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996A -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996A
KR20110052996A KR1020090109773A KR20090109773A KR20110052996A KR 20110052996 A KR20110052996 A KR 20110052996A KR 1020090109773 A KR1020090109773 A KR 1020090109773A KR 20090109773 A KR20090109773 A KR 20090109773A KR 20110052996 A KR20110052996 A KR 2011005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mp
dms
gui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영
곽지연
유은경
여신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2996A/ko
Priority to PCT/KR2010/007543 priority patent/WO2011059195A2/ko
Publication of KR2011005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가 제공된다. 본 GUI 제공방법은, 컨텐츠를 전송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 컨텐츠를 수신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 및 전송될 컨텐츠가 나타난 제3 아이템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의 크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크기가 보다 유동적인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GUI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보다 다양하게 기기들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지털 컨텐츠, GUI, 아이템, 크기, 배치 상태

Description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Method for providing GUI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기기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기기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기 기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기기에서 다른 디지털 기기로 컨텐츠 전송과 관련한 원격 제어를 위한 GUI를 구성하는 아이템들이 보다 유동적인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기기에서 기능을 수행한 결과가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제어에 이용되는 GUI를 구성하는 아이템들이 보다 유동적인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컨텐츠를 전송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아이템에 나타난 제2 기기로 전송될 상기 컨텐츠가 나타난 제3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경단계는, 활성화된 아이템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화된 아이템은, 크기가 확대되면, 다른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아이템은, 활성화되면, 확대되면서 상기 제1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이 나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이템은, 활성화되면, 확대되면서 상기 제2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이 나열될 수 있다.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2 아이템을 확대하고, 상기 제3 아이템을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아이템에 나타난 제2 기기로 상기 컨텐츠가 전송될 것임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제2 아이템의 좌측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아이템의 배치상태, 상기 제2 아이템의 배치상태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배치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아이템에는, 상기 제1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의 리스트 및 상기 제1 기기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2 아이템에는, 상기 제2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의 리스트 및 상기 제2 기기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3 아이템에는,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 보유된 컨텐츠 의 리스트가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아이템의 색은, 상기 제2 아이템의 색과 상이하고, 상기 제3 아이템의 색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GUI 아이템을 포함한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컨텐츠를 전송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 및 상기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기기로 전송될 상기 컨텐츠가 나타난 제3 아이템이 나타난 GUI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기능을 수행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수행 결과가 나타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가 수행할 상기 기능이 나타난 제3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와 배치 상태가 보다 유동적인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GUI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보다 다양하게 디지털 기기들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 구성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디지털 카메라(10), 모바일폰(20), STB(Set Top Box)(30), PC(Personal Computer)(40), 랩탑 컴퓨터(50), DTV(60) 및 디지털 액자(7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기반한 네트워크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상호간에 디지털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디지털 컨텐츠 공유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은 DMS(Digital Media Server), DMP(Digital Media Player) 또는 DMC(Digital Media Controller)로 동작한다.
DMS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기기이다. 그리고, DMP는 DMS가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기기로, DMR(Digital Media Renderer)로도 표현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DMP로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DMC는 디지털 컨텐츠가 DMS에서 DMP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이다. 원격 제어를 위해, 1) DMS 지정, 2) DMS 에서 DMP로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 지정 및 3) DMP 지정 등이 필요한데, 이들은 모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DMC는 원격 제어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인, 1) DMS, 2)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 및 3) DMP를 사용자로부터 지정받는데 이용되는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한편, DMC는 DMS와 DMP 이외의 별개의 디지털 기기가 될 수도 있지만, DMS 또는 DMS가 DMC의 기능을 병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유념할 것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디지털 기기가 다른 디지털 기기로 교체된 네트워크에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은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유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2. 원격 제어용 GUI
이하에서는, 'DMS에서 DMP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인, 1) DMS, 2)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 및 3) DMP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데 이용되는 GUI'(이하, '원격 제어용 GUI(100)'로 표기한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DMC가 제공하는 원격 제어용 GUI(100)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이 나타나 있다.
DMS 아이템(110)은 DMS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선택/표시하는데 이용되는 GUI 아이템이고, DMP 아이템(120)은 DMP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선택/표시하는데 이용되는 GUI 아이템이다.
