing between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nd a wide area network device
US9451319B2 (en) * 2010-12-17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eaming digital content with flexible remote playback
KR101867334B1 (ko) * 2011-08-25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8607284B2 (en) * 2011-11-15 2013-12-10 Arcsoft (Hangzhou) Multimedia Technology Co., Ltd. Method of outputting video content from a digital media server to a digital media renderer and related media sharing system
JP6050625B2 (ja) * 2012-06-28 2016-12-21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462057B1 (ko) * 2012-08-22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62055B1 (ko) * 2012-09-04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홈 미디어 컨텐츠 공유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20150199082A1 (en) * 2012-11-13 2015-07-16 Google Inc. Displaying actionable items in an overscroll area
US20140240343A1 (en) * 2013-02-22 2014-08-28 Corel Corporation Color adjustment control in a digital graphics system using a vision system
US9607083B2 (en) * 2013-03-15 2017-03-28 Bose Corporation Audio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TWI669652B (zh) * 2013-07-12 2019-08-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電腦程式
US10025463B2 (en) * 2013-09-18 2018-07-17 Vivi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scene control
US10469624B2 (en) * 2013-10-07 2019-11-05 Bose Corporation User interface control in a networked audio system
US10222933B2 (en) * 2015-05-30 2019-03-05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intera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996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KR20120058051A (ko) * 2010-11-29 201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브라우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929A1 (ko) 2014-02-27
US20150169210A1 (en) 2015-06-18
CN104620213A (zh) 2015-05-13
US10031655B2 (en) 2018-07-24
CN104620213B (zh) 2019-04-16
KR20140025708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05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75023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US20230308502A1 (en) Contextu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KR101532199B1 (ko)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기법
KR101462055B1 (ko) 다중 홈 미디어 컨텐츠 공유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9678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US20160134942A1 (en)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315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to a home network
EP2744216B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US2014017212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31518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50143423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US760362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onfigured using three frames in a DLNA system
US11115261B2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 by using plurality of storages
KR2012002670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20130318440A1 (e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digital media controller,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US201603499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21661A1 (en) Method of playing content on a digital media renderer and related computer system
CN117915141A (zh) 一种本机按键控制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