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47B1 -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47B1
KR102359247B1 KR1020210043233A KR20210043233A KR102359247B1 KR 102359247 B1 KR102359247 B1 KR 102359247B1 KR 1020210043233 A KR1020210043233 A KR 1020210043233A KR 20210043233 A KR20210043233 A KR 20210043233A KR 102359247 B1 KR102359247 B1 KR 102359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ion concentration
indoor pollution
fire
fire signal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102021004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연산해, 화재 발생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은 일측면에 창문이 설치된 공간부의 내부에 창문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1연기감지모듈과, 공간부의 내부에 제1연기감지모듈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2연기감지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감지부, 기준오염농도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며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은 제1연기감지모듈과 제2연기감지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감지부가 일측면에 설치된 창문을 포함하는 공간부에 설치되는 단계, 제1연기감지모듈이 공간부의 창문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2연기감지모듈이 제1연기감지모듈에서 공간부의 타측면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부가 화재감지부에 포함된 기준오염농도와 (B)단계에서 수신된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모두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는 (C)단계, 경보음발생모듈이 (C)단계에서 출력된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D)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Non-Fire Alarm Fire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Multiple Smoke Detection Module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연산하고 연산 된 값에 따라 화재 발생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에 속한다.
화재감지기는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이산화탄소 등의 인자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화재감지기의 인자 감지 능력은 화재를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화재 감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화재감지기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 및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그리고 세분화된 각각 모두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화재감지기들은 비화재보(非火災報)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공간의 창문이 열렸을 때, 미세먼지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담배 연기 등에 의해 오작동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비화재보에 의해 화재감지기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못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9774호(공개일자: 2006.12.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7719호(공고일자: 2018.11.13)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화재감지기에서 발생되는 비화재보에 의해, 경보발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은 일측면에 창문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출입문이 설치된 공간부의 내부에 창문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1연기감지모듈과, 공간부의 내부에 제1연기감지모듈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2연기감지모듈과, 공간부의 내부에 제2연기감지모듈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3연기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제1연기감지모듈 내지 제3연기감지모듈이 실내오염농도를 서로 다른 시간 순으로 감지하는 화재감지부 및 기준오염농도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며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공간부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부와 데이터 통신하여 기준오염농도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를 기준오염농도와 대비하여,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 내지 제3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과,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경보음발생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경보음발생모듈은 N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NAND게이트의 제1입력단에 제1화재신호 또는 제1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구조, 제2입력단에 제2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출력단에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 하나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은 제1연기감지모듈과 제2연기감지모듈 그리고 제3연기감지모듈을 포함하는 화재감지부가 일측면에 창문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출입문이 설치된 공간부에 설치되는 단계; 제1연기감지모듈이 공간부의 창문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2연기감지모듈이 제1연기감지모듈에서 공간부의 타측면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3연기감지모듈이 제2연기감지모듈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B)단계; 제어부가 화재감지부에 포함된 기준오염농도와 (B)단계에서 수신된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모두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는 (C)단계; 경보음발생모듈이 (C)단계에서 출력된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D)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여 제1비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공간부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부와 데이터 통신하여 기준오염농도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를 기준오염농도와 대비하여,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 내지 제3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과,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경보음발생모듈을 포함하고 경보음발생모듈은 N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NAND게이트의 제1입력단에 제1화재신호 또는 제1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구조, 제2입력단에 제2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출력단에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은 공간부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가 연기를 감지하는 순서를 감지하고, 외부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연기감지센서가 감지한 연기의 농도를 대비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서, 화재감지시스템의 비화재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소방시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소방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화재 신호 발생 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이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의 작동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에 대한 설명이 모두 기재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중복되지 않고 간결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모든 설명은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이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1, 이하 화재감지시스템)은 창문(B)이 설치된 공간부(A)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연기감지모듈(11 ~ 13)이 연기를 감지하는 순서 그리고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G)에 전송되는 데이터와 연기감지센서가 감지한 연기의 농도값을 대비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공간부(A)는 먼지 및 연기 등을 발생시키는 주방이 아닌, 일반적인 방 또는 사무실이 된다.