제어기 아이템(130)은 DMS와 DMP의 동작 제어와 관련한 사항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GUI 아이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 아이템(130)은 DMS와 DMP의 동작 제어와 관련한 사항으로, DMS에서 DMP로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표시하는데 이용된다.
도 2b에는, DMS 아이템(11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DMS 아이템(110)이 확대되고 내부에 'DMS 리스트'가 표시된 상황을 도시하였다. 도 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DMS 아이템(110)은 확대되면서 다른 아이템인 제어기 아이템(130)을 가리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MS 리스트'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 중 DMS가 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의 나열이다. 사용자는 DMS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MS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c에는, 사용자가 DMS 리스트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선택하여, 1) DMS 아이템(110)에 "디지털 카메라"가 표시되고, 2) 제어기 아이템(130)에는 디지털 카 메라(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들이 나열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가 나타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컨텐츠들 중 DMS에서 DMP로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때, 선택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컨텐츠들 중 하나는 물론 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d에는, DMP 아이템(12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DMP 아이템(120)이 확대되고 내부에 'DMP 리스트'가 표시된 상황을 도시하였다. 도 2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DMP 아이템(120)은 확대되면서 다른 아이템인 제어기 아이템(130)을 가리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MP 리스트'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 중 DMP가 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의 나열이다. 사용자는 DMP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MP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e에는, 사용자가 DMP 리스트에서 "DTV"를 선택하여, DMP 아이템(120)에 "DTV"가 표시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원격 제어용 GUI(100)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면, 디지털 카메라(10)에서 DTV(60)로 "디지털 컨텐츠 1"과 "디지털 컨텐츠 3"이 전송되게 된다. 물론, 전송 시작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송 시작 아이템(미도시)를 선택할 것이 요구된다.
도 3a에는,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의 설정대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DTV(60)를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DTV(60)의 디스플레이 상부에는 DMS인 "디지털 카메라"와 DMP인 "DTV"가 나타나 있고, DMS와 DMP 간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가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TV(6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의 출처가 어느 디지털 기기인지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b에도,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의 설정대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DTV(60)를 도시하였다.
도 3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며, DTV(60)의 디스플레이 상부에는 DMS인 "디지털 카메라"와 DMP인 "DTV" 외에 DMC인 "모바일폰"이 더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TV(6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의 출처가 어느 디지털 기기인지 알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원격 제어가 어느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이루어지는지도 알 수 있게 해준다.
3.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는 '가로 방향으로 긴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이하, '가로 타입 디지털 기기'로 표기한다.)에 적합하며, '세로 방향으로 긴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이 하,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로 표기한다.)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100)를 예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100)에도,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이 나타나 있다.
DMS 아이템(11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은 다른 아이템들(120, 130)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크게 확대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가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와 차이가 있다.
또한, DMP 아이템(12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에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P 아이템(120)은 다른 아이템들(110, 130)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크게 확대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와 차이가 있다.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를 적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의 경우도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가로 타입과 세로 타입이 모두 가능한 디지털 기기의 경우에는, 현재 디지털 기기가 어느 타입으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를 선택적으 로 적용하도록 구현가능하다.
4. 원격 제어용 GUI 에서의 지정 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원격 제어용 GUI(100)를 통해, "DMS → 디지털 컨텐츠→ DMP" 순서대로 지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지정 순서는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1) "DMS → DMP → 디지털 컨텐츠" 또는 2) "DMP → DMS → 디지털 컨텐츠" 순서대로 지정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5. DMS DMP 지정이 용이한 원격 제어용 GUI
도 5a는 원격 제어용 GUI(1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DMS 아이템(110) 및 DMP 아이템(120)이 나타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제어기 아이템(130)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와 차이가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서, DMS 아이템(110)에는 DMS 리스트가 나타나 있고 DMP 아이템(120)에는 DMP 리스트가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도,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100)와 차이가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카메라"를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 리스트에 나열된 "DTV"로 드래그하면, DMS로 "디지털 카메라"가 지정되고 DMP로 "DTV"가 지정된다.
