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090B1 -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090B1
KR100736090B1 KR1020060067635A KR20060067635A KR100736090B1 KR 100736090 B1 KR100736090 B1 KR 100736090B1 KR 1020060067635 A KR1020060067635 A KR 1020060067635A KR 20060067635 A KR20060067635 A KR 20060067635A KR 100736090 B1 KR100736090 B1 KR 10073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control point
messag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948A (ko
Inventor
고영구
김윤수
최상선
김정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624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JP4456095B2/ja
Priority to EP06121298.1A priority patent/EP1770934B1/en
Priority to US11/528,615 priority patent/US7958272B2/en
Publication of KR2007003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5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벤팅 처리 기술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은,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및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a)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전송받은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게 되는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비세션 연결 메시지(OOSConnect Action)를 보내는 단계; 및 (d)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PnP, RUI 제어 포인트, 제 3의 장치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UI event of 3rd party device in home 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UPnP 에서의 이벤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UPnP Remote UI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서버 장치에게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제 3의 장치로부터 UI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UI 이벤트를 처리할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OOSConnect Action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RUI 제어 포인트 200: RUI 서버
300: 제 3의 장치 400: RUI 클라이언트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벤팅 처리 기술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UI 세션에 속하지 않는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다른 장치가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 기반의 사설 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개인 컴퓨터(PC)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우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미들웨어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하여 기기들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HWW(Home Wide Web)등이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다.
이 중 UPnP 미들웨어를 통해 구축되는 컴퓨팅 환경에서 각 기기들은 동적 호스트 구성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에 따라 서버로부터 할당받거나 자동 IP 지정 기능(Auto IP)에 의해 선택되는 주소를 할당받고, 이를 통해 각 기기들간의 통신 및 네트워크 상에서의 검색/조회를 수행한다.
UPnP 네트워크는 가까운 미래에 가장 많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홈 네트워크 기술로서, UPnP 디바이스와 UPnP 서비스(service)를 정의하고 이들 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하고 있다. UPnP 네트워크는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홈 네트워크 기기인 피제어 장치(Controlled Device: CD)와, 이들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인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CP)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벤트를 요청하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포인트의 요청에 따라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제어 장치의 상태(state)가 변경되면 이벤트를 요청한 제어 포인트에게 상기 이벤트를 보내는 구성 요소이다.
종래의 UPnP 네트워크의 기기간의 각 단계별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디스커버리-에드버타이즈먼트(discovery-advertisement) 과정, 디스크립션(Description)과정, 제어(Control) 과정, 및 이벤팅(eventing)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디스커버리-에드버타이즈먼트(discovery-advertisement) 과정은 새로운 피제어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과정과, 새로운 제어 포인트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피제어 장치들을 검색(search)하는 디 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포함한다.
디스크립션(description) 과정은,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discovery-advertisment 과정에서 얻어진 피제어 장치의 IP 주소를 통해 서비스 디스크립션 (service descrip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또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vice description) XML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새로 추가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는 과정이다.
제어(control) 과정은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장치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에 따라 SOAP를 이용해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action request)를 해당 피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result, variable value)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이벤팅(eventing) 과정은 제어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한 피제어 장치의 정보 변경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이벤팅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장치가 1:1의 관계를 이루면서 이벤팅 과정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먼저,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장치의 정보 변경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는 메시지(subscription request)를 피제어 장치의 서비스에 전송하면, 피제어 장치의 서비스에서는 변경된 정보를 알리기 위해 GENA(Generic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를 통해 포맷된 XML 형태의 이벤트 메시지(event message)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송신한다. 제어 포인트에서는 피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피제어 장치에 대 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업데이트 항목으로 처리한다. 만일 subscribe 기간이 만료하였는데도 제어 포인트가 계속 이벤트를 받고 싶을 때는 다시 피제어 장치의 서비스에게 갱신 요청(Renewal request) 메시지를 보내어 subscription 기간의 연장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는 새로운 subscription 기간을 명시하여 subscription을 허용한다. 제어 포인트가 더 이상 이벤트 수신을 원치 않을 때는 피제어 장치의 서비스에게 unsubscribe 메시지를 보내어 subscription을 취소(Cancellation)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UPnP Remote UI 에서 제안하는 이벤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어 포인트(10)가 피제어 장치에 해당하는 RUI 서버(20)와 RUI 클라이언트(30)에게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다(S11). 또한, 제어 포인트(10)는 RUI 서버(20)가 RUI 클라이언트(3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유용한 UI 정보들을 획득한 후(S12), RUI 클라이언트(30)를 통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적절한 UI를 선택하게 된다(S13). 그리고, RUI 클라이언트(30)와 연결하여 상기 선택한 UI를 출력해 줄 것을 요청하고(S14), 상기 요청을 받은 RUI 클라이언트(30)는 RUI 서버(20)와 Out of Band 프로토콜을 형성하여 상기 UI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S15).
