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060B1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060B1
KR102359060B1 KR1020180158427A KR20180158427A KR102359060B1 KR 102359060 B1 KR102359060 B1 KR 102359060B1 KR 1020180158427 A KR1020180158427 A KR 1020180158427A KR 20180158427 A KR20180158427 A KR 20180158427A KR 102359060 B1 KR102359060 B1 KR 10235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nnamoyl esterase
strain
cinnamoyl
esterase
lactobacillus fermen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845A (ko
Inventor
오미화
김종희
함준상
이은선
김부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18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1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 이의 제조 방법,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Cinnamoyl esterase from Lactobacillus fermentum J2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 이의 제조 방법,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페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시나핀산(sinapic acid), p-쿠말린산(p-coumaric acid)와 같은 하이드록시시남산(hydroxycinnamic acid)은 거의 모든 식물에서 발견되고(Hermann, 1976; Kuhnau, 1976), 주요 부류의 페놀 화합물을 대표한다. 가장 흔한 하이드록시남산(hydroxycinnamic acid)은 카페산이다.
식물 세포벽의 다당류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가장 풍부한 유기체 화합물로 커피, 차, 사과, 배과류, 베리류, 아티초크, 가지 등 식물체에는 페놀류에 속하는 기능성 성분인 하이드록시남산(hydroxycinnamic acid)이 폭넓게 존재한다.
하이드록시남산의 일종인 페룰산은 인체 내에서 활성 산소종(ROS)와 같은 자유 라디칼 포집(free radical scavenging), 금속 이온 봉쇄(metal ion chelating) 등의 강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활성 산소종과 같은 자유 라디칼은 DNA 손상, 암, 및 세포 노화 촉진에 관여한다. 국소용 제제에 페룰산을 첨가하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피부 미백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으나, 아직 페룰산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인체에서의 흡수 및 작용은 효소적인 작용에 크게 의존되어 유용물질의 흡수율에 지대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에틸 페룰레이트를 페룰산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라고 한다.
한편, 인간의 장내 미생물은 이와 같은 시나모일 에스터라제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유산균 유래의 이 효소에 대한 연구와 특이적으로 에틸 페룰레이트를 페룰산으로 전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제의 활성을 가진 균주의 구체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와 특히 이를 이용한 식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반면, 콩과 (Leguminosae)류, 커피, 배, 사과, 토마토, 녹차 등 다양한 식물체 속에는 항산화 물질 성분인 주요 폴리페놀류로 전술의 클로로젠산, 카페산과 쿠말린산(p-coumalic acid), 시링산(syringic acid), 바닐산(vanill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등이 천연적으로 존재하며, 이들은 유리 상태보다는 에스테르 결합을 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이런 에스테르 결합을 한 형태로 주로 존재하는 에틸 페룰레이트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제에 의해 유리형태인 페룰산으로써 섭취될 때, 흡수가 용이하고 항산화 효과도 높일 수 있다.
현재까지 하이드록시남산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당-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시나모일 에스터라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대장 속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 유래에 대한 연구 또는 Aspergillus niger 또는 A. japonicus 등과 같은 곰팡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있는 상태로, 유산균 유래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의 생산을 위한 발현과 정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 특허 10-2004-0082007에 페룰산(feru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제의 고생산 유산균을 발굴하고, 본 유산균 유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고효율 제조 방법, 및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유래한, 에틸 페룰레이트에 대해 기질특이성 및 분해율이 개선되어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틸 페룰레이트에서 페룰산으로의 전환율이 개선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생산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서 페룰산으로 90%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DNA를 증폭하기 위한 서열번호 2 및 3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1) 제1항 또는 제2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의 배양액으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45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pH 6.5 내지 7.5에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30℃ 내지 40℃에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에서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에서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서 페룰산으로 90%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는 타 균주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에 비하여,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원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유래한, 에틸 페룰레이트에 대해 기질특이성 및 분해율이 개선되어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에 85% 이상의 높은 분해율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에틸 페룰레이트에서 페룰산으로의 전환율이 개선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에서 페룰산으로의 전환율이 90% 이상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는 과채류 및 식품 속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고흡수성 기능성 항산화 물질인 에틸 페룰레이트의 에스테르 결합을 한 형태를 인체에 흡수가 용이한 페룰산 형태로 효율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바, 항산화 물질의 흡수를 강화하여 인간 및 동물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가 함유된 MRS plate를 이용하여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활성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하여, 투명환(Clear zone or halo)을 보인 균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는 에틸 페룰레이트와 페룰산을 U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b는 페룰산의 표준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c는 에틸 페룰레이트의 표준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UPLC를 이용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및 L. helveticus KCCM 11223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활성을 UPLC 이용하여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선발된 J2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도이다.