도 5c에는 DMS로 "디지털 카메라"가 지정되고 DMP로 "DTV"가 지정된 상태를 나타낸 원격 제어용 GUI(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c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도 5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제어기 아이템(130)이 나타나 있다.
이는, DMS와 DMP 설정이 완료되어,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를 지정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1)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원하는 디지털 기기를 중앙의 슬릿(140)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DMS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지정하고, 2)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원하는 디지털 기기를 중앙의 슬릿(140)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DMP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슬릿(140)을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DMS/DMP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함께 변경할 수도 있다.
6. 여러 DMS 및/또는 DMP 지정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
전술한 도 5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는, DMS 및/또는 DMP를 복수로 지정하는데에도 적합한 타입의 GUI이다. 도 5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 서는 DMS 리스트와 DMP 리스트가 함께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DMS가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용 GUI(100)의 DMS 아이템(110)에는 DMS 리스트의 좌측에 '선택된 DMS 리스트'가 나타난다. '선택된 DMS 리스트'는 DMS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DMS로 선택된 디지털 기기들의 나열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DMP가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용 GUI(100)의 DMP 아이템(120)에는 DMP 리스트의 우측에 '선택된 DMP 리스트'가 나타난다. '선택된 DMP 리스트'는 DMP 리스트에 나열된 디지털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DMP로 선택된 디지털 기기들의 나열이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DMS와 DMP 모두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선택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에는 DMS 리스트의 좌측에 선택된 DMS 리스트가 나타나고, DMP 아이템(120)에도 DMP 리스트의 우측에 선택된 DMP 리스트가 나타나게 된다.
7. 아이템들이 세로로 배치된 원격 제어용 GUI
도 8a 내지 도 8c에는 원격 제어용 GUI(1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8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들과 차이가 있다.
DMS 아이템(11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DMS 아이템(110)이 확대되고 내부에 DMS 리스트가 표시된 상황이,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DMS 아이템(110)이 확대되어, 제어기 아이템(130)이 가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DMP 아이템(120)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DMP 아이템(120)이 확대되고 내부에 DMP 리스트가 표시된 상황이, 도 8c에 도시되어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DMP 아이템(120)이 확대되어, 제어기 아이템(130)이 가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에는, 좌측에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우측에 제어기 아이템(130)이 배치된, 원격 제어용 GUI(100)를 예시하였다.
도 9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는, 도 2a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가 변형되어 나타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 사이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흐름 표시(→)를 사용자(U)가 원격 제어용 GUI(100)의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원격 제어용 GUI(100)의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8. 기타 변형된 원격 제어용 GUI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어기 아이템(130)이 배치 되고, 하부에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원격 제어용 GUI(100)도 상정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을 통해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에 DMP 아이템(120)이 배치되고, 하부에 DMS 아이템(110)이 배치되는, 원격 제어용 GUI(100)도 상정가능하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배치되는, 원격 제어용 GUI(100)도 상정가능하다. 여기서,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배치되었다 함은, DMS 아이템(110)가 우측에 위치하고 DMP 아이템(120)가 좌측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뒤바뀔 수 있다. 즉,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드래그하면, 도 13b와 도 13c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뀌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DMS와 DMP 간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 표시 "→"의 우측 부분을 오랫 동안 터치하면, 도 14b와 도 14c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DMP 아이템(120)은 안으로 들어가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DMS 아이템(110)은 밖으로 나오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뀌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만약, 사용자(U)가 화살 표시 "→"의 좌측 부분을 오랫 동안 터치한다면, DMS 아이템(110)은 안으로 들어가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DMP 아이템(120)은 밖으로 나오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뀌게 될 것이다.
한편,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화살 표시 "→"를 터치한 후 180° 회전시킨 경우에도,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뒤바뀌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위에서 언급한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를 바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DMS 아이템(110)의 위치와 DMP 아이템(120)의 위치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와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가 서로 바뀌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와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가 서로 바뀐다 함은,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가 DMP 아이템(120)에 DMP로 나타나고,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가 DMS 아이템(110)에 DMS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DMS로 동작할 디지털 기기와 DMP로 동작할 디지털 기기를 서로 바꾸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9. 색상으로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킨 원격 제어용 GUI
도 16a에는 원격 제어용 GUI(100)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16a에 도시 된 원격 제어용 GUI(100)는,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서로 다른 색으로 나타나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시의 편의상 도 16a에서는, DMS 아이템(110)의 빗금 방향과 DMP 아이템(120)의 빗금 방향을 서로 다르게 도시하여, 양자가 서로 다른 색으로 나타난 것임을 나타내었다.