일반적으로, 피제어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면 제어 포인트에게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태가 변경됨을 알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UPnP Remote UI에서는 UPnP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이벤트 외에 RUI 서버(20)의 UI 상태가 변경되면 이를 반영하는 RUI 클라이언트(30)에게 알리는 수단은 두 장치(20, 30)간의 리모트 프로토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이는 두 장치(20, 30)간에 맺어진 리모트 프로토콜 세 션(Remote Protocol Session)이 진행 중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런데, 만일 제 3의 장치가 존재하여 어떠한 자신의 상태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트 UI 방법으로는 커버하기 힘들다. 실제로 UPnP Remote UI 스펙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메시지 액션(DisplayMessage Action)을 제공하지만, 상기 액션은 CP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RUI 서버(20)에 포함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RUI 서버(20)는 UPnP의 피제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단지 DisplayMessage Action을 호출하기 위해서 UPnP CP의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는 리소스(Resource)가 부족한 장치에서 비효율적이며, CP 기능의 추가로 인해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Remote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가 자신의 상태를 다른 장치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려 자신의 UI를 표시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 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은,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및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a)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전송받은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게 되는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비세션 연결 메시지(OOSConnect Action)를 보내는 단계; 및 (d)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는,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 및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 포인트; 및 상기 수신한 제어 포인트에 의해 선택되는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목적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비세션 연결 메시지(OOSConnect Action)를 보내면,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미리 정의된,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또는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로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응용이라고 할 수 있는 UPnP Remote User Interface (Remote UI; 이하, RUI로 표현함) 시스템을 기반으로 서술할 것이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도 상기 UPnP RUI 스펙에 규정된 장치의 명칭을 이용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 포인트는 RUI-CP로, 피제어 장치 중 서버는 RUI Server(RUIS)로, 피제어 장치 중 클라이언트는 RUI Client(RUIC)로, 그리고 제 3의 장치는 3rd party RUIS로 표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장치 의 명칭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RUIS1(200_1)-RUIC1(400_1) 세트와 RUIS2(200_2)-RUIC2(400_2) 세트가 UPnP RUI 시스템에 존재하고 있으며, 제어 포인트에 해당하는 RUI-CP1(100_1)과 RUI-CP2(100_2)가 상기 세트들을 각각 제어하고 있다. 또한,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RUI-CP1(100_1)과 RUI-CP2(100_2)의 제어를 받으면서 UI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 3의 장치'인 3rd party RUIS1(300_1)과 3rd party RUIS2(300_2)가 존재함으로써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피제어 장치인 서버에 해당하는 RUIS1(200_1)이나 RUIS2(200_2)는 데스크탑 PC나 전화기처럼 UI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피제어 장치인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RUIC1(400_1)이나 RUIC2(400_2)는 상기 데스크탑 PC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 다른 장소의 PC가 되거나, 상기 전화기의 벨이 울리고 있다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TV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격 프로토콜이란 상기 RUIS의 UI 이벤트를 상기 RUIC가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RUIS와 상기 RUIC를 세션에 참여시키는 규약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RDP(Remote Desktop Protocol), HTTP, XHT 등의 프로토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RUI-CP(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견된 서버에 대해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을 요청하는 과정이다(S110). 상기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제어 포인트가 서버 장치에게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RUI-CP(100)가 RUIS1(200_1)에게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고(S111), 상기 RUIS1(200_1)은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초기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112, S113). 또한, RUI-CP(100)는 또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인 RUIC2(400_2)에게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S114, S115, S116).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RUI-CP(100)는 상기 홈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견된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대해서도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S120).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RUI-CP(100)가 RUIC1(400_1)에게 RUIC1(400_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S121), 상기 요청받은 RUIC1(400_1)은 이에 대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122). 상기 정보를 제공받은 RUI-CP(100)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123). 그리고, 상기 RUI-CP(100)는 또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인 RUIC2(400_2)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124, S125, S126). 상기 도 6의 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Remote Protocol) 정보 및 상기 제 3의 장치에 의해 발생된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Out Of Session Capa Info; 이하, OOSCapaInfo라고 함)를 포함한다.