도 5a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에서 유래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유전자의 전기영동 결과 사진이다.
도 5b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에서 유래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6a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종래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AGW21364.1)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b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종래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AGW21364.1)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상동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기질 특이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생육곡선과 페룰산의 생산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은 초기 배양 시의 pH에 따른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배양온도에 따른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면역학, 미생물학, 유전학 및 단백질과 핵산 화학, 그리고 혼성화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명명법과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양물"이란 미생물을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며, 미생물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료"란 개체의 생명을 유지하고 상기 개체를 사육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는 사료를 섭취하는 개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비타민, 광물질 등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개체는 사육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생명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되며, 본 발명의 목적상 특히 곤충 및 가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새로운 유산균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활성이 우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찾고자 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와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은 그람 양성균으로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며, 젖산을 생산할 수 있는 간균이다.
생후 2주 이내의 신생아 분변에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 및 선발하였고, 분리한 균주를 16S rRNA 분석을 조사하여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로 동정하였다. 상기 동정된 균주를 2018. 10. 19.자로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KACC 92245P로 기탁하였다.
삭제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타 균주에 비하여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유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를 페룰산으로 90% 이상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공지의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 heveticus KCCM 11223) 균주로부터 유래한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가 에틸 페룰레이트를 60% 정도 전환할 수 있는 것에 비해, 페룰산으로의 전환율을 매우 높은 것이다(도 3a). 따라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유래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타 균주에 비하여,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농도가 높으며, 에틸 페룰레이트를 페룰산으로의 전환 활성이 우수하다(도 3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생산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란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를 페룰산(ferulic acid)으로 가수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이다(도 1). 에틸 페룰레이트는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페룰산의 형태로 흡수되지만 그 작용이 약하여 대부분 흡수되지 못하고 배출된다. 그에 반하여 에틸 페룰레이트의 가수분해 형태인 페룰산은 에틸 페룰레이트에 비하여 인체 흡수력이 높고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향상되며,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85% 이상의 분해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KACC 92245P)는 게놈 DNA에서 예상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PCR로 증폭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진다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DNA를 증폭하기 위한 서열번호 2 및 3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1)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의 배양액으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단계에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45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45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pH 6.5 내지 7.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pH 6.8 내지 pH 7.2으로 배양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산균은 성장과 동시에 젖산을 생성함에 따라 배지의 pH가 4 내지 4.5로 낮아지기 때문에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경우에 pH 3.0 미만에서는 매우 낮은 페룰산 전환율을 나타내었고, pH 9.0에서는 페룰산으로 전환되지 않았다. 이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단백질의 변성으로 매우 낮은 pH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30℃ 내지 4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35℃ 내지 40℃의 조건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향상되며,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 대한 85% 이상의 분해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서 페룰산으로의 90%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하기의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에는, 예를 들면 그레이프프루트,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등의 각종 과즙(농축 과즙, 분말 과즙 등이어도 좋다); 비타민류 및 프로비타민류(팔미트산 레티놀, 비스벤티아민(bisbentiamine),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시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e),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 칼슘, 엽산, 비오틴,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중주석산 콜린, 토코페롤, β-카로틴 등의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류); 향미료(레몬플레이버, 오렌지플레이버, 그레이프프루트플레이버, 바닐라 에센스 등); 아미노산, 핵산 및 그들의 염류(글루탐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이노신산 등); 식물 섬유(폴리덱스트로오즈, 펙틴, 크산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검, 알긴산 등); 미네랄 내지 미량 원소(염화 나트륨, 초산 나트륨, 황산 마그네슘,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염화 칼슘, 인산 2칼륨, 인산 1나트륨, 글리세로인산 칼슘, 구연산제1철 나트륨, 구연산철 암모늄, 구연산철, 황산망간, 황산구리, 요오드화나트륨, 솔빈산칼륨,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코발트 등)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된다. 