도 16b에는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이 나타난 원격 제어용 GUI(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는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들의 나열이다.
이와 같이,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는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와 관련이 있으므로, 제어기 아이템(130)의 색과 DMS 아이템(110)의 색은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한편, 도 16c에서,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는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에서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들의 나열이다.
이와 같이,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는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와 관련이 있으므로, 제어기 아이템(130)의 색과 DMP 아이템(120)의 색은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한편, 도 16d에는 DMS에서 DMP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 중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세지(150)가 나타난 원격 제어용 GUI(1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안내 메세지(150)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가 나타나 있는데, 이 프로그레스 바의 색은 DMS 아이템(110)의 색과 동일하게 적용되 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6e에는 DMS로부터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 중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세지가 DMP에 나타난 상황을 도시하였다. 도 16e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안내 메세지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수신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가 나타나 있는데, 이 프로그레스 바의 색은 DMP 아이템(120)의 색과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10.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속성들을 기초로, DMS 리스트 생성
DMS 아이템(110)에 나타나는 DMS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DMC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속성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DMC는 파악된 속성들을 기초로, DMS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추출한다.
DMS로 기능할 수 디지털 기기라 함은,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를 말한다. 따라서, 1)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디지털 기기나, 2)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이를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할 수 없는 디지털 기기는, DMS로 기능할 수 없다.
이후, DMC는 DMS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하여 DMS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DMC는 생성한 DMS 리스트를 원격 제어용 GUI(100)의 DMS 아이템(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DMC는 DMS 리스트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 하되, 1) DMS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은 활성화된 상태(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나타내고, 2) DMS로 기능할 수 없는 디지털 기기들은 비활성화된 상태(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는 상태)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DMS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11.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속성들을 기초로, DMP 리스트 생성
DMP 아이템(120)에 나타나는 DMP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DMC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속성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DMC는 파악된 속성들을 기초로, DMP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추출한다.
DMP로 기능할 수 디지털 기기라 함은,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받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를 말한다. 따라서,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디지털 기기는, DMP로 기능할 수 없다.
이후, DMC는 DMP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하여 DMP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DMC는 생성한 DMP 리스트를 원격 제어용 GUI(100)의 DMP 아이템(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DMC는 DMP 리스트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하되, 1) DMP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은 활성화된 상태로 나타내고, 2) DMP로 기능할 수 없는 디지털 기기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DMP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12.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 속성을 기초로, DMP 리스트 생성
DMC는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DMP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해, DMC는 제어기 아이템(130)을 통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파악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으로, DMC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파악하는데, 이는 파일 확장자를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후, DMC는 파악된 파일 포맷의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DMP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로 추출한다. 그리고, DMC는 DMP로 기능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하여 DMP 리스트를 생성한다. DMC는 생성한 DMP 리스트를 원격 제어용 GUI(100)의 DMP 아이템(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DMP 리스트에 디지털 기기들을 나열할 때, DMC는 디지털 기기들의 속성을 고려하여 나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MC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순서로 디지털 기기들을 DMP 리스트에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정지영상 파일의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는 DMP 리스트에서 디지털 액자(70)의 나열 순서가 빠르도록 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동영상 파일의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는 DMP 리스트에서 DTV(60)의 나열 순서가 빠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DMP 의 속성을 기초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 생성
원격 제어용 GUI(100)를 통해, "DMP 지정"을 "디지털 컨텐츠 지정" 보다 먼저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전술한 바 있는데, 이 경우 DMC는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 생성함에 있어 DMP의 속성을 참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타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DMC는 DMP 아이템(120)을 통해 선택된 DMP의 속성을 파악한다. DMP의 속성으로, DMC는 DMP가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파악하게 된다.