상기 RUI-CP(100)가 피제어 장치인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션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제 3의 장치가 자신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게 되다. 그러면, 상기 RUI-CP(100)가 상기 제 3의 장치가 발생시키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S13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제어 포인트가 제 3의 장치로부터 UI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UI 이벤트를 처리할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RUIS(200)와 RUIC(400)간의 UI 세션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또 다른 서버 장치에 해당하는 3rd party RUIS1(300_1)가 어느 시점에서 자신의 상태를 변경하게 될 경우(S131), 상기 상태 변경 사실을 알려주는 이벤트 메시지를 발생시켜 상기 RUI-CP1(100_1)로 전송한다(S132). 상기 전송받은 RUI-CP1(100_1)은 상기 3rd party RUIS1(300_1)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133). 예를 들어, 가스를 이용한 전기 장치가 상기 제 3의 장치인 3rd party RUIS1(300_1)일 경우를 생각해 보기로 하자. 상기 가스를 이용한 전기 장치의 가스 밸브가 열리게 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긴급히 알리기 위해서 RUI-CP1(100_1)에게 상기 가스 밸브가 열렸다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RUI-CP1(100_1)는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의 정보를 얻기 위해 GetCompatibleUIs Action을 요청하고(S134), 상기 요청을 받은 3rd party RUIS1(300_1)는 상기 CompatibleUIs Action을 제공함으로서 자신이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의 정보를 RUI-CP1(100_1)에게 제공한다(S135). RUI-CP1(100_1)은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의 정보를 저장해 놓고, S140 과정에서 상기 3rd party RUIS1(300_1)의 UI 이벤트를 처리해 줄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과정에 이용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S140 과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제어 포인트 장치인 RUI-CP2(100_2)가 상기 제 3의 장치인 3rd party RUIS1(300_1)의 상태 변경에 대해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기 S132 내지 S135 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RUI-CP2(100_2)와 3rd party RUIS1(300_1)간에서 발생하게 된다(S136, S137, S138, S139). 그런데,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발생시키는 UI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S110 단계에서의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한 제어 포인트에게만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지 않은 제어 포인트에게까지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자신의 상태 변경을 굳이 알릴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에는 상기 3rd party RUIS1(300_1)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발생시키는 다수의 UI 이벤트의 순서를 나타내는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는 상기 3rd party RUIS1(300_1)의 상태가 변경되어 UI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의 장치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는 하나의 동일한 제 3의 장치가 연속적으로 UI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한 여러 개의 RUI-CP(100) 장치가 하나의 RUIC(400) 장치에게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해 줄 수 있는지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RUIC(400) 장치는 동일한 UI 이벤트를 중복하여 처리할 가능성이 생기므로, 이러한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도 7의 과정을 거친 제어 포인트는 상기 S120 과정에서 수집하여 저장한 상기 OOSCapaInfo(제 3의 장치에 의해 발생된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해 줄 수 있는 여건을 가지는 클라이언트들을 하나 이상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OOSCapaInfo는 세가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UI 이벤트를 항상 처리할 수 있다는 정보,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격 UI 세션에 참여 중일 때만 처리 가능하다는 정보, 및 언제나 처리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가지 정보로 분류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더 많은 경우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포인트 장치인 RUI-CP(100)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 중에서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해 줄 수 있는 클라이언트(Target Client; 이하, 목적 클라이언트라 칭함)를 선택하게 된다(S140). 이때, 상기 S120 과정에서 수집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 중 원격 프로토콜 정보와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클라이언트를 최종의 목적 클라이언트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 포인트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가 발생시킨 UI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Out Of Session Connect Action; OOSConnect Action, 이하, 비세션 연결 메시지라 칭함)를 전송한다(S150).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가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OOSConnect Action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목적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Target RUIC(400)는 RUIS2(200_2)와 이미 원격 프로토콜(Out Of Ban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RUI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선택된 Target RUIC(400)는 이미 다른 서버인 RUIS2(200_2)와 RemoteUI 세션을 진행 중이더라도 새로운 비세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RUI-CP1(100_1)가 상기 선택된 Target RUIC(400)에게 상기 3rd party RUIS1(300_1)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실어서 보내게 된다(S151). 상기 Target RUIC(400)는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152). 상기 정보들을 저장하는 이유는 상기 3rd party RUIS1(300_1)로부터 동일한 UI 이벤트를 수신한 다른 제어 포인트인 RUI-CP2(100_2)가 동일한 RUIC(400)에게 상기 UI 이벤트의 처리를 위한 비세션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중복된 처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3rd party RUIS1(300_1)가 전송한 하나의 UI 이벤트 메시지에 대해서 최초로 비세션 연결을 수행한 Target RUIC(400)는 또 다른 제어 포인트인 RUI-CP2(100_2)가 동일한 비세션 연결 요청을 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비교 결과, 상기 값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Target RUIC(400)는 RUI-CP1(100_1)에게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보내고(S153), 상기 3rd party RUIS1(300_1)과 RUI 세션을 새롭게 형성하게 된다(S154).
