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673B1 -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 Google Patents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673B1
KR102357673B1 KR1020200034596A KR20200034596A KR102357673B1 KR 102357673 B1 KR102357673 B1 KR 102357673B1 KR 1020200034596 A KR1020200034596 A KR 1020200034596A KR 20200034596 A KR20200034596 A KR 20200034596A KR 102357673 B1 KR102357673 B1 KR 10235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composite material
binder composition
polymer binder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8335A (ko
Inventor
신대철
방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씨랩
Priority to KR102020003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6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6Particles within, immobilised, dispersed, entrapped in or on a matrix, e.g. a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30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08F220/585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and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e.g.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험실용 시약장, 농촌 축사 등에서 유출되는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기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여 미세한 패턴의 형상으로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Polymer binder composition for organic-inorganic complex material adsorbing basic toxic gas and organic-inorganic complex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험실용 시약장, 농촌 축사 등에서 유출되는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기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여 미세한 패턴의 형상으로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유해가스 배출기준이 더욱 엄격해짐에 따라 화학공장, 분뇨처리장, 실험실용 시약장, 농촌 축사 등에서 유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 아민 등을 포함하는 염기성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 소재로서 이들 염기성 유해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다공성 및 산성 필터 소재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 소재는 통기성이 불충분하여 유해가스의 흡착 효능이 저하되고, 다양한 형상의 필터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험실용 시약장, 농촌 축사 등에서 유출되는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기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여 미세한 패턴의 형상으로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필터 소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실험실용 시약장, 농촌 축사 등에서 유출되는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우수한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적용하기 위한 점도 및 분자량을 보유함으로써 3D 프린터를 통해 미세한 패턴의 형상을 갖는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기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여 미세한 패턴의 형상으로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로서, 설폰산계 단량체,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수지에서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의 몰비는 1.5~2.5:5.0~7.0: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점도가 10 내지 100 cps(@25℃)이고,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는 아래 화학식 1의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프로판-1-설폰산(2-acryloylamino-2-methyl-propane-1-sulfonic acid) 또는 아래 화학식 2의 스티렌 설폰산(styrene sulfonic aic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2
여기서,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아래 화학식 3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3
또한,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는 아래 화학식 4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4
한편, 무기 입자 및 상기 고분자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기 입자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알루미나 및 무기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입경 범위가 10 내지 100 ㎛인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5.0 내지 15 nm인 실리카 나노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입자는 구형 또는 완구율이 50% 이상으로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은 고분자를 형성하는 특정 단량체들의 조합 및 배합비를 통해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무기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은 3D 프린터에 적용하기 위한 점도 및 분자량을 보유함으로써 3D 프린터를 통해 흡착력 및 통기성이 극대화되는 미세한 패턴의 형상을 갖는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기성 흡착력을 갖는 필터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염기성 흡착력을 갖는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무기입자의 유동성 평가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은 설폰산계 단량체,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에폭시계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 및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말단의 산성기가 염기성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는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과 결합하는 무기 입자에 결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필터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에 비해 염기성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기능은 낮지만 친수성이 높은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과 소수성이 높은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 사이에서 중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여기서, 설폰산계 단량체:아크릴산계 단량체:에폭시계 단량체의 몰비는 1.5~2.5:5.0~7.0:1.5~2.5일 수 있다. 여기서, 설폰산계 단량체의 몰수가 기준 미달인 경우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몰수가 기준 미달인 경우 고분자 수지의 제조수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에폭시계 단량체의 몰수가 기준 미달인 경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과 무기 입자 사이의 결합력이 불충분할 수 있다.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래 화학식 1의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프로판-1-설폰산(2-acryloylamino-2-methyl-propane-1-sulfonic acid) 또는 아래 화학식 2의 스티렌 설폰산(styrene sulfonic aicd)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6
또한,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래 화학식 3의 아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7
그리고,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래 화학식 4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8