이후, DMC는 파악된 파일 포맷의 디지털 컨텐츠들만을 나열하여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DMC는 생성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를 원격 제어용 GUI(100)의 제어기 아이템(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DMS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 모두를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에 나열하되, 1) DMP가 재생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의 디지털 컨텐츠들은 활성화된 상태로 나타내고, 2) DMP가 재생할 수 없는 파일 포맷의 디지털 컨텐츠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디지털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14. 원격 제어용 GUI 의 크기 변경 및 이동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DMS 아이템(110)와 DMP 아이템(120)이 나타난 프레임(170)의 우하-모서리를 드래그 조작하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0)과 이에 나타난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의 크기가 축소된다.
도 17c 및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축소된 프레임(170)은 사용 자(U)의 드래그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제어기 아이템(130) 내부로도 이동가능하다.
한편,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프레임(170)의 우하-모서리를 드래그 조작하면,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0)과 이에 나타난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의 크기가 확대되면서, 프레임(17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0)의 크기가 확대되면서 원격 제어용 GUI(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 이유는, 프레임(170)이 원격 제어용 GUI(100)의 하단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이다.
만약, 프레임(170)이 원격 제어용 GUI(100)의 상단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더라면, 프레임(170)은 크기가 확대되면서 원격 제어용 GUI(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15. 원격 제어용 GUI 의 표시 아이템 전환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제어기 아이템(130)을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도 18b와 도 18c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제어기 아이템(130)은 상부부터 안으로 들어가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사라진다. 그리고,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나타난 프레임(160)은 하부가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밖으로 나오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확대된다. 이때,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에는 각각 DMS 리스트와 DMP 리스트가 나타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나타난 프레임(160)의 중앙을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도 18e 및 도 18f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제어기 아이템(130)은 하부부터 밖으로 나오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나타난다. 그리고,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나타난 프레임(170)은 하부가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밖으로 나오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면서 축소되며, 그 결과는 도 18f에 도시되어 있다.
16. 디지털 컨텐츠 전송을 대칭적인 프로그레스 바로 표현
도 19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수신중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좌측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는, DMS에서 DMP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로서, DMS 또는 DMC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19의 우측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는, DMS로부터 DMP로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중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로, DMP에 표시된다.
도 19에 도시된 화살 표시들 "→", "←"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에 도시된 프로그래스 바와 우측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의 진행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다.
도 19의 좌측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는 "→"에 따라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데, 이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에 의해 전송할 분량이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도 19의 우측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는 "←"에 따라 우에서 좌로 이동하는데, 이는 디지털 컨텐츠 수신에 의해 재생할 분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17. DMP 교체의 경우
한편, DMS에서 DMP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되어 재생되는 중에, DMC에 나타난 원격 제어용 GUI(100)를 이용하여 DMP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교체 전의 DMP와 교체 후의 DMP에 나타나는 화면의 변화를 도 20a에 나타내었다. 도 20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측에 도시된 교체 전의 DMP 화면에서는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가 화살 표시(↑)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고, 우측에 도시된 교체 후의 DMP 화면에서는 화살 표시(↓) 방향에 따라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가 위에서 아래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DMP 교체시, 교체 전의 DMP와 교체 후의 DMP에 나타나는 화면의 변화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측에 도시된 교체 전의 DMP 화면에서는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가 화살 표시(→) 방향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고, 우측에 도시된 교체 후의 DMP 화면에서는 화살 표시(→) 방향에 따라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18. 원격 제어용 GUI 를 이용한 기능 수행 제어
지금까지 예시한 원격 제어용 GUI들은, DMS에서 DMP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예시된 원격 제어용 GUI를 다른 용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DMS에서 수행된 기능 수행 결과가 DMP에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DMC에서 수행하기 위해,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 리스트에서 하나의 기기를 DMS로 선택하여 제어기 아이템(130)으로 드래그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아이템(130)에는 DMS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이 나열된다.
사용자는 제어기 아이템(130)에 나열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DMS가 수행할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도 21b에는 "RECORD" 기능이 선택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P 아이템(120)이 활성화된 경우에 나타나는 DMP 리스트에서 하나의 기기를 DMP로 선택하면,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P 아이템(120)에는 선택된 DMP가 나타나게 된다.