만일, 상기 Target RUIC(400)가 또 다른 제 2의 제어 포인트인 RUI-CP2(100_2)로부터 동일한 내용의 제 2의 비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S155), 상기 제 2의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상기 S152 과정에서 저장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와 비교 분석하게 된다(S156).
상기 비교 분석 결과,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가 동일 한 경우에는 이미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RUI-CP2(100_2)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미 동일한 UI 이벤트에 대한 비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3rd party RUIS1(300_1)의 UI 이벤트를 처리한 상태이므로, 상기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가 동일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Target RUIC(400)는 거부의 메시지를 RUI-CP2(100_2)에게 보내면서 이미 상기 UI 이벤트가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S15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의 권리 범위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도 미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Remote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가 자신의 상태를 다른 장치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려 자신의 UI를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능형 가전 제품에 대하여 다양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및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a)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전송받은 제어 포인트가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게 되는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비세션 연결 메시지(OOSConnect Action)를 보내는 단계; 및
    (d)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홈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견된 서버에 대해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초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수신한 제어 포인트가 상기 홈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견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a3) 상기 수집한 제어 포인트가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제 3의 장치에 의해 발생된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OOS Capa Info)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a1) 단계에서의 상기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한 제어 포인트에게만 전송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제 3의 장치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제 3의 장치가 발생시키는 다수의 UI 이벤트의 순서를 나타내는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는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어 UI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2) 단계에서 수집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 중 원격 프로토콜 정보와 상기 제 3의 장치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UI 이벤트를 항상 처리할 수 있다는 정보,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격 UI 세션에 참여 중일 때만 처리 가능하다는 정보, 및 언제나 처리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실어서 보내는 단계;
    (c2)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 2의 제어 포인트로부터 제 2의 비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d1) 상기 제 2의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상기 (c2) 단계에서 저장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
    (d2) 상기 비교 분석 결과,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미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상기 제 2의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하며,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 2의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10. 원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I 세션에 참여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기 UI 세션에 참여하지 않는 제 3의 장치, 및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UI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 포인트; 및
    상기 수신한 제어 포인트에 의해 선택되는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목적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는 비세션 연결 메시지(OOSConnect Action)를 보내면,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상기 홈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견된 서버에 대해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초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 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 정보 및 상기 제 3의 장치에 의해 발생된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UI 이벤트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한 제어 포인트에게만 전송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제 3의 장치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제 3의 장치가 발생시키는 다수의 UI 이벤트의 순서를 나타내는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는 상기 제 3의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어 UI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 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상기 수집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 중 원격 프로토콜 정보와 상기 제 3의 장치가 지원하는 원격 프로토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UI 이벤트를 항상 처리할 수 있다는 정보,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격 UI 세션에 참여 중일 때만 처리 가능하다는 정보, 및 언제나 처리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상기 선택된 목적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 3의 장치의 고유 식별자(UDN)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UI Event Sequence)를 상기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실어서 보내며,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는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시퀀스 정보 를 저장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는,
    상기 목적 클라이언트가 상기 UI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 2의 제어 포인트로부터 제 2의 비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비세션 연결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를 상기 저장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이벤트 시퀀스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비교 분석 결과 동일한 경우에는 이미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상기 제 2의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하며,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 2의 제어 포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3의 장치와 비세션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UI 이벤트를 처리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60067635A 2005-09-28 2006-07-19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3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8034A JP4456095B2 (ja) 2005-09-28 2006-09-13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で第3の装置のイベント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EP06121298.1A EP1770934B1 (en) 2005-09-28 2006-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event of a third party device in a home network
US11/528,615 US7958272B2 (en) 2005-09-28 2006-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UI) event of 3rd party devic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111705P 2005-09-28 2005-09-28
US60/721,117 200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48A KR20070035948A (ko) 2007-04-02
KR100736090B1 true KR100736090B1 (ko) 2007-07-06

Family

ID=3795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635A KR100736090B1 (ko) 2005-09-28 2006-07-19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8272B2 (ko)
EP (1) EP1770934B1 (ko)
JP (1) JP4456095B2 (ko)
KR (1) KR100736090B1 (ko)