화재감지시스템(1)은 전술한 공간부(A)에서 한정되어 사용되며 화재신호가 화재가 발생된 상황에서만 나오도록 하며 공간부(A)내에서 감지의 오류에 의한 작동 즉, 비화재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화재감지시스템(1)은 비화재보 없이 작동하며 경보음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화재감지시스템(1)은 화재감지부(10)와 제어부(20)등을 포함하여 일측면에 창문(B)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출입문(C)이 설치된 공간부(A)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에 화재감지시스템(1)에 기반하여 전술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화재감지시스템(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재감지부(10)는 공간부(A) 내에 설치되어 연기 및 먼지 등의 입자를 빛의 산란 작용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연기 및 먼지의 농도에 대응해 실내오염농도 다시 말해 실내오염농도 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화재감지부(10)는 복수 개의 연기감지모듈(11~13) 일례로, 제1연기감지모듈(11), 제2연기감지모듈(12) 및 제3연기감지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기감지모듈(11), 제2연기감지모듈(12) 및 제3연기감지모듈(1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77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입자를 빛의 산란 작용으로 공간부(A)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된다.
여기서, 제1연기감지모듈(11)은 입자를 측정하는 제1센서가 되어, 일측면에 창문(B)이 설치된 공간부(A)의 내부에 창문(B)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연기감지모듈(11)은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입자를 측정하는 제2센서가 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제1연기감지모듈(11)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입자를 측정하는 제3센서가 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제2연기감지모듈(12)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연기감지모듈(11)은 공간부(A)의 창문(B)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고(D1, 도 3참조),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제1연기감지모듈(11)에서 출입문(C)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D2, 도 3참조),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제2연기감지모듈(12)에서 출입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D3, 도 3참조).
이와 같은 제1연기감지모듈(11) 내지 제3연기감지모듈(13)은 공간부의 천장에 이격 설치되어, 창문(B)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에 대한 실내오염농도 그리고 공간부(A)의 내에 발생된 화재 또는 출입문(C)을 통해 유입되는 화재연기 등에 대한 실내오염농도를 서로 다른 시간 순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실내오염농도를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화재감지부(10)에서 전송되는 실내오염농도 즉, 실내오염농도데이터를 수신한 후 연산하여 제1화재신호, 제2화재신호, 제1비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0)는 기준오염농도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며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부(20)는 통신모듈(210), 저장모듈(220), 연산모듈(230), 경보음발생모듈(240)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2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신모듈(210)은 공간부(A)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부(G)와 데이터 통신하여 기준오염농도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모듈(210)은 기상청의 데이터베이스부(G)에서 송신하는 기준오염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G)는 기준오염농도를 포함하고, 기준오염농도가 갱신되며 제어부(20)에 기준오염농도를 송신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G)는 일례로, 기상청 등에서 관리하는 서버가 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G)에 저장된 기준오염농도 즉, 미세 먼지 농도값은 갱신되어 통신모듈(210)에 송신될 수 있다. 저장모듈(220)은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모듈(220)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모듈(220)에는 기준오염농도가 기 설정되어 있거나 통신모듈(210)에서 전달되는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할 수 있다.
연산모듈(230)은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를 기준오염농도와 대비하여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실내오염농도 내지 제3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한다. 경보음발생모듈(240)은 연산모듈(230)에서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경보음발생모듈(240)은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보다 작으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경보음발생모듈(240)은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보음발생모듈(240)은 NAND 게이트의 제1입력단에 제1화재신호 또는 제1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구조, 제2입력단에 제2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NAND 게이트의 출력단에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음발생모듈(240)은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NAND 게이트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화재감지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A)의 천장에 제1연기감지모듈(11), 제2연기감지모듈(12) 그리고 제3연기감지모듈(13)이 창문(B)을 기준으로 출입문(C) 방향으로 하여 순서대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연기감지모듈(11)은 창문(B)에서 D1만큼 이격되어 있고,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창문(B)에서 D2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창문(B)에서 D3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A)의 창문(B)이 개방되면 공간부(A)의 외부에서 공간부(A)의 내부로 미세먼지가 바람을 따고 유입될 수 있다.