DMP 아이템(120)에 나타난 DMP는 'DMS 아이템(110)에 나타난 DMS가 제어기 아이템(130)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한 결과'가 나타나는 기기이다.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원격 제어용 GUI(100)가 설정된 경우는, 디지털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컨텐츠가 DTV(60)에 표시되고 저장되게 된다.
한편, 도 21a 내지 도 21d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도,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들과 같이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들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생략한다.
19.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10, 20, 30, 40, 50, 60 및 70)의 구성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기기들(10, 20, 30, 40, 50, 60 및 70)은 DMS, DMP, DMC로 기능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기기들(10, 20, 30, 40, 50, 60 및 7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는, 기능 블럭(210), 터치 스크린(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통신부(250)를 구비한다.
기능 블럭(210)은 디지털 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1) 만약 디지털 기기가 디지털 카메라(10)라면, 기능 블럭(210)은 촬영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2) 만약 디지털 기기가 모바일폰(20)이라면, 기능 블럭(210)은 전화 통화 및 SMS 기능을 수행하며, 3) 만약 디지털 기기가 DTV(60)라면, 기능 블럭(210)은 방송 수신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220)은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등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기능 블럭(210)의 기능 수행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통신부(250)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디지털 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50)를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들과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 및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디지털 기기가 DMC로 기능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전술한 원격 제어용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원격 제어용 GUI를 터치 스크린(22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30)는 원격 제어용 GUI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난 원격 제어용 GUI(100)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220)에 표시한다(S310).
S310단계에서 생성/표시되는 원격 제어용 GUI(100)이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이라면,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DMS 아이템(110), DMP 아이템(120) 및 제어기 아이템(130) 모두가 포함된다.
한편, S310단계에서 생성/표시되는 원격 제어용 GUI(100)이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이라면, 원격 제어용 GUI(100)에는 DMS 아이템(110)와 DMP 아이템(120)만이 포함된다.
이후, S310단계에서 생성/표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 포함된 아이템의 크기 변경이 필요하면(S320-Y), 제어부(230)는 해당 아이템의 크기를 변경한다(S330).
도 2b 및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은 활성화되면 크기가 확대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이 활성화되었다면, 이들의 크기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S330단계에서 제어부(230)는, DMS 아이템(110)과 DMP 아이템(120)를 확대시키고 제어기 아이템(130)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 아이템(130)의 크기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어기 아이템(130)의 크기를 변경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S310단계에서 생성/표시된 원격 제어용 GUI(100)에 포함된 아이템의 배치 상태 변경이 필요하면(S340-Y), 제어부(230)는 해당 아이템의 배치 상태를 변경한다(S350).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상황, 도 13a 내지도 13c에 도시된 상황 및 도 17a 내지 도 17b에 도시된 상황 등이, 원격 제어용 GUI(100)에 포함된 아이템의 배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DMS에서 수행된 기능 수행 결과가 DMP에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제어용 GUI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제어부(230)는 도 23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DMC가 제공하는 원격 제어용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e에 도시된 원격 제어용 GUI의 설정대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DTV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세로 타입 디지털 기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용 GUI를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원격 제어용 GUI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슬릿을 이용하여 DMS와 DMP로 기능할 디지털 기기를 지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DMS 및/또는 DMP를 복수로 지정하는데에도 적합한 타입의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원격 제어용 GUI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좌측에 DMS 아이템과 DMP 아이템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우측에 제어기 아이템이 배치된, 원격 제어용 GUI를 예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DMS 아이템과 DMP 아이템이 원격 제어용 GUI의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부에 제어기 아이템이 배치되고, 하부에 DMS 아이 템과 DMP 아이템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원격 제어용 GUI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DMS 아이템의 위치와 DMP 아이템의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배치되는, 원격 제어용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DMS 아이템의 위치와 DMP 아이템의 위치를 뒤바뀌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DMS 아이템의 위치와 DMP 아이템의 위치를 뒤바뀌는 다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DMS 아이템의 위치와 DMP 아이템의 위치를 뒤바뀌는 또 다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e는, DMS 아이템과 DMP 아이템이 서로 다른 색으로 나타나도록 구현한 원격 제어용 GUI을 예시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f는 DMS 아이템과 DMP 아이템의 크기 변경 및 이동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f는, 아이템들의 배치 상태 변경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9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을 대칭적인 프로그레스 바로 표현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DMP 교체시 교체 전의 DMP와 교체 후의 DMP에 나타나는 화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원격 제어용 GUI를 이용한 기능 수행 제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기기들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컨텐츠를 전송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아이템에 나타난 제2 기기로 전송될 상기 컨텐츠가 나타난 제3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활성화된 아이템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아이템은,