CN (1) CN19417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93B1 (ko) * 2006-01-12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복구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52219B1 (ko) * 2006-11-21 200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모달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5058B1 (ko) * 2008-01-17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원격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3의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2084B1 (ko) * 2008-01-25 2016-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8505056B2 (en) * 2008-07-10 2013-08-06 Apple Inc. Updating properties of remote A/V performance nodes
KR101580839B1 (ko) * 2008-08-05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rui 서버의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KR101485806B1 (ko) * 2009-05-28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86413B1 (ko) * 2009-08-28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640031B2 (en) * 2009-09-01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mote user interface in a home network
KR101669287B1 (ko) * 2009-09-01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 3의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한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59859B2 (en) 2009-09-03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service in a network
KR101612553B1 (ko) * 2009-10-09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버와 리모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12845B1 (ko) * 2009-11-12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64430B1 (ko) 2009-11-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769110B2 (en) * 2011-05-27 2014-07-01 Sony Corporation Transferring RUI from one device to another
EP2988452B1 (en) 2011-08-30 2017-05-24 Qualcomm Incorporated Topology discovery in a hybrid network
US9495326B2 (en) * 2011-09-12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communication path information in a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KR102032717B1 (ko) 2011-09-29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US8635373B1 (en) * 2012-09-22 2014-01-21 Nest Labs, Inc. Subscription-Notification mechanisms for synchronization of distributed states
CN105474580B (zh) * 2013-06-18 2019-02-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设备及其家庭网络的管理方法
EP3038427B1 (en) 2013-06-18 2019-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CN103607332B (zh) * 2013-11-15 2017-01-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家庭网络内外用户界面设备通信的方法
US9626336B2 (en) 2014-08-22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te managemen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10685B2 (en) * 2015-08-13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dexing, and navigating to deep states of mobile ap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78B1 (ko) 2001-12-31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에서의 디스크립션 파일 재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688A (en) 1994-02-14 1999-02-02 Reliable Transaction Processing, Inc.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system with wireless handheld user interface
JP3204187B2 (ja) 1997-12-01 2001-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情報通信方法、交換機および管理情報通信のための変換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US6725281B1 (en) * 1999-06-11 2004-04-20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controlled device state using state table and eventing in data-driven remote device control model
US6618764B1 (en) *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US20010033554A1 (en) * 2000-02-18 2001-10-25 Arun Ayyagari Proxy-bridge connecting remote users to a limited connectivity network
US6970869B1 (en) * 2000-05-09 2005-11-29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discover services and negotiate capabilities
US6917976B1 (en) * 2000-05-09 2005-07-12 Sun Microsystems, Inc. Message-based leasing of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JP3525435B2 (ja) * 2001-07-04 2004-05-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20030187920A1 (en) * 2002-04-01 2003-10-02 Tejaswi Redkar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040078542A1 (en) * 2002-10-14 2004-04-22 Fuller William Tracy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arent expansion and management of online electronic storage
US7047092B2 (en) * 2003-04-08 2006-05-16 Coraccess Systems Home automation contextual user interface
WO2005109905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Tim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20070203979A1 (en) * 2006-02-14 2007-08-30 Walker Mark R Home communications server
US7751321B2 (en) * 2006-03-09 2010-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access to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78B1 (ko) 2001-12-31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에서의 디스크립션 파일 재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1729A (zh) 2007-04-04
JP4456095B2 (ja) 2010-04-28
US7958272B2 (en) 2011-06-07
US20070089055A1 (en) 2007-04-19
EP1770934A3 (en) 2009-04-01
KR20070035948A (ko) 2007-04-02
EP1770934A2 (en) 2007-04-04
EP1770934B1 (en) 2014-05-07
JP2007095051A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090B1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JP4041118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EP23140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put in home network using upnp
JP366193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20005771A (ko) UPnP 서브-네트워크와 HAVi 서브-네트워크를브릿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EP1696606B1 (en) Service framework for home network
KR20150126578A (ko) 범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3019864A2 (en) Method for bridging a upnp network and a havi network
JP200950089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ための住居用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EP24615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an appliance
JP5565980B2 (ja) 遠隔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リスト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98068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user interface servers using a multicast message in a home network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WO2007078081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KR20050078541A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KR100371166B1 (ko) 홈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40297763A1 (en) Method of Managing Networked Devices
US9948748B2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 point
KR101329668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080320491A1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led point
KR100952280B1 (ko) 댁내에 설치되는 주거 게이트웨이의 재부팅을 원격으로제어하는 방법
JP2013527525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含まれる機器の機能を制御する方法
Shutao et al. Study of Digital Media Adapter on-UPnP-Ba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