미세먼지가 유입되면, 제1연기감지모듈(11)은 제2연기감지모듈(12)과 제3연기감지모듈(13)보다 앞서, 미세먼지(D)에 대한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제1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미세먼지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제1연기감지모듈(11) 보다 늦게 미세먼지(D)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제2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미세먼지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제2연기감지모듈(12) 보다 늦게 미세먼지(D)를 감지하며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제3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및 제3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한 후, 저장되어 있는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값과 연산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값 이하가 되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전술한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화재신호가 출력되면 경보음발생모듈(24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A)의 외측에 화재(E)가 발생되어 화재로부터 발생된 연기(F)가 개방된 창문(B)을 통해 공간부(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화재에 의한 연기가 유입되면, 제1연기감지모듈(11)은 제2연기감지모듈(12)과 제3연기감지모듈(13)보다 앞서, 연기(F)에 대한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제1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연기(F)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제1연기감지모듈(11) 보다 늦게 연기(F)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어부(20)에 제2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연기(F)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제2연기감지모듈(12) 보다 늦게 미세먼지(D)를 감지하며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어부(20)에 제3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제어부(20)는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및 제3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한 후, 저장되어 있는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값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그리고 제3실내오염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값를 초과하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A)의 내측 즉, 일례로 출입문(C) 부근에서 화재(E)가 발생되면, 제3연기감지모듈(13)은 제2연기감지모듈(12)과 제1연기감지모듈(11)보다 앞서, 연기(F)에 대한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에 제3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연기(F)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2연기감지모듈(12)은 제3연기감지모듈(13) 보다 늦게 연기(F)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어부(20)에 제2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이후, 연기(F)가 공간부(A)의 내부로 확산되면 제1연기감지모듈(11)은 제2연기감지모듈(12) 보다 늦게 미세먼지(D)를 감지하며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어부(20)에 제1실내오염농도를 전송한다.
제어부(20)는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및 제3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한 후, 저장되어 있는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값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그리고 제3실내오염농도 중 어느 하나가 가 기준오염농도 즉, 기준먼지농도 값을 초과하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의 작동 순서도이다.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의 진행 순서를 진행하는 각 단계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의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의 각 단계의 주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을 설명할 때, 기술한 내용으로 대신한다.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은 공간부(A)에 화재감지부(10)가 설치되는 (A)단계 내지 경보음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는 (D)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화재보를 줄일 수 잇는 화재감지방법은 제1연기감지모듈(11)과 제2연기감지모듈(12)을 포함하는 화재감지부(10)가 일측면에 설치된 창문(B)을 포함하는 공간부(A)에 설치되는 (A)단계를 일련의 시작단계로 하여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A)단계 이후, 제1연기감지모듈(11)이 공간부의 창문(B)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2연기감지모듈(12)이 제1연기감지모듈(11)에서 공간부의 타측면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B)단계로 진행된다(S100).
이후, 화재감지부(10)에 포함된 기준오염농도와 (B)단계에서 수신된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S111),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S112),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거나(S121),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모두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는 (C)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S122). 이후, 제어부(20)가 (C)단계에서 출력된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S131)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는(S132) (D)단계로 진행되며 종료될 수 있다. 비화재보를 줄일 수 잇는 화재감지방법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진행되며 화재 발생 시에만 화재신호를 출력하며 화재가 아닌 상황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람들의 경보음 발생 시, 경보 발생을 화재 발생으로 여기도록 하며 경보음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10: 화재감지부
11: 제1연기감지모듈 12: 제2연기감지모듈
13: 제3연기감지모듈
20: 제어부
210: 통신모듈 220: 저장모듈
230: 연산모듈 240: 경보음발생모듈
30: 데이터베이스부
A: 공간부
B: 창문 C: 출입문
D: 미세먼지 E: 화재
F: 연기 G: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5)

  1. 일측면에 창문(B)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출입문(C)이 설치된 공간부(A)의 내부에 창문(B)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1연기감지모듈(11)과, 공간부(A)의 내부에 제1연기감지모듈(11)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2연기감지모듈(12)과, 공간부(A)의 내부에 제2연기감지모듈(12)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제3연기감지모듈(13)을 포함하고, 제1연기감지모듈(11) 내지 제3연기감지모듈(13)이 실내오염농도를 서로 다른 시간 순으로 감지하는 화재감지부(10)