그 조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성분을 모두 동시에 혼합해도 좋고, 또한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의 양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유성 성분을 적당한 유제에 용해하고, 이것과 수용성 성분의 수용액을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화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 조작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통상의 유화 분산기, 예를 들면 호모믹서, 고압 호모디나이저 등을 이용하여, 완전 통과 방식 또는 순환 방식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성분의 혼합 내지 유화는, 통상 상온하에서 실시되지만, 가온 조작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되는 본 발명 조성물은, 이것을 적당한 용기에 충전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가열 멸균, 무균 여과 등에 의해 멸균한 후 제품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은, 개 또는 고양이 사료용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 고양이 등 다양한 반려동물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DHA, EPA, 알로에, 스쿠알렌, 옥수수수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히비스커스, 대나무잎,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부추, 녹차, 둥글레, 감잎, 뽕잎, 작설, 현미, 보리, 루이보스, 보이, 및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능성 물질은 사료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10 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종래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조성물의 성분은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필수 구성성분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actobacillus fermentum ) J2 균주(KACC 92245P)의 분리 및 선발
총 15개의 신생아 분변 시료 약 1 g을 회수 후 바로 50 ml 의 멸균된 Falcon tube에 옮긴 후, 혐기적 상태에서 9 ml의 펩톤수(peptone water)에 희석하였다. 희석 샘플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활성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10배씩 희석액을 준비한 후 에틸 페룰레이트(0.1%, v/v)가 첨가된 유산균 선택배지(BCP: bromocresol purple agar powder)에 100ul씩 도말하였다.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주의 성장과 동시에 생성되는 효소활성에 의하여 에틸 페룰레이트가 분해되어 형성된 투명환(Clear zone or halo)을 보인 균주를 CE 활성 균주로 추정 분리하였으며, 그 중 환의 크기가 직경 3mm 이상인 균주 5개를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고활성 후보 유산균으로 선발하였다(도 1).
2.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와 페룰산(ferulic acid)의 분석 방법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효소 활성은 에틸 페룰레이트를 기질로 하여 유산균 발효를 통해 생성된 페룰산(ferulic acid)의 양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위한 분석용 시료는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배양액 5 ml를 0.1% 아스코르브산(w/v, Sigma, USA)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3 ml의 에틸 페룰레이트를 첨가하여 10분간 강하게 볼텍싱(votexing)하였다. 그 후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3,000rpm, 1580MGR Gyrozen)하여 에틸 페룰레이트와 페룰산이 포함된 유기용매 층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45℃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1 ml 메탄올에 녹인 다음 0.20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UPLC/PDA(waters, ACQUITY UPLC SYSTEM)의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표준물질로서 에틸 페룰레이트와 페룰산은 필요한 농도별로 메탄올에 녹여 -20℃에 냉동보관하여 정량분석에 사용하였다.
본원에서는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에틸 페룰레이트 및 페룰산을 분석하기 위하여 UPLC/PDA(waters, ACQUITY UPLC SYSTEM)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 결과 에틸 페룰레이트는 2.1분, 페룰산은 3.45분에서 머무름 시간을 나타내었다(도 2). 도 2a는 페룰산와 에틸 페룰레이트의 UPLC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2b는 페룰산의 표준곡선 그래프이고, 도 2c는 에틸 페룰레이트의 표준곡선 그래프이다. UPLC/PDA(waters, ACQUITY UPLC SYSTEM) 기기의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8123644193-pat00001
3. 분리된 균주 J2와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KCCM11223와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활성 비교
에틸 페룰레이트가 함유된 플레이트 어세이(plate assay)법에서 1차 선발된 5개 분리 균주와 기존에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활성 균주로 알려진 표준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 helveticus) KCCM11223의 효소 활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2 mM의 에틸 페룰레이트가 함유된 MRS broth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UPLC/PDA를 수행하여 전환된 페룰산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페룰산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J1을 제외한 4개의 균주는 페룰산의 생산양이 1.4mM 이상으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KCCM11223의 1.2 mM 보다 높은 생산량을 보여주었다. 특히, J2 분리균주는 1.8 mM의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에틸 페룰레이트가 페룰산으로 90% 이상 전환되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도 3). 도 3a는 UPLC를 이용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의 정량적 분석 그래프이고, 도 3b는 크로마토그램이다.