아래 반응식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1의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프로판-1-설폰산, 화학식 3의 아크릴산 및 화학식 4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용액 중합하는 반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21084930416-pat00009
상기 반응식 1에서,
l:m:n은 1.5~2.5:5.0~7.0:1.5~2.5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 또는 2의 설폰산계 단량체, 화학식 3의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화학식 4의 에폭시계 단량체, 그리고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APS) 및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PS)의 혼합 용액을 탈이온수(DI-water)에 2 내지 4시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하면서 70 내지 80℃의 반응온도에서 100 내지 200 rpm으로 교반함으로써 용액 중합반응을 통해 랜덤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용액 중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단량체의 총 함량은 8 내지 12 중량%, 중합개시제의 총 함량은 1 내지 5 중량%, 탈이온수의 함량은 83 내지 91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APS)과 과황산칼륨(KPS)의 배합비는 약 1:1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은 점도가 10 내지 100 cps(@25℃)이고,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가 10 cps 미만인 경우, 3D 프린터에 적용되어 버블젯방식으로 인쇄되는 경우 번짐 현상이 발생하여 미세한 패턴의 필터 제작이 불가능할 수 있는 반면,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가 100 cps 초과인 경우, 3D 프린터에서의 노즐분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필터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20 중량% 초과인 경우 필터 제작을 위해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과 결합하는 무기 입자의 통기성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와 결합하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기 입자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알루미나, 무기산화물 등의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입자는 형상이 구형이거나 완구율이 50% 이상, 예를 들어, 50 내지 90%로 구형에 가깝고 표면 및 내부에 기공을 갖는 다공성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입경 범위는 10 내지 100 ㎛, 평균 입경은 30 내지 60 ㎛, 벌크밀도는 약 0.5 내지 1.5 g/㎖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상기 마이크로입자 이외에 평균 입경이 5.0 내지 15 nm인 실리카 나노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는 상기 마이크로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아 상기 마이크로입자들 사이의 간극을 메워 상기 마이크로입자들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상기 무기 입자에 의한 층과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에 의한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필터를 제조할 때 상기 무기 입자에 의한 층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어 제조되는 필터의 미세한 패턴 및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거나 1.0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무기 입자의 유동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여 필터 제조를 위해 상기 무기 입자에 의한 층을 형성할 때 층의 두께가 불균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기성 흡착력을 갖는 필터용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염기성 흡착력을 갖는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필터 제조장치는 무기 입자 공급부(100) 및 적층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 공급부(100)는 무기 입자가 수용된 베드를 미세하게 상승시키는 공급 피스톤(110) 및 베드에 수용된 무기 입자 한층을 상기 적층부(200)로 이송하여 무기입자층을 적층하는 공급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부(200)는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이송된 무기입자들이 적층되도록 이미 적층된 층들을 미세하게 하강시키는 하강 피스톤(210) 및 상기 이송된 무기입자들에 의해 형성된 무기입자층 위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분자 바인더를 인쇄하여 바인더층을 적층하는 인쇄기(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쇄기(220)는 3D 프린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보관하고 이를 노즐에 공급하는 바인더 공급기(221) 및 상기 바인더 공급기(221)로부터 공급된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무기입자층 위에 분사하여 인쇄하는 노즐(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필터는 아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필터의 제조장치 중 적층부(200)에서 무기입자층이 적층될 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된 하강 피스톤(210)을 하강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단계(S100),
도 1에 도시된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필터의 제조장치 중 공급부(100)에서 무기입자가 저장된 베드의 하부에 연결된 공급 피스톤(110)을 승강시켜 함께 승강된 베드의 무기입자를 공급 롤러(120)에 의해 적층부(200)로 이송하여 상기 플레이트 위에 한 층의 무기입자층을 적층하는 단계(S200), 및
도 1에 도시된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필터의 제조장치 중 적층부(200)에서 인쇄기(220)를 이용하여 상기 무기입자층 위에 일정한 패턴에 따라 바인더층을 인쇄하여 적층하는 단계(S300).
앞서 기술한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를 통해 염기성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극대화되고 미세한 패턴의 형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무기입자의 유동성 평가
무기입자로서 제올라이트(평균입경 : 45 ㎛) 100.0 g과 유동조절제로서 실리카 나노입자(Aerosil-202/평균입자 : 5.0~15.0 nm) 0.2~1.2 g을 혼합하여 2.0 mm 모세관 통과 속도를 비교했고, 비교결과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조절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이 향상되어 모세관 통과 시간이 감소하고 통과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3D 프린터 성형특성 평가
1)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예
증류수 125.0 g에 단량체 중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프로판-1-설폰산 10.0 g, 아크릴산 30.0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0.0 g을 약 30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과황산암모늄(APS)(10.0%-Sol.) 10.0 g및 과황산칼륨(KPS)(10.0%-Sol.) 5.0 g을 혼합하여 중합개시제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증류수 310.0 g이 담겨있고 컨덴서가 장착된 이중쟈켓 반응기(1L)에 단량체 혼합용액 및 중합개시제 혼합용액을 동시에 2 내지 4 시간 동안 천천히 적가하고 교반속도 100 내지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온도 70 내지 80 ℃에서 반응시키고, 원료투입 완료 후 6 시간 동안 숙성반응 진행 후 반응을 종료함으로써,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증류수 함량을 조절하면서 고형분 함량이 3 중량%, 10 중량%, 25 중량%인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했다.
2) 유-무기 복합 소재에 의한 필터 제조 결과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무기입자층 및 바인더층을 순차적으로 약 100회 적층하여 두께 1 cm의 필터를 제조했고, 필터의 부위별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의 표준편차가 10 이하이면 ◎(좋음), 10 초과 15 이하이면 ○(보통), 15초과 20 이하이면 △(불량), 20 초과이면 ×(나쁨)으로 성형성을 평가했다.
무기입자층(중량%) 바인더층 성형성 평가
제올라이트 활성탄 유동조절제
실시예 1 99.8 - 0.2