    기준오염농도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수신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며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공간부(A)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부(G)와 데이터 통신하여 기준오염농도를 수신하는 통신모듈(210)과,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하는 저장모듈(220)과,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를 기준오염농도와 대비하여,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 내지 제3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230)과,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경보음발생모듈(240)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발생모듈(240)은 N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NAND게이트의 제1입력단에 제1화재신호 또는 제1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구조, 제2입력단에 제2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출력단에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연기감지모듈(11)과 제2연기감지모듈(12) 그리고 제3연기감지모듈(13)을 포함하는 화재감지부(10)가 일측면에 창문(B)이 설치되고, 타측면에 출입문(C)이 설치된 공간부(A)에 설치되는 (A)단계;
    제1연기감지모듈(11)이 공간부의 창문(B)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1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2연기감지모듈(12)이 제1연기감지모듈(11)에서 공간부의 타측면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며 제2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고, 제3연기감지모듈(13)이 제2연기감지모듈(12)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A)의 내부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제3실내오염농도를 출력하는 (B)단계;
    제어부(20)가 화재감지부(10)에 포함된 기준오염농도와 (B)단계에서 수신된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를 비교하여,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와 제2실내오염농도 모두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는 (C)단계;
    경보음발생모듈(240)이 (C)단계에서 출력된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D)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제1실내오염농도가 기준오염농도 이하가 되면 제1비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가 제2실내오염농도 보다 크고 제2실내오염농도가 제3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2비화재신호를 출력하여 제1비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고,
    제어부(20)는,
    공간부(A)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부(G)와 데이터 통신하여 기준오염농도를 수신하는 통신모듈(210)과,
    기준오염농도를 저장하는 저장모듈(220)과,
    제1실내오염농도,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를 기준오염농도와 대비하여,
    제2실내오염농도 또는 제3실내오염농도가 제1실내오염농도 보다 크면 제1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제1실내오염농도 내지 제3실내오염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오염농도를 초과하면 제2화재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230)과,
    제1화재신호와 제2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비화재신호와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는 경보음발생모듈(240)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발생모듈(240)은 N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NAND게이트의 제1입력단에 제1화재신호 또는 제1비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구조, 제2입력단에 제2화재신호 또는 제2비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출력단에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신호 ‘0’이 출력되면 경보음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방법.
KR1020210043233A 2021-04-02 2021-04-02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33A KR102359247B1 (ko) 2021-04-02 2021-04-02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33A KR102359247B1 (ko) 2021-04-02 2021-04-02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247B1 true KR10235924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33A KR102359247B1 (ko) 2021-04-02 2021-04-02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74A (ko) 2005-06-13 2006-12-18 (주)대성기연 자동 소화기와 환기장치 내장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2681A (ko) * 2008-06-30 2010-01-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화력 발전소의 화재 판별 방법
KR101697935B1 (ko)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917719B1 (ko) 2017-08-04 2018-11-13 김현주 방폭형 연기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74A (ko) 2005-06-13 2006-12-18 (주)대성기연 자동 소화기와 환기장치 내장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2681A (ko) * 2008-06-30 2010-01-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화력 발전소의 화재 판별 방법
KR101697935B1 (ko)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917719B1 (ko) 2017-08-04 2018-11-13 김현주 방폭형 연기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EP1889238B1 (en) Fire or smoke detector with high false alarm rejection performance
US5659292A (en) Apparatus including a fire sensor and a non-fire sensor
US4796205A (en) Fire alarm system
US11367341B2 (en) Monitoring security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5247283A (en) Method for testing smoke sensor and a smoke sensor having a function of executing the test
CA2600107A1 (en) Nuisance alarm filter
KR20210051376A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1998064B1 (ko)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AU701191B2 (en) Fire detection system
CN117119175B (zh) 一种煤矿井下风门ai视频安全管理控制系统
KR102359247B1 (ko) 다수의 연기감지모듈을 장착한 스마트 비화재보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55875B2 (en) Adaptive fire detection
JP2013101587A (ja) 防災設備
KR101042363B1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US20200160674A1 (en) Systems to detect the presence of intruder devices in a home environment
CN107808504A (zh) 报警方法和报警系统
KR102042160B1 (ko)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JPH09288779A (ja) 火災警報システム
JPH01292600A (ja) 警報装置
JPH05128388A (ja) セキユリテイ装置
US11961381B2 (en) Life safety device with machine learning based analytics
US11557188B2 (en) Gunshot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6418589B2 (ja) 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状態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