4. 선발 미생물의 동정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J2의 동정을 위하여 16S ribosomal 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16S rDNA gene 염기서열을 GenBenk 의 BLAST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자 생물학적 연관성을 나타내는 계통도를 얻었다(도 4). 이 결과에 따라 선발미생물 J2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과 98%의 상동성으로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로 명명하였다.
5.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유전자 확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에서 추출한 게놈 DNA를 주형으로 PCR를 실시한 결과, 목적하는 약 0.7kb의 유전자의 증폭이 확인되었다(도 5a 및 도 5b). 유전자 서열 분석결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ATCC 14932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유전자 서열과 DNA 수준에서 약 99.1%, 아미노산 수준에서 약 97.9%의 상동성을 보이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도 6a 및 도 6b).
유전자서열을 검색한 결과, 알파/베타 폴드 패밀리 하이드로라아제 로커스에 속해 있었으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염기서열의 중요한 Catalytic site S106, H225, D197을 포함하였다(도 6a).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의 게놈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유전자를 바탕으로 두가지 CE_FM_F와 CE_FM_R의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표 1).
Figure 112021071559149-pat00018
삭제
6.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의 기질특이성 분석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기질특이성 분석을 위해 에틸 페룰레이트, 클로로젠산, 메틸 P-쿠마레이트(Methyl P-coumarate), 메틸-시나페이트(Methyl-sinnapat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에틸 페룰레이트에서 85.1%의 가장 높은 분해율을 보여주었고 클로로젠산, 메틸 P-쿠마레이트는 각각 63.2%, 59.8%의 비교적 우수한 분해능을 보인 반면, 메틸-시나페이트는 1.7%로, 매우 낮은 분해능을 나타냈다(도 7).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에틸 페룰레이트에서 85.1%의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어, 에틸 페룰레이트에 대한 기질특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선발 미생물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최적 활성 조건 확립
선발미생물의 생육에 따른 시나모일 에스테라아제 활성 특성을 조사하였다(도 8).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가 MRS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생육은 37℃에서 배양 48시간까지 대수증식기였고 72시간까지는 정체기이며 그 이후, 사멸기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효소활성은 대수증식기인 배양 12시간부터 생성되어 사멸기인 48시간에 가장 높은 활성(페룰산 생성양 1.69 mM)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효소 활성이 생육과 동시에 생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효소 또한 대수기 시작단계인 9시간 이후부터 급격하게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균활성은 가장 높은 배양 48시간(2일)부터 96시간(4일)까지 활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8).
7-1. pH의 영향
선정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 균주의 pH에 따른 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mM 에틸 페룰레이트가 첨가된 MRS broth (Difco)를 1N NaOH와 1N HCl을 사용하여 각각의 배지를 pH3, pH5, pH7 및 pH9로 조정하였다. 전배양한 선택 유산균을 1% (v/v)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활성 측정은 배양 후 추출액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UPLC/PDA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는 초기 pH가 7.0 일 때 약 1.8 mM의 페룰산을 생성함으로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낸 반면, 초기 pH 3.0에서는 매우 낮는 페룰산(0.2 mM)를 생성하였고, pH 9.0에서는 페룰산으로 전환되지 못하였다. 이는 균체의 양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성장과 동시에 젖산을 생성함에 따라 배지의 pH가 4∼4.5로 낮아지기 때문에 일부의 효소의 경우 단백질의 변성으로 매우 낮은 pH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도 9).
7-2. 온도의 영향
선정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활성 최적 온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2 mM 에틸 페룰레이트가 첨가된 MRS broth (Difco)를 pH 7.0로 조정한 배지에 활성 유산균을 1% (v/v)을 접종한 후 25℃, 30℃, 37℃ 및 45℃의 각기 다른 온도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활성을 비교하였다. 온도를 제외한 나머지 배양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하였고 활성 측정은 배양 후 추출액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UPLC/PDA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37℃ 배양 후 약 1.8mM의 페룰산을 생성하면서 최적의 활성을 보인 반면 45℃ 배양 조건에서는 페룰산을 거의 생성하지 못하였다(도 10).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245P 20181019
<1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innamoyl esterase from Lactobacillus fermentum J2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130> NPF-32461 <160> 4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7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innamoyl esterase nucleotide sequence <400> 1 atggaagttg caatcaagag tgccggtctt accttacggg ggctgctcga ggggagcgac 60 caggtgccaa atgaccggat cgccatttta atgcacggtt ttaagggtga cctaggttac 120 accgaggaga acctcttaaa ccaactggcc caccgcttaa acgaccaggg cctggccacg 180 ttacggtttg actttgccgg ttgcggtaag tccgacggtc agtttagcga catgaccgtg 240 ttaagcggac ttcaagacgg catgaagatc atcgactacg cccgccagga ggttcaggca 300 aaggaaatca tcctggttgg ccactcacaa ggcggggtgg tggcttcgat gctcgccgcc 360 tactaccgcg acgtgattga caagttagtt ctcttggccc cagctgccac cctcaaagat 420 gacgccctga tcgggacttg ccgaggaacc acctacgatc ccaaccacat tcccgactac 480 gtaacggttg gtggcttcaa agtcggcggc aactacttca ggaccgccca actgctgcca 540 atttacgaaa ccgcccagca ctacgccggc ccggttttga tgatccacgg cctggccgac 600 acggtggtcg accccaaggc ctcacaaaag tacaacgtta tgtaccaaaa cggggtgatc 660 cacttcctgg agggggccag ccaccagtta cgtggcgacg gcgaccaacg ggaaaccacc 720 cttcaattag tgtccgattt cttaaac 747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_FM_F <400> 2 atggaagttg caatcaagag tg 22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_RM_R <400> 3 ttagtttaag aaatcggaca c 21 <210> 4 <211> 24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innamoyl esterase amino acid sequence <400> 4 Met Glu Val Ala Ile Lys Ser Ala Gly Leu Thr Leu Arg Gly Leu Leu 1 5 10 15 Glu Gly Ser Asp Gln Val Pro Asn Asp Arg Ile Ala Ile Leu Met His 20 25 30 Gly Phe Lys Gly Asp Leu Gly Tyr Thr Glu Glu Asn Leu Leu Asn Gln 35 40 45 Leu Ala His Arg Leu Asn Asp Gln Gly Leu Ala Thr Leu Arg Phe Asp 50 55 60 Phe Ala Gly Cys Gly Lys Ser Asp Gly Gln Phe Ser Asp Met Thr Val 65 70 75 80 Leu Ser Gly Leu Gln Asp Gly Met Lys Ile Ile Asp Tyr Ala Arg Gln 85 90 95 Glu Val Gln Ala Lys Glu Ile Ile Leu Val Gly His Ser Gln Gly Gly 100 105 110 Val Val Ala Ser Met Leu Ala Ala Tyr Tyr Arg Asp Val Ile Asp Lys 115 120 125 Leu Val Leu Leu Ala Pro Ala Ala Thr Leu Lys Asp Asp Ala Leu Ile 130 135 140 Gly Thr Cys Arg Gly Thr Thr Tyr Asp Pro Asn His Ile Pro Asp Tyr 145 150 155 160 Val Thr Val Gly Gly Phe Lys Val Gly Gly Asn Tyr Phe Arg Thr Ala 165 170 175 Gln Leu Leu Pro Ile Tyr Glu Thr Ala Gln His Tyr Ala Gly Pro Val 180 185 190 Leu Met Ile His Gly Leu Ala Asp Thr Val Val Asp Pro Lys Ala Ser 195 200 205 Gln Lys Tyr Asn Val Met Tyr Gln Asn Gly Val Ile His Phe Leu Glu 210 215 220 Gly Ala Ser His Gln Leu Arg Gly Asp Gly Asp Gln Arg Glu Thr Thr 225 230 235 240 Leu Gln Leu Val Ser Asp Phe Leu Asn 245

Claims (19)

  1.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생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로서,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서 페룰산으로 90%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
  2. 삭제
  3.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KACC 92245P)로부터 생산된,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로서,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9. 삭제
  10. (1) 제1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의 배양액으로부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에서 페룰산으로 90%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45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pH 6.5 내지 7.5에서 배양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를 30℃ 내지 40℃에서 배양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7. 제3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8. 제1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Cinnamoyl esterase)를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2 균주, 이의 파쇄물 및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
  19. 제3항의 시나모일 에스터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
KR1020180158427A 2018-12-10 2018-12-10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427A KR102359060B1 (ko) 2018-12-10 2018-12-10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427A KR102359060B1 (ko) 2018-12-10 2018-12-10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45A KR20200070845A (ko) 2020-06-18
KR102359060B1 true KR102359060B1 (ko) 2022-02-08

Family

ID=711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427A KR102359060B1 (ko) 2018-12-10 2018-12-10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4734A1 (en) * 2015-02-24 2016-08-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Novel ferulate esterase isolated from lactobaccillus fermentum
JP2019521660A (ja) 2016-06-02 2019-08-0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αグルカ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4734A1 (en) * 2015-02-24 2016-08-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Novel ferulate esterase isolated from lactobaccillus fermentum
JP2019521660A (ja) 2016-06-02 2019-08-0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αグルカ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Environ. Microbiol. 2016, vol. 82, no. 17, pp. 5068-50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45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jsov New and future developments in microbial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Hathout et al. Biological detoxification of mycotoxins: a review
EP1142988B1 (en) Novel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JP2022522228A (ja) 畜産温室効果ガス排出量の炭素隔離促進と削減のための牧草地処理
Zhu et al. Antifungal properties and AFB1 detoxification activity of a new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CN101074426B (zh) 一种植物乳杆菌发酵制备富含共轭亚油酸豆粕饲料的方法
US8697423B2 (en)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 the use of the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 and the preparation for roughages ensiling
KR101234921B1 (ko)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 저해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5132321A (zh)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Gheibipour et al. The potential of tannin 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rumen of Iranian Urial ram as silage additives
JP2004357535A (ja) 免疫賦活活性及びγ−アミノ酪酸産生能を有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利用。
KR101665334B1 (ko) 축산악취의 감소 및 면역활성 효과를 가지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 cb 8521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
KR100457002B1 (ko)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KR10235906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2 균주에서 유래하는 시나모일 에스터라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6777B1 (ko) 항영양인자 제어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하이드로더멀 kbcbs102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분 대체용 발효 대두박 제조 방법
KR101485970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аml 2-1 균주, 이를 이용한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제조방법 및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용도
EP3449932A1 (en) Agent for regulating composition ratio of intestinal bacterial flora, drug, food, drink and method for regulating composition ratio of intestinal bacterial flora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0918B1 (ko)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Lavany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the soil samples of the coastal areas of (Gudur division, Nellore Dt.) for utilization in Shrimp farming
KR20180134128A (ko) 항산화 활성 및 면역 활성을 가지는 꽃송이버섯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21657B1 (ko)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좋고 효소의 생산이 우수한 신규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비티-엠02 균주 , 이 신규 균주를이용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가축 사료
Chaisemsaeng et al. Feather degradation and keratinase production by Bacillus sp. and Lactobacillus sp
KR101277437B1 (ko) 발효 항균성 스피룰리나 및 그 생산방법
Chandra et al.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fish feed to assist in aquaculture nutri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