    크기가 확대되면, 다른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활성화되면, 확대되면서 상기 제1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이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활성화되면, 확대되면서 상기 제2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이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2 아이템을 확대하고, 상기 제3 아이템을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아이템에 나타난 제2 기기로 상기 컨텐츠가 전송될 것임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제2 아이템의 좌측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의 배치상태, 상기 제2 아이템의 배치상태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배치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에는,
    상기 제1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의 리스트 및 상기 제1 기기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의 리스트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에는,
    상기 제2 기기가 될 수 있는 기기들의 리스트 및 상기 제2 기기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의 리스트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템에는,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에 보유된 컨텐츠의 리스트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의 색은,
    상기 제2 아이템의 색과 상이하고, 상기 제3 아이템의 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GUI 아이템을 포함한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컨텐츠를 전송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 및 상기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기기로 전송될 상기 컨텐츠가 나타난 제3 아이템이 나타난 GUI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5. 기능을 수행할 제1 기기가 나타난 제1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수행 결과가 나타날 제2 기기가 나타난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에 나타난 제1 기기가 수행할 상기 기능이 나타난 제3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크기, 상기 제2 아이템의 크기 및 상기 제3 아이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KR1020090109773A 2009-11-13 2009-11-13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KR20110052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73A KR20110052996A (ko) 2009-11-13 2009-11-13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PCT/KR2010/007543 WO2011059195A2 (ko) 2009-11-13 2010-10-29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73A KR20110052996A (ko) 2009-11-13 2009-11-13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996A true KR20110052996A (ko) 2011-05-19

Family

ID=4399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73A KR20110052996A (ko) 2009-11-13 2009-11-13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52996A (ko)
WO (1) WO201105919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29A1 (ko) * 2012-08-22 2014-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45A (ko) * 2001-03-26 2002-10-09 유춘열 그래픽 데이터 크기 조절에 의한 그래픽 배너광고 표현 방법
KR100663448B1 (ko) * 2005-12-0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의 3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510878B1 (ko) * 2008-01-04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90078907A (ko) * 2008-01-16 2009-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 상에서의 방송 수신 방법 및 dlna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29A1 (ko) * 2012-08-22 2014-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62057B1 (ko) * 2012-08-22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620213A (zh) * 2012-08-22 2015-05-13 Sk电信有限公司 提供用于在家庭网络中共享媒体内容的用户界面的装置和记录程序的记录介质
US20150169210A1 (en) * 2012-08-22 2015-06-18 Sk Telecom Co., Ltd. Device for performing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service scenario
US10031655B2 (en) 2012-08-22 2018-07-24 Sk Telecom Co., Ltd. Device for performing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service scenario
CN104620213B (zh) * 2012-08-22 2019-04-16 Sk电信有限公司 提供用于在家庭网络中共享媒体内容的用户界面的装置和记录程序的记录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95A3 (ko) 2011-11-03
WO2011059195A2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5268B (zh) 移動影像之再生處理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資訊終端機
KR1022620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5586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208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75009A (ko) Gui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5005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21640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00132417A (ko) 컨텐츠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N103874977B (zh) 用户终端装置和控制该用户终端装置的渲染器的方法
EP2690541B1 (en) Method of displaying status bar
TW201334514A (zh) 遠端觸控操作的電視系統
CN107924281A (zh) 显示装置、电视接收机、程序以及记录介质
EP260552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s to touch screens
US202201342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40085219A1 (en) Controlling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ortions through touch-sensitive display
KR201500743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836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방송예약방법
JP606298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110052996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CN106462518A (zh) 用户终端及其控制方法
CN111259639B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US201201399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100502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6150654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制御装置、遠隔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03914A (ja) 表示装置、表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2

Effective date: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