조성물 1
실시예 2 99.6 - 0.4
실시예 3 99.4 - 0.6
실시예 4 99.2 - 0.8
실시예 5 99.0 - 1.0
실시예 6 74.7 24.7 0.6
실시예 7 47.7 47.7 0.6
실시예 8 - 99.4 0.6
비교예 1 100.0 - 0.0 ×
비교예 2 99.4 - 0.6 조성물 2
비교예 3 99.4 - 0.6 조성물 3 ×
- 유동조절제 : 실리카 나노입자(평균입경 : 10 nm)
- 조성물 1 : 고형분 10 중량%의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 조성물 2 : 고형분 3 중량%의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 조성물 3 : 고형분 25 중량%인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조절제가 0.2 내지 1.0 중량%로 적당 함량 포함되고,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이 5 내지 20 중량%인 실시예 1 내지 8의 유-무기 복합 소재 필터는 소재의 성형성이 우수하여 두께 균일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반면, 무기입자층에 유동조절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에서 고형분 함량이 기준을 벗어나는 비교예 2 및 3은 유-무기 복합 소재의 성형성이 불량하여 필터의 두께 균일도가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공급부 200 : 적층부

Claims (10)

  1. 무기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로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는 설폰산계 단량체로서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프로판-1-설폰산, 아크릴산계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및 에폭시계 단량체로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20 중량%이며,
    상기 무기 입자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알루미나 및 무기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마이크로입자 및 유동조절제로서 평균 입경이 5.0 내지 15 nm인 실리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에서 상기 설폰산계 단량체,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상기 에폭시계 단량체의 몰비는 1.5~2.5:5.0~7.0: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가 10 내지 100 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는 입경 범위가 1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는 구형 또는 완구율이 50% 이상으로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용 유-무기 복합 소재.
KR1020200034596A 2020-03-20 2020-03-20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KR10235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96A KR102357673B1 (ko) 2020-03-20 2020-03-20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96A KR102357673B1 (ko) 2020-03-20 2020-03-20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335A KR20210118335A (ko) 2021-09-30
KR102357673B1 true KR102357673B1 (ko) 2022-02-04

Family

ID=779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596A KR102357673B1 (ko) 2020-03-20 2020-03-20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534B2 (ja) * 1997-03-31 2001-07-0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ミス糸およびよこ糸の除去方法
KR101563063B1 (ko) * 2013-12-31 2015-10-26 현대건설주식회사 악취 제거 방법 및 탈취 시스템
KR101738345B1 (ko) * 2016-02-26 2017-05-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가스 탈취와 단열이 가능한 엠보싱 복합화학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534U (ja) * 2012-11-13 2013-02-14 株式会社 環境浄化研究所 粘着消臭・抗菌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534B2 (ja) * 1997-03-31 2001-07-0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ミス糸およびよこ糸の除去方法
KR101563063B1 (ko) * 2013-12-31 2015-10-26 현대건설주식회사 악취 제거 방법 및 탈취 시스템
KR101738345B1 (ko) * 2016-02-26 2017-05-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가스 탈취와 단열이 가능한 엠보싱 복합화학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335A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0486B1 (en) Sorption-type heat exchange modu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RU2417122C2 (ru) Сорбирующие газ системы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1821955B (zh) 一种用于co2吸附分离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025280B (zh) 具有采用树脂粘结的沸石颗粒的制品
EP2561917A1 (en) Adsorptive member and device using same
KR20210149026A (ko) 수성 에폭시 바닥 페인트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246074A1 (en) Lamination-shaped fired body, method for producing lamination-shaped fired body, and kit for producing lamination-shaped fired body
KR102400949B1 (ko) 이형 실리카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기체 분리막
CN103476479A (zh) 具有涂层的相变材料颗粒
KR101117175B1 (ko) 폴리우레아 다공질체 및 그 제조방법
SG177829A1 (en) Nano-hybrid concrete chemical admixture for chloride invasion resistance consisting of layered double hydroxide/polyurethane copolymer
CN106277932A (zh) 一种环氧树脂透水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0040335A2 (de) Adsorb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dsorberelements
KR102357673B1 (ko) 염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CN111073429B (zh) 一种自分层的聚合物水泥光催化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75233B1 (ko) 산성 유해가스 흡착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용 고분자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소재
JP3199818B2 (ja) エポキシ樹脂硬化剤用マイクロカプセル
CN115920863A (zh) 一种用于气体吸附分离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7098363A (ja) 吸着材
CN107418110B (zh) 一种车用新型石墨烯环保阻尼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18132348A1 (de) Beschichtungsmaterial zur Herstellung einer adsorbierenden, porösen, flexiblen Beschichtung für einen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2479690B (zh) 基于光固化3d打印成型的闭气孔陶瓷浮力材料及制备方法
JP2006344805A (ja) 電磁波吸収体
CN115403988B (zh) 一种除甲醛负离子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6216636A (ja) 導電性組成物、及